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추상에서 구체로의 상승 : ‘정치경제학 비판’의 서술방법

        김호균 한독사회과학회 2018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8 No.3

        본고의 목적은 Marx가 ‘정치경제학 비판’의 서술방법으로 천명한 ‘추상에서 구체로의 상승’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기존의 연구는 “추상”과 “구체”에 관한 개념적 규정에 집중하면서 이 서술방법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이 서술방법이 먼저 Marx가 언급한 ‘서술계획초안’에서 적용되었으며 여기에서는 “세계시장”이 “구체적 총체성”으로 규정되고 있음이 밝혀진다. 또한 1970/80년대 서독에서 이루어진 “자본 일반” 개념을 둘러싼 논쟁도 추상차원의 구분이 병행되었더라면 어렵지 않게 해결되었을 것이라는 점도 밝혔다. 다음으로 변증법적 서술방법이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운동법칙을 규명하는『정치경제학 비판 요강』과『자본』에서 실제로 적용되었음을 6개 구체적인 추상차원을 추출함으로써 밝힐 수 있다. 아울러 Marx가 “변증법적 서술방법의 한계”를 지적한 사실에 주목하여 그 의미를 밝히고 그것이 “역사적 방법”으로 어떻게 보완되었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In his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Marx distinguished the presentation from the research method. Marx considered the former ascending from abstract to concret as “the scientifically correct method.” It is worth analysing, how and with which concepts Marx applied this method concrete in the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It will be shown, that the “plan draft” is an example for the concret application of the presentation method. In the debate on the concept of “capital in general” in the 1970s and 1980s in West Germany it was focused on the abstraction level of the concept. The debate came to the end without any results, mainly because the abstraction levels were not precisely distinguished. The main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distinguish these levels not only in the ‘Foundations of the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but in the ‘Capital.’ With regards to the presentation method it should be also clarified, what Marx meant with “the limits of the dialectical method”, which is to be complemented by the historical method. Marx occupied himself with this problem in the “previous accumulation of capital.”

      • KCI등재

        문서 클러스터링을 위한 학술지 논문의 구조적 초록 활용성 연구

        최상희,이재윤 한국정보관리학회 2012 정보관리학회지 Vol.29 No.1

        Structured abstracts have been regarded as an essential information factor to represent topics of journal articl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unconventional view to utilize structured abstracts with the analysis on sub fields of a structured abstract in depth. In this study, a structured abstract was segmented into four fields, namely, purpose, design, findings, and values/implications. Each field was compared in the performance analysis of document clustering. In result, the purpose statement of an abstract affected on the performance of journal article clustering more than any other fields. Furthermore, certain types of keywords were identified to be excluded in the document clustering to improve clustering performance, especially by Within group average clustering method. These keywords had stronger relationship to a specific abstract field such as research design than the topic of an article. 구조적 초록은 학술 논문의 주제를 표현하는 역할을 하여 학술 논문을 처리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왔다. 이 연구에서는 구조적 초록을 구성하는 세부 필드의 속성을 4개로 분석하고 초록의 구조를 활용하여 문서 클러스터링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찰고자 하였다. 구조적 초록의 필드 속성을 문서 클러스터링에 적용한 결과 클러스터링 기법간의 편차가 있었으나 연구 목적이 제공하는 정보량에 비해 주제성이 커서 클러스터링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석 결과 특정 필드에 특화되어 출현하는 필드 종속적인 단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필드 종속적인 단어를 배제하고 집단내 평균연결 기법을 적용하였을 때는 클러스터링의 성능이 개선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A Design of Novel Charge-Discharge Control System Using DC-DC Chopper

        Hwang, Y. M.,Kim, Y. B.,Shin, D. R.,Kim, D. W.,Woo, J. I. 동아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2001 生産技術硏究所硏究論文集 Vol.6 No.2

        Stand-alone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influenced by natural environment, continuous generation is impossible. therefore, The energy charging equipment is essential ele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time-sharing equality charge method. this method Increase the life cycle of battery and improve safety. And we propose high-speed and high-efficiency charge through the PI controlled switching chopper. Also, we comparative analysis and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to show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system.

      • KCI등재

        플로리디(Luciano Floridi) 정보 윤리학의 자연주의 재구성 : 자연주의적 오류 비판을 넘어서

        김유민,목광수 범한철학회 2021 汎韓哲學 Vol.100 No.1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탑재한 서비스나 장치의 사용이 점점 익숙해지고, 디지털 기기와 인간과의 상호작용의 범주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포스트 휴먼(post human), 인공지능 로봇 등의 다양한 존재자가 등장하리라는 예견이 더 이상 공상 과학에 불과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인간 이외의 새로운 존재와 인간이 상호작용하면서 발생하는 윤리 문제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이러한 문제에 대응할 윤리는 기존의 윤리를 새로운 존재에게 확장하여 적용하는 수준을 넘어 새로운 윤리 제시로 나아가는 과도기적 위치에 있을 것이다. 플로리디(Luciano Floridi)는 정보 윤리학(ethics of information), 즉 피동자와 존재 중심적 거시 윤리학(patient-oriented, ontocentric macroethics)을 이러한 과도기적 윤리로 제안한다. 플로리디는 인간 중심주의적 관점을 벗어나 정보(information) 존재 자체에 도덕 지위(moral status)를 부여하고 정보의 관점에서 도덕 원칙을 구성한다. 이러한 자연주의적(naturalistic) 시도는 탈-인간적인 논의에서 필수적인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인간 중심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간적 관점과 거리 있는 자연(nature)으로부터 도덕 평가를 끌어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플로리디는 자신의 논의 토대에 해당하는 자연주의 해석에 대한 자연주의적 오류 비판에 대해 비판 자체를 거부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근대 이후의 사고방식에 익숙한 학계에서 설득력을 얻기 어려운 한계를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맥도웰(John McDowell)의 감수성 이론을 통해 플로리디의 자연주의를 보완하여, 플로리디의 정보 윤리학이 갖는 자연주의적 성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자연주의적 오류 비판을 극복하고자 한다. 맥도웰의 감수성 이론을 통해 보강한 자연주의 방식, 즉 호모 포이에티쿠스인 인간의 감정과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정보 존재에게 가치를 부여하는 방식은 플로리디의 자연주의를 이해하는 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탈-인간 중심주의적 윤리를 통해 도덕 존재 영역을 확장하고자 하는 시도들에도 유용한 전략으로 보인다. The paper aims to overcome the critique of the naturalistic fallacy faced by Luciano Floridi's ethics of information. Floridi proposes patient-oriented, ontocentric macroethics as the informaional ethics for the era of information. His main argument attempts to expand moral status to all beings, which was originally confined to humans, claiming that all informational entities have an intrinsic moral value due to their existence, which entails that human beings, animals, plants, and even non-biological entities deserve moral respect. Floridi’s ethics of information has been criticized for committing the naturalistic fallacy. This is because, according to G.E. Moore, when moral propositions are derived from natural facts, or 'ought' is derived from 'is' as Floridi does, it necessarily commits a naturalistic fallacy. However, Floridi does not take this critique seriously and it seems to be a critical weakness of his theory. This paper attempts to reinforce Floridi's naturalism through sensibility theory advocated by John McDowell, in order to overcome the critique of the naturalistic fallacy, while also maintaining Floridi's naturalistic perspective. The sensibility theory argues that moral values are simultaneous combinations of external properties and subjective minds. The paper argues that agents, understood as conceptualized in sensibility theory, can not only epistemically but also ethically reconstruct the world through the levels of abstraction. In his argument, Floridi did not verify how the levels of abstraction method can make agents reconstruct the world ethically, which falls prey to the naturalistic error. The argument of this paper expands the role of the levels of abstraction for both epistemic and moral reconstruction, with sensibility theory helping to defend against the naturalistic error and strengthen Floridi's naturalism.

      • KCI등재

        ‘소크라테스 대화’의 절차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재현 대동철학회 2021 大同哲學 Vol.96 No.-

        레오나르드 넬손이 새롭게 주창하고 그의 제자 구스타브 헥크만이 계승·발전시킨 ‘新 -소크라테스 대화’의 방법이 구체적으로 실행되는 절차의 표준적 모델을 비판적으로 검토 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다. 이에 필자는 넬손-헥크만 전통의 대화 방식을 연구하고 실천하는 데에 주도적 역할을 하는 단체인 GSP(Gesellschaft fuer Sokratisches Philosophieren)가 제시하는 대화 실행의 표준적 실행 모델을 중심으로 요스 케쎌스의 ‘모 래시계-모델’과 데트레프 호르스터의 대화 실행 모델을 소개하고, 각 모델을 이 대화의 방법적 원리인 ‘추상의 역행적 방법’의 수행이라는 관점에서 비교 검토할 것이다. 이를 통 해 각 모델이 가지는 방법론적 장단점을 ‘소크라테스 대화’의 이상적 전형과 규칙을 기준 으로 삼아 비판적으로 밝혀보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treatise is to critically review the standard model of the process in which the method of the ‘Neo-Socratic Dialogue’ is concrete conducted. GSP (Gesellschaft fuer Sokratisches Philosophieren = Society of Socratic Facillitators) plays a leading role in investigating and practicing the methodology of the ‘Socratic Dialogue’ in the tradition of Nelson and Heckmann. In this treatise, I present not only a standard model of dialogue practice from GSP, but also the hourglass-model by Jos Kessels and the model of dialogue practice by Detlef Horster. Then I try to consider comparative each model in terms of implementing the ‘regressive method of abstraction’ as the methodological principle of this Dialogue. In doing so, this is my intention to critically explain the methodological advantage and disadvantage of each model according to the criterion of the ideal paradigm and the rules.

      • KCI등재

        공학계열 학생 대상 논문 초록 작성법 교육 방안

        정호진 ( Chung Ho J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초록은 논문의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논문의 인용지수를 높이는 도구이기도하다. 그러나 초록을 작성하는 일은 그리 쉽지 않다. 이는 다른 전공 학생들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글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공하계열 학생들에게는 더욱 그렇다. 초록은 특별한 이동마디 패턴, 즉 IPMRD (연구 개관,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연구 결과, 토의)를 따르며, 각 이동마디에는 정형화된 표현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록의 구조적 특성과 이동마디별 정형화된 표현을 이용하여 공학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논문 초록 작성법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록의 전형적인 이동마디 구조로 알려져 있는 패턴에 따라 공학계열 석사 학위논문 초록 100 편을 무작위표본추출하여 이동마디 패턴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분석한다. 또한 공학계열 박사 학위 논문의 초록을 분석하여 각 이동마디에 사용된 정형화된 표현을 추출하여 제시한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결과 중심 교수법을 활용하여 학위논문의 초록을 작성하는 방법을 교육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석사 학위논문 초록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초록의 구조가 극히 다양하고, 전형적인 구조인 IPMRD를 제대로 갖추고 있는 초록이 17%에 불과하였다. 이는 논문 초록 작성법에 관한 교육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하겠다. 또한 인문사회계열에서 이루어진 선생연구와는 달리 M(연구 방법)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학계열 논문이 실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사용한 실험 방법이나 실험 절차, 실험 장치에 대한 정확한 기술을 요하므로 초록에서도 이를 비중 있게 다룬 결과로 보인다. 초록에 사용된 정형화된 표현을 살펴보면, 초록은 학문적 텍스트의 특성을 지니므로 ‘기대된다’, ‘판단된다’, ‘사료된다’ 등의 서술어로 끝나는 피동문(passive sentence)이 자주 사용된다. 더욱이 각 이동마디에는 해당 이동마디에서 자주 사용되는 정형화된 표현들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예를 들어, R(연구 결과)의 경우, ‘-(으)ㄹ 수 있었다’와 ‘-(으)로 나타났다’, ‘-(으)로 밝혀졌다’ 등이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초록의 이동마디 패턴과 각 이동마디에서 사용되는 정형화된 표현을 활용하여 초록을 가르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글에 제시된 대로 초록 작성법을 교육하면, 글쓰기가 다소 부족한 공학계열 학생들도 쉽게 초록을 작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n abstract provides overall information on a thesis while also being a tool to increase the impact factor of the thesis. However, writing abstracts is not easy, which is especially true for engineering students who usually have more difficulties in writing in comparison to students of other majors. Abstracts follow a special move pattern, i.e. IPMRD (introduction, purpose, method, results, discussion), where each move uses special stereotype express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teaching plan of thesis abstracts writing for engineering students usi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stereotype expressions. For this, the study analyses move patterns of 100 abstracts, and extracts and presents stereotype expressions of each move used in them. The analysis of the master’s theses abstracts showed that the abstracts had an extremely diverse structure, and only 17% of them followed a typical structure, i.e. IPMRD. This shows that there is a need for thesis abstract writing education. Moreover, unlike the researches conducted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M (research method) was used most frequently. This is due to a fact that the engineering research papers require accurate descriptions of methods, procedures, and apparatus used in the experiments, and those abstracts reflected such characteristics of the engineering theses. When examining the stereotype expressions used in the abstracts, we can see that the abstracts shared characteristics of academic texts with a frequent use of passive sentences ending in predicates, such as ‘기대된다 (is expected to be)’, ‘판단된다 (is judged to be)’, and ‘사료된다 (is thought to be)’. Furthermore, the analysis showed that each move used the stereotype expressions commonly used for that move. For example, in the case of R (research result), expressions such as ‘-(으)ㄹ 수 있었다 (was able to do something)’, ‘-(으)로 나타났다 (was shown as)’, and ‘-(으)로 밝혀졌다 (turned out to be)’ were frequently repeated. On the basis of those results, we propose a result-based teaching method which teaches how to write an abstract, or more precisely, teaches the move patterns of an abstract, and the stereotype expressions used in each move. Engineering students shall write their abstracts with ease, as long as they learn the proper abstract writing methods suggested in this article.

      • KCI등재후보

        추상화에 기반을 둔 실시간 항법 및 배송 시스템의 명세 및 행위적 동일성 검증을 위한 정형 기법

        최정란,이문근 한국콘텐츠학회 200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6 No.11

        A number of process algebras are not well suitable for real-time navigation/delivery systems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1) lack of representation of process distributivity over some geographical space and 2) the indistinction of representation of process mobility from process distributivity over the space. To make the process algebra suitable to the systems, it seems to be necessary to separate the space representation from the mobility representation. This paper presents a formal method for this purpose, namely, Calculus of Abstract Real-Time Distribution, Mobility, and Interaction (CARDMI). For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behavioral properties, CARDMI defines a set of the spatial, temporal and the interactive deduction rules and a set of equivalence relations. The rules and equivalences can be abstracted hierarchically due to the spatial abstraction, too. CARDMI can be applied to virtual navigation/delivery system for contents, too. 프로세스 대수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실시간 항해 및 배송 시스템에 적용하기에는 부적당하다: 1) 특정한 지정학적 공간 내에서의 프로세스들의 분산성에 대한 표기가 부족하고, 2) 그 공간 내에서의 프로세스들의 이동성이 분산성으로부터 확연히 구분하여 표기되지 않는다. 이 대수들이 이런 시스템에 적합하기 위해서는 이런 분산성에 적용되는 공간정보의 표기와 이 공간 내에서의 이동성에 대한 표기를 구분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목적, 즉 공간정보와 이동정보를 구분하기 위해여 새로운 정형 기법, 즉 CARDMI (Calculus of Abstract Real-Time Distribution, Mobility and Interaction)를 제안한다. CARDMI에서는 이동체 간의 동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공간 및 상호작용에 관한 연역규칙과 공간 추상화에 기반한 동일성을 정의한다. 특히 이 동일성은 공간적 추상화를 반영한 계층적 동일성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다수의 추상화 단계에서의 동일성을 검증하게 한다. CARDMI는 물리적인 배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배달하는 사이버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 KCI등재

        고시조(古時調)에서의 형상화(形象化)의 추상성(抽象性)과 구상성(具象性)에 대한 연구(硏究)

        양희찬 ( Hee Chan Yang )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39 No.-

        이 논문은 고시조의 형상화에서 찾아볼 수 있는 추상성과 구상성을 해명하는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두 속성은 표현현상으로서의 표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형상화의 방법적 요인으로 心理的 動因 세 가지를 想定하여 형상화의 구상성과 추상성을 설명하였다. 그 세 가지는, 첫째로 작품내용을 다 드러내어 보이려는 표현심리, 둘째로 하나를 보이면서 어떤 다른 것도 연상하게 하려는 표현심리, 셋째로 본뜻을 굴절시켜서 암시하고 함축한 표현을 사용하려는 표현심리이다. 구상성은 첫 번째와 두 번째 요인을 주된 속성으로 사용하고, 추상성은 세 번째 요인을 주된 속성으로 사용한다. 작품 분석 결과로 구상성과 추상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구상성은 일상 언어의 겉뜻에 치중한 설명적 寫實的 직유적 표현이며, 작의를 그대로 드러내거나 다른 사실을 연상할 수 있어도 그 겉뜻을 벗어나지 않은 형상화 성향을 일컬었다. 추상성은 언어의 상징성을 활용하고 본뜻을 굴절시켜서 은유적 상징적으로 미묘하고 교묘하게 표현한 형상화 성향을 일컬었다. 형상화의 이러한 성향만 아니라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작업 수행을 통해서 가능하다. 이 작업은 작품 전체 내용과 문맥 속에서 각 표현들의 의미와, 이 의미들이 표현들 상호간에 작용하는 관계를 동시에 파악하는 것이다. 이 작업은 바로 포괄적이고 총체적으로 형상화 과정과 그 본뜻을 파악하는 작업이다. This study focus on explanation of abstraction and concreteness that can be found in figuration in Old Sijo. These two properties are about a way of expression as phenomenon. Three psychological factors can be supposed as figuration method to explain abstraction and concreteness of figuration. The first one is the mind of description that try to show everything, the second is the mind of description that show the one and the other at the same time, and the third is the mind of description that try to use the implied expression with inflection and suggestion of the original meaning. Concreteness uses the first and the second factor, and abstraction uses the third as main attributes. Concreteness and abstraction are explained through the work`s analysis. Concreteness is a explanatory, realistic and simile expression that set value on outward meaning of everyday language. Therefore, even if it can reveal writer`s intention as it is or remind the image of other thing, it is the tendency of figuration that doesn`t get out of outward meaning. Abstraction is the tendency of figuration that expresses symbolically, metaphorically, delicately and skilfully with utilizing linguistic symbolism, inflecting the original meaning.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Old Sijo exactly, we need perform the operations, such as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each expression in the whole contents and context, and the interactive relations between expressions. They make us grasp the original meaning and the process of figuration comprehensively and totally.

      • In re Bilski 판결 이후 영업방법(BM) 발명에 대한 미국의 특허대상 판단기준의 변화에 대한 연구

        이수미(Lee, Soomee) 세창출판사 2009 창작과 권리 Vol.- No.56

        Since the CAFC's State Street Bank decision in 1998, which had explicitly affirmed for the first time, the unlawfulness of the so-called 'business method exception' to the patent eligible subject matter under Section 101 of the U.S. Patent Act, and the test to apply is the 'useful, concrete, and tangible result' test, it took exactly ten years for the CAFC to reexamine the subject matter eligibility issues for business method inventions. Such action by the CAFC was probably prompted by the pressure from the Supreme Court, which had actively taken up the appeals for several substantive patent decisions of the CAFC since 2006 and overruled all of them. After the Supreme Court had clearly indicated that the next issue it wanted to review was the patent subject matter eligibility under Section 101, In re Bilski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the CAFC to declare the 'sole,' 'definitive,' 'applicable,' 'governing,' and 'proper' test for a process claim, called the 'machineor- transformation' test, and outrightly abrogate all other tests, including the State Street Bank 'useful, concrete, and tangible result' test. Under the Bilski 'machine-or-transformation' test, "a claimed process is surely patent-eligible subject matter under Section 101 if: (1) it is tied to a particular machine or apparatus, or (2) it transforms a particular article into a different state or thing." Only addressing the transformation test, the CAFC elaborated that the distinction that made a process claim patentable or unpatentable under Section 101 was the type of a "particular article," that was being transformed or manipulated through the process claim. In dealing with a case where a particular article is intangible data that represents business relationships and obligations, as in the business method inventions, the Bilski court concluded that transformation of such type of a "particular article" does not pass muster under the Section 101 patent eligible subject matter test. On the other hand, a process claim that manipulates or transforms intangible data representing physical objects or substances, such as bones, organs, or other body tissues, can pass muster under the Section 101 test. Although Bilski reaffirmed State Street Bank's conclusion that there is no "business method exception" for the statutory patent eligible subject matters, the Bilski test has the effect of banning meaningful patent protection for business method claims and invalidating many method patents that had already been issued.

      • KCI등재

        Design of the Scalable Naval Combat System Software using Abstraction and Design Pattern

        Ki-Tae Kwon(권기태),Ki-Pyo Kim(김기표),HwanJun Choi(최환준)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7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calable and reliable combat system software in battleship which was developed procedurally in the past. Recently, combat system software is required to change frequently due to addition of new equipment and change of function. To solve those problems, this paper propose how to change combat system software into scalable software using class structure change and design pattern.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scheme provides better performances and reliability than conventional scheme. Therefore proposed scheme can be efficiently used in Naval combat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