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문제해결 측면에서의 Haidt의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에 관한 고찰

        최경아,강문봉 대한수학교육학회 2016 수학교육학연구 Vol.26 No.3

        Intuition in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has been stressed the importance with the logic because intuition is the cognition that give significant clue or idea to problem solving. Fischbein classified intuition by the origin; primary intuition and secondary intuition And he said the role of the personal experience and school education. Through these precedent research, we can understand the social influence. This study attempt to investigate social intuition model of Haidt, moral psychologist that has surfaced social property of intuition in term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The major suggestions in problem solving and the education of intuition are followed. First, I can find the social property of intuition in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Second, It is possible to make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model by transforming the social intuitionist model. Third, the role of teacher is important to give the meaningful experience for intuition to their students. Fourth, for reducing the errors caused by the coerciveness and globality of intuition, we need the education of checking their own intuition. In other words, we need intuition education emphasized on metacognition. 수학문제해결에서 직관은 문제해결의 실마리,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중요한 인지로 논리와 함께 그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왔다. Fischbein은 직관을 기원에 따라 일차적 직관과 이차적 직관으로 분류하고, 직관에 있어서 개인의 경험과 학교 교육의 역할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에서 직관이 사회적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직관의 사회적 성격을 표면적으로 드러낸 도덕 심리학자 Haidt의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을 수학문제해결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수학문제해결과 직관 교육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수학문제해결에서도 직관의 사회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을 변형하여 직관이 작용하는 수학문제해결과정을 모델화할 수 있었다. 셋째, 수학문제해결에서 직관이 중요하고, 직관에 관한 의미 있는 경험이 교육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직관의 강건함과 전체성 등으로 인한 오류를 줄이기 위해 직관을 확인하는 교육, 즉 메타인지를 강조한 직관 교육이 요구된다.

      • KCI등재

        영성교육 도입 통로로서 직관의 이해

        김보경 ( Bo-kyeong Kim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8 신앙과 학문 Vol.23 No.2

        4차 산업혁명과 인간의 수행을 훨씬 뛰어넘는 인공지능의 활약이 다양한 분야로 확대됨에 따라 교육에서도 인간이 기계와 무엇이 다른가? 라는 존재론적 질문에 봉착하게 되었다. 그리고 인간이 기계와 달리 영적인 존재라는 점을 간과하고 미래교육을 섣불리 논하기 어렵게 되었다. 왜냐하면 영성은 디지털 형태로 코딩할 수 없는 인간의 독특한 본질이기 때문이다. 영성을 함양하는 교육이 더욱 중요해짐에도 영성교육이 특정 종교에 국한된 것으로 인식되어 교육과정에 쉽게 도입되기 힘든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에 영성교육을 도입하기 위한 전략이나 통로로서 직관을 염두해 두고, 직관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인간지능과 기계지능의 차이를 통해 직관의 발현과 영성교육의 관계와 시대적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성교육과 직관의 시대적 필요성을 지능의 의미 측면에서 고찰한다. 둘째, 직관의 개념과 직관적 사고의 특성을 통해 직관이 영성교육 도입의 통로가 될 수 있음을 밝힌다. 셋째, 직관이 교과교육에서 영성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임을 밝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간은 인공지능이 흉내 낼 수 없는 직관 즉,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능력이 있다. 이것은 기계에게 위임할 수 없는 인간의 특권이자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특성이다. 그리고 직관은 인간의 영성을 계발하고 초월적 하나님과 가까워지는데 중요한 교량 역할을 한다. 우리의 교육환경을 고려한 영성교육의 현실적 대안은 비종교적 영성교육이며 이를 실행할 주체는 일반교과가 되어야 한다. 일반교과에서 직관은 해당 학문 분야에 감춰진 비밀을 밝히는 창의적인 눈이며, 해당 분야에서 하나님의 지성에 도달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영역에서 인간이 실천할 수 있는 최고의 선을 찾아 행하는 것이 직관을 통한 영성의 계발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직관은 일반교과에서 영성을 도모하는 통로가 되며 이것은 자신과 이웃을 이롭게 할 수 있는 교과의 목표이자 방법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has worked well in many broad area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has been one ontological question, “what would be different between human beings and machines in education areas?” It would harden to tell future education without considering that human beings are spiritual existence, unlike machines, because spirituality is an intrinsic human nature of which could not be coded. Although making students have spirituality would be more important, it has been difficult to introduce spiritual education in a regular school curriculum, because it has been considered that the spiritual education has been only related to specific religions.In this article, as a strategy or a method to introduce the spiritual education in school, having had intuition in her mind, this author has defined the intuition, studied characteristics of intuition and discussed how intuition could work and its relationship with spiritual education and how it would be necessary for the present times. For this purpose, this author has examined as follows: First, this author has studied its necessity for spiritual education and intuition as a significant aspect of intelligence. Second, this author has examined how students could obtain spirituality with the concept of intu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uitive thinking. Third, the intuition is not only purpose, but also method to implement spiritual education through subject-matter education. In the meanwhile, this author has had the following outcomes.Human beings have intuition, the ability to see invisible things. However, machines are unable to even imitate the intuition. Intuition is an intrinsic human privilege, of which people cannot mandate to machines. In addition, intuition would develop human spirituality and build an important bridge to make people closer to God. While considering our educational environment, the real alternative for spiritual education is non-religious spiritual education and its acting actor could be general curriculum. In general curriculum, intuition would be creative eyes to see the hidden secrets in every academic area and help reach the God’s intelligence in the academic area. In addition, finding the highest good and practice it would bring out the spirituality through intuition. Therefore, intuition would be a way to develop spirituality in general curriculum and it shall be understood as a purpose and method of curriculum to do good to ourselves as well as our neighbors.

      • KCI등재

        『순수이성비판』에서 순수직관 개념의 다의성

        강기호(Kang, Ki-Ho)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2 No.2

        『순수이성비판』에서 순수직관은 다양한 의미와 표현을 가진다. 즉 직관의 형식, 선천적 다양, 형식적 직관 등이 그것이다. 순수직관은 〈선험적 감성론〉 내에서 보다 포괄적인 함축성을 가지고 있는데, 한편으로는 감각들의 형식적 관계 즉 현상의 형식 내지 직관의 형식을 의미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 관계를 구성하는 ‘선천적 다양’ 즉 순수직관의 내용을 의미하기도 한다. 직관의 형식은 그 안에서 현상들이 존립하는 관계들(혹은 관계들의 체계)이며, 이 관계들은 선천적 다양과 동일한 관계들, 즉 감성적 현상들로부터 추상된 그리고 하나의 개별적 전체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결합된 관계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공간과 시간은 직관의 형식이면서, 동시에 순수직관의 내용이어야 한다. 또한 〈선험적 분석론〉에서 형식적 직관은 직관의 형식과 다른 의미를 가진다. 형식적직관은 직관의 형식 이상의 것, 곧 감성의 형식에 따라 주어진 다양의 하나의 직관적인 표상의 통괄을 내용으로 가지기 때문에, 표상의 통일을 제공하며, 이 통일에 의해 (오성이 감성을 규정함으로써) 공간과 시간은 비로소 직관으로서 주어진다. 그러므로 순수직관으로서 직관의 형식은 규정되지 않은 선천적 다양의 관계들의 필연적 조건을 이루며, 기하학적 형태의 표상과 같은 ‘형식적 직관’에 대해서도 그 근저에 놓여있다. 따라서 〈선험적 감성론〉에서 그 자체 순수직관으로서 공간과 시간의 순수다양 혹은 선천적 다양은 근원적으로 주어지지만, 〈선험적 분석론〉에서의 공간과 시간의 통일을 수반하는 형식적 직관은 궁극적으로 선험적 통각의 산물이라는 점이 밝혀진다. In kant"s kritik der reinen Vernunft, pure intuition has various meanings and expressions. That is, form of intuition, a priori manifold, formal intuition, etc. In the Aesthetic, the pure intuition has inclusive implication. It means form of intuition, On the other hand, it means a priori manifold which composes the relations. The form of intuition is the relations(or system of relations) in which appearances stand. The contend of pure intuition is these same relations, abstracted from sensible appearances, and taken together as forming one individual whole. Therefore, space and time are at once form of intuition and the content of pure intuition. In the Analytic, the formal intuition as pure intuition has a different meaning to the form of intuition. It contains more than mere form of intuition. It also contains combination of the manifold, given according to the form of sensibility, in an intuitive representation. It gives unity of representations. By this unity(in the understanding determines the sensibility), space and time are first given as intuitions. In conclusion, the form of intuition as pure intuition is a necessary condition of the relations. It also underlie the formal intuition. Therefore, the a priori manifold as pure intuition is originally given in us, but the formal intuition as unity of space and time is a product of transcendental apperception.

      • KCI등재

        직관의 이해에 대한 확장적 연구: 기독교 상담적 접근으로

        배시은 ( Sieun Bae ),안윤경 ( Yoon Kyung An ),김용태 ( Yong Tae Kim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5 복음과 상담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심리학에서 사용하는 직관의 개념을 기독교 상담학적으로 확장하여 이해하기 위한 개념적 근거들을 고찰하였다. 직관은 인간의 인식과정에서 필연적이며, 인식의 큰 범위 안에서 직관은 다양한 개념적 요소들을 갖는다. 그러나 기존의 심리학과 기독교상담학에서 직관에 대한 연구를 찾기 어려웠기 때문에 직관을 이해하기 위한 확장적 개념 고찰 연구가 필요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학에서 직관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연구가 없었으며, 직관에 관한 기독교 상담학적 연구도 찾기 어려웠다. 둘째, 직관의 인식은 철학적으로 인식의 과정이고, 심리학적으로 감각정보를 처리하는 지각에 가까운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기독교적으로 하나님의 존재를 인식하고자 하는 영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직관의 원천은 무의식을 통한 인간의 초월성과 지향성이 하나님의 계시를 이해하려는 기독교 영성의 개념으로 확장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독교 상담에서 직관은 기존의 직관의 개념인 심리, 사회적 개념에 더하여 영적 측면을 확장한 넓은 의미로 이해할 수 있기에 개념적 용어 구분이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심리학의 직관을 확장하여 기독교 상담의 계시, 영성을 개념적으로 통합하고자 하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ual basis of intuition in order to extend the concept of intuition in Christian counseling scope. Intuition is a phenomenon which appears in the process of cognizing objects consequentially. Intuition contains diverse conceptual factors in the enlarged scope of episteme. However, intuition serves as a way to cognize the unconsciousness. Thus, it is necessary to illuminate intu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counsel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understanding of intuition in psychology has been limited to spontaneous thoughts or the concept of unconsciousness. Second, intuition can be presented as the process of perception in terms of philosophy, the perception of sensory information in terms of psychology, and the spirituality to recognize and understand God in terms of theology. Third, the origin of intuition can be expanded to the concept of Christian spirituality from human’s unconsciousness. Finally, the necessity of clarifying the definition of intuition is presented since the definition of intuition includes psychological, social as well as spiritual concepts. Spiritual source is added to the range of intuition through the study of unconsciousness and revelation. Therefore, this study prepares grounds to expand the concept of intuition in Christianity and to integrate the concept of Christian revelation and psychological intuition.

      • KCI등재

        이중 과정 이론과 도덕적 직관의 문제

        김일수 ( Kim Il-soo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8 倫理硏究 Vol.121 No.1

        신경 과학을 기초로 한 이중 과정 이론은 우리가 서로 다른 두 가지의 방식으로 도덕 판단을 내린다는 것을 밝힌다. 자동적인 정서적 반응인 ‘자동 설정’과 통제된 의식적 추론인 ‘수동 모드’가 그것이다. ‘자동 설정’은 직관적 판단을 의미하며, 효율적이지만 융통성이 없다. ‘수동 모드’는 이성적 추론을 의미하며, 융통성은 있지만, 효율적이지 못하다. 그린(J. Greene)은 fMRI를 활용하여 전형적인 의무론적 판단이 정서 반응에 기초한 직관적 판단이라는 것을 밝혀낸다. 이러한 직관은 유전자, 문화, 개인의 경험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공간적 근접성이나 인신성의 유무와 같은 도덕과 무관한 요소들에 민감하다. 따라서 우연적인 형성 원인을 갖는 직관은 신뢰하기 어려운 도덕적 인식의 원천이다. 도덕적 직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1) 직관의 긍정적인 측면에 집중한 직관의 유지, 2) 직관의 오류와 편견을 바로잡으려는 직관의 개선, 3) 직관을 도덕적 자료로 인정하지 않는 직관의 폐기로 구분할 수 있다. 직관이 가지고 있는 장점과 궁극적으로 직관 자체를 배제할 수 없다는 현실로 보았을 때, 직관을 개선하려는 접근을 정교화 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과학적 수준에서의 평형 과정을 거친 직관은 오류와 편견의 요소는 제거하고, 그 직관을 지지하는 과학적 근거들을 확보할 수 있다. 규범 윤리학과 메타 윤리학 수준에서의 평형에 과학의 수준에서의 평형이 추가적으로 확보된 다중적인 반성적 평형을 도덕적 직관의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안할 수 있다. The dual process theory based on cognitive (neuro)science reveals that we make moral judgments in two different ways. Automatic emotional responses, ‘automatic settings’, and controlled, conscious reasoning, ‘manual mode’. ‘automatic settings’ means intuitive judgment and is highly efficient, but not very flexible. ‘Manual mode’ means rational reasoning and is flexible, but not efficient. J. Greene uses fMRI to discover that characteristically deontological judgments are intuitive based on emotional response. These intuitions are shaped by genetics, cultural learning, and individual experience, and are sensitive to non-moral factors such as spatial proximity and the presence of personality. Thus, intuition with accidental causes of formation is a source of unjustified moral cognition. Ways to solve the problem of moral intuition are 1) maintaining intuition on the positive side of intuition; 2) refining intuition to correct intuition errors and prejudices; and 3) discarding of intuition not recognizing it as a moral data. Given the advantages of intuition and the fact that it an not ultimately be ruled out, it is necessary to increasingly sophisticate the approach to refine intuition. In particular, intuition that passes the equilibrium process at the scientific level can eliminate the elements of error and prejudice and obtain scientific evidence that supports it. Multiple equilibrium with additional scientific equilibrium in addition to normative and meta-ethics levels can be an alternative to complement moral intuition problems.

      • KCI등재

        직관과 분석철학의 방법론

        한상기(Han, Sang-ki) 대한철학회 2021 哲學硏究 Vol.157 No.-

        그동안 분석철학을 어떤 단일 특징으로 규정하려는 시도들은 실패를 거듭해왔다. 모든 분석철학자만이 공유하는 실질적인 철학적 견해나 방법은 사실상 없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분석철학을 하나로 통합하는 단일 특징을 찾기란 매우 어려운 일인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1970년대 이후 “직관”을 분석철학의 방법으로 간주하는 분위기가 점점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시작했다. 비록 분석철학에서 이의 없이 시인되는 분석철학만의 방법에 관해 언급하는 사람은 없어졌지만, 최근의 분석철학자들에게서는 철학이론을 전개할 때 직관에 대해 호소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아졌다. 이들은 전통적인 개념적 분석, 반성적 평형, 사고실험 등을 통한 철학 활동에 “직관”이 바탕에 깔려있다고 생각하는 것처럼 보인다. 급기야 직관에 대한 호소는 전체적으로 오늘날 현대 분석철학의 특성을 이룬다고 할 정도로 상당히 공통적인 것 같은 인상을 준다. 그렇지만 직관에 대해 회의적인 견해를 가진 철학자들도 있다. 그중에서도 카펠렌(H. Cappelen)은 직관에 대한 의존이 철학의 본질적 특성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대표적 철학자이다. 그는 철학자들이 그들의 논증에서 증거의 원천으로 직관에 의존하는 것처럼 보이는 광범한 사례들을 검토하고, 최초의 겉모습과 반대로 그들이 적절하게 ‘직관’이라고 불릴 수 있는것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그래서 그는 철학에서 직관은 실제로는 증거로서 사용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이 논문은 직관에 대한 카펠렌의 회의적 주장을 논박하고, 철학적 방법의 부분으로서의 직관 개념을 검토해보고 옹호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카펠렌의 회의적 논증을 살피기 전에 먼저 많은 분석철학자가 직관 사용의 범형으로 간주하는 사례 중 하나(게티어 사례)를 통해 직관이 철학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그런 다음 카펠렌의 회의적 주장들과 그 근거들을 제시한 다음, 그 논증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직관에 대한 대안의 설명을 통해 철학자들이 실제로 증거로서 직관에 의존한다고 생각할 이유를 제시하면서 철학에서 직관이 하는 역할을 옹호한다. Until now, attempts to characterize analytic philosophy as a single feature have repeatedly failed. There seems to be virtually no philosophical views or methods shared by all analytic philosophers. Therefore, it seems very difficult, or even impossible, to find a single feature that unifies analytic philosophy. However, after the 1970s, the atmosphere that considers “intuition” as a method of analytic philosophy began to appear more and more prominently. Although no one mentioned the proper method of analytic philosophy, which is endorsed without objection in analytic philosophy, recent analytic philosophers have quite a lot of cases appealing to intuition when developing philosophical theory. They seem to think that philosophical activities through traditional conceptual analysis, reflective equilibrium, and thought experiments are based on “intuition.” Eventually, the appeal to intuition yields the impression that it is quite common enough to say that it constitute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nalytic philosophy as a whole. However, some philosophers have expressed skeptical views of intuition. Among them, H.Cappelen is a leading philosopher who argues that dependence on intuition is not an essential characteristic of philosophy. He examined a wide range of cases in which philosophers seemed to rely on intuition as a source of evidence in their arguments, and argued that contrary to the original appearance, they did not rely on what could adequately be called “intuition.” So he has argued that intuition in philosophy is not actually used as evidence. This paper attempts to refute Cappelen’s skepticism about intuition, examine and defend the concept of intuition as part of philosophical method. But before we look at Cappellen’s skeptical arguments, I will first explain how intuition is used in philosophy through one of the examples (the Gettier case) that many analytic philosophers regard as the paradigm case of the use of intuition and a breakthrough in analytic philosophy. It then presents Capellen’s skeptical arguments and their rationale, and then reviews the argument. Finally, through an alternative explanation to intuition, it advocates the role of intuition in philosophy by presenting reasons that philosophers think they actually depend on intuition as evidence.

      • KCI등재

        도덕적 직관과 도덕 교육

        이정렬(Lee, Jeong Ryeol)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6

        인지 심리학의 이중처리모형에 의하면 인간은 주로 무의식적이고 빠르고 자동적인 직관에 의거하여 판단하고 행동한다. 인간이 일상에서 도덕적 직관을 자동적이고 무의식적으로 자주 사용할 수밖에 없다면 도덕교육에서는 도덕적 직관을 도덕적으로 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도덕적 직관은 도덕적 판단과 행동을 위한 매우 유용한 사고 시스템이자 행동 능력으로서 도덕적 기능들과 관련되어 있다. 하지만 도덕적 직관에 의거한 판단과 행동은 도덕적 상대주의의 가능성과 오류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할 필요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자연적 성향으로서 직관의 유용성을 인정하면서도 직관의 한계를 인식시키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도덕적 직관을 위한 교육’과 ‘도덕적 직관에 대한 교육’을 제시하였다. ‘도덕적 직관을 위한 교육’은 직관의 자연적 특성을 보다 유용하게 발달시키기 위한 접근들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도덕적 직관에 대한 교육’은 도덕적 직관에서 나타나는 한계와 오류를 보완하고 성찰하고 반성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과정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dual process model of cognitive psychology, humans tend to judge and act upon unconscious, fast and automatic intuition. If humans had to frequently use moral intuition automatically and unconsciously, in moral education, moral intuition is needed to be educated so that it can be more usefully utilized. Moral intuition is a very useful system of thinking for moral judgment and behavior and is related to moral functions as a behavioral ability. But, it is needed to recognize the fact that judgment and behavior based on moral intuition have possibilities of moral relativism and errors. This study proposes “education for moral intuition” and “education on moral intuition” with the view that the usefulness of intuition is recognized as man’s natural inclination and that education can help recognize limits of intuition. “Education for moral intuition” consists of approaches to develop natural characteristics of intuition more usefully. On the other hand, “education on moral intuition” includes processes that complement and examine limits and errors found in moral intuition and nurture self-reflective abilities concerning moral intuition.

      • KCI등재SCOPUS

        The Dual Drivers in Intuitive Design Thinking: Myself and Making

        Bertha Patricia Barrera Garza,James A. Self 한국디자인학회 2023 디자인학연구 Vol.36 No.4

        Background : Design thinking is a problem-solving process, currently being used outside of the design domain in workshop format by companies around the world. Although both intuition and making are considered a crucial part in design thinking, little empirical research explores the possibility for making to enhance the application of intui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role and use of intuition and making in design thinking. Methods : In a controlled, comparative approach, teams participated in guided design thinking workshops. The teams explored a design problem, outlined pain points, and proposed a solution at the end of the workshop. Using independent measures, a control group in the non-making condition followed the traditional design thinking workshop approach, while in a making condition, a making activity was introduced at the start of the workshop using the Lego Serious Play © methodology replacing a graphing activity during the empathy stage, with the rest of the workshop following the traditional design thinking methodology. All workshops were video recorded. An analysis of the recordings was conducted, with time participants engaged making timestamped and compiled. The decisions of each participant were counted and sorted into three types: low, medium, and high-level decisions. High level decisions were used as evidence of the application of intuition. Results : The making activity at the start of the workshop increased the number of high-level decisions in comparison to the non-making condition. The use of Lego in the making condition not only increased the time the participants made but showed that both making and decisions were increasingly distributed across the design thinking workshop. Each participant had a predisposition for the use of their intuition, and by using the Myers Briggs type indicator, intuitive participants were found to have increased high-level decisions. Conclusions : The application of intuitive judgment during design thinking workshops depends upon the individual’s predisposition to use their own intuitions. Opportunity to engage in the making activity also acts as a catalyst for enhancing the use of intuition. To encourage participants of the design thinking workshop to employ their expertise, we suggest making as a driver for experience-based intuitive judgment. For those less inclined to apply intuition, making acts as stimulation. For more intuitive participants, making can enhance their use of intuition.

      • KCI등재

        『순수이성비판』에서 순수직관의 문제

        강기호(Kang, Ki-Ho)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6 No.2

        『순수이성비판』에서 순수직관은 그 의미와 성격이 아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적어도 『순수이성비판』 안에서 순수직관과 관련한 불일치한 논증들이 존재한다는 점을 드러낸다. 칸트는 <선험적 감성론>에서 무한양으로서 순수직관(직관의 형식)은 전체가 부분을 선행하며 부분이 전체를 전제한다고 주장하고, 반면에 <선험적 분석론>에서(형식적 직관과 관련되는) 외연양으로서 순수직관은 경험적 직관과 마찬가지로 공간과 시간도 그것의 부분을 총괄해줄 종합을 전제한다는 주장을 도입한다. 직관의 형식으로서 시·공간이 통일을 가지지 않는다면 한갓 수다성에 불과할 것이다. 시·공간은 순수직관으로서 통일을 가진다. <감성론>에서 이 필연적 통일은 마치 시·공간에 고유한 속성인 것처럼 다루어지고 있지만, 순수한 직관으로서 시·공간이 통일을 가질 수 있는 것은 감각에 의거할 수 없는 자발적인 종합작용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통일은 시·공간이라는 순수한 직관과 더불어 주어지지만 그렇다고 순수직관들 속에 포함된 본성으로서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 시·공간의 통일은 각지의 종합의 선천적 조건이다. 이로써 칸트의 불일치한 논증구조의 이유가 밝혀진다. 즉 <감성론>에서 칸트는 무한양으로서 순수직관 즉 직관의 형식으로서 시·공간은 모든 감각에 논리적으로 선행한다는 점을 주로 설명하고자 했으며, 선천적 직관표상의 근원적 획득의 문제는 자발성의 능력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는 <선험적 분석론>에서 다루고자 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순수직관에 관한 이러한 불일치 내지 모순은 칸트가 <선험적 감성론>과 <선험적 분석론>에서 행하는 과제상의 차이에 기인할 뿐이다. The mean and character of pure intuition in Kant"s Critique of Pure Reason are of important but different. This indicates that kant"s arguments on pure intuition are discordant. In the Aesthetic kant asserts that whole precedes parts and parts premises whole as the character of pure intuitions as infinity quantity. On the other, he asserts in the Analytic that pure intuition as extensive quantity(involved in formal intuition) premises a synthesis of spatial and temporal parts. Space and time as forms of intuition are a mere multiplicity without unity. It is only as pure intuitions that they possess unity. This necessary unity was treated in the Aesthetic as if it belonged to space and time in their own right, but space and time, as pure intuitions, possess unity only because they presuppose a synthesis which does not belong to sense at all. Unity therefore given along with the pure intuitions of space and time, but it is not given in these intuitions. This unity space and time is an a priori condition of the synthesis of apprehension. Hereby the cause of kant"s discordant arguments is clarified. In the Aesthetic kant explained mainly that space and time(as infinity quantity) as form of intuition premises all sense logically. In the Analytic which deals with function of spontaneity, he treated the problem of pure intuitive representation. Therefore, kant"s discordance on pure intuition do only come from a difference in the Aesthetic and the Analytic.

      • KCI등재

        The Role of Reasoning and Intuition in Moral Decision-making

        ( Moon Kyung-ho ) 한국윤리학회 2016 倫理硏究 Vol.110 No.1

        In relation to moral judgment, it is the `reasoning` and `intuition` of human representative decision mechanism in cognitive science. The first type is intuitive and automatical way of thinking, and second is ratiocinative and reflecting one. Kohlberg asserted that the most powerful impetus comes from moral reasoning to lead moral judgment and behavior. Haidt explained that intuition plays an leading role and reasoning charges only role of post-justification, in the almost majority of moral situation, via social intuitionism model. Greene elucidates that deontological judgement is deduced intuitively by emotional response automatic and immediately, and judgment due to result does so by reasoning, conscious and reflecting cognitive reaction, through dual process theory. Kahneman maintains that humans make incomplete and irrational judgment, because they have incomplete ability of information processing inherently. To make good judgment, there are so many data to be processed, and we need to make decisions rapidly. Therefore, we use, so-called `shortcut of judgment` of heuristic, that is, intuition. They acknowledges biased intuition as subject to overcome and upholds the effect of intuition used widely in decision-making at the same time. On the other hand, Gigerenzer claims that it does not necessarily define intuition as source of irrational bias and needs to think it as useful environmental adaptation tool box. In current moral education, the reasoning education is being utilized as core factor to enhance the ability of moral judgment. However, according to the opinions of intuitionist along with Haidt, it suggests strongly that it is not so useful the method of moral education based on reasoning in making moral judgment. This might be clearly significant challenge to moral education. It is because that it supports Haidt`s argument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for intuition resulting from emotion in moral decision making by many empirical studies recently. In this study, it argues that it guards against the view of underestimating role of moral reasoning, and reasoning could be utilized significantly in decision-making. Reasoning used in situation requiring more complex deliberation differs from intuition system used in context to make rapid decision more effectively, in its ro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