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제7차 지방의원선거분석과 지방선거제도의 개혁방안

        최봉기(Choi Bong-Ki),이동수(Lee Tong-Soo) 한국지방자치학회 2003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15 No.2

        The 7th Korean Local Election of June 13. 2002 caused a lots of problems. but few scholars or researchers brought these electoral problems to academic plaza for intensive discussion or problem solving purpose.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aimed at an analysis the problems generated during the 7th korean local election. Nevertheless, this research was to great extent forced to narrow and limit the scope and object, because they were so wide in terms of scope and so diverse with its object : concentrating on the process and output of election for local councilor. Major election problems found in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ⅰ) The lowest voting rate. ⅱ) Excessive intervention of political parties on local election process. ⅲ) Distorted election campaigns concentrated on candidates for local chief executive positions. ⅳ) Increasing number of the return without voting. ⅴ) Serious ineffectiveness in candidate nomination system of the political parties. ⅵ) poor qualifications and academic backgrounds of local councilo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or the central government in order to improve and innovate local election system in Korea. ⅰ) Separation local councilor election from existing local election system ⅱ) Change a existing small electoral districts to medium and large ones. ⅲ) Abolition to candidate nomination system of political parties and restrictions on party intervention in local electoral processes. ⅳ) Adoption of incentive system and candidate screening system in local election to attract qualified candidates. ⅴ) Introduction of complete public management system on local election and adoption of approval voting system i. e., pros and cons, incase of single candidates. ⅵ) Introduction of viable supporting system to increase the number of woman councilors.

      • KCI등재

        지방선거에서의 재·보궐 선거제도 개선방안

        황성기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법학논총 Vol.36 No.1

        This study suggests ways to minimize the social costs of re-by-elections and to improve the electoral system to reduce the number of re-election and by-elections, after examining the constitutional meaning of the re-by-election system and revie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by-elections and representative democracy, voting rights of voters, candidates' election rights, local government system, in order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re-by-election system in local elec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approaching the question of how to improve the re-by-election system in local elections from a constitutional point of view, it will come to the question of whether to consider comprehensively the constitutional demand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voting rights of voters, candidates' election rights, local government system. Second, the first thing to consider as a way to minimize the social costs of re-by-elections and to improve the electoral system to reduce the incidence of re-election and by-elections is to reduce the reasons for the re-by-election. Third, if it is not appropriate to reduce the reasons for the re-by-election, it may be considered to abolish the re-election and by-election. If it is not appropriate to abolish re-by-elections in national elections, such as in parliamentary elections, it may be possible to consider abolishing re-by-elections only in local elections. Fourth, as the costs in the local elections are spent entirely by local governments in the region, the cost of the re-by-election campaigns exacerbates poor local financ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onsider ways to impose election cost on cause providers and political parties for re-by-election. Fifth, in order to resolve the phenomenon of local politics being subordinated to central politics and to maintain the trust of the local people to the local governor or local councilor elected in the local elections, at least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prohibiting a candidate from running for a parliamentary election in the office of a local governor or a member of a local council. In addition, the prohibition of running for a parliamentary election in the office of a local governor or a member of a local council is considered to be able to obtain constitutional legitimacy. 이 연구는 지방선거에서의 재․보궐 선거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재․보궐 선거의 헌법적 의미를 탐구하고, 재․보궐 선거와 대의제 민주주의, 선거권자의 선거권, 후보자의 피선거권, 지방자치제도와의 관계를 검토한 뒤, 마지막으로 지방선거에서의 재․보궐 선거제도의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몇 가지 제시하고 관련 헌법적 쟁점을 검토하고 있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선거에서의 재․보궐 선거제도 개선방안의 문제를 헌법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경우에는, 대의제 민주주의, 선거권자의 선거권, 후보자의 피선거권, 지방자치제도의 헌법적 보장이라는 제반 헌법적 요청들을 어떻게 종합적으로 고려할 것인가의 문제로 귀결되게 된다. 둘째, 재․보궐 선거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과 재․보궐 선거 발생 자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선거제도 개선방안으로 가장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는 방안은 재․보궐 선거 실시 사유 등 실시 요건을 강화하는 방안이다. 셋째, 재․보궐 선거 실시 사유를 축소하는 방안이 적절하지 못하다고 한다면, 재․보궐 선거 자체를 폐지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만약 국회의원선거와 같이 전국선거에서 재․보궐 선거를 폐지하는 것이 적절하지 못하다고 한다면, 지방선거에서만은 재․보궐 선거를 폐지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넷째, 지방선거에서의 재․보궐 선거비용은 전적으로 해당 지역의 지방자치단체가 모두 지출하고 있어서, 이러한 재․보궐 선거비용은 열악한 지방재정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재․보궐 선거 원인제공자 및 정당에 대해서 선거비용을 부과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지방정치가 중앙정치에 종속되는 현상을 해소하며, 지방선거에서 선출된 지방자치단체장이나 지방의회의원에 대한 지역 주민의 신뢰를 유지한다는 점에서, 최소한 지방자치단체장 또는 지방의회의원의 재직 중 실시되는 국회의원선거에 출마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장 또는 지방의회의원의 재직 중 국회의원선거 출마 금지는 헌법적 정당성을 획득할 수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지방선거와 국회의원선거에서 유권자들은다른 이유로 투표하는가?: 동원과 시민성의 선거 간 차별적 효과에 대한 연구

        김석호 ( Seokho Kim ),한수진 ( Soo Jin Han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5 조사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한국 유권자의 선거참여 과정에 대한 설명이 전국단위 선거와 지방선거에서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을 바탕으로 한다. 그 차이를 드러내는 요인으로서의 동원(mobilization)과 시민성(civic duty)이 투표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을 지방선거와 전국단위 선거인 국회의원 선거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검증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지방선거와 국회의원선거에 대하여 동원의 영향력이 차별적으로 존재하는지 살펴보고 두 선거에서 드러난 동원의 영향력이 시민성에 의해 어느 정도 조절되는지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가 수집한 2014년 지방선거 유권자 조사자료와 2012 국회의원선거 유권자 조사자료를 동일한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선거와 국회의원선거 모두에서 유권자가 다양한 사람 또는 집단으로부터 특정후보에 대한 지지요청을 받을수록 선거에 참여할 확률이 높아진다. 둘째, 지방선거에서는 ‘후보자 및 선거운동원’으로부터의 후보지지요청을 받은 유권자가 선거에 참여할 확률이 높아지는 반면, 국회의원선거에서는 ‘가족과 친척’으로부터 요청을 받은 유권자가 선거에 참여할 확률이 높아진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동원의 선거참여에 대한 효과가 두 선거에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동원과 시민성이 선거참여에 대해 갖는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지방선거의 경우 시민성의 수준이 높은 집단에 비해 낮은 집단에서 동원이 미치는 영향력이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국회의원선거의 경우 동원이 선거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은 시민성에 의해 조절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선거에서의 동원은 지방선거와 국회의원선거 모두에서 선거참여를 높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가지지만 지방선거에서는 그 효과가 시민성의 수준에 따라 변하는 반면, 국회의원선거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존재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권자의 선거참여 과정이 선거유형에 관계없이 일정할 것이라는 설명에 의문을 제기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으며, 지방선거와 국회의원선거의 투표를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이론적 자원을 가지고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제한적으로나마 밝혔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Since data on voting behavior firstly were collected in the early 1990s, there has been enormous increase in the number of empirical studies on this issue in social science, especially in political science in Korea. After local elections were adopted to elect governors, mayors, and local council members in 1995, furthermore, the empirical approach became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political attitudes and behaviors in Korean elections.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tend to employ the same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national and local elections. Unfortunately, social scientists in Korea have few explanations for how people differently vote between national and local elections. Despite the same voter responds differently to presidential election and local election, for instance, little is known about how local elections are different from national elections. This study attempts to reveal the systematic differences in voting turnout and vote choice between the national election for national assembly and local election in Korea, focusing on the effects of mobilization, civic duty, and their interaction. Whether mobilization has differential impact on vote turnout between the 2014 local election and the 2012 election for national assembly, and how this effects var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civility are examined in this study. This study also verifies how the mobilization effect is moderated by civic duty depending on the different types of ele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oters who are exposed to mobilization are more likely to vote in both elections. Second, the mobilization by candidates or political activists is most influential to vote turnout in the local election, while the mobilization by family members or relatives is most salient in the national election. Third, the effect of mobilization is significantly varied by the level of civic duty in local election, whereas it is not in the national election.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mobilization and civic duty on vote turnout is found in the 2012 election for national assembly.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determinants of vote turnout in the national election differ from the ones in the local election, thereby emphasizing the necessity to establish the differential framework to explain political attitudes and behaviors between different types of elections in general.

      • KCI등재

        6·13 지방선거 변화의 분석과 과제:강원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박기관 대한지방자치학회 2019 한국지방자치연구 Vol.21 No.1

        So far, seven local elections have focused on a nationwide election analysis. Local elections are about the realization of local autonomy by voters selecting representatives to form local governments. Local elections are a key factor affecting the representation and operation of local governmen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orientation of certain local votes based on regional specificity. This study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June 4 local elections and the June 13 local elections in Gangwon Province. And I presented the problems and challenges that appeared in the elec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Gangwon Province brought about a new political landscape with a weak base for a particular political party. The features of this election are as follows: the highest voter turnout of all elections. And it brought about a drop in voter turnout in people in their 20s and 30s, a repeat of Cities are low and rural is a high voting phenomenon. regional under representations and a generational shift in regional representatives. It also sees the form of a one-party exclusive local government. In particular,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local councils and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are cohabitation systems of other parties. The complex structure gives many implications for future local politics in Gangwon Province and local elections in South Korea.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lection, the following tasks were presented: They include supplementing the election system, diversifying the self-governing class, overcoming regional and institutional conflicts, resolving the wide-area issue of local governments, controlling functions of local councils, strengthening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and expanding participation of women's politics. 본 연구는 지금까지 7차례의 지방선거 결과의 논의가 주로 특정 시기에 실시된 전국적 투표행태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지방선거는 유권자가 대표자를 선출하여 지방정부를 구성함으로써 지방자치를 제대로 구현하는데 있다. 그렇다면 지역적 특수성에 기반 한 특정 지역선거의 결과에 나타나고 있는 투표의 정향성을 분석해 보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따라 강원도의 6·4지방선거와 6·13지방선거의 결과에 기초한 투표과정 및 투표결과의 정당별 분석뿐만 아니라 주민의 대표성을 파악하기 위한 단체장과 지방의원의 배경적 특성을 비교분석 후, 그 드러난 문제의 함의와 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분석결과, 지금까지 정당의 기반이 미약한 강원도는 중앙정치 영향 속에 반복적 투표행태를 보이면서 새로운 정치지형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역대 선거 중 투표율이 가장 높은 가운데, 20대-30대의 투표율 하락, 도저촌고의 재현, 지역의 과소대표 현실, 지역대표자들의 세대교체를 비롯해 1당 독점적 지방정부 형태를 보이고 있다. 특히 단체장과 지방의회 그리고 국회의원간의 서로 다른 소속정당의 동거체제로 구성된 복잡한 구도는 향후 강원도 지방정치와 한국 지방선거에 시사점을 주기에 충분하다. 아울러 선거결과를 기초로 선거제 보완 및 자치계층의 다양화, 도내 지역간 및 기관간 갈등 극복, 지방정부의 광역문제 해결, 지방의회의 통제기능, 정보공개 강화 및 여성정치의 참여 확대 등에 대한 과제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지방분권과 지방선거구 획정 - 영국 지방선거구 획정 사례를 중심으로-

        명성준 ( Sung-jun Myung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9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3 No.4

        지방자치를 위한 노력으로서 지방분권은 지방자치단체 대표자의 선출과정에 의해 크게 의존한다. 우리나라의 지방선거제도는 1991년 재개된 이후 몇 차례 변화를 통해 지금의 모습을 가져왔다. 지방선거제도가 지역의 대표성을 높이고 원활하게 작동하기 위해서인 보충성, 자율성, 책임성의 3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지방자치의 선진국으로 지칭되는 영국의 지방선거제도와 지방선거구 획정제도에 대한 조사를 통해 진행되었다. 매 지방선거가 진행되기 전 영국의 지방자치단체들은 자신의 선거구획정위원회인 Local Government Boundary Commission을 구성하고, 전문가에 의한 객관적 조사를 통해 지난 선거에서 문제가 되었던 선거구의 문제를 해결한다. 영국의 선거구 획정위원회는 중앙정부에 독립적으로 움직이며 제도적인 면과 운영적인 면 모두에서 자율성과 책임성을 가지고 결정을 내린다. 특히 선거가 시작되기 오랜 시간 전에 선거구 재획정 작업을 시작하고 전문가 분석과 지역주민의 의견수렴을 통해 새로운 선거구에 대한 합의를 찾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우리나라 역시 주민의견수렴, 전문가분석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시간을 갖고 선거구 획정 및 재획정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As an effort for local autonomy, decentralization is highly dependent on the election process of local government representatives. Since the country's local election system was resumed in 1991, it has been changed in several times. The local election system should focus on three factors: supplementality, autonomy, and accountability in order to enhance the representation and smooth operation of the reg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of the UK's local election system and the local election district delimitation system, which is called an advanced country of local government. Before each local election, British municipalities form their own Local Government Boundary Commission, an objective investigation by expert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electoral districts that were problematic in the last election. The electoral commission of the United Kingdom operates independently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makes decisions with autonomy and accountability in both institutional and operational terms. In particular, they are beginning to re-determine the districts long before the elections begin, and are seeking consensus on new districts through expert analysis and community input.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for Korea to take sufficient time to collect opinions and analyze experts, and to carry out voting and re-determination procedures.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선거비용에 관한 연구

        이동기(李同基) 한국지방자치학회 2012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und expenses burden of local government in local election. To assess the contents of local government finance burden on local election, I have examined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previous scholars have studied the impact of public funding on corruption. Scholars maintain that replacing private cost with public money would most effectively reduce potentially corrupting influence from interested money. Also, existing literatures notice that candidates decide strategically to receive election cost. But existing literatures have not studied the impact of local government budget burden on local election. This study discusses pitfall associated with local budget burden that can lead local government to accept unrealistic budget inputs. National budget helps local agencies use budgets wisely in achieving the local election. Moreover, having a realistic support of election costs makes for effective local government budget structure, and it increase the probability of a local election’s success. In conclusion, this paper presented current difficulties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local government budget burden on local election. Some suggestions to improve better research will be followed.

      • KCI등재

        한국의 지방선거개선방안

        장용근(Chang, Young Keun)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10 世界憲法硏究 Vol.16 No.2

        이 글에서 지방선거를 포함한 일반적 한국선거전반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논의가 필요하다. 선거는 국민주권주의가 실현되는 과정이며, 그 과정이 적정하지 않으면 그 선거에 의하여 획득되어진 권력은 끊임없는 정당성의 위기에 처하 게 된다. 우리 헌정사를 보아도 선거과정에 중대한 하자가 있는 경우, 그것은 심한 경우 권력의 붕괴로 이어지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국민주권의 원리에 기초한 민주정치가 실효적으로 기능을 하기 위하여는 국민의 표현의 자유가 일상적으로 보장되어야 하는 것이 불가결하지만 특히 선거의 장에 있어서 국민의 자유롭고 주체적인 선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표현의 자유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는 것이 요구된다. 선거의 공정을 이유로 선거운동을 제한하고 있는데 여기서 선거의 공정성의 정확한 의미를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이는 자유.공정의 두 이념은 목적이 아닌 진정한 결국 선거의 공정성은 선거운동의 규제의 중요한 근거가 되는 것이기에 결국 선거운동의 규제입법의 방법과도 직결되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하지만 공정성이 반드시 국가의 개입을 전제로만 한 제한적 의미이외에 시민의 감시의 통제하의 방안을 포함하는 것도 공정성확보의 중요한 방안이라고 생각이 든다. 또한 특히 국가의 개입이 오히려 공정성의 이념에 반하는 정부실패에 대해서도 검토의 필요가 있고 미국의 국가개입의 최대한 자제하는 것도 이러한 공정성을 위한 것이라는 것도 생각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우리의 선거운동기간제한은 정치신인들에게 기회균등을 박탈하는 제도이기에 개정의 필요성이 있다. 즉 공정이라는 이름하에 진정으로 기회균등을 주는 것인지에 대해서 검토의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미국은 우리나 일본처럼 선거의 공정을 국가의 사전적 개입을 중심으로 검토하는 것과는 달리 선거의 자유를 보장하여 오히려 선거의 공정을 기하는 형태로 발전된 국가로서 향후 우리의 선거법개정의 중요한 밑거름이 될 수 있다. 시장이 실패시 정부개입이 행해지고 정부가 실패시에는 규제완화내지는 시장중심주의로 다시 돌아간다는 상황적 측면에서 보면 추구하는 이상은 같으나 현실적 토대가 달라 대응수단이 다를 뿐이라고 본다. 향후 우리사회가 더 성숙하여 진다면 그리고 앞으로의 국민들의 정치적 경험을 더 늘려서 민주주의를 성숙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규제보다는 자유를 보장하되 미국의 자유로운 선거가 일정부분의 정치자금의 기부한도와 투명한 집행 그리고 국민의 알 권리에 증진하듯이 선거를 통해서 국민에 의하여 심판받게 하고 기존의 사법체계를 통해서 흑색선전을 처벌을 엄격히 하여 가는 것이 더 훌륭한 대표자를 뽑고 우리 민주주의를 한층 더 성숙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져본다. 또한 직접민주주의의 확대와 검찰선거제, 정당의 당내경선제 등의 주민참여를 확대시키는 방향으로의 지방선거개혁이 필요하다고 보인다. I came to write this thesis thinking our present address of democracy and how to reform local election compaign containing central election compaign. First I referred to measure to reform local election compaign containing central election compaign. In Korea, going through many elections, punishing of persons who violated election clauses are under controversy. We have election clause which regulates freedom of election in many sides for equality and fairness of election. Freedom of expression in election compaign, must be protected only for right of Information. So exceptionally, government must punish person who spreads false fact openly and overspends much more money than maximum standard. In USA election clause, equality and fairness of election can be attained through freedom of election. Our election clause and USA election clause are not contradictory, because Our democracy is a little immature and USA democracy is relatively mature. But Our election clause must be reformed like USA election clause because Our democracy can be developed. second I referred to measure to reform local election compaign distinct from central election compaign. Unlike central governance, local governance is simple, and so can be decided by Direct Democracy. Election of the local prosecution, and local election compaign verification through townshipmeeting, must be settled in korea to develope democracy. Through all these efforts, we can replace formal Sovereignty with substantial Sovereignty.

      • KCI등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관련한공직선거법 상의 몇 가지 쟁점

        김래영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논총 Vol.42 No.3

        This paper deals with some issues on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withreference to the 7th Local Election which was taken place on June 13, 2018. First, according to the current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Article 59, anycandidate, political party, elector can do election campaign only through internet orSNS on election day. So off-line election campaign on the election day is illegal. Bythe way, since the introduction of advance polling in 2014, there is a conflict of lawin that one can do off-line election campaign on the advance polling day. Thatmeans the above-said restrictive clause does not have any effect to the advancepolling elector(approximately 1/3 of the entire elector).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election and the political party. ① There isno reason sticking to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ve in local election in light of thecurrent political practices. Not only almost one person is elected each district, butalso the elector can’t access to the political parties’ roll of candidates which result innot representing for the all classes. Professional politician or partisan have a goodreason to occupy the upper position. ② Major political parties shall be preferentiallygiven nationally unified marks by the Act §150(4). This is way too far from thevery nature of local autonomy and strengthen the subordination to the central politics. Third, 89 candidates in total has been walkover elected in this local election. Butthere are some problems in the application of the election walkover under the PublicOfficial Election Act. ① the applicable range of the Act. There are no explicitclauses in the election of Proportional Representative National Assembly Membersand Proportional Representative Local Council Members(§189, §190-2). There are nomutatis mutandis application stipulations to the last two elections. So, walkover decision on Elected Proportional Representative Local Council Members of ElectionCommission is a violation of the Act, and unconstitutional. An elector may file aelection lawsuit. ② Second, the Act explicitly prescribes restriction on electioncampaign is applied to where a candidate resigns or dies or his/her registrationbecomes invalidated, after the registration of candidates is closed, so that the numberof the candidates of the constituency becomes short of the fixed number of themembers to be elected in the constituency and the voting is not held(§275). So, thisclause is not applied to another election walkover case where the candidates do notexceed the fixed number of the council members to be elected in the relevantconstituency at the time when the candidate registration is closed. 이 글은 지난 2018. 6. 13.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전후하여 제기된 많은 헌법적 혹은 선거법적인 논쟁에 대하여 필자 나름대로 정리하여 본것이다. 첫째, 현행 공직선거법 제59조에 의하면 선거일에는 문자메시지나 인터넷,SNS 등 온라인상으로 선거운동을 할 수 있으나, 오프라인 상으로는 선거운동을 할 수 없다. 그러나 2014년 도입된 제도인 사전투표를 하는 유권자들에게는 선거일임에도 불구하고 오프라인상의 선거운동이 허용된다. 특히 지난 대선과 이번 지방선거의 경우 투표자 중 3분의 1은 사전투표를 하였다. 그렇다면 투표자 3분의 1에 대하여는 선거일에의 오프라인상의 선거운동금지조항은 선거의 공정이나 유권자의 올바른 판단에 이바지한다는 공익보호에 아무런 효과가 없는 규정이 된다. 이는 과잉금지원칙 중 법익의 균형성 원칙에 반하여위헌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둘째, 지방선거와 정당의 관계이다. 여기서는 우선 지방의회의원선거에서비례대표제를 인정할 실익이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선거의 번잡함과 유권자의 무관심, 특정 지역에서는 특정 정당만 공천하는 경향보다 우월한 이익이라할 수 없다. 현 정치상황에서는 비례대표제의 존치문제를 진지하게 고민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지방선거에서도 중앙정치의 결과인 국회 내 의석수를 기준으로 전국적으로 통일된 기호를 부여하는 것이 정당 보호 차원을 넘어 정당에게 특혜를 주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든다. 특정 지역구에서 후보자를 공천하지 않는 정당의 번호를 그대로 두어 타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자가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거대 정당의 독과점 체제를 지방정치에도 그대로 구현하고자 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이는 정치권의 야합에 불과하다. 무소속 후보자나 국회 내 의석이 없는 정당의 경우 선거운동의 자유와 평등권 침해의 문제가 발생한다. 셋째, 무투표당선의 문제이다. 무투표 당선의 경우, 선거운동이 제한되고 선거관리위원회에서도 선거공보도 발송하지 않고, 선거벽보도 게시하지 않는다. 유권자들은 누가 입후보하여 당선되었는지 전혀 모른다. 후보자의 입장에서도유권자들에게 자신을 알릴 수도 없다. 선거공영제를 취하고 있는 현행 제도상당선이 확정되었는데도 국민의 세금을 이용한 선거운동을 허용하는 것은 낭비라고 하여 무투표당선의 경우 선거운동 제한에 찬성하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공직선거법 제275조는 후보자 등록 후 사퇴, 사망, 등록무효된 경우에 무투표당선된 때만을 규정하고 있어 후보자 등록시부터 정수미달로 무투표당선된 경우에는 그 적용이 없다. 따라서 후발적 사유로 의원 정수에 미달된 때에만 선거운동 제한⋅중지 규정이 적용된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유권자의 알권리나 후보자 혹은 무투표당선(예정)자의 선거운동의 자유는 여전히보호되어야 하므로 이를 침해하는 선거운동 제한⋅중지 규정은 위헌이라고 하여야 한다.

      • KCI등재

        지방선거 정당공천제의 한계와 과제 - 지방의회의 활성화를 중심으로 -

        육동일 한국지방자치학회 2006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18 No.1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new local election system by seeking solutions for more effective and democratic public nomination of the political party of local councilor. The success of local autonomy depends on the right local elections. However, the elections executed during the 1950s and four times local elections executed since local autonomy system has been reimplemented were not proper, owing to political party's lacking willingness for clean election, distorted public nomination system, and immature citizenship so far. Under the revised new election law passed by Nation Assembly unilaterally, not only the local councils but local autonomy will be subordinated to political parties which can't be seen still the democratic parties.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ublic nomination of political party of basic-level local councilors should be excluded in 2006 local election in the last way at least. In the long run, the exsiting simultaneous local election must be separated in two different days, and that public nomination of political party should be eliminated in basic-level local elections while public nomination of political party can be permitted in wide-level local elections.

      • KCI등재

        제6회 지방선거 후보자 제공 정보와 홍보전략에 대한 고찰

        조희정(Hee-jung Cho),류석진(Seok-Jin Lew),전시홍(Si-hong Jeon),박정우(Jung Woo Park),임선우(Sun-woo Lim) 한국정당학회 2014 한국정당학회보 Vol.13 No.3

        이 글은 2014년 제6회 지방선거 서울시 의회의원선거 후보자 998명의 선거공보 내용 분석을 통해 선거공보에 나타난 디자인·이미지·공약·현안·채널의 특징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후보자들은 추상적이고 감성적인 슬로건, 정당보다는 인물 자질에 대한 호소를 주로 담았으며, 세 과시보다 주민 친화성을 강조한 반면, 정당명 반복에 있어서는 거대 정당보다 군소정당인 통합진보당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공약의 경우, 유권자의 실생활과 밀접한 교통, 안전, 복지시설 등 사회문화 분야의 공약을 강조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난 반면, 세월호 사건과 같은 해당 시기의 사회 현안을 직접적으로 강조하는 비율은 높지 않았으며, 젊은 후보일수록 온라인 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비율이 높다는 특징을 보였다. 또한 무선 채널보다는 유선 채널을 제시한 후보자가 많았다. 회귀분석을 통해 각 부문 간 관계 혹은 당락과의 관계를 보아도, 사회 현안보다 지역 현안을 강조하거나 인물 자질을 강조한 후보가, 보다 많은 공약을 제시하면서도 감성적 호소를 강조하는 후보가 높은 당선 확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관심도 측면에서 유권자와 후보자간 비대칭성이 특히 강한 후보자 주도의 지방의회의원선거에서 후보자가 제시하는 선거정보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선거 결과만으로는 정확하게 이해하기 어려운 선거 공급자(후보자)의 해당 선거에 대한 인식과 전략을 파악하고 그들이 형성하는 선거 문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전략성·집약성·직접성·정보성·공약성을 특징으로 하는 선거공보라는 선거인쇄미디어의 특성과, 이를 주요 홍보 수단으로 활용하는 지방의회의원 후보자들의 홍보 전략에 관한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The aim of this work is to analyze the design, image, public commitments, pending issues, and PR channels of the 998 Seoul Metro City council candidates’ official leaflets for the 6th local election. By focusing on the features of the candidates’ leaflets for the local election in Korea, which little attention and interest has been paid to and taken in on the academic field, we could catch on what information the candidates intend to deliver to the voters and on how the contents of the leaflets as printed media are composed, and thus could understand what kind of information and PR strategies are selected through the only media actually allowed to the candidates on the local election in Korea.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 candidates of the 6th local election in Seoul did selected rather abstract and emotional than specific and rational slogans and did not emphasized on their party or their close relationships with famous politicians or social celebrities but on their own personal characters or the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residents in the election district. The repetitive references to their party were most found in the cases of the United Progressive Party candidates.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lection result and each specific feature of the leaflets or among the latter shows that the candidates who emphasized local issues than national, who presented more commitments, or who appealed to emotion than reason were more likely to be elected. Recognizing and understanding such features of the local election leaflet and its information as above could help catch on the candidates’ perceptions and strategies and on the election culture they make: the election leaflet is a medium with limited pages(maximum 8 pages allowed) and limited form(printed); moreover, it is actually the only medium to be delivered to almost all the voters and to introduce to the voters the candidate who cannot meet all the voters face to face during the local election campaign in Korea. So it features strategy, integration, substantivity, informativeness, and publicness. What is more, it is quite important to study the(supply-side) part of the local election in Korea including leaflets as PR media in that the local election candidates(supply-side in election), in Korea, are generally regarded as much more interested and knowledgable than voters(demand-side in election) in the el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