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생성을 고려한 소유집중도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패널데이터를 이용한 정적 및 동적 분석

        임형주 ( Hyoung Joo Lim ),최종서 ( Jong Seo Choi ) 한국회계학회 2013 회계학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소유집중도(ownership concentration)가 이익조정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지배주주 이익의 극대화가 만연한 우리나라의 경영환경 속에서 소유권이 집중된 기업일수록 발생액 및 실물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에 보다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경향이 있는지를 검증한다. 소유구조와 이익조정의 관련성은 많은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다루어 온 분야이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단일 이익조정 측정치에 의존하고, 합동 데이터(pooled data)를 이용한 회귀분석에 주로 의존하여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모형설정 오류, 제한된 데이터 및 분석방법, 내생성 통제의 실패 등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점을 지녀 왔다. 본 연구에서는, 횡단면 또는 시계열 데이터에 비해 더 많은 정보와 변수의 확장된 변동성을 확보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통계적 효율성이 제고된 추정량을 얻을 수 있는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업의 소유집중도와 이익조정의 관계를 재검증한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11년간 268개 기업의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적(static) 및 동적(dynamic)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주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유집중도가 이익조정행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분의 집중도와 일부 이익조정측정치 사이에 유의적인 양(+)의 관련성이 관찰되었으나 이러한 결과가 일관된 것은 아니었다. 즉 지분이 집중되어 있는 소유자 기업들이 이익을 침해하는 경향이 있다고 해석하기에 충분한 실증적 증거는 관찰되지 않았다. 특히 잠재적 이분산과 내생성을 통제하는 계량분석 기법을 적용할 경우 소유집중도와 이익조정 간의 통계적 관련성은 현저히 저하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외국인 투자자와 기관투자자의 지분율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역시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러 선행연구의 결과와는 일치하지 않으며 기업의 지배구조와 이익조정의 실증적 관련성을 검증함에 있어서는 내생성의 통제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에서 이를 간과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룹총수와 그 친인척을 중심에 두는 지배구조가 보편화된 우리나라의 기업 환경에서 지배주주와 소액주주 사이의 이해상충을 반영하는 이익조정의 수준이 실제로 경영자의 소유집중도와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를 검토하는 것은 기업의 지배구조와 관련된 규제당국의 정책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고 국내 기업의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방향 모색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투자자를 비롯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소유집중도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도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동일한 표본자료에 대해 계량적 분석기법을 달리 적용함에 따라 검정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임으로써 특히 내생성 문제를 비롯한 연구방법론 상의 잡음요인을 지닌 기업지배구조 관련문헌에 대해서도 검정력이 향상된 분석방법을 차용하여 결과의 강건성을 확보하는 것이 연구의 내적, 외적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중요할 수 있음을 환기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 firm`s corporate governance practices have an effect on the quality of its publicly released financial information. In particular,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wnership concentration and the extent of corporate earnings management as measured by abnormal accruals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activities. There is a long-standing debate on the effect of ownership concentration on earnings management in existing archival research. Our study has a distinctive feature since the Korean ownership structure is characterized by the dominance of one largest shareholder and his/her family members who generally participate in the management of the firm. The largest shareholders and specially related persons are highly likely to influence most of important corporate decisions whether directly or indirectly and thus ownership may be indifferent from management. Our study examines two conflicting hypotheses based on two conflicting theories: 1) the convergence of interest hypothesis (based on stewardship theory) and 2) the expropriation of minority shareholders hypothesis (based on agency theory). Agency theory suggests that the interests of opportunistic, self-interested agents conflict with those of principals whereas stewardship theory suggests instead that agents` interests will be aligned with firm interests and thus be more intrinsically motivated than predicted by agency theory. Since ownership is not generally separated from management in South Korea, we focus on agency relationships between controlling shareholders and minority shareholders rather than those between ownership and management. Under the convergence of interest hypothesis, agency costs between controlling shareholders and minority shareholders should be reduced which in turn reduce controlling shareholders` opportunistic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 expropriation of minority shareholders hypothesis suggests that controlling shareholders may infringe on minority shareholders` right in their favor, by influencing managers to engage in earnings management. Although many of previous studies attempted to find true relationship between ownership concentration and earnings management considering two conflicting hypotheses, the results are still inconclusive. Empirical corporate accounting research, which attempts to explain the causes and effects of financial decision, often has serious issues with endogeneity. This is because it is generally difficult to find exogenous factors or natural experiments with which to identify the relations being examined. Despite previous literatures have reported mixed results, many of these papers suffer from model mis-specification, limited data and failure to control for endogeneity issues since their results are based on the normal OLS regression using pooled data which often ignores potential heterogeneity originating from unobservable factors. Noticeable gap in the literature is the inability of authors to control for firm heterogeneity, dynamic effects and also other factors such as firm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we examine static and dynamic panel data analysis of the effect of ownership concentration on earnings management, econometrically considering possible endogeneity issues caused by unobservable heterogeneity. To address the relation between ownership concentration and earnings management, we borrow from an extensive previous literature to justify that our main variables are plausible proxies for earnings management. We specifically partition earnings management into two aspects: accrual based earnings management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We further use two measures of abnormal accruals; 1) the modified Jones model suggested by Dechow et al.(1995) and 2) the performance-adjusted modified Jones model suggested by Kothari et al.(2005) and real activities manipulation measure suggested by Roychowdhury(2006). Meanwhile, the percentage of ownership allocated to the largest shareholder and specially related shareholders is used as a proxy variable for ownership concentration. We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ownership concentration and earnings management using random effect, fixed effect and the dynamic effect method for a panel of 2,984 firm-year observations over a period from 2000 to 2010. We also provide results from the pooled OLS and the between model regression for comparison purposes. The results suggest how serious econometrical bias may be when ignoring those potential endogeneity issues. Our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wnership concentration overall exhibited positive sign(+) on earnings management activities from the fixed effect model in consideration of auto correlation, albeit strongly consistent evidence was not found since overall coefficients were either insignificant or marginally significant. The results are, in general, consistent with those obtained from dynamic effect model and other additional panel data analysis. Second, the effect of foreigners and institutional shareholders on earnings management was not significant. We illustrate why other commonly used estimators that ignore the endogeneity issues and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ownership concentration and past firm history might be biased. The environment where ownership is highly concentrated (on average) is one of the distinctive features of Korean capital market. We expect to provide valuable insight into true association between ownership concentration and earnings management through a well-developed panel data analysis.

      • KCI등재

        소유지분율에 따른 경영자의 차별적인 이익조정행태

        한정희,문상혁 한국경영교육학회 2012 경영교육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wnership structure and earnings management. To verify behaviors of earnings management based on ownership structure, Non-linear relationship analytical model is used. To estimate the measurement values of earnings management, real activities earnings management by Roychowdhury(2006) model is used. The empirical findings by 3,263 Listed firms on Korea Stock Exchange market(2002∼2007) not included on banking business and Dec. closing, are as bellows. The followings are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study. First, as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assumed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managerial ownership and real activities earnings management, the ownership does not seem to affect the real activities earnings management of the managerial ownership. Second, as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assumed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managerial ownership and real activities earnings manage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 activities earnings management and managerial ownership is found to be in the cubic form of "increase - decrease - increase." The two turning point are 21.92 percent and 62.84 percent, respectively. At a lower level of ownership(below 21.92%),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 activities earnings management and managerial ownership is positive. On the other hand, when real activities earnings management and managerial ownership is between 21.92 percent and 62.84 percent,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 activities earnings management and managerial ownership becomes negative. When managerial ownership and further increases and reaches too high a level(beyond 62.84%),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 activities earnings management and managerial ownership becomes positive again. These results may be of interest to policy makers, standard setters, academic researchers, and investors. 본 연구는 소유지분율에 따른 경영자의 차별적인 이익조정행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소유지분율에 따라 경영자의 차별적인 이익조정행태가 나타나는지 최근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제활동 이익조정을 통해 소유지분율에 따른 경영자의 차별적인 이익조정행태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영자지분율과 실제활동 이익조정은 경영자지분율이 21.92%이하 구간에서는 이익조정이 증가, 21.92%이상 62.85%이하에 속하는 중간구간에서는 이익조정이 감소, 경영자지분율이 62.85% 이상에 속하는 상위구간에서는 다시 이익조정이 증가하는 증가-감소-증가의 형태를 보임으로써 실제활동 이익조정의 정도는 경영자지분율에 따라 차별적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경영자지분율이 하위구간에 속하는 경우에는 경영자보상, 자본시장유인 등으로 인하여 보고이익을 조정할 유인이 존재하므로 실제활동 이익조정이 적극적으로 이용된다. 반면 경영자지분율이 중간구간에 속하는 경우 경영자는 기업의 실질가치훼손을 가져오는 실제활동 이익조정의 이용에 소극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경영자지분율이 상위구간에 속하는 경우 경영자에게 과다한 재량권이 주어지기 때문에 경영자의 사적이익을 추구하는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것이므로 기업의 실질가치를 훼손시킴에도 불구하고 실제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정책당국에서 재량발생을 통한 이익조정 뿐만 아니라 실제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의 적발과 감시를 위해서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정책 수립 시에도 이를 반영하여 실질적인 경영활동을 변경하여 이익을 조정하는 방법을 적발할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규제의 보완 등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경영자지분율과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 간의 상관관계분석

        김종대 ( Jong Dae Kim ),조문기 ( Mun Kee Cho ) 한국회계학회 2007 회계학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경영자지분율과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 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이전연구와는 달리 지분율의 구간을 나누고 각 구간에서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이 다를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1999년부터 2004년 간의 2,463 기업/년에 대해서 Ohlson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분율과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을 고찰할 때 지분율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구간을 나누고 구간별로 서로 다른 관계를 가정하여 모형을 설정하면 모형의 설명력이 증가한다. 둘째, 지분율 10%와 24%를 기준으로 하여 세 개의 구간으로 구분하는 경우 모형의 설명력이 가장 크다. 셋째, 이익과 순자산의 가치관련성은 지분율구간에 따라 차이가 있다. 즉, 지분율 10%∼24%에서 이익과 순자산의 가치관련성이 10% 이하와 24% 이상에서의 그것보다 작다. 넷째, 재벌과 비재벌그룹으로 표본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비재벌그룹에서와는 달리 재벌그룹에 있어서는 구간별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 between management ownership and value-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Some prior studies argue that managers of low management ownership firms provide less useful accounting information because they have greater incentives to manage accounting numbers using their discretion to maximize their own wealth rather than firm values. They borrow their reasoning from Jensen and Meckling(1976). On the other hand, others argue that managers of high management ownership firms provide less useful accounting information due to entrenchment effect. They argue that managers of high management ownership with effective controlling power have less motivation to align themselves with value-maximizing decisions. These two conflicting arguments brought about many empirical studies the results of which still remain mixed. This paper focuses on the agency relationship between large and minority shareholders. Management ownership is defined as the sum of the largest shareholder`s ownership and that of special interest group. Coupled with entrenchment effects agency relationship proposes hypothesis that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is different for differing levels of management ownership.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is measured by the explanatory power and magnitude of coefficients of Ohlson model. Samples consist of 2,463 firm-years that are listed in the Korean Stock Change or KOSDAQ for 1999-2004. Since how many break points we have and where they are throughout the management ownership levels are empirical question, we employ a grid search approach to explore the break points that produce the greatest explanatory power. With some constraints our search ends up with two break points, 10% and 24% which secure the largest explanatory power. Thus, we have three different intervals based on the management ownership; section1: management ownership 10% or lower; section2: between 10% and 24%; section3: 24% or higher.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Ohlson model`s explanatory power increases when taking into consideration varying relationship between value-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and management ownership. Specifically, when we add interaction terms representing three different sections in the model, adjusted R2 increases significantly. When we classify samples into three groups with the criteria of 10% and 24%, we have the greatest explanatory power. That is, of thousands of possible schemes of classification 10% & 24% classification scheme shows the largest adjusted R2. The results also show that value-relevance of earnings(book value) measured by the coefficients of earnings(book value) in the Ohlson model is lowest for section2. In other words, accounting information of firms with management ownership between 10% and 24% turns out to be the least value-relevant. This finding supports our hypothesis that managers with ownership somewhere in the middle reveal opportunistic behavior taking advantage of minority stockholders. Additional analysis reveals that above results are driven by non-Chaebol group firms. We did not find high-low-high pattern of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ifferent management ownership levels for Chaebol firms. One possible explanation is that our measure of ownership is not appropriate for Chaebol group firms which have complicated ownership structure entangled by cross-ownership between affiliates. Comparison of discretionary accruals also supports that managers of high management ownership firms(section3) manage earnings to less degree than those of low management ownership firms(section3).

      • 경영자지분율과 기업효율성의 상관관계 연구

        조문경(Moon-Kyung Cho),정주렴(Ju Ryum Chung),이호영(Ho Young Lee) 한국회계정보학회 2016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6 No.1

        본 연구에서는 경영자지분율에 따라 기업효율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본다. 경영자지분율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경영자 안주 가설과 이해일치가설이 대립되고 있는데, 국내외 연구는 일치된 결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 효율성 측정치를 사용하여 경영자지분율이 경영자의 기업 활동에 미치는 관계를 직접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경영자지분율이 높아질수록 기업효율성이 증가함을 발견하여 이해일치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외국인투자자 및 기관투자자가 경영자지분율과 기업효율성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는데, 경영자지분율과 기업효율성간의 양의 관계를 강화함을 보여 경영자의 잠재적인 안주 행동을 외국인투자자 및 기관투자자가 적절히 통제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경영자지분율과 기업가치간의 비선형관계를 제시한 선행 연구에 따라 비선형을 가정하여 검토한 결과, N자 형태의 관계를 보여 경영자지분율이 낮은 구간에서는 경영자지분율과 기업효율성이 양의 관계를 보이고, 중간 구간에서는 음의 관계를 보이다가 그 이상이 되면 다시 양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영자지분율이 아주 낮거나 아주 높은 구간에서는 이해일치가설이 지지되지만, 그 중간인 경우에는 경영자안주가설이 지지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경영자지분율에 따른 기업효율성에 미치는 경영자의 행동에 대한 이해를 보다 확대시켜줄 것이다. 경영자지분율에 대한 이론에 따르면 경영자지분율은 경영자가 기업 자원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결정함으로써 기업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기존 연구들은 이러한 경영자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측정하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는 Demerjian et al.(2012)이 제시한 기업 자원 투입 대비 효익을 분석함으로써 경영효율성을 보다 직접적으로 측정하였으며, 또한 외국인 및 기관투자자 지분율이 이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복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그 공헌점이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management ownership and Firm Efficiency. We fi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management ownership and firm efficiency. In accordance with the convergence of interests hypothesis, the result supports that firm efficiency increases when management ownership increases. Further, this study presents that other corporate governance factors, such as foreign investor ownership and institutional investor ownership generally strengthen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management ownership and firm efficiency. This is because both foreign investors and institutional investors render effective monitoring over management. Additionally, we test if there is a significant non-monotonic association between management ownership and firm efficiency following the prior literature which suggest non linear relationship (Morck et al. 1988; Short and Keasey 1999; Gotti et al. 2012; Kim and Kim 2007). The results suggest that firm efficiency increases when management ownership is low or high, while it decreases when management ownership falls in the middle. We find that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management ownership and firm efficiency is weakened when a firm belongs to chaebol (Korean business group), and find no evidence that the relationship differs by the market (KOSPI vs KOSDAQ). This study extends existing literature on managerial behaviors given the issues arising from the separation of ownership and control. Management ownership influence managers decision-making process on allocating firm resources, which ultimately impact firm performance, yet no prior literature directly measured firm efficiency. Using Demerjian et al. (2012) s framework on measuring direct input and output and using Himmelburg et al. (1999) s model to control endogeneity issue of management ownership, this study attempts to address the association between management ownership and firm efficiency. In addi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current literature by combining the influence of foreign ownership and institutional investors in the association between management ownership and firm efficiency

      • KCI등재

        대심도법(안)과 집합건물법의 관계에 관한 소고*

        박광동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21 집합건물법학 Vol.40 No.-

        Recently, in Korea, the lack of infrastructure due to overcrowding in large cities has become a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Deep Underground Space project for transportation facilities is being promoted in earnest. In relation to the deep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the government is pushing for legislation. And the National Assembly currently has a legislative bill for Deep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pending. The following is a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ep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and ownership. First, if a special law is enacted in relation to Deep Underground Space, Article 211 of the Civil Act can be the basis for asserting the possibility of limiting the use and profit of the owner's ownership. Second, in the Act on Ownership And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s, there is no separate regulation on legitimate interests regarding the scope of ownership, but rather on common interests. These common interests are related to the obligations to the division owner and management group. In other words, in principle, Article 212 of the Civil Act is based on the scope of ownership, except where there is a separate provision in the Act on Ownership And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s. A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 on Deep Underground Space(Draft) and the Act on Ownership and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s is as follows. First, the Act on Deep Underground Space(Draft) is a special law 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an exception law, a disposition law, and a management law. The Act on Ownership And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s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s property law, the group law, the consumer law, and the management law. In other words, in the name of the law, it is stipulated in the Act on Deep Underground Space(Draft) as a special law and the Act on Ownership And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s as the management law. Second, the Act on Deep Underground Space(Draft) does not recognize compensation for loss.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analyze whether the depth of the depth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legitimate interests of the landowner with the possibility of the owner's control. In addition, utmost care should be taken to ensure that the ownership of landowners is not infringed. Considering these points, it is reasonable to recognize the loss compensation. The same applies to owners under the Act on Ownership And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s. Third, the Act on Deep Underground Space(Draft) does not recognize the right to subdivision. However, in order to acquire a legitimate title for restricting the ownership of land owners in large-scale underground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eparate superficial right. The same applies to owners under the Act on Ownership And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s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대도시의 과밀현상으로 인한 기반시설의 부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통시설에대한 대심도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대심도 지하개발과관련하여 정부에서는 입법을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 국회에는 대심도 지하개발에 대한 입법안이 계류 중이다. 대심도 지하개발과소유권의 관계에 대한 설정과 관련하여 검토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심도와 관련하여 특별법이 제정되는 경우에, 민법 제211조가 소유권자의 소유권의 내용 중 사용, 수익에 대한 제한 가능성을주장할 수 있는 근거 규정이 될 수 있다. 둘째, 집합건물법에서는소유권의 범위에 관한 정당한 이익에 대한 규정이 별도로 존재하지는 않고, 공동의 이익에 대한 규정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공동의이익은 구분소유자 및 관리단 등에 대한 의무와 관련한 사항이다. 즉, 집합건물법에 별도의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소유권의 범위와 관련하여서는 원칙적으로 민법 제212조에 근거한다. 대심도법(안)과 집합건물법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심도법(안)은 특별법으로서 예외법, 목적법 및 관리법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집합건물법은 국민의 재산법, 단체법, 소비자법, 관리법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즉, 법률명에서 특별법으로서의 대심도법(안)과 관리법으로서의 집합건물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둘째, 대심도법(안)에서는 손실보상을 인정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서는 대심도의 깊이가 소유자의 지배가능성이 있는 토지소유자의 정당한 이익의 범주에 속하는 지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토지소유자의 소유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최대한의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보면, 손실보상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러한 사항은 집합건물법상의 소유자에게도동일하다. 셋째, 대심도법(안)에서는 구분지상권을 인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대심도 지하개발에서 토지소유자의 소유권의 제한을 위한정당한 권원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구분지상권 설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항은 집합건물법상의 소유자에게도 동일하다.

      • KCI등재

        공동주택 관리주체에 관한 소고

        이춘원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16 집합건물법학 Vol.17 No.-

        Management of collective housing is regulated dualistically by the Housing Act and the Act on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Aggregate Building. The Act on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Aggregate Building, starting off from the concept of sectional ownership, is a law introducing the right of management based on ownership. On the other hand, the Housing Act is a public regulation defining items regarding management of collective housing constructed on the approval of business plans. Whereas a managing group or a custodian is in charge of managing aggregate buildings in the Act on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Aggregate Building, the Housing Act manages collective housing through self-government by the Council of Occupants’ Representatives or through consigned administration. The management rules of the Act on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Aggregate Building is based on private autonomy, and has no limits in its application range as all partitioned ownership buildings are subject to the Act. However, the Housing Act defines obligatory management on collective housing larger than a certain scale, and aims for the promotion of national housing conditions through efficient management of collective housing. While management based on the Council of Occupants’ Representatives is practically and actively carried out in the Housing act as obligatory management is introduced on collective housing larger than a specific size, the managing group based on the Act on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Aggregate Buildings has in effect no activities except cases of reconstruction. This is a comparative study analyzing the managing system of the Act on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Aggregate Buildings and the Housing Act, focusing on the legal nature of the principal managing agent of collective housing. 공동주택의 관리는 주택법과 집합건물법에서 이원적으로 규율하고 있다. 집합건물법은 구분소유에서, 출발하여 관리도 소유권에 기초한 관리를 상정한 것이다. 반면에 주택법은 사업계획승인을 받아 건설된 공동주택의 관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것으로, 공법적인 규율이다. 집합건물법에서는 관리단이나 관리인이 집합건물의 관리를 담당하는데 반하여, 주택법은 공동주택의 관리를 입주자대표회의를 통하여 자치관리 또는 위탁관리를 하고 있다. 집합건물법의 관리규정은 구분소유건물이면 모두 그 적용대상으로 적용범위에 제한이 없으며, 사적자치에 기반을 두고 있다. 반면에 주택법에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공동주택에 대해서 의무적 관리를 규정하고 있고, 공동주택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한 국민의 주거수준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주택법에서는 일정한 규모 이상의 공동주택에 의무적 관리를 도입함에 따라 입주자대표회의에 의한 관리가 현실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짐에 반하여, 집합건물법상의 관리단은 재건축을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활동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집합건물법과 주택법에서의 공동주택 관리 주체에 관한 법적 성질을 중심으로 그 관리체계를 비교한 것이다.

      • KCI우수등재

        Ownership Structure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in Nigeria : The Moderating Effect of Risk Management Committee

        ( Ahmad Haruna Abubakar ),( Noorhayati Mansor ),( Norhayati Abdullah ) 한국회계학회 2021 會計學硏究 Vol.46 No.6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existence of a separate risk management committee can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wnership structure (managerial, institutional, and foreign) on real earnings management. The data are obtained from 360 firm-year observations for five years (2015-2019). Panel Corrected Standard Error i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studied. The findings show that the existence of risk management committee along with managerial ownership are likely to prevent managers from engaging in real earnings management. Additionally, despite the positive effect of institutional ownership and foreign ownership on real earnings management, the presence of risk management committee can influence institutional and foreign investors with short-term investment motives and exercise efficient monitoring and reduce the frequency of manipulating. The result give understanding to investors, regulators, and financial analyst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risk management committee on the ownership structure (managerial, institutional, and foreign) would strengthen the corporate board monitoring and deter management from engaging in perpetual unethical practice such as earnings management

      • KCI등재

        코스닥 등록 및 공개 기업의 경영자지분과 이익조정

        백상미,양대천,김진배 한국회계정보학회 2011 회계정보연구 Vol.29 No.3

        This study examines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managerial ownership and the earnings management induced by manager's opportunistic behavior in the KOSDAQ market. Furthermore, it investigates increasing linear relationship between high density interval of the managerial ownership and the earnings management in the IPO(initial public offering) market. The two hypotheses, such as the convergence of interest hypothesis and the entrenchment hypothesis, have been in confrontation with each other in relation to the association between managerial ownership and managers' opportunistic behavior. By the way, Morck et al.(1998) showed empirically that high managerial ownership induced high opportunistic behavior in the intermediate interval of managerial ownership, and, inversely, increasing managerial ownership weakened opportunistic behavior in very high or very low interval of managerial ownership. After that, Teshima and Shuto(2008) suggests the theoretical model, which explains non-linear association between the managerial ownership and the earnings management caused by manager's opportunistic behavior. The model emphasizes that managers' opportunistic behavior is weakened if managers' ownership increases sufficiently because managers' high ownership diminish the risk of dismissal and the failure of renewal. First, we aim to investigate whether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managerial ownership and the earnings management exists in domestic capital markets. After that, we examine that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managerial ownership and the earnings management appears in pre-IPO period, when the motive of opportunistic behavior of ownership managers might be strengthened.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shows that there is "reversed-U” shape relation between the managerial ownership and the discretionary accrual being proxy for managers' opportunistic behavior. Second, it shows the increasing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managerial ownership and the earnings management in pre-IPO period as high density of ownership induces high value of discretionary accrual.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accounting literature by providing eclectic evidence on the convergence of interest hypothesis and the entrenchment hypothesis in domestic capital market. Furthermore, it provides the evidence that the entrenchment hypothesis is in operation in IPO market in which managers can pursue the opportunistic behavior easily. In other words, it suggests an empirical evidence that ownership managers can take advantage of IPO to seek private interest in KOSAQ market. 본 연구는 우선 1999년부터 2007년까지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경영자지분과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행동 유인에 의한 이익조정간의 비선형관계를 검증한다. 이후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행동이 강화되는 기업공개시장을 대상으로 경영자지분과 이익조정간에 관계가 높은 지분율 구간에서 이익조정이 증가하는 선형관계가 됨을 검증한다. 경영자지분과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행동간의 관계에 있어서 이해일치가설과 안주주의가설이 대립되어왔는데, Morck et al.(1998) 등의 연구에 의하면, 경영자지분율이 높지도 낮지도 않은 중간구간에서 경영자지분이 높아질수록 기회주의적 행동이 증가하고, 지분율이 높거나 낮은 구간에서 기회주의적 행동이 약화됨을 보였다. 이후 Teshima and Shuto(2008)은 경영자지분과 기회주의적 행동에 의한 이익조정간의 비선형적인 형태를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동 모형에서는 경영자지분이 충분히 늘어나면 경영자는 해고나 재계약 실패의 위험이 줄어들기 때문에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행동이 약화된다는 주장을 하게 된다. 본 연구는 국내 자본시장에서도 경영자지분과 이익조정간에 비선형관계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함과 동시에 Teshima and Shuto(2008)의 연구에서 나아가 소유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행동유인이 역으로 강화되는 기업공개시장을 상정하여 기업공개이전에는 경영자지분과 이익조정간에 선형관계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첫째, 코스닥 기업의 경우 경영자지분과 재량적발생액과의 관계는 비선형형태로 나타나 경영자지분이 증가할수록 재량적발생액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스닥 신규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경영자지분과 재량적발생액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기업공개 이전에는 경영자지분이 높은 구간에서도 재량적 발생액이 증가하고 있어 경영자지분과 재량적 발생액과는 선형관계가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주주와 경영자의 대리인 문제와 관련한 대립가설을 국내 자본시장을 통해 고찰한 결과, 양 가설이 절충적으로 적용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함과 동시에 기업공개 시장이라는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행동 추구가 용이한 시장에서는 안주주의가설이 적용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차별성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코스닥 시장에서 지분을 소유한 경영자가 기업공개를 사적이익 추구의 방편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추가적 증거를 선행연구와 다른 방법으로 제시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코스닥의 기업공개시장의 경영자지분과 관련된 이익조정실태를 분석함으로써 감독기관의 적절한 규제와 감시를 유도하고 관련 이해관계자들이 관련 회계정보를 이용하고 판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본다.

      • KCI등재

        대주주 및 외국인 주주의 이익조정과 대형 감사인의 역할

        박종일,전규안,최종학,박찬웅 한국회계정보학회 2009 회계정보연구 Vol.27 No.1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largest shareholders' and foreign investors' ownership and the magnitude of the earnings management by firms and the role of high-quality auditors in restricting the earnings management.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which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ownership structure and earnings management, but no prior studies investigated the role of auditors in influencing the relation. Because high-quality auditors restrict earnings management and force conservative accounting choices, it is expected that the income-increasing earnings management decrease and income-decreasing earnings management increase or remain unchanged for the client firms of high-quality auditors, compared with the clients of low-quality auditors. We use 2,757 firm-year observations from listed firms in Korean stock exchange, collected for 2000-2005 period, and empirically test these predictions. The degree of earnings management is measured by discretionary accruals. Specifically, we use modified Jones model (Dechow et al. 1995) and performance-adjusted Jones model (Kothari et al. 2005) to measure the discretionary accruals empirically.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gnitude of earnings management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th largest shareholders' and foreign investors' ownership. As the ownership percentage increases, the level of earnings management increases. Second, we perform tests after separating full sample into income-increasing earnings management subsample and income-decreasing earnings management subsample. In general, the ownership is significantly related to income-increasing earnings management only, but not with income-decreasing earnings management. Third, when we examine the role of high-quality auditors, we find that the high-quality auditors restrict the income-increasing earnings management and promote income-decreasing earnings management. Specifically, as largest shareholders' ownership increases, income-increasing earnings management decreases for the client firms of high-quality auditors (so called Big 4 auditors). In addition, as foreign ownership increases, income-decreasing earnings management decreases for the client firms of low-quality auditors. For the client firms of high-quality auditors, there exists no association between foreign ownership and the level of income-decreasing earnings management, suggesting that the high-quality auditors promote the conservative income-decreasing earnings management. The findings in this study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regulators, academics, as well as practitioners. 선행연구들은 기업의 대주주 지분율과 외국인주주 지분율, 그리고 기업의 이익조정 수준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형 감사인이 이러한 지분율과 관련된 기업의 이익조정 수준을 감소시키는지를 검증하였다. 대형 감사인은 보다 엄격한 기준에서 보수적인 감사를 실시하기 때문에, 기업이 이익을 증가시키는 이익조정을 하려고 할 경우 이를 억제하고, 그 반대로 기업이 이익을 감소시키는 이익조정을 하려고 하는 경우는 이를 촉진시키거나 용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 사용된 표본은 2000년부터 2005년 사이의 기간 동안 자료가 이용이 가능한 2,757개 기업-연도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이익조정 수준은 대주주 지분율과 외국인주주 지분율 모두와 유의적인 양(+)의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이익을 증가시키는 방향과 이익을 감소시키는 이익조정으로 이익조정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분석하여 본 결과, 대주주나 외국인주주 지분율 모두 이익을 증가시키는 방향의 이익조정과만 유의적인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즉 대주주 지분이나 외국인주주 지분이 증가할수록 기업들은 이익을 증가시키는 방향의 이익조정을 증가시키지만 이익을 감소시키는 방향의 이익조정 수준은 지분율에 따른 차이가 없다는 발견이다. 셋째, 대형 감사인이 감사한 기업의 경우는 이러한 이익조정 행태가 억제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예를 들어, 대형 감사인이 감사한 기업들은 대주주 지분이 증가하는 경우 이익을 증가시키는 방향의 이익조정 수준이 증가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외국인주주 지분율이 증가한다고 하더라도 이익을 감소하는 방향의 이익조정 수준이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소형 감사인이 감사한 경우는 외국인 주주 지분율이 증가하면 이익을 감소하는 방향의 이익조정 정도가 줄어드는 것이 발견되었다.

      • KCI등재

        집합건물의 공용부분 관리소유에 관한 연구

        김형식(Kim, Hyeong Sik),성주한(Sung, Joo Han),박필(Park, Pil) 한국부동산학회 2017 不動産學報 Vol.69 No.-

        집합건물의 공용부분을 성질에 따라 분류하면 복도, 계단 등과 같이 성질상 당연히 공용부분으로 될 수밖에 없는 성질상⋅구조상 공용부분(법정공용부분)은 공동의 응접실이나 관리실과 같이 독립된 전유부분 또는 일반건물이 될 수 있다. 구분소유자들이 규약이나 공정증서로 공용부분으로 정한 규약상 공용부분(약정공용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또한 전체공용부분과 일부공용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공용부분에 따르는 문제점을 살펴본 후 적절한 개선방안으로 집합건물의 공용부분에 관리소유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게 되면 문제점은 해결될 것으로 본다. 일본의 경우에는 관리조합에서 구분건물을 관리하고 있고 구분소유법에서 관리주체인 관리조합에서 구분건물을 관리하고 있으 며 더 나아가 관리조합법인을 시행하는 사례가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집합건물 관리의 단체인 관리단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관리단을 법인으로 하는 제도를 도입하여 체계화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 제도가 도입되어 시행된다면 집합건물의 공용부분 관리가 효율적으로 운영될 것으로 보고 있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nagement problems of the common area in aggregate buildings. And it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through the interpretation theory of the present law and the rational legislative theory. (2) RESEARCH METHOD This course aims to study the method of collecting and analyzing documents related to the common area of the aggregate buildings, such as books, papers, precedents, etc., in civil law, aggregate buildings law, real estate registration law, and housing law. (3) RESEARCH FINDINGS Above all, the incorporation of the management team is necessary not only for the common area of the aggregate buildings but also for the maintenance of the management ownership system for the subsidiary facilities and site management. The management ownership system is expected to be able to manage the efficiency of the management of the aggregate buildings as the system that the common area of the divisional owner is owned by the management team for management purposes. 2. RESULTS Since the portion excluding the section of exclusive ownership is classified as a common area, the ownership of the common area is owned by the owner of the division, and the management fee is collected by the owner of the management fee at the share ratio of the section of exclusive ownership. Therefore, since the management team collects the management fee, the management team is the manager of the common area and not the owner of the common area. There is a problem of ownership.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management ownership system is introduced to manage the common area in all the aggregate buildings. In addition to the safety, above all, if a building is destroyed due to the loss of the building or reconstruction, it should be disposed of by resolution of the management team regardless of the change of the division ow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