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Learning 환경에서 성인학습자의 2x2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에 관한 연구

        권성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8 No.1

        This research was purposed to investigate adult learners' 2x2 goal orienta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self-regulated learning in e-Learning environments. A survey was conducted to the 153 adult learners who attended cyber graduate school.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 The first, mastery-approach was the most prevailing goal orientation, and the most of factors in self-regulated learning were over the middle score, Specially, the scores of task-value, elaboration, control of efforts were high among those of self-regulated learning. The second, goal type which was high in four goal orientations was the most frequent. The adaptive goal types to self-regulated learning were high in mastery approach and performance approach, and only high in mastery-approach, the other side, unfavorable goal types to self-regulated learning were low in mastery and performance approach, only high in performance-approach. The third, mastery-approach goa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of self-regulated learning except help-seeking, and the most powerful factors to predict self-regulated learning positively. Performance-approach goal was partially related with self-regulated learning, but had no meaningful influences on self-regulated learning except self-efficacy. Mastery-avoidance goal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were not positive predi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Consequently, to the adult learners by comparison with young students in classroom, mastery 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greater influences but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had less influences on self-regulated learning. Also, avoidance goal orientation would be mal-adaptive in self-regulated learning. 이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주된 학습 수단으로 부상된 e-Learning 환경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성취목표지향성은 이론적 변화를 거쳐 2x2체제의 4요인구조가 제시되고 있어 새로운 성취목표지향성 체제 하에서 성인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과의 관련성을 분석해 볼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에서 개발된 자기조절학습과 2x2 성취목표지향성 측정 도구를 기반으로 원격대학원의 30세 이상 성인학습자 153명을 대상으로 e-mail 설문이 실시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인학습자들은 숙달목표지향성이 다른 목표지향성에 비해 월등히 높았으며 자기조절학습 수준도 전반적으로 높았으나 특히 과제가치, 정교화, 노력조절 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4요인 구조에서 가능한 16가지 성취목표유형의 비율은 4개의 성취목표가 모두 높은 복합적 유형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16개의 성취목표지향성 유형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요인별 평균점수를 비교했을 때 숙달과 수행접근이 모두 높은 유형이 가장 유리했고 다음으로 접근 성향 가운데 숙달접근이 높은 유형의 자기조절학습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접근성향이 모두 낮거나 수행접근만 높은 목표유형은 자기조절학습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숙달접근목표는 도움구하기를 제외한 모든 자기조절학습 요인과 정적 관계를 가지고 있었고 자기조절학습을 유의미하게 설명할 수 있는 가장 영향력 있는 목표지향성이었다. 수행접근목표도 일부 자기조절학습 요인과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었으나 이들 요소를 유의미하게 예측할 수 있는 설명 변인으로서의 영향력은 자기효능감을 제외하고는 없었다. 숙달회피와 수행회피는 자기조절학습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거나 일부 요인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우수등재

        교사지지와 학업성취 간 관계에서 자기초월가치와 숙달목표의 역할: 다층구조방정식을 적용한 매개효과 분석

        한수연(Han, Sooyeon),박용한(Park, Yonghan)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1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교사지지, 자기초월가치, 숙달목표, 학업성취(읽기, 수학, 과학)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특히 학생에 대한 교사의 지지와 학생의 학업성취 간 관계에서 자기초월가치와 숙달목표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ISA 2018의 우리나라 고등학교 1학년 자료(150개교, 남: 2,870명, 여: 2,674명)를 활용하였으며, 학교에 학생이 내재된 자료의 위계적 구조를 고려하여 다층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과 학교 수준 모두에서 교사지지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기초월가치와 숙달목표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생 수준에서는 교사지지가 자기초월가치와 숙달목표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정적인 간접효과를, 학교 수준에서는 교사지지가 자기초월가치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정적인 간접효과를 보였다. 둘째, 교사지지는 학생과 학교 수준 모두에서 자기초월가치와 숙달목표에 정적으로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으며, 동시에 교사지지가 자기초월가치를 매개로 숙달목표에 미치는 정적인 간접효과도 유의하였다. 셋째, 학생 및 학교 수준 모두에서 자기초월가치가 학업성취와 숙달목표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숙달목표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가 학생 수준에서는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나 학교 수준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교사지지가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이타적인 자기초월가치와 배움 자체의 즐거움에 초점을 두는 숙달목표가 중요한 역할을 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생의 자기초월가치와 숙달목표의 증진을 위해서는 교사의 따뜻한 지지와 이해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teacher support, self-transcendence value, mastery goal,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a special focus on the roles of self-transcendence value and mastery go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the data on Korean high-school students from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2018 were analyzed using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aking into account students nested within school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t the student as well as the school levels, the direct effects of teacher support on academic achievemen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the indirect effects of teacher support through the self-transcendence value and mastery goal were. Specifically, at the student level, teacher support showed positive indirect effects through the self-transcendence value and mastery goal on academic achievement. At the school level, teacher support showed a positive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only through the self-transcendence value. Second, teacher support had positive direct effects on the self-transcendence value and mastery goal at the student and school levels. At the same time, there were positive indirect effects of teacher support through the self-transcendence value on the mastery goal. Third, the self-transcendence value showed positive direct effects on the mastery goal at the student as well as the school levels. Fourth, the effect of the mastery goal on academic achievement was positively significant at the student level but not at the school level. These results confirm the important roles of the altruistic self-transcendence value and a learning-focused mastery goal in relation to teacher support and student achievement. In addi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eachers’ warm support and care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self-transcendence value and mastery goal.

      • KCI등재

        대학 수업 평가환경에 따른 성취목표의 차이와 유능감과의 관계

        윤미선 한국교육방법학회 2013 교육방법연구 Vol.25 No.1

        이 연구에서는 대학 수업의 평가환경에 따른 성취목표 형성 정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성취목표와 지각된 유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성취목표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질문지를 활용한 개인의 목표성향 연구이든 실험실 상황의 목표조작 연구이든 주로 집단간 차이 비교를 하였으나 이 연구에서는 동일 대상이 각기 다른 평가환경에서 형성하는 목표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대학생 중 숙달중심의 평가환경과 수행중심의 평가환경을 동시에 경험하고 있는 표본이 필요하였고, 이 조건에 충족되는 대상은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과목을 지속적으로 함께 수강하고 있는 학생들이라고 판단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설정한 대학교는 교직과목을 제외한 거의 모든 과목에 대해 상대평가를 실시하고 있었기에 사범대생(일반 교직 이수자 포함)을 연구대상으로 표집 하였다. 총 128(남 38, 여 90)명의 학생들이 온라인 설문에 응답한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 수업에서 숙달목표는 평가환경에 따라 차이가 없으나 수행목표는 접근과 회피 요인 모두 상대평가 환경에서 더욱 높게 형성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상대평가 환경에서는 수행목표의 두 요인만이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지만 절대평가 환경에서는 숙달목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대평가 환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두 요인만의 설명력이 절대평가 환경에서 세 요인 모두의 설명력보다 컸고, 수행회피목표는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모든 환경에서 부적으로 기능하고 있음도 주목할 만한 사실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수업의 맥락적 특성으로서 평가환경과 개인의 동기적 특성으로서 목표성향의 중요성을 논의하고 내재동기 형성에 가장 기본 요인 중에 하나인 유능감 형성에 있어서 성취목표의 영향력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students' achievement goals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chievement goals on competence in mastery or performance oriented evaluation context(or classroom goal structure). It was expected that performance goal would be higher in performance oriented evaluation context and mastery goal would be higher in mastery oriented evaluation context. 128 students's data were collected from a university in Gyeong-gi district and 3 factors perspective(mastery, performance approach, and performance-avoidance) among achievement goal theories was employed. The data were processed with pairer-t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enter method. As was expected, performance goals(both approach and avoidance) were higher in performance evaluation context. But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case of mastery goal. Approach and avoidance performance goals in performance structure and all of 3 factors in mastery one have effects on competence.

      • KCI등재후보

        2 X 2 성취목표성향 관점에 따른 연극영화전공 대학생들의 예술적 능력믿음과의 관계

        홍성희 한국예술교육학회 2009 예술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성취목표 이론과 능력의 자기이론 관점에서 연극영화전공 대학생들의 예술적 능력 믿음과 2×2 성취목표성향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극영화전공 대학생남:55명, 여자: 132명)이 2×2 성취목표지향성 척도와 예술적 능력믿음 검사지에 응답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과 회귀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대학생들의 목표성향은 숙달접근목표와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와 숙달회피목표와는 각각 정적관계로 나타났다. 예술적 능력믿음은 학습과 노력에 의해 증가된 믿음이 수행접근과 숙달접근목표 성향에 정적관계, 예술적 능력이 고정되어 있는 실제믿음은 수 행회피와 숙달회피목표 성향에 정적관계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성취목표 관점에서 연극 영화전공 대학생들의 예술적 능력믿음과 목표성향과의 관계 변수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과제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rama/film majoring performing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arts ability relationships between 2×2 achievement goal perspective. Drama/film majoring performing college students' arts college students 187(55 males, 132 females) responded to 2×2 achievement goal perspectiv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2×2 achievement goal perspective were reported in order of mastery-approach goal, mastery-avoidance goal, performance-approach goal, performance-avoidance goal. mastery-approach goal and performance-approach were predictors, performance-avoidance goal, and mastery-avoidance were predictors. Arts ability were enhanced through learning and effort incremental belief. Incremental belief were mastery-approach goal and performance-approach were predictors. Entity belief were performance-avoidance goal, and mastery-avoidance were predictor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context of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future direction for performing arts students' 2×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arts ability.

      • KCI등재

        교실목표구조와 학업지연 행동의 관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성취목표의 매개 효과

        이선영 ( Lee Sun-young ),봉미미 ( Bong Mimi ),김성일 ( Kim Sung-il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실목표구조,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를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가 지각하는 수학 교과의 숙달목표구조,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행회피목표는 학업지연 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자가 자신이 속한 수학 교실을 숙달목표구조로 강하게 인식하고 수학 교과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학업지연 행동의 발생은 감소할 수 있지만 학습자의 수행회피목표가 높으면 학업지연 행동의 발생은 증가할 수 있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숙달목표구조와 학업지연 행동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매개 효과 검증을 통하여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실목표구조가 학업지연 행동의 발생을 직접 예측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학업지연 행동의 발생을 간접적으로 예측하기도 하는 유의한 경로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습자의 학업지연 행동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교사가 숙달목표구조의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할 수 있는 교수 방법을 적용하여야 한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classroom goal structure,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goal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Participants were 230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South Korea. W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and perform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16.0 and AMOS 18.0 progra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stery goal structure negatively predicted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positively predicted academic self-efficacy and mastery goals. Also, self-efficacy negatively predicted academic procrastination. More specifically, students who are perceiving strong mastery goal structure or endorsing high academic self-efficacy showed less academic procrastination. However, students who are pursuing performance avoidance goals showed greater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evidence supported the mediating role of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mastery goal structur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Mastery goal structure directly and indirectly predicted academic procrastination. Therefore, teachers should construct mastery goal structure and apply appropriate teaching strategies to enhance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classroom.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suggestions for helping students who are suffering from chronic academic procrastination in learning.

      • KCI등재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수준에 따른 학습전략,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태도의 차이

        탁하연(Tak, Ha-Yeon),조규판(Cho, Gyu-P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수준에 따른 학습전략,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태도의 차이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대학생 288명의 응답을 SPS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성취목표지향성을 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총점에 근거하여 중앙값을 기준으로 상위 50%는 ‘상’ 수준, 하위 50%는 ‘하’ 수준으로 범주화하였다. 또한,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하위요인 수준에 따른 학습전략,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목표지향성 수준에 따른 학습전략은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준에 따른 학습전략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수행회피 수준에 따른 학습전략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성취목표지향성 수준에 따른 학업적 정서조절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성취목표지향성 수준에 따른 학습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취목표지향성을 성취목표지향성 수준에 따른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의 차이를 검증하였다는 점, 성취목표지향성의 접근과 회피 성향이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낸다는 것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learning strategies, academic emotion regulation, and learning attitudes according to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university students. A total of 288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classified into mastery approach goal, mastery avoidance goal, performance approach goal,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Each classification was divided into low and high level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between the levels of each classific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levels of mastery approach goal, mastery avoidance goal,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levels of performance avoidance goa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emotion regulation according to level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attitudes according to level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ur results are considered meaningful for identify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domain, as well a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pproach and avoidance orientation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 KCI등재후보

        2×2 성취목표성향 관점에 따른 연극영화전공 대학생들의 예술적 능력믿음과의 관계

        홍성희 ( Sung Hee Ho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09 예술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성취목표 이론과 능력의 자기이론 관점에서 연극영화전공 대학생들의 예술적 능력믿음과 2×2 성취목표성향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극영화전공 대학생남: 55명, 여자: 132명)이 2×2 성취목표지향성 척도와 예술적 능력믿음 검사지에 응답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대학생들의 목표성향은 숙달접근목표와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와 숙달회피목표와는 각각 정적관계로 나타났다. 예술적 능력믿음은 학습과 노력에 의해 증가된 믿음이 수행접근과 숙달접근목표 성향에 정적관계, 예술적 능력이 고정되어 있는 실제믿음은 수행회피와 숙달회피목표 성향에 정적관계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성취목표 관점에서 연극영화전공 대학생들의 예술적 능력믿음과 목표성향과의 관계 변수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과제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rama/film majoring performing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arts ability relationships between 2×2 achievement goal perspective. Drama/film majoring performing college students` arts college students 187(55 males, 132 females) responded to 2×2 achievement goal perspectiv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2×2 achievement goal perspective were reported in order of mastery-approach goal, mastery-avoidance goal, performance-approach goal, performance-avoidance goal. mastery-approach goal and performance-approach were predictors, performance-avoidance goal, and mastery-avoidance were predictors. Arts ability were enhanced through learning and effort incremental belief. Incremental belief were mastery-approach goal and performance-approach were predictors. Entity belief were performance-avoidance goal, and mastery-avoidance were predictor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context of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future direction for performing arts students` 2×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arts ability.

      • KCI등재후보

        배드민턴 선수의 완벽주의와 성취목표 성향에 관한 관계탐색

        장덕선(Duk Sun Chang),황지만(Ji Man Hwang),이인화(In Wha Lee) 한국체육교육학회 201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배드민턴 선수들의 완벽주의 성향과 2×2 성취목표성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학 및 실업팀에서 배드민턴 선수로 활동하고 있는 선수로 남자선수 127명, 여자선수 93명 총 220명이다. 소속과 성별에 따른 완벽주의와 성취목표성향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완벽주의의 자기패배, 정리, 타인기대 요인은 소속집단 간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라서는 개인기준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성취목표성향은 숙달회피 목표에서 고교와 대학 간, 수행회피 목표에서는 대학과 실업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스포츠 완벽주의가 숙달접근 목표에 미치는 영향은 고교팀은 부모기대, 대학팀은 조직화, 개인기준, 정리 요인으로 나타났다. 숙달회피 목표는 고교팀은 조직화와 개인기준이 예측하였으며, 대학팀은 타인기대, 실업팀은 개인 기준이 유의하게 기여하였다. 소속별 수행접근 목표에 미치는 완벽주의는 고교팀은 개인기준과 자기패배, 대학팀은 조직화와 타인기대가, 실업팀은 개인기준, 자기패배, 조직화와 타인기대로 나타났다. 성별 완벽주의 요인과 숙달접근 목표결과에서 남자는 부모기대요인, 조직화 요인이 숙달접근 목표에 영향을 끼쳤다. 여자는 부모기대, 실패염려 그리고 정리요인이 숙달접근 목표에 영향을 끼쳤다. 완벽주의 요인과 숙달회피 목표 간의 관계는 남자는 실패염려가 여자는 타인기대가 숙달회피 목표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벽주의 요인과 수행접근 목표에서 남자는 부모기대와 정리요인이 여자는 조직화요인이 수행접근 목표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벽주의 요인과 수행회피 목표에서 남자는 타인기대와 개인기준이 여자는 실패염려가 중요하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2x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badminton players.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220 high school, college, and professional players (M=127, F=93).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by group and sex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also conducted to see if perfectionism by group and sex affecte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on fear of failure, arrangement, and others` expectation. Post hoc analysis showed that in the fear of failure there were group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 and professional teams or between college and professional teams and in the arrangemen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and between high school and professional teams. But perfectionism by sex was significantly different on personal standard. The results of spor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by groups show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teams on mastery-avoidance goals and between college and professional teams on performance-avoidance goals. The results of spor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by sex show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n all four goal orientations. Among perfectionism factors, parents` expectation contributed to mastery-approach goals in high school teams, and three factors(organization, personal standard, and arrangement) affected significantly mastery-approach goals in college teams. Organization and personal standard factors in high school team, others` expectation in college team, and personal standard in professional team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mastery-avoidance goals. Two factors (personal standard, fear of failure) in high school team, two factors (organization, others` expectation) in college team, and four factors (personal standard, fear of failure, organization, others` expectation) in professional team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performance-approach goals. Two factors (parents` expectation, organization) for men and three factors (parents` expectation, fear of failure, arrangement) for women affected their mastery-approach goals. Fear of failure factor for men and others` expectation for women significantly affected mastery-avoidance goals. Two factors (parents` expectation and arrangement) for men and organization factor for women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performance-approach goals. Others` expectation and personal standard for men and fear of failure for women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performance-avoidance goals.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교직 인식론적 신념과 성취목표지향이 교육학성적에 미치는 영향

        이명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1 敎員敎育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mastery approach goal, mastery avoidance goal, performance approach goal, performance avoidance goal), teaching profession epistemological beliefs, and achievement of preservice teachers of D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A total 445 senio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author used an 40-item questionnaire to measur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48-item questionnaire to measure 2X6 teaching profession epistemological beliefs-knowledge nature (certainty/structure), knowledge acquisition(knowing source/knowing justifying), learning behavior (learning ability/learning process). Also included was a trial test of pedagogical knowledge as a dependent measure which is based on an actual elementary teacher licence exam. Correlation and path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ing profession epistemological beliefs had affected to pedagogical knowledge with small indirect effect of achievement goals.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의 교직 인식론적 신념과 성취목표지향(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이 교육학 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선행연구들과 달리 2X6 요인구조(박병기⋅채선영, 2006)에 근거한 교직 인식론적 신념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D 교육대학교 4학년 학생 44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 연구의 주요 측정 변인들 간의 관계 모형을 설정하고 상관관계, 적합도 및 경로분석을 하였다.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의 교직 인식론적 신념은 숙달접근과 수행접근 지향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숙달회피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수행회피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리고 성취 변인인 교육학 성적은 세련된 교직 인식론적 신념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상관 자료와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성취목표지향성을 매개변인으로 한 경로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교육학 점수에 영향 미치는 교직 인식론적 신념의 경로에서 매개효과가 크지는 않지만 성취목표 지향성에 대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한 논의를 하였다.

      • KCI등재

        부모 성취압력과 자녀의 성취목표에 대한 메타분석

        강문비,이우걸,송주연 한국교육심리학회 2023 敎育心理硏究 Vol.37 No.2

        In Korea, where the enthusiasm for education is high, parents’ attitude regarding thei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ir achievement goal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these relationships by conducting a meta-analysis of the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perceived by the children and the achievement goals theirof. Accordingly, related studies conducted in Korea were systematically selected, and 29 studies (12,959 subjects) were analyzed. Consequently, the relationships were significantly moderat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achievement goals and the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First,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was more correlated with performance goals than mastery goals. Performance-approach goals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s showed a similar level of positive correlations with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However, when the appearance/normative distiction was considered,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showed a higher correlation with normative performance-approach goals than with appearance performance-approach goals. Next, it was established that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moderated the relationships of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with mastery goals and with performance-avoidance goals. Mastery goals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achievement-oriented achievement pressure, while performance-avoidance goals were highly related to controlled and over-expected achievement pressure. Educational Impact and Implicat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nature of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can differently influence on children’s achievement goals. When parents’ achievement expectations and cares are exhibited in an excessively high or controlled manner, their children can have high performance goals and subsequently show maladaptive motivation to lear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how it is appropriate to express parents’ expectations and cares for their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