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군대 폭력 뉴스 시청과 사회심리적 속성이 군 인권보호 지지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찰

        이정기(Lee, Jeong-Ki),黃于恬(Huang, Yu-Tien),금현수(Keum, Hyun-Soo)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31 No.4

        군 폭력 문제는 언론 보도가 있기 전까지 공론화되기 어려운 이슈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 개선을 위한 다양한 조치가 강구되고 있다. 다만, 남성은 여성에 비해 이러한 조치에 찬성하는 비율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왜 그럴까. 이러한 의문에서 이 연구는 남성의 군 인권보호(군 폭력 방지)를 위한 정책에 동의하는 지지행동(온·오프라인 서명 등)의도 결정요인을 검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동일한 남성이면서도 군대를 경험한 기간이 짧은(혹은 입대 예정인) 20대 대학생들과 대학생을 자녀로 둔 학부모들 사이의 군 인권보호 정책지지행동 의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대 대학생들의 경우 군 폭력 뉴스 시청량은 평등권과 신체의 자유 인식, 그리고 군 인권보호정책지지에 대한 긍정적 인식(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평등권과 신체의 자유 또한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울러 태도는 군 인권보호 정책지지행동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인지된 행위통제 역시 군 인권보호 정책지지행동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군 폭력 뉴스 시청량은 군 인권보호 정책지지행동 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20대를 자녀로 둔 학부모들의 경우 군 폭력 뉴스 시청량은 평등권과 신체의 자유 인식, 그리고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신체의 자유는 태도에, 태도는 주관적 규범과 함께 군 인권보호 정책지지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즉 군 폭력 뉴스 시청량은 군 인권보호 정책지지행동 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urp Violence in the military was one of the issues that were difficult to enhance publicity until there was media coverage, and various measures are being taken to improve this issue. However, it is said the ratio of male group in favor of such measure is fewer than females. Why? This study intended to determine the decision factors of behavioral support(on/off line signature, etc) for human rights protection(prevention in the military violence) of males in the military. Specially,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behavioral intention of human rights protection in the military between 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who experienced military for short period of time(or those who are going to enlist in the army) and parents of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the amount of viewing news on violence in the military made static effect on recognition on equal rights and right to liberty, and positive recognition(attitude) on policy support of human rights protection. Also, equal rights and right to liberty made static effect on attitude. Moreover, attitude made static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of policy support on human rights protection in the military. Perceived behavior control also made static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of policy support on human rights protection in the military. In other words, the amount of viewing news on violence in the military made indirec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of policy support on human rights protection in the military. Secondly, for parents of children in their 20’s, the amount of viewing news on violence in the military made static effect on recognition on equal rights and right to liberty and their attitude. Right to liberty made effect on attitude and attitude made effect on the subjective norm as well as behavioral intention of policy support on human rights protection in the military. Meaning, the amount of viewing news on violence in the military made indirec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of policy support on human rights protection in the military.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identified that the decision factors of policy support of human rights in the military have something in common and difference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and their parent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of media strategy and campaign strategy to elicit policy support behavior of men of human rights in the militar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국가재난 위기시 군(軍) 지원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정찬권 사단법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2020 한국국가전략 Vol.5 No.3

        This paper was written to explore ways to promote disaster support for the military amid the trend of the military playing the role of supporting national disaster as well as defense security in the comprehensive security environment. The military actively supported onsite response and restoration in the event of disasters at home and abroad, including the 2008 earthquake in Sichuan Province and the 2014 Ferry Sewol accident, contributing to the restoration and stability of the community. In this case, this article suggests improved directions for military's disaster support that ensured efficiency, systematicness and speed. First of all, in terms of law and system, the mobilization-related laws and regulations should be revised to allow military forces and resources can be mobilized in the disaster situation. Second, the position of the disaster staff should be reflected in the organization of various levels of the discharge, and the tentatively named "Disaster Specialized Response Force" should be established. Third, it is necessary to redesign disaster management education courses at the military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lso to establish the Level I Trauma Center. Fourth, the civil, government and military disaster management governance establishment and support system should be strengthened. For example, the foundation should be prepared to enable effective response in the event of a disaster by mutual linkage and integration of securing and stockpiling various equipments and supplies, establishing and executing safety management plans, writing crisis management manuals. Finally, the military's disaster support should be include the commander's key mission as the Military Operation Other Than War(MOOTW). Although the military's disaster support is a difficult task to vitalize in a short period, it should be carried out in stages because of the function and role is importance. 이 논문은 군(軍)이 포괄적 안보환경에서 국가재난 위기발생시 군의 지원역할 확대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우리군은 2008년 쓰촨성 대지진 등 해외재난과 2014년 세월호 사고 그리고 코로나19 등 국내재난 대응복구지원에 크게 기여하였다. 공동체의 탄력성(Resilience)회복과 국민들의 삶을 질이라는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향후 군의 지원의 효율성·체계성·신속성 보장을 위해 개선이 필요하다. 먼저, 법·제도적 측면에서 국가 재난위기 발생시 군 병력·물자장비의 동원 및 활용관련 법령을 현실에 맞게 개정해야 한다. 둘째, 각급제대에 재난참모직위를 편제에 반영하고, 가칭“재난전문대응군”창설을 검토해야 한다. 셋째, 군 교육기관의 재난관리교육과정을 재설계하고, 재난전문 인력관리와 인센티브 부여를 제도화해야 한다. 넷째, 민·관·군 재난협력 거버넌스구축과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예컨대 재난관련 장비·물자 확보․비축, 안전관리계획수립 그리고 위기관리매뉴얼 등 작성시 유관기관이 상호 연계·통합되어 실효적인 재난대응․복구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재난에 대한 군 내부 인식전환이다. 재난업무를 군수참모의 소관업무를 넘어 지휘관의 핵심임무에 포함시켜야 한다. 미국은 전쟁이외의 군사작전(Military Operations Other Than War:MOOTW)개념을 발전시켜 군을 운용하고 있다. 국가재난 위기시 군의 지원역할 강화는 안보환경 변화와 시대적 요구이므로 코페르니쿠스적 발상과 인식 전환이 필요한 때이다.

      • KCI등재

        군인가족의 심리적 특성 이해를 통한 영적 지지

        전요섭 ( Jeon Joseph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9 복음과 상담 Vol.2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군인가족(배우자와 자녀)의 심리분석을 통한 영적 지지에 대하여 다루고 군목회상담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자료 제시에 있다. 군인가족은 군대와 관련하여 일반인 가족과는 양상이 다른, 군 상황에서만 발생하는 심리적 특성과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다. 군인가족은 남편/아버지의 야간 근무, 비상, 특수 임무, 기동, 군사 훈련 및 해외파병, 잦은 인사이동 등으로 가족구조의 영향을 받는다. 남편/아버지는 이런 임무를 수행으로 군인가족의 불안정성을 야기하며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배우자의 심리는 군의 폐쇄성으로 인한 고립감, 고독감이 나타나고 군인자녀는 부성부재로 인해 다양한 문제가 나타난다. 부성부재를 극복하는 애착이론의 보상가설은 군인자녀에 대한 대안적 이론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이 연구는 군인가족에 대한 영적 지지와 돌봄으로 가족 탄력성(복원력), 강인성의 요인으로서 신앙의 중요성을 다루었다. 군인가족의 영적 지지기반이 확고하지 않으면 군인가족이 스트레스에 압도되어 정신건강 및 영적 건강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군인가족을 위한 영적 지지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가정예배이다. 가정예배를 포함한 영적 지지는 군인가족의 우울증, 불안증, 스트레스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spiritual support and mental health maintaining for military family in Korean military: centering around military member’s spouse and children. Korea has relatively few studies on military families compared to the United States military. Multidimensional studies of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 problems for active military, reservists and military famil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however the contents of spiritual support for military families have been difficult to find. This research dealt with the military families’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solve their problems. The researcher observed this problem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ministry,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n military. One of the best spiritual supports is family worship. Spiritual support including family worshi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reduction in the military family. Family worship also makes the family hardiness,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healthiness. Also, one of the supporting methods for a child who has absence of fatherhood of military family is compensation hypothesis of attachment theory. Family worship as compensation hypothesis is a mean of spiritual support methods for absence of fatherhood child.

      • KCI등재후보

        군 범죄피해자 보호 및 지원에 관한 연구

        승장래(Seung, Jang Rae) 한국범죄심리학회 2014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0 No.1

        Following the reformation and systematical implementation of the 'Crime Victim Protection Act' in 2010, the system of protection and support for victims is being established on both national and social levels. However, crime victims in the military find much difficulty in receiving protection and support from the military especially in requesting protection of rights or reporting the crime due to a closed off, hierarchical culture that is firmly rooted in the military. Moreover, there aren't any established systems to offer support or help. In the various cases of crimes in the military, the victim is not only victimized by the criminal, but also receives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damage directly and indirectly from fellow comrades. Yet, when a crime is committed in the military, the military's follow up measures only include a sequence of investigating the cause, punishing the criminal, and interrogating for the command responsibility, lacking a system to protect the victims and efforts to support it. Being pressured by circumstances to accept the fact of crime rather than to publicize that they are crime victims and risk persecution, the victims of crime end up fearing that they will be victim to other crimes because they conform with and become a part of the military system. Although various methods have been tried to promote trust and nurture elite forces in the military by pursuing military service policies that are centered on the safety of military personnel, there needs to be an all-out effort to protect crime victims in the military by establishing regulations protecting and supporting crime victims and establishing mutual cooperation with the civilian crime victim support centers. 2010년 '범죄피해자보호법'이 개정되어 체계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국가사회적인 범죄피해자 보호 및 지원 제도가 정착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군의 범죄피해자들은 폐쇄적이고 위계적인 군 문화 안에서 피해사실을 알리거나 권리구제를 요청함에 있어서 군내 자체 시스템으로서는 범죄피해에 대한 보호 및 지원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현재 어떠한 제도나 지원활동을 할 수 있는 시스템도 구축되어 있지 않다. 군에서 각종 사건사고가 발생하면 범죄를 저지른 사고자뿐만 아니라 주변동료들에게 신체적ㆍ정신적 직접ㆍ간접피해가 발생하게 되는데, 군에서는 각종 사고(범죄) 발생 시 사고원인 수사와 사고자 처벌, 지휘계통의 지휘책임 추궁 등의 수순으로 후속조치를 할뿐 피해자를 보호하는 노력과 체계 구축이 미흡하다. 이러한 환경에서 군범죄피해자들은 자신이 범죄피해자임을 공론화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스스로 범죄피해 사실을 수용해 버림으로써 조직의 질서에 순응하거나 편입되고 있어 또 다른 2차, 3차 범죄피해 발생의 두려움을 가지게 된다. 비록 군도 장병들의 안전과 생명을 중시하는 병영정책을 추진하여 대군 신뢰증진과 선진강군을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제도적 장치를 통해 노력하고 있으나, 이제는 군에서도 범죄피해자를 보호 및 지원할 수 있는 법규를 제정하고 민간피해자지원 단체와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하는 등 제반 노력을 기울일 때가 되었다.

      • KCI등재

        부모, 친구, 교수의 사회적 지지와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군 전역 복학생을 중심으로

        김동하,손영미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of parents, friends, and professors and perceived stress for returning students afer military service. To this end, 204 returning students from all over the military who attend four-year universities in Chungnam and Daejeon were recruited using SN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parental support, friend support, professors support, and self-leadership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perceived stres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other variables.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upport, friend support, professor support, and perceived stress, Self-leadership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 support and perceived stress, and parent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 with perceived stress. Friend support didn't produce significant results. The above results show that it contributes differently to the self-leadership and perceived stress of returning students across the military depending on social suppor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군 전역 복학생을 대상으로 부모, 친구, 교수의 사회적 지지와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SNS를 활용하여 충남 및 대전 소재 4년제 대학을 다니는 군 전역 복학생 204명의 자료를 모집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모지지, 친구지지, 교수지지, 셀프리더십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지각된 스트레스는 다른 모든 변인들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부모지지, 친구지지, 교수지지와 지각된 스트레스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교수지지와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를 셀프리더십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비해 부모지지는 지각된 스트레스와 직접효과만을 가졌으며, 친구지지는 군 전역 복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에 유의한 직간접효과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결과는 사회적 지지원에 따라 군 전역 복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지각된 스트레스에 서로 다르게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군 전역 복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군 전역대상자의 취업률 제고를 위한 정책 및 제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상일,김형재,조익진,권혜정 한국취업진로학회 2015 취업진로연구 Vol.5 No.3

        본 연구에서는 군 전역대상자의 취업률 제고를 위한 정책 및 제도적 방안에 대하여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여 향후 군 장병들의 취업률 제고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문헌연구를 통하여 현재 국방부 및 군 관련기관에서 장병들의 취업률 제고를 위하여 실행하는 정책 및 제도적인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제대군인 취업지원 제도를 더욱 활성화하여야 한다. 현재 국가보훈처는 몇몇 제대군인지원센터를 설치하였지만 이에 대한 홍보는 너무 미흡한 수준이므로 이에 대한 홍보에 더욱 더 힘을 기울여야 한다. 둘째, 군내 취업직위를 개발하고 우리 간부들이 전역 후 사회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보직을 개발하여 추후 공공기관 및 사기업에서 군에서 배운 지식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군 간부들을 대상으로 한 취업설명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되 전역 간부들이 편안하게 참석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 넷째, 직업군인들에게도 고용보험 제도를 적용하여 군인들이 노후의 걱정이 없는 군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군에서의 경력이 사회에서 인정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한다. 이는 가장 크고 중요한 문제로 군 간부들이 군에서 습득한 지식과 경험에 대해 특정한 전문가임을 인정하고 군 경력과 경험에 대해 자격증을 부여하여야 한다. 현재 국방부 및 국가보훈처 등 여러 군 관련 기관에서 장기간 복무 후 전역하는 직업군인들의 재취업을 위하여 제대군인 취업지원 제도, 군 내 취업직위 개발, 취업설명회 확대 시행, 군인 고용보험제도 도입 추진, 군 경력 및 교육의 사회인증 제도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군 관련 기관들이 실행하고 있는 이러한 여러 방법들을 좀 더 심도 있게 고찰하였고 이에 대해서 개선할 부분을 제언하였기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여러 군 관련 기관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현재 진행하고 있는 장기간 복무 후 전역하는 직업군인들의 재취업을 위한 방안을 수정하여 향후 더 많은 우리 군 장병들의 취업률을 높일 수 있고 이는 고용의 불안에서부터 벗어난 군 간부들의 현 군 생활의 집중에도 더욱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research investigated the governmental policy and the systematic plan for the executive members who are planning to be discharged from the Korean military force as exploratory study. Moreover, it proposed the suggestions to improving the employment rate of future military retires. The study examined the governmental policy and institutional factors that are running to raise the employment rate of the current department of defense services throughout the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in five major parts. First, the systematic plan needs to be more active to support the executive members who are planning to be discharged from the military. Recently,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established several employment support centers, but the promotion are not enough. Many veterans still recognize there are employment support centers. Second, it needs to develop the employment officer position, so our veteran members can use the service after their retirement. Therefore, they should be able to use the knowledge learned from the army effectively for the public institutions or private companies. Third, the military need to adopt the culture that executive members can attend the job fair comfortably. Forth, the government needs to apply employment insurance with professional soldiers, so each one can get rid of their worries of their retirement. For the last, the government needs to find the solution that the careers in the army are accepted in the outside society. This is the most important matter that the military knowledge and the experiences are recognized as the professional. Additionally, the military need to issue the some kind license to the veteran soldiers who want to retire. Currentl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or the ministry of patriots, veterans affairs, and many other military related organizations are supporting re-employment of the professional soldiers who served in the military for long time in many ways such as employment support system, developing employment officer position, enlarging job fair, adopting the employment insurance for the professional soldiers, and providing certification for the military knowledge which can be accepted in the private companies. The research examined the governmental policy and the systematic plan for the executive members who are planning to be discharged from the Korean military force by the various military related institutions. Also the study suggested areas for improvements, so it may have academically effective. Many military related institutes can adopt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support the employments of the executive members who are planning to be discharged from the Korean military force. Then, people who get rid of their fear about the retirement, can get more focus on their daily life in the military service.

      • KCI등재

        후기의병기 도암 신태식 의병부대의 지원활동

        정현탁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4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85

        Doam Shin Tae-sik is general of the righteous army and independence activist from Mungyeong, Gyeongsangbuk-do. He participated in the latter period of the righteous army at the end of the Great Han Empire, and after his country perishes, he organized the Euyongdan of the Joseon Independence Movement and carried out an independence movement in connection with the Seorogunjungseo. Most of the people who fought for the righteous army were arrested by Japanese imperialism and hanged. However, Shin Tae-sik is a person who has been released from prison and continues his activities as an independence movement. This leads to the question of what characteristics Shin Tae-sik’s righteous army has and thus links to the Euyongdan. These questions stem from the aim to understand how the characteristics of Shin Tae-sik’s righteous army differ from other units and what kind of connection the characteristics have with the actions after being released from prison. Shin Tae-sik’s righteous army is not a combat unit that mainly conducts combat, but a logistical activity unit that focuses on support activities. This includes recruiting troops, raising military funds and securing munitions, and small-scale logistical attacks by the Japanese military. In addition, the three aspects of he’s army identified in 「Raise an Army Song」 sust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pport unit. This is because combat methods, marching methods, and military activities are noted. First of all, the Lee Kang-nyeon righteous army identified in 『Raise an Army Facts』 is usually engaged in combat with news of the enemy’s approach and subsequent ambush tactics when fighting the Japanese military.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a record of the Shin Tae-sik’s righteous army single battle or ambush the Japanese military, except for joining with other armies or being stationed for a long time. There is no single attack by the Shin’s army after spying on the Japanese military’s movements. Next, looking at the method of marching, Shin Tae-sik’s righteous army is marching in a way that avoids the Japanese military by sending a follower first on the path to the target point or on the main route. Looking at the march route, he’s army is heading to Yangju, Gyeonggi-do, avoiding combat with the Japanese military. Considering the path of Shin’s arm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hin Tae-sik was the rear of an army of Lee’s army. As mentioned earlier, this is likely to have been a strategic tool of Shin’s army. The key to Shin Tae-sik’s method of marching was how much he did not encounter the Japanese military, indicating that the unit was putting a lot of weight on supporting activities. Finally, when looking at military activities, Shin Tae-sik’s righteous army recruited troops in 「Raise an Army Song」 and activities to raise military funds by securing or stationing military supplies in local governments are shown. Only the number of troops recruited by Shin’s army is confirmed. The number of troops ranges from as few as 100 to as many as 1,000.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fact that the number of troops consumed by Shin Tae-sik’s army has reached about 1,000. This is because he’s army does not need to maintain large-scale troops unless it is intended to defend a specific area. Rather, the troops are presumed to be a strategy to avoid the Japanese military’s surveillance network in comparison to the aforementioned marching method. The number of 1,000 might have been a means of escaping the Japanese military’s threat. 도암 신태식은 경북 문경 출신의 의병장이자 독립운동가이다. 그는 한말 후기의병에 참여했고, 망국 이후 조선독립운동후원의용단을 조직해 서로군정서와 연계하여 독립운동을 펼쳤다. 의병항쟁을 했던 인물들은 대부분 일제에 체포되어 교수형을 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신태식은 출옥하여 독립운동으로 활동을 이어가는 인물이다. 이는 신태식의 의병항쟁이 어떠한 특징을 지니고 있기에 의용단 활동으로 연결되는지에 대한 의문점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신태식 의병부대의 특징이 다른 부대와 어떤 점이 다른지, 나아가 그 특징이 출옥 이후의 행보와 어떤 연결 지점이 있는지 파악해 보고자 하는 데서 비롯한 것이다. 신태식 부대는 전투를 주목적으로 수행하는 전투부대라기보다 지원활동에 중점을 둔 병참활동 부대로서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병력모집, 군자금 모집 및 군수품 확보, 그리고 일본군의 소규모 병참 공격 등이 해당한다. 덧붙여 「창의가」에서 확인되는 신태식 부대의 세 가지 측면은 지원부대로의 특징을 뒷받침하고 있다. 전투방식, 행군방식, 그리고 군수활동이 주목되기 때문이다. 먼저 전투방식을 살펴보면, 『창의사실기』에서 확인되는 이강년 부대는 대개 일본군과 전투할 때 적의 접근 소식과 그에 따른 매복 전술로 전투를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신태식 부대는 다른 부대와 합진하거나 장기간 주둔한 것을 제외하면, 해당 부대가 일본군을 상대로 단독 전투를 치르거나 매복하여 일본군을 기습했다는 기록을 찾기 어렵다. 신태식 부대가 일본군의 동향을 정탐한 뒤에 단독적으로 공격한 활동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행군방식을 살펴보면, 신태식 부대는 목표 지점을 향해 가는 경로나 주요 길목에 척후를 먼저 보내어 일본군을 피해 가는 방식으로 행군하고 있다. 행군로를 보면, 신태식 부대는 일본군과의 교전을 피하면서 경기도 양주로 향하고 있다. 신태식 부대의 이동 경로로 볼 때, 신태식이 이강년 부대의 후군장이었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는 앞서 서술했듯이 신태식 부대의 전략적 수단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신태식 부대의 행군방식은 얼마나 일본군과 맞닥뜨리지 않느냐가 관건이었고, 이는 해당 부대가 지원활동에 무게를 두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군수활동을 보면, 「창의가」에서 신태식 부대가 병력을 모집한 내용과 지역관청에서 군수물자를 확보하거나 주둔하여 군자금을 모집하는 활동이 나타나고 있다. 단지 신태식 부대가 모집한 병력 수만 확인된다. 병력 수가 적게는 100여 명부터 많게는 1,000여 명에 이른다. 그런데 신태식 부대가 소모한 병력 숫자가 1,000여 명에 달했다는 내용은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신태식 부대가 특정 지역을 사수할 목적이 아니라면, 병력을 대규모로 유지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그 병력은 앞서 언급한 행군방식과 빗대어 볼 때, 일본군의 감시망 회피를 위한 전략으로 추측된다. 1,000명이라는 숫자는 일본군의 위협에서 벗어나기 위한 수단이었을 것이다.

      • KCI등재

        자기존중감 및 통제소재가 병사의 군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매개 효과

        이주희,김정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1 No.3

        This study examines correlations among factors that reportedly affect adjustment to military life: self esteem, locus of control,,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study also attempts to validate the structural model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adjusting to the military lif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47 listed soldiers from private to sergeant currently stationed and serving in an army post in Gangwon-Do, Korea. The following tools were used for this study. Based on self-inventory questionnaires, evaluations were made regarding self esteem, locus of control, social support, stress management, adaptation to military life. Reliability of each criterion was evaluated based on reliability examination, correlations among parameters were analyz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alidat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ternal control and self esteem hav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Second, internal control and self esteem affect adjusting to military life through social support and active coping, two factors mediated in this study to act as parameters between self-esteem and internal control and military adaption. This study emphasizes intervention such as establishment of a social support system and training for taking necessary actions as limitations of studies dealing with internal traits and military adaptation. Si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hosen from an army based in a single location for convenience' sake, it may be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to analyze the entire military. 본 연구는 군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된 자기존중감, 통제소재,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요인들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구조 모형을 검증함으로써 군 적응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소재 육군 소속 이병에서 병장까지의 현역 병사 447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자기 보고식 질문지를 통해서 자기존중감, 통제소재,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 방식, 군 적응이 측정되었다. 신뢰도 검사를 통해 각 척도의 신뢰도를 측정하였고, 변인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다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자기존중감, 내적 통제와 같은 내적 특성이 각각 사회적 지지와 적극적 대처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적극적 대처, 사회적 지지가 군 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적 통제, 자기존중감이 사회적 지지와 적극적 대처를 통해 군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사회적 지지와 적극적 대처 방식이 내적 특성과 군 적응 사이의 매개 변인의 역할을 함을 밝힌 것이다. 본 연구는 개인의 내적 특성과 적응 간의 연구들에 제한점을 주는 것으로 사회적 지지 체계의 확립이나 대처 행동 훈련과 같은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KCI등재

        병사들의 군 생활 스트레스와 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천세구(Chun Segu),채성기(Chae Sungki),이재창(Lee Jaecha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병사들의 군 생활 스트레스가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군 생활 스트레스와 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A지역의 육군 단기복무사병 1 개 중대 규모(150명)와 충청도 B지역의 육군 단기복무사병 1개 중대 규모 (153명)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첫째, 병사들의 군 생활 스트레스가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또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군 생활 스트레스와 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는데, 이는 군 생활 스트레스 수준이 높더라도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으면 적응을 더 잘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 향상을 위해서는 군 생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더불어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적용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 등이 논의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ilitary life stress of soldiers on adjustment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life stress and adjustment.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is study targeted one company of short-service army soldiers(150) in A area of Gyeonggi Province and one company of short-service army soldiers(153) in B area of Choongcheong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ilitary life stress of soldiers significantly influenced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influenced adjustment too. Second,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life stress and adjustment. This means that even though military life stress is high, soldiers can adjust to military life better when they receive a lot of social support.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for improving social support in addition to constant effort to get rid of military life stress for improving military life adjustment of soldiers. Lastly, the implication, limit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군 복지정책지지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의무복무 제대군인을 중심으로

        오동진 한국보훈학회 2023 한국보훈논총 Vol.22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support for military welfare policies for enlisted service veterans in South Korea by analyzing cross-sectional data of 1,500 samples. The author analyzed public support for three representative military welfare policies, namely the employment support policy, welfare support policy, and academic support poli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contributions of enlisted service veterans to society and the difficulties they would face after their discharg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pport for these policies. Regarding the effect of material self-interest, men under the age of 40 with high material self-interest in the policies showed higher support, whereas women under the age of 40 showed lower support. Additionally, the analysis of policy awareness indicated that higher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military welfare policies resulted in higher policy support. Based on the findings, the author suggests constructive policy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military welfare policies for enlisted service veterans.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민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군 복지정책 지지도를 결정하는 요인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대표적인 의무복무 제대군인을 위한 복지정책인 취업지원, 복지지원, 학업지원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지지도를 분석하였다. 횡단면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무복무 제대군인의 사회 기여도가 높다고 인식할수록, 제대 후 사회 적응에 어려움이 있다고 인식할수록 의무복무 제대군인 복지정책의 지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질적 이해관계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의무복무 제대군인 복지정책에 물질적 이해관계가 높은 만 40세 미만 남성은 그 정책에 대한 지지도가 높은 반면, 물질적 이해관계가 낮은 만 40세 미만 여성의 지지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책인지도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해당 복지정책에 대한 인지도와 이해가 높을수록 정책지지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의무복무 제대군인 복지정책향상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