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트럼프 현상으로 본 미국 고립주의의 본질과 재현 가능성 전망

        이선희,김중완,정한범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6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8 No.1

        “America First” foreign policy is not so much different from announcing abandonment of America's international role. The recent survey done by a polling agency reveals the American public tends to be in favor of isolationism. They argue disengagement in terms of foreign policy and withdrawal from TPP. Such sentiment is a result of widespread frustration and anger toward increasing inequality among the social classes, which allegedly has been rising in hand in hand with the spread of Neo-Liberalism. It seems major US presidential candidates have successfully taken the advantage of such movement. The recent rise in public sentiment favoring the isolationism largely resembles the period between 1935 and 1941, when it was predominant. Nevertheless, it is not likely that isolationism would enjoy its renaissance because the current hype of isolationism is mainly attributable to election tactics by the presidential candidates. In a sense, isolationism would have some impacts on U.S. foreign policy, by increasing the pressure for its protective trade policies and more burden-sharing request to its allies, but this trend would not deter U.S. from assuming its role as a hegemon. 이 글은 최근 미국 내 부상하고 있는 고립주의 여론이 국제주의와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그 실현가능성과 우리나라 외교정책에 미치는 영향을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미국 우선주의 정책’은 미국의 국제적 역할 포기를뜻하는 고립주의 선언과 다름이 없다. 최근, 미국의 한 여론조사기관은 미국민들의 고립주의 성향이 상당히 높다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이는 그동안 신자유주의의 확산으로 누적된 불평등에 따른 국민적 불만이 폭발한것이며, 이러한 민심의 변화에 대선후보들이 편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여론은 외교안보적으로는 해외분쟁 불개입을, 경제적으로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불참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추세는 역사적으로 미국 내 고립주의가 주류를 이루던 1935년~1941년 시기와 비슷하다. 미 대선후보들의 선동적인 행동으로 인해 미국의 고립주의가 부활한 것처럼 보이지만, 미국은 패권국가로서의 국제적 역할을 결코 포기하지 않을 것이며, 대신, 보호무역 강화, 방위비 분담강요 등 부분적인 고립주의 성향을보일 가능성은 있다고 예상된다.

      • KCI등재

        Japan`s Alliance Dilemma and Self-Reliant Way in Trump`s Isolationism

        ( Man-hee Lee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7 The Korean Journal of Security Affairs Vol.22 No.1

        The paper explores how Japan will react to the alliance dilemma which dates to the Trump administration`s isolationism. In a deeper reality, the American long-rooted one-and-a-half-war strategy and its inactive response to China`s revisionist actions prompted Japan to doubt the validity of the security commitment. Propelled by this, Abe`s long-envisioned goal of the departure from the postwar regime prompts Japan to walk a self-reliant way. Whenever Japan faced alliance dilemmas during the Cold War era, it attempted to walk an independent way behind the Yoshida Doctrine. Interestingly, the U.S. isolationism offered Japan an opportunity to rearm. Likewise, Trump`s isolationism will cause Abe to rearm and attempt to move towards the “loosen the Yoshida Doctrine” combined with U.S. inactive intervention. With little U.S. intervention, he attempts to rearm and pivot to ASEAN, the South Asian region, and Russia, while undervaluing the role of U.S. troops in Japan`s security. However, the departure from the postwar regime may run counter to Japan`s sufficient guarantee to dilute the alliance dilemma. The U.S. also will find it difficult to secure its strategic interests in East Asia without getting Japan`s cooperation. It suggests that facing common foes, the two powers will be encouraged to move towards the Yoshida Doctrine supported by U.S. proactive exceptionalism by reassessing their own strategic interests. Redoubling the efforts to add more power, Japan will adopt its own rearmament and diplomacy which can be conducive to mitigating the alliance dilemma and enabling the departure from postwar regime.

      • KCI등재

        고립주의의 특질과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정책 전망

        배원영(Bae, Wonyoung)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7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9 No.1

        본 연구는 미국 고립주의의 특질을 매개로 트럼프 행정부의 대외정책을 전망한 것이다. 트럼프 현상에 의해 미국은 세계질서와 국내 상황에 대한 철저한 손익계산을 통한 이익추구 중심의 대외정책을 추구하고 있다. 미국의 전통적인 고립주의는 자유민주주의를 기반으로 선별적인 개입과 고립의 정책을 취하였다. 미국이 국제주의를 추구한지 70여년이 지난 시점에서 트럼프는 과거와는 차별적인 ‘미국우선주의’ 의사안별 선택과 집중의 정책을 추구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행정부는 잭슨주의라고 불리는 고립주의적인 성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핵심이익에 대하여는 보다 적극적인 개입을 하는 한편, 기타분야는 과감하게 포기할 가능성도 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세계안보 구도 속에서 중국에 대한 견제 및 협력관계 설정, 국제현안 문제로서 이슬람 ISIS 과격집단 완전 격멸 그리고 북한 핵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 등을 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과거의 정권들과 차별화된 트럼프의 대외정책 성향은 세계질서의 불안정, 군비경쟁 가속화, 국제협력의 저하 등을 초래할 수도 있다. 미국의 사활적 이익에 대한 더욱 과감한 조치는 갈등과 위기를 유발할 수 있음에 유념하여야 한다. The United States is pursuing the foreign policy which aims to maximize the national interests through thorough calculation of the gains and the loss. The traditional isolationism of America had adopted the policy of selective engagement and isolation. Donald Trump pursues the ‘America First’ policy of selection and concentr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ast policies of internationalism. Even though Trump administration indicates the tendency of Jacksonian isolationism, it will try to actively intervene the area of critical national interests while simply abandon the area of minor interests. The differentiated policy of Trump, if not properly checked, is likely to cause the instability of world order, the acceleration of arms race and the declin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 KCI등재

        Japan’s Alliance Dilemma and Self-Reliant Way in Trump’s Isolationism

        이만희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17 The Korean Journal of Security Affairs Vol.22 No.1

        The paper explores how Japan will react to the alliance dilemma which dates to the Trump administration’s isolationism. In a deeper reality, the American long-rooted one-and-a-half-war strategy and its inactive response to China’s revisionist actions prompted Japan to doubt the validity of the security commitment. Propelled by this, Abe’s long-envisioned goal of the departure from the postwar regime prompts Japan to walk a self-reliant way. Whenever Japan faced alliance dilemmas during the Cold War era, it attempted to walk an independent way behind the Yoshida Doctrine. Interestingly, the U.S. isolationism offered Japan an opportunity to rearm. Likewise, Trump’s isolationism will cause Abe to rearm and attempt to move towards the “loosen the Yoshida Doctrine” combined with U.S. inactive intervention. With little U.S. intervention, he attempts to rearm and pivot to ASEAN, the South Asian region, and Russia, while undervaluing the role of U.S. troops in Japan’s security. However, the departure from the postwar regime may run counter to Japan’s sufficient guarantee to dilute the alliance dilemma. The U.S. also will find it difficult to secure its strategic interests in East Asia without getting Japan’s cooperation. It suggests that facing common foes, the two powers will be encouraged to move towards the Yoshida Doctrine supported by U.S. proactive exceptionalism by reassessing their own strategic interests. Redoubling the efforts to add more power, Japan will adopt its own rearmament and diplomacy which can be conducive to mitigating the alliance dilemma and enabling the departure from postwar regime.

      • KCI등재

        후기 워싱턴 행정부의 외교정책과 고별사

        김정은 ( Jeong Eun Kim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1 No.-

        외교사 연구자들은 워싱턴 행정부 시기의 외교를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바라본다. 이 시기 외교를 연방주의자들이 주도했다는 시각과 워싱턴 행정부의 정책 결정자들이 중립·고립주의 원칙에 따라 외교문제를 해결했다고 보는 시각이다. 본고에서는 후기 워싱턴 행정부 기간 동안에 발생했던 외교사건 즉, 1793년 프랑스와의 외교문제, 1794년 영국과의 외교문제를 워싱턴과 그의 내각이 어떻게 해결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시각이 타당한가를 살피고자 한다. 본 논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1793년 프랑스와의 외교문제에 직면한 워싱턴 행정부가 과연 중립·고립의 원칙에 따라 외교문제를 해결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워싱턴 대통령과 그의 내각 구성원들은 당시 미국에게 가장 이익이 되는 것이 무엇인가를 고려했다. 그 결과 워싱턴 행정부는 1793년 중립선언에서 ``중립``이라는 용어를 삭제했고, 1793년에 발생한 일련의 외교사건에서도 국제법과 합리에 근거하여 외교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여 유럽의 전쟁에 휘말리지 않으려고 했다. 이를 살펴볼 때 워싱턴 행정부가 중립·고립이라는 원칙에 따라 초기 미국 외교를 이끌어갔다고 하는 주장은 재고되어야 한다. 둘째, 그동안 외교사에서 조명되지 않았던 대통령 워싱턴(George Washington)과 국무장관 랜돌프(Edmund Randolph)의 외교적 역할을 재조명하는 것이다. 특히 제이조약이 친밀했던 프랑스와의 관계를 정리하고 영국과 친밀한 관계가 되기를 원했던 해밀턴 때문에 체결, 승인되었다는 기존의 주장과 달리 조약 조건이 미국에게 불리했음에도 불구하고 워싱턴 대통령과 국무장관 랜돌프가 제이조약을 승인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앞에서 언급한 후기 워싱턴 재임 기간에 있었던 외교적 사건을 워싱턴 행정부가 어떻게 해결해 갔는가를 살펴봄으로써 1796년 발표된 고별사가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즉, 1796년에 발표된 고별사가 중립·고립이라는 초기 미국 외교 원칙에 근거하여 선포된 것이 아니라 워싱턴이 1793년과 1794년에 발생한 외교사건을 해결하면서 느낀 점과 제이조약 이후 국내 상황을 고려하여 작성한 것이다. 위와 같은 검토를 통해 후기 워싱턴 행정부의 외교는 워싱턴 대통령이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갔으며, 1793년 중립선언은 고별사의 배경이 되어야 하고 중립·고립이라는 원칙을 세운 고별사를 실제적인 중립·고립외교의 시작으로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Researchers in the field of diplomatic history observe the foreign policy during the period of the Washington administration largely from two perspectives. One way of looking at it is that federalists drove diplomacy then, and the other viewpoint is that policy decision makers in the Washington administration advocated neutralism and isolationism to deal with diplomatic issues. The present study examines how Washington and his Cabinet coped with two diplomatic events arising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administration - that is, diplomatic issues with France and England in 1793 and 1794, respectively - so as to verify the validity of previous viewpoints. This thesis consists largely of three parts. First, it is to find out whether Washington`s administration adhered to neutralism and isolationism to solve the diplomatic issues with France in 1793. The President Washington and his Cabinet members prioritized national interest then. As a result, Washington`s administration deleted the term ``neutral`` from the Neutrality Proclamation of 1793, and made rational efforts based on the international law to deal with a series of diplomatic events that took place in 1793 so that the country would not be involved in the war in Europe. In this sense, the assertion that the Washington administration led the early American diplomacy in accordance with isolationism and neutralism need be re-considered. Second, diplomatic roles of George Washington as the President and Edmund Randolph as the Secretary of State, which have never been investigated in the field of diplomatic history, are reviewed here. Particularly, unlike previous opinion that the Jay Treaty was signed and approved because of Hamilton, who wanted to end the friendly relationship with France in favor of England, this study delves into why the President and the Secretary approved the Jay Treaty despite the terms and conditions unfavorable to the US. Third, by looking through how the Washington administration fixed up other diplomatic issues during the latter period of its regime, the meaning of the Farewell Address announced in 1796 is considered here. So to speak, the Farewell Address released in 1796 was not based on the country`s early diplomatic principles of neutralism and isolationism, but it was written in consideration of domestic conditions after the Jay Treaty and his speculation on the process of settling diplomatic issues in 1793 and 1794. Based on the reviews aforementioned, the diplomacy 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Washington administration seems to have been driven by George Washington himself, and the Neutrality Proclamation of 1793 should be considered to be the background of the Farewell Address, which in turn should be regarded to have established and commenced the principle of neutralism and isolationism in diplomacy.

      • KCI등재

        20세기 전환기 미국 대외정책의 전환과 동아시아— 문호개방정책(Open Door Policy)과 이중적 인종인식 —

        오영인 수선사학회 2022 史林 Vol.- No.82

        American foreign policy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had been changed from traditional isolationism to internationalism or expansionism. American expansionists at that time regarded China as for economic aggression like many other European imperialistic powers. In order to share economic interests in China, America came up with so-called ‘Open Door Policy.’ Previously, scholars investigated the open door policy mainly focusing on leading figures related the policy or a complex social economic condition after the rapid industrial growth, 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licy and Progressivism. With these previous research achievements,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Open Door Policy through a lens of racism, particularly the “Yellow Peril” racial discourse. In other words, it will discover how American expansionists arbitrary utilized the yellow peril to make a sound political position unlike European powers who initiatively maneuver this imaginary racial discourse against White. To begin with, it will start explaining the diverse background how and why American foreign policy had been changed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and what was the hidden agenda of the open door policy. .

      • KCI등재

        신고립주의와 아시아공동체에 관한 일고찰 - 북핵 위기 해법을 중심으로

        박제훈 ( Jehoon Park ) 한국비교경제학회 2017 비교경제연구 Vol.24 No.2

        동북아에서 위기요인은 경제적 위기의 경우 장애보다는 기회요인이 될 수 있다는 실증적 결론을 얻었다. 최근 악화되는 북핵 위기는 한반도에서의 핵전쟁 가능성을 증가시키면서 진정한 위기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즉 위기의 임계점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북핵 위기가 동북아지역통합이나 협력에 기회요인이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신고립주의 자체는 아시아공동체 결성이나 지역통합에 명백한 장애요인이다. 하지만 북핵 위기를 매개로 하여 동북아에 핵전쟁 위기 타개를 위한 지역협력 움직임에 동력이 생길 수 있다. 한국이 핵전쟁 시 피해 당사국임을 내세워 북핵 위기를 매개로 한 미중 간의 대타협을 적극적으로 중재해야 한다. 단기적으로는 북핵 위기를 매개로 미, 중, 일, 러를 비롯한 북핵 위기의 당사국들이 모여 함께 이야기하는 자리 즉 ‘동북아안보협의체’를 우리가 나서서 만들어야 한다. We have an empirical result showing that in Northeast Asia the crisis factor can be an opportunity rather than a bottleneck in the economy. The deteriorating North Korean nuclear crisis emerge as a genuine crisis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a nuclear war in the peninsular. In other words we are approaching the critical point of crisis. Therefore, the possibility that the North Korean crisis could be an opportunity for the Northeast Asian cooperation and integration is increasing. Neo-isolationism is itself an obvious bottleneck for the community building or regional integration. However, we may have a momentum for the regional cooperation in order to prevent a nuclear war in Northeast Asia by means of the North Korean crisis as a medium. In the short run, we should have an initiative of establishing “the Northeast Asian Security Cooperation Body” where the US, China, Japan, Russia and South Korea meet together in order to produce a solution for the North Korean crisis.

      • KCI등재

        조지 워싱턴의 <고별사>:틈새약소국 외교철학의 텍스트

        권용립 한국미국사학회 2016 미국사연구 Vol.44 No.-

        The scholarship on George Washington’s Farewell Address has been preoccupied with highlighting and nationalizing his isolationist prescription. This is the reason why the subjects of political as well as academic controversies over the Address among American historians have been confined to a few specific words and passages, like ‘isolation’ and “steer clear of permanent alliances.” However, featuring the author’s prophetic wisdom and focusing on isolation as a uniquely American heritage paid the price of overlooking Washington’s overall foreign policy philosophy that drove him to advocate neutrality as the only option available for a weak nation caught in the war between Britain and France. I evaluate the Address as a political testament by a desperate leader of a weak but fledging nation trapped in power games of Great Powers. This new perspective brings to light the universality of realist and unilateralist reasoning that underlies Washington’s adamant admonition for neutrality. The nature of the Address also changes from an isolationist manifesto to a modern textbook of realist foreign policy, especially for sandwiched nations. Then we can recognize in the Address hitherto unheeded but insightful guidelines for foreign relations of weaker nations involved in confrontations between stronger ones. Warning against the risk of partially and emotionally driven foreign policies is just one among them. Finally, the practical or predictive validity of these guidelines can be tested by applying them to the case of contemporary South Korea, which is locked in and heavily affected by the political and military contests between two rival powers of the early 21th century, the U. S. and China. <고별사>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워싱턴의 선지자적 예지와 그의 고립주의 처방만 부각해왔다. 이 때문에 <고별사>에 관한 미국의 정치적, 학문적 논쟁 주제도 <고별사>의 몇몇 구절과 단어, 즉 “영구동맹을 피하라.”는 구절이나 ‘고립’의 의미에 국한되어왔다. 그러나 <고별사>의 선지자적 예지를 부각하고 ‘고립’을 미국 고유의 외교적 유산으로만 전제한 기존 연구들은 고립이라는 처방과 고립주의라는 전통에 집중하느라고 고립을 영국과 프랑스의 틈새에서 살아남을 미국의 유일한 생존전략으로 도출해낸 워싱턴의 외교철학적 논증 과정을 경시했고, <고별사>가 틈새약소국 일반의 현실주의, 독자주의 지침서로서 보편적 가치를 갖는다는 사실을 지나쳤다. 이 연구는 <고별사>를 강대국의 파워게임에 휩쓸린 틈새약소국의 절박한 지도자가 남긴 현실주의 외교철학의 텍스트로 읽는다. <고별사>를 이런 관점에서 다시 읽으면 중립과 고립을 역설한 워싱턴의 실천적 메시지보다 그것을 이끌어낸 워싱턴의 현실주의와 독자주의 외교철학의 보편적 타당성에 주목하게 된다. 그리고 <고별사>의 성격도 고고한 고립주의 선언문에서 약소국 독자주의 외교철학의 보편적 지침서로 바뀐다. <고별사>를 약소국의 외교철학의 지침서로 독해하게 되면 강대국 간의 투쟁에 휩쓸린 틈새약소국 모두에 두루 적용할 수 있는 중요한, 그렇지만 부당하게 무시당해온 통찰력 있는 지침들의 의미와 무게도 제대로 인식할 수 있다. 장기동맹의 경직성, 편파적이고 감정적인 외교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는 그 중 하나다. 끝으로, 틈새약소국 독자주의의 현실적 타당성과 통시적 효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미국과 중국의 정치군사적 대결 틈새에 갇힌 채 양국의 압도적 영향력에 동시에 노출되고 있는 21세기의 대표적인 틈새국가인 한국의 외교에 <고별사>의 독자주의 지침을 적용해 본다.

      • KCI등재

        F. D. 루즈벨트 대통령의 개입정책과 전후구상

        김일수(Il-Su Kim)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6 동서연구 Vol.18 No.1

        F. D. 루즈벨트가 대통령으로 집권했던 1933년부터 1945년까지는 세계질서가 급변 하던 혼란의 시기였다. 1930년대 전 세계를 휩쓴 대공황과 세계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추축국(Axis Powers)의 등장은 세계를 2차 세계대전으로 몰고 갔다. 이러한 상황에서 루즈벨트는 세계정세의 변화를 관망하며 미국의 전통적인 고립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 했으며, 마침내 ‘무기 대여법(Lend-Lease Act) 을 통과시킴으로써 미국의 외교정책을 개입 주의로 전환시켰다. 또한 2차 세계대전 중그가 구상한 전후 세계질서는 그의 사후 전개된 세계질서 재편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 다. 1930년대 루즈벨트에게 있어 외교정책은 경제 대공황이라는 국내문제에 인해 하위 문제로 밀려나 있었다. 또한 국내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고립주의자들이 장악한 의회와의 협조가 절실했기 때문에 루즈벨트는 외교정책에 있어 고립주의를 택하게 되었다. 그러나 2차 세계대전과 자신의 대통령 3선을 계기로 루즈벨트는 미국의 외교정책을 개입주의로 전환시킨다. 이는 루즈벨트가 고립주의라는 시대의 흐름에 맞서기 보다는 상황의 진전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외교정책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킨 결과였다. 일본의 진주만 기습사건을 계기로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게 된 루즈벨트는 전후 세계에서 차지할 미국의 위치를 인지하고, 전후 세계질서를 구상하게 되었다. 그는 전후 국제정치질서가 강대국 간의 협력을 통해 유지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즉, 미국, 영국, 소련, 중국이 자신의 세력권을 확보하여그 속에서 경찰의 역할을 수행하고, 각 세력 권은 개방적으로 상호 교류하는 세계를 루즈벨트는 구상하였다. 루즈벨트의 이러한 구상은 국제연합(United Nation)의 창설로 결실을 보게 된다. 또한 루즈벨트는 전후 국제 경제질서로 자유무역질서를 추구하였다. 그결과 미국을 기축 통화국으로 하는 브레턴 우즈체제가 출범하였는데 이는 미국이 세계 경제의 중심이 되었음을 의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Franklin Roosevelt’s interventionism during 1933-1945 and examine the policy goals of post -war era. The rejection of the League of Nations treaty in 1919 marked the domination of isolationism from world organizations in American foreign policy. Despite his Wilsonian background, FDR acted with great care not to provoke isolationist sentiment. The rise of Hitler and Japanese militarism aroused fears of a new world war. He gave the Quarantine Speech aiming to contain aggressor nations. After 1938, FDR championed rearmament as the world headed into World War II. FDR proclaimed America should be the ‘arsenal of democracy’ and sought ways to support Britain and France militarily. During the war, FDR provided decisive leadership against Nazi Germany and made the U.S. the principle arms supplier and financier of the Allies. In the wake of Pearl Harbor, FDR decided that the defeat of Germany and Japan had to take priority. By late 1943 FDR made high-level political decisions about the postwar future of Europe. He also envisioned the plans for a postwar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liberal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In sum, FDR was a prudent internationalist who espoused democracy, liberty, and more stable postwar order.

      • KCI등재

        문선명 선생의 이상사회론과 세계공동체 비전 : ‘국경철폐’와 ‘평화의 길’을 중심으로

        안연희 한국평화종교학회 2017 평화와 종교 Vol.0 No.3

        지구촌의 상호의존성과 연관성이 확대되는 세계화 경향 속에서 이상적 ‘세계공동체’가 인류 의 현실적 과제로 대두하고 있다. 한편 다문화사회화로 인한 새로운 사회적 갈등, 자원고갈과 환경위기, 글로벌 테러리즘, 사회양극화, 난민문제 등 국제적 난제도 증가했다. 세계의 평화공 존을 위해 국제적 협력을 조율해온 유엔 등이 일정한 역할을 했지만, 강대국의 영향에 좌우되 어 결국 근대국가의 틀을 넘어선 비전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그 점에서 본 논문은 최근 브렉시트나 미국의 자국중심주의 추세가 극명하게 노정한 세계공 동체의 위기에 대한 대안으로 문선명 선생의 종교적 이상사회론을 검토하고자 한다. 종교가 최 근 지구촌 분쟁과 갈등의 요인으로 지목되곤 하지만, 종교의 이상사회론은 초월적인 피안의 세 계만이 아니라, 그 초월적 세계와 관련하여 인류역사에서 새로운 공동체의 가능성을 예시하고 실험하는 역할을 해왔기 때문이다. 현대사회의 종교는 여전히 민족, 국가차원에 머물거나 보 편적이고 세계시민적인 이상이 있다 해도 사회적 실험을 통해 그 이상을 현재화할 수 있는 동 력을 상실한 채, 정교분리적인 근대체제에 순응해 있는 듯 보인다. 그러나 종교가 총체적 해답 의 체계라면, 절박한 물음을 제기하는 삶의 자리에서 새로운 삶의 방식과 이상적 사회를 상상 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정교분리의 논리에 매이지 않는 종교적 상상력을 통해 평화이상세계를 염 원하고 실천했던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창시자 문선명 선생의 세계공동체 비전에 주목하 고 그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현 세계공동체의 위기의 원인을 새로운 장벽과 갈등을 만드는 신고립주의, 국가중심주의로 보고, 국경철폐와 평화의 길을 주장한 문선명 선생의 평 화사상에서 그러한 고립주의와 국가주의를 넘어설 수 있는 새로운 세계공동체의 원리를 발견 하였다. 선생의 평화이상세계의 비전은 신과 인간의 사랑의 관계에 대한 그의 깊은 종교적 경험을 통해 타자(상대)의 존재를 전제하고 상대와 화합하고자 하는 ‘참사랑’을 인간의 존재원리(창조 이상)로 보는 근본적 종교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에 따르면, 상대를 배제하고 화합을 막는 모든 경계선은 인간의 타락에서 기인한 악의 산물이므로, 경계선을 넘어 소통하는 것이 선의 이상이며 평화의 기원이 된다. 국경선 철폐와 평화의 길을 통해 선생이 제안한 평화이상세계 는 인류의 양심과 선의가 막힘없이 자유롭게 오가며 사랑을 주고받아 수평을 이루는 세계이다. 국제교차교체합동결혼, 국제평화고속도로, 해저터널, 베링해협프로젝트, 평화유엔 등은 각종 경계선을 철폐하고 분쟁지역을 평화적 중립지대로 만들며, 막힌 곳은 다리로 연결하고 평화의 길을 내어 신적 평화의 이상을 세계공동체로 현실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문선명 선생의 이러한 종교적 세계공동체 비전과 실천적 청사진은 국경선으로 상징되는 근 대국가의 질서를 절대화하기보다 비판적으로 극복하며 ‘세계’라는 표상에 종교적 가치를 부여 할 뿐 아니라, 지구촌의 절실한 현실적 과제로서 ‘세계공동체’에 대한 현실적 논의에도 중요한 통찰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ideal of the world community is becoming a reality for mankind amid globalization where the interdependence and connection of the global village is expanding. Meanwhile, international challenges such as new social conflicts, resource depletion and environmental crises, global terrorism, social polarization, and refugee problems have also increased due to multicultural socialization. Although the United Nations and other global goveranances have coordinated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peaceful coexistence, they have not been able to provide a vision beyond the framework of modern national state. For it has often been influenced by the great powers.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religious ideal society theory of Rev. Sun Myung Moon as an alternative to the crisis of the world community that has been raised by the trend of the Brexit and Donald Trump elections of the United States in recent years. Although religion has recently been pointed out as a factor of global conflict and terrorism, Religion’s ideal social theory has not only presented a transcendent utopia, but has also played a role in demonstrating and testing the possibility of a new community in human history in relation to the transcendent world. This paper focuses on the world community vision of Rev. Sun Myung Moon, the founder of the World Peace and Unification Family Association, who longed for and practiced the ideal of peace through the religious imagination that is not tied to the frame of modern separ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 In conclusion, we can see that the cause of the crisis of the present world community is the new isolationism and the nationalism that create new barriers and conflicts, and discover the principles of a new world community in the pacific thought of Rev. Sun Myung Moon, who insisted on eliminating borders and making path of peace. His vision of peaceful world through the elimination of borders and the path of peace is rooted his religious thought from his religious experi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s. It basically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the other as a partner of love, and sees 'true love' which tries to harmonize with the other, as a principle of existence of man (ideal of creation). Therefore, all boundaries that exclude others and prevent harmony are the products of evil caused by human corruption, and communication beyond the boundary is the ideal of good and the origin of peace. The ideal world of peace, proposed by Rev. Sun Myung Moon through the messages of the elimination of the borders and the peace bridge project, is a world where human conscience and good will freely come and go. International Cross-Joint Marriage, International Peace Highway, Submarine Tunnel, Bering Strait Project, Peace United Nations were part of efforts to realize the ideal of divine peace in the world community by eliminating various boundaries, connecting the blocked areas with bridges, and making the conflict area a peaceful neutral zone. This religious world community vision and practical blueprint of Rev. Sun Myung Moon is characterized by overcoming the order of modern nation represented by the border line critically rather than absoluteizing it, and giving religious value to the representation of ‘the world’. This will give important insights into the quest and debate about the ‘global community’ as an urgent and realistic task for the global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