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사적 리스크 관리 하에서의 법률리스크 및 이사회 중심의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송일두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홍익법학 Vol.20 No.1

        Risk management is the daily business process since risk is essentially inherent to management activities. With the enforcement of global financial regulation named Basel Convention and developments of standardized management solution such as COSO’s framework, risk management is of great importance. Traditionally, market risk and credit risk, one of the financial risk, were major concerns. However, operation risk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after serious financial incidents due to the computerized business and complicated commodity trade with the advancement of IT technologies. It seems that few studies on legal risk have been conducted since risk management is not the main concern of the legal community. Definitions of legal risk are various because there is no separate laws and regulations aiming to manage legal risk. Considering the characters of legal risk, it is difficult to make clear definition. For the common use to non financial institutions, legal risk could be defined as ‘Losses mainly caused by contract issues,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laws, trial⋅judgment, reconciliation⋅mediation⋅arbitration’.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unify the viewpoints of risk between the legal department and the risk managing team while respecting their own ways to work. Early in the operations, it could be a good way to manage the one or two important legal risk within the framework of enterprise risk management. Although the CEO is the last person in charge of enterprise risk management, the management system is centered on the Board of Directors. The Board of Directors is essentially a permanent body with the authority to make decisions about the performance of all the Company's operations, making it the best institution to maintain an integrated view across the enterprise and to effectively manage the enterprise. In addition, since the enterprise risk management system includes management checks and monitoring functions centered on the Board of directors, it can also be expected to activate the functions of the Board of Directors in the course of operation. 리스크란 기업의 경영활동에 본질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것이므로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활동도 업무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그런데 바젤 협약이라는 글로벌 금융규제가 시행되고 COSO의 프레임워크와 같은 표준화된 관리방법론이 개발되면서 리스크 관리가 비중있게 다루어지기 시작하였다. 또한 전통적으로는 재무리스크의 일종인 시장리스크와 신용리스크가 시장의 주된 관심사였는데, IT기술의 발전으로 업무가 전산화되고 거래상품이 복잡해지는 과정에서 대형 금융사고가 발생하면서 운영리스크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법률리스크는 운영리스크의 하나인데 리스크 관리는 법조계에서 주된 관심분야가 아니었기 때문에 법률리스크에 대한 연구도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법률리스크의 규율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별도의 법률이나 규정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법률리스크에 대한 정의는 다양한다. 법률리스크의 특성상 명확한 개념정의에 어려움이 있지만 ‘계약상의 제문제, 법규의 해석 및 적용, 소송⋅심판, 화해⋅조정⋅중재 등을 주요한 원인으로 하는 손실’이란 의미로 법률리스크를 정의한다면 비금융기관까지 폭넓게 통용될 수 있는 개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법률리스크를 관리하는 과정에서는 기존 업무방식을 존중하면서 법무부서와 리스크 전담부서 간 관점을 통일시키는 시간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운영초반에는 법률리스크 중 한두 개의 중요한 리스크만을 전사적 리스크 관리체계의 틀 안에서 관리하는 것도 좋은 접근방식으로 보인다. 전사적 리스크 관리의 최종적인 책임자는 최고경영자이지만 관리체계는 이사회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이사회는 기본적으로 회사의 모든 업무집행에 관하여 의사결정을 할 권한을 갖는 필요상설기관으로서 전사적으로 통합된 관점을 견지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활동을 할 수 있는 최적의 기관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사적 리스크 관리체계는 이사회를 중심으로 한 경영견제와 감시기능을 포함하므로 운영과정에서 이사회 기능이 활성화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보건의료의 법적 위기관리

        조형원(Cho Hyong Won) 한양법학회 2007 漢陽法學 Vol.21 No.-

        This article studies the concept of risk management and its goals, the management techniques most often employed by healthcare facilities, the major considerations and procedures involved in creating a risk management system for the facility and the necessity and contents of legal risk management in facilities. 1. For healthcare facilities, risk management means identifying areas of potential liability exposure, avoiding or at least reducing exposure whenever possible, and thus minimizing loss from malpractice litigation. 2. The goals of risk management are to protect the financial assets of the facilities and, if possible, to increase profitability. Of course, it is come to public attention that these efforts is connected with the protection of patients. 3. It is important to identify, control and finance risk for appropriate risk management in healthcare facilities. Since a facility’s risk exposure is at large as its total assets, risk management begins with knowledge of corporate assets. A risk manager must know how the facility functions as well as what it owns. Once the probable nature and extent of the facility’s risk is known insofar as possible, plans can be made for coping with it. Adam p. Sielecki, Jr.’s characterizes a facility’s choices as risk avoidance, loss control, separation of exposures, and transfer of risk to others. Since an enterprise cannot escape most risk generated by its activities, the question becomes how to pay if loss occurs. The facility may choose to bear the cost itself, but it’s advised doing so only when the probability of loss is sufficiently remote etc. 4. There are the form of the program, designing and filling the position of risk manager etc. in techniques of establishing a risk management program. There are incident reporting, other screening methods and analyzing the information in the methods of operating the program. 5. Establishing the legal risk management is asked for risk management system to be settled powerfully in healthcare facilities. The contents of legal risk management in facilities are various according to the procedure and contents of facility’s management.

      • KCI등재

        국제증권결제에서의 위험과 그 관리방안

        이형규(Hyeong-Kyu Lee) 한국비교사법학회 2006 比較私法 Vol.13 No.2

          In recent years, volumes of cross-border securities trades and settlements have been growing very rapidly, reflecting the increasing integration of global financial markets. Participants in cross-border securities settlement systems are confronted with a variety of risks. In many respects the types of risks associated with cross-border settlements are the same as those that arise in domestic settlements. Nonetheless, the channels through which cross-border settlements are effected may alter the character of some of these risks.<BR>  Settlements of cross-border trades tend to increase the importance and complexity of certain issues, including legal risks, custody risks in tiered securities holding systems and the timing of finality in cross-system settlements. In addition, if money settlements in foreign currencies are funded through foreign exchange transactions, non-resident counterparties face foreign exchange settlement risks.<BR>  Thus it is important that the risks in securities settlement systems be appropriately managed in order that securities settlement systems are not a source of systemic disturbances to securities markets and other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s.<BR>  To promote improvements in the safety and efficiency, cross-border securities<BR>settlement systems should have a well founded, clear and transparent legal basis in the relevant jurisdictions. Entities holding securities in custody should employ accounting practices and safekeeping procedures that fully protect customers’ securities. It is essential that customers’ securities be protected against the claims of a custodian’s creditors. Final settlement should occur no later than the end of the settlement day. Intraday or real-time finality should be provided where necessary to reduce risks. Securities settlement systems should use or accommodate the relevant international communication procedures and standards in order to facilitate efficient settlement of cross-border transactions. In addition, the Continuous Linked Settlement(CLS) system is effective in reducing settlement risk in the foreign exchange arena.

      • KCI등재

        ISO 위험 관리 표준을 활용한 호주(濠州)의 목재합법성 제도 내 실사체계 분석

        장은경,설미현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21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33 No.3

        1. 이 연구는 목재합법성 제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실사 체계의 요건을 ISO 위험 관리 표준과 국외 우수 사례분석을 통해 탐색·분석함. 2. 이 연구는 ISO 위험 관리 표준에 기반하여 불법목재 위험 관리 실사체계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야 하는 요건을 1) 위험 정의, 2) 위험 평가, 3) 위험 조치, 4) 모니터링 및 검토, 5) 기록 및 보고 등 다섯 가지로 설정하고, 이 분석틀을 기반으로 호주의 목재합법성 제도 내 실사체계를 분석함. 3. 호주의 목재합법성 제도 실사체계는 ISO 표준에 비추어 불법목재 위험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요건을 세부적으로 잘 갖추고 있었기에 우리나라의 실사체계 설계 시 벤치 마킹이 용이한 우수 사례임. 4. 이 연구는 국외 사례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의 합법목재 교역촉진제도 내 실사 체계 수립 및 운영에 대한 의미 있는 정책 제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5. 특히 우리나라가 2019년도에 도입한 합법목재 교역촉진 제도의 실사체계 구축을 위한 논의가 현재 진행되고 있는 바, 본 연구가 제공하는 구체적인 실사 틀과 실사 요건에 대한 고 찰이 우리나라 임업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큼. Global society has been putting efforts together to prevent forests from rampant deforestation and illegal logging worldwide since sustainability is a common goal for the Earth. At the 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 (WSSD) called Rio+10, global efforts of timber importing countries and private sectors to restrain illegal logging were discussed in 2002. As a market instrument to eradicate illegal logging, timber legality systems in consumer countries have been implemented, starting with the United States since 2008, the European Union (EU) since 2013, Indonesia since 2016, Australia since 2017, Japan since 2018, and the Republic of Korea since 2019. In the implementation stage of the timber legality, the due diligence system plays a role in reducing the risk of illegally logged timber in a supply chai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ue diligence system of Australian timber legality as a good practice and analyzed it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risk manage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ISO) consisting of 1) risk identification, 2) risk analysis, 3) risk assessment, 4) risk treatment, and 5) monitoring and review. As a result, the due diligence system of Australia was compatible with the risk management criteria of ISO. The timber legality in Australia was established based on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Its system stepwise was composed of risk assessment and mitigation as well as risk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illegal logging possibility in accordance with origins and species. Eventually, this study clarified the structure of due diligence systems and evaluated the crucial points of these systems based on standards of ISO risk management.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timber legality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 KCI등재

        생명공학의 남용위험과 형법적 규제

        박강우 ( Kang Woo Park ) 안암법학회 2011 안암 법학 Vol.0 No.36

        Nowadays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is so rapid that the law on this field could not cope up with the newest problems of biotechnology. In this field the basic law is Act on Bioethics and Safety in 2005. This act provides many clauses on the prohibition of human cloning and regulation on the human embryo research. But these days public opinion on human-animal hybrids changes to be permissible to cure rare diseases. In dealing with biotechnology or medical treatment, many ethical and legal problems imply a dilemma between moral duty and the resulting profit, present the issue of how to regulate ethical matters with laws. This essay reviews the legal problems of risk involved in biotechnlogical research and management of the risk. Firstly, the risk of biotechnology are discussed. Secondly, the specific problems of current Act on Bioethics and Safety(2005) in Korea. Lastly, the vary measures and laws are available to prevent human and minimize dangerousness in biotechnology area and desirable and efficient risk management skills and method has been addressed. The legal control on risky biotechnology research is necessary to protect human dignity. But, many pro-research scientists stand against it. They asserts that biotechnlogical research will be helpful to cure human diseases that have so far defied cures, such as type 1 diabetes, the Alzheimer`s disease, and the Parkinson`s disease. But pro-life group asserts that biotechnological research should be prohibited to secure human dignity. In this paper I propose dialogue between law and science. So the law in this field should protect the conditions of resonable dialogue among various social groups including pro-research, pro-life group and prescriptivists. In this dialogue only resonable and probable opinion will be supported by the participants and this opinion will be enforced by the name of law.

      • CO₂ 저장부지 선정 및 위험평가 관리체계에 대한 국외 가이드라인 분석

        장은경(E.K. Jang),허철(C. Huh),강성길(S.K. Kang),노현정(H.J. Noh)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1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1

        다가오는 Post-교토 체제를 대비하여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이 현실화 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20년 배출전망치 대비 30%감축을 목표로 온실가스 감축 기술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기술은 고정 CO₂ 발생원으로부터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일련의 기술로서 세계 주요국들은 안전한 CCS 기술 확보 및 실용화를 위한 노력을 적극 추진 중이다. 각 국가들은 CO₂ 지중 주입 및 저장을 수행하기위한 법률적, 제도적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가고 있으나 아직 CCS에 관한 세부 규제 사항 및 장기적 책임에 관한 명료한 기준은 논의 단계에 있다. 국내에서도 안전하고 환경 친화적인 CCS 실증, 보급 및 상용화를 위하여 관련 법적, 제도적 가이드라인을 구축하고자 IPCC, IMO, EU, 일본 등의 다양한 CCS 단계별 가이드라인 내용을 비교 분석하는 등 향후 국내 CCS 추진계획과 관련하여 환경안전 관리 체계에 대한 세부적 가이드라인 수립방향을 세우려고 노력하고 있다. 특히 산업 기술의 환경 리스크를 평가하고 관리하는데 핵심역량을 두고 있는 DNV(노르웨이선급)가 발표한 탄소저장기술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CO₂ 지중 저장을 위한 부지선정, 운영 및 폐쇄의 규제승인에 대한 체계적 워크플로우를 기술하며 EU, 캐나다 및 IPCC 등이 요구하는 규제요건들을 모두 충족시킨 것으로 전 세계적으로 CCS 기술을 필요로 하는 기업 및 정부 관계자들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DNV 가이드라인은 각 부지의 고유 특성에 맞는(site-specific) 부지선정 방법과 위험에 기초한 관리 접근법에 따라 개발되었으며, 8개의 세부사업을 수행함으로서 본 가이드라인이 각 CCS 단계에서 적용되는 실질적 예를 보여주는 workbook를 발간하였다. 이는 CCS에 대한 기술적 우위를 다지고 있는 북동대서양 선진국들의 위험 평가 관리체계에 대한 세부적 내용들을 참고할 수 있는 모범 사례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CO₂ 저장 부지 선정 및 위험평가관리 체계에 대한 국외 가이드라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국내에서의 CO₂ 지중 저장 실용화를 위해 환경적으로 안전한 저장지 선정 및 위험평가 관리체계에 대한 세부적 관리 지침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As Green House Gas(GHG) reduction is getting realized against coming Post-Kyoto regime, Korea has tried to develop technologies for reduction of GHG aiming for 30% reduction of GHG emission by 2020. Especially Carbon Capture and Storage(CCS) is a key technology to prevent CO₂ emissions into the air, maintaining the existing fossil fuel facilities. Accordingly, major countries over the world have carried out the efforts for development, deploy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CCS technology. They have developed legal and regulatory guidelines to need to implement environmentally safe CCS projects. But definite and systemic criteria to establish specific regulations and long term responsibility on CCS is still under discussion. Korea started to make a specific guideline for CCS environmental safety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future action plan for CCS in Korea. DNV(Norwegian classification society) focusing on assessing and managing environment risks of industry technologies released CO2QUALSTORE report. The guideline for selection and qualification of sites and projects for geological storage of CO₂ may be useful for the industry and governments to have a need for CCS technology. The objective of this guideline is to provide a systematic workflow about the regulatory approval for site selection, operation and closure of CCS. The approach of assessment, selection and management for CCS in this guideline is site-specific and risk-based. DNV has also developed the workbook showing the practical example of how to follow the guideline and its various steps by performing eight sub-projects. This is the best practice providing details on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system of advanced countries in the Northeast Atlantic in a dominant position on CCS technolog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ternational guidelines for selection and qualification of sites and projects for CCS, and then to establish a specific guideline for environmentally safe site selection and risk management to realize ultimate purpose for CCS commercialization in Korea.

      • KCI등재

        기업오너 리스크 : 대표이사 횡령 사례의 법률쟁점 분석

        남태우(Nam, Tae Woo),서준배(Suh, Joon Bae) 한국경호경비학회 2020 시큐리티연구 Vol.- No.63

        대표이사의 횡령행위는 기업오너 리스크(corporate owner risk)의 일종으로 기업의 존립자체와 직결된다. 또, 회사와 경제적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는 채권자, 주주, 임직원 등에게 막대한 손해를 주고 피해금액도 다액이라는 점에서 사회적 파급효과도 매우 크다. 하지만, 대표이사에 의한 횡령은 대외적으로는 마치 범죄행위가 아닌 것처럼 위장하고, 대내적으로는 그 객관적 실체를 알 수 있는 관련자들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에 수사기관이 횡령의 혐의를 인지하고, 객관적 사실관계를 규명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법원에서 대표이사의 횡령죄 유·무죄의 결론을 내리기 위해 필요한 사실관계를 어떠한 증거를 바탕으로 인정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이 있어야 한다. 또, 유사하거나 동일 사안에 대해 어떠한 차이점으로 인하여 결론이 달라지는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되어 있어야만, 피의자의 사실 왜곡 및 허위 주장에 휘둘리지 않고 실체적 진실을 규명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대법원과 하급심 판례들을 통하여 대표이사 횡령사건의 주요 법률적 쟁점들을 정리 분석하였다. 우선, 누가 회사의 경영자 또는 자금집행 담당자인지를 밝히는 것부터, 횡령의 객체를 어떻게 볼 것인지, 특히 불법영득의사와 관련하여 대표이사가 기존의 채권변제에 충당하였다는 주장 등에 대하여 판례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표이사가 회사의 이익이 아닌 사적인 이익을 위해 한 것인지 여부(불법영득의사)에 대하여 수사기관이 객관적 증거자료를 통해 규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embezzlement of CEO is directly related to the existence of the company, and it has a huge social effect in that the amount of damages to the creditors, shareholders, and employees is large. The embezzlement of CEO is usually disguised as not to be a criminal act externally, and internally the investigative agency has difficulty in discovering the illegal activity because the CEO exerts a direct influence on those who can know the truth. Therefore, there must be an analysis on what evidence is necessary for the court to conclude a conviction or innocence. With a comprehensive research on CEO embezzlement, it is possible to reveal the truth without being overwhelmed by the suspect s distortions and false claim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major legal issues of the embezzlement of the CEO through the Supreme Court and lower court cases. First of all, discovering who is in charge of the execution of the company’s fund is very important. Secondly, despite the claim for reimbursement for the company, how to view the nature of embezzlement is crucial. Finally, it is analyzed that it was very important to identify through objective evidence whether it was done for the individual s interest (illegal intention), not the company s in order to prove CEO embezzlement through this legal analysis.

      • KCI등재

        해안가 복합재해 관리를 위한 법률 현황 및 개선방향

        장아름,김선화,이문숙 해양환경안전학회 202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6 No.7

        Compound coastal disasters are a type of natural disaster featuring both internal and external flooding due to rises in sea-level, torrential rains, typhoons, and tsunamis. The, incidence and scale of damage from such disasters is increasing. This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urrent laws and systems managing the phenomenon of the coastal complex disaster, and to derive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s to manage and prevent them. In this study, the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the Countermeasures against Natural Disasters Act,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the Coast Management Act, the River Act, and the Sewerage Act were reviewed, with focus on the district-zoning system designated by ministries for the management of natural disasters along the coast. Through a comparison of the purpose and nature of the laws, spatial scope, and management resources, it was judged that it would be desirable to comprehensively manage compound coastal disasters based on the Countermeasures Against Natural Disasters Act.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ystem and to derive specific measures to improve laws and systems, a questionnaire survey on detailed factors was conducted targeting experts in natural disaster manageme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ent system or introduce a new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coastal complex disasters, with integrated management of land and sea areas through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integrated decision-making governance by related ministries such as MOIS, MOLIT, MOF, and ME. 해안가 복합재해는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상승과 집중호우, 태풍, 해일 등으로 인한 내·외수침수와 범람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최근 발생빈도와 피해규모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안가 복합재해를 관리하는 법과 제도 현황을 검토하고 이를 관리하고 예방하는 개선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행 우리나라 법률 중에서 해안가 자연재해 관리를 위해 지정하는 지구·구역 제도를 중심으로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자연재해대책법, 국토계획법, 연안관리법, 하천법, 하수도법 등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법률의 목적과 성격, 공간적 범위, 관리수단 등을 비교한 결과 자연재해대책법을 토대로 해안가 복합재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다. 현재 제도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구체적인 법률 및 제도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 자연재해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세부 요소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해안가 복합재해관리를 위해 현제도를 개선하거나 새로운 제도 도입이 필요하며, 행정안전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등 부처 통합적인 의사결정 거버넌스 설치 운영을 통해 육상과 해역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제3자 소송 자금 조달과 인공지능을 이용한 법적 위험 예측에 대한 연구

        양종모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홍익법학 Vol.24 No.1

        Risk management is an important concept that has been overlooked in the field of law. However,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risk and probability, which go beyond simple numerical values. The introduction of risk management has contributed to mankind's prosperity by overcoming various challenges and limitations. In legal services, lawyers with strong predictive abilities are in high demand. They distinguish themselves by anticipating future events for clients, reducing their anxieties and devising plans to avoid potential harm or loss. This is achieved through experience and a deep understanding of the legal field, not intuition. Newer lawyers may have a high level of predictive power initially, but it decreases over time as changes in practice occur.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have been used to predict legal risks, using past cases as a basis. These algorithms use various techniques to predict future outcomes, but the primary difference lies in their purpose. Legal services come with significant costs, such as attorney fees, when resolving disputes through experts or litigation. This is why third-party litigation financing, also known as legal finance, has emerged as a solution to high litigation costs. However, investor risk must also be considered in legal finance. Assessing the risk associated with investing large sums of money in a lawsuit is crucial to the success of third-party litigation financing. The ability to predict the outcome of a lawsuit would greatly benefit this industry. Studies to predict the outcome of litigation have been conducted, using past judgments as input data and training AI algorithms, such as text analysis and classification algorithms. While these algorithms have improved, it remains unclear if the text-based analysis of judgments is reliable and if the prediction results can be used for actual decision-making. To build trust in decision-making, an algorithm must be developed that can analyze causation and make convincing predictions in terms of correlation and causality. This would bring a paradigm shift in the field of law and revolutionize the resolution of legal disputes. 법 분야의 위험 또는 위험 관리의 중요성은 다른 분야에 비해 간과되어온 측면이 없지 않다. 그동안 다른 분야에서 위험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위험 관리를 통해 이뤄낸 성과를 보면 아쉽다. 위험과 확률은 단순한 숫자적인 의미를 뛰어넘는다. 인류는 위험 또는 위험 관리라는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온갖 난관과 갖가지 제약을 뛰어넘고, 오늘날의 번영을 이루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위험 관리의 최우선 과제는 위험의 예측이다. 법률서비스 시장에서 탁월한 성과를 내는 변호사는 예측능력이 뛰어나다. 이들은 사건 당사자에게 향후 전개될 사건의 방향을 예견함으로써,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나아가 사건 결과의 예측을 토대로 당사자가 직면한 손해나 손실을 피하는 방책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렇지 못한 변호사와 차별화된다. 이들이 그와 같은 예측을 하고, 손해나 손실을 피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은 본능이나 직감이 아니라 법률 분야에 종사하면서 터득한 경험과 그것을 바탕으로 한 예측능력 때문이며, 이러한 능력은 변호사의 경우, 대체로 개업한 지 얼마 되지 않는 소위 전관 변호사들에게 두드러진다. 이러한 변호사들도 시간이 지나면 예측능력이 떨어지는데, 실무 관행의 변화 등이 어쩔 수 없기 때문이다. 다른 분야의 위험 관리의 최근 동향은 인공지능의 알고리즘의 도입에 의한 예측의 확대다.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예측에 있어서 탁월하다. 따라서 법 분야 위험의 예측에도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예측 기능을 사용하는 것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사실 법 분야에서는 계약 위험 등 다양한 위험이 존재한다. 이러한 위험의 예측과 관리에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것에는 큰 의문은 없다. 그러나 이러한 일상적인 위험의 예측과 관리와는 대별되는 분야가 있다. 바로 소송 결과를 예측하는 문제다. 소송 결과의 예측은 단순한 호기심의 차원이 아니다. 그것이 가지고 있는 경제적 부가가치가 엄청나기 때문이다. 법률 분쟁이 발생하였을 때 법률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이를 해결하거나 민사소송을 통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변호사보수 등 법률서비스에 수반되는 비용이 발생한다. 일반 소송은 물론이고, 집단소송과 같은 경우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경우가 많아 현실적으로 소송제기까지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기 마련이다. 이와 같은 소송비용의 해결 방안의 하나로 제3자 소송 자금 조달 또는 법률금융·소송금융이 등장했다. 법률금융 즉 제3자 소송 자금조달의 경우 투자자의 위험이라는 문제도 해결되어야 한다. 막대한 자금을 투입되고, 소송의 승패에 따라 막대한 손실을 가져올 수도 있는 제3자 소송 자금 조달의 위험에 대한 평가가 따라야 한다. 그러한 위험은 소송의 승패와 직결되므로, 소송의 승패를 예측할 수 있는 방안이 있으면 제3자 소송 자금 조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까지 소송결과를 예측하려는 연구들이 심심찮게 이어지고 있다. 거의 모든 연구가 과거 판결문을 입력 데이터로 삼아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일종인 텍스트 분석 알고리즘과 분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을 시킨 후, 새로운 사건에 대한 판결 결과를 예측하려는 점에서 대동소이하다. 과거 판결문이나 소송 정보 중에서 어떤 변수를 입력변수로 할 것인가 하는 특성 선택과 데이터 전처리 과정에서만 차이가 날 뿐, 텍스트 ...

      • KCI등재

        피트니스클럽의 법적 위기관리에 대한 탐색적 연구

        조우정(Cho, Woo-Jeong),이경민(Lee, Kyong-Min) 한국사회체육학회 2015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62

        The purpose of this was to analyze the probability of legal risk factors, conditions of risk management capability and hindering factors of risk management in fitness clubs. In order to accomplish such a study purpose, this study employed a survey methodology with a total of 300 employees from both public and private fitness club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on previous studies were valida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nternal consistency test. With valid 237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ly, followings were derived from current study. First, factors such as disabled persons’ facility usage, facility maintenance, inappropriate equipment usage and employees’ income and wellbeing had the high probability. Second, private fitness clubs had higher probability levels of legal risk factors including facility, employee and management than public ones. In contrast, public fitness clubs had a higher level of risk management condition. Third, for both public and private fitness clubs, the probability and hindering factors had negative effects on management performance but the condition factor of risk management cap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conclusion, findings suggested fundamental information that helps develop risk management strategies for legal issues occurring in fitness clu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