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원예치료 및 미술치료가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영향연구

        손기철,엄수진,배혜진,조문경,은옥주,최외선 충북대학교 한국과학재단 지정 첨단원예기술개발 연구센터 2002 연구보고서 Vol.6 No.-

        본 연구는 원예치료와 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개념, 내적 통제력, 불안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는 각 치료의 효과성이 비교·분석되었다. 인천 남구에 위치한 W공업고등학교에서 대조군 15명, 원예치료군 15명, 미술치료군 15명을 주 2회씩 2001년 9월 27일부터 12월 13일까지 원예치료군에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미술치료군에는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및 미술치료는 각각 전문 치료사에 의해서 행해졌다. 원예치료 및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자아개념(Self-Concept Scale), 내적 통제력 척도(Inner-Control Scale), 특성불안 척도(Trait-Anxiety Scale)을 각 프로그램의 실시전과 실시후로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원예치료군에 있어서는 자아개념척도 중 자아수용, 성격적 자아, 총 자아 긍정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특성불안척도에서는 우울 및 불안 항목에서 매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한편, 미술치료군에 있어서는 내적통제력과 특성불안척도중 자신감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원예치료군은 프로그램 과정중 자기표현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자아개념이 향상되었으며, 또한, 공동작업을 하는 집단 프로그램을 통하여 내면의 불안과 갈등이 완화되었다고 판단된다. 반면, 미술치료군은 치료자와의 개인적인 상담과정을 통하여 내면의 불안과 갈등이 완화되었고, 지점토 및 칼라믹스 만들기 등 활동적인 프로그램을 통하여 내면의 감정을 통제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T (horticultural therapy) and AT (art therapy) on the changes of self-concept, inner control, trait anxiety of the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45 school maladaptive of teena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rapy program at the W high school were randomly assigned to 3 groups: 15 for the horticultural therapy, 15 for art therapy, 15 for control group. The program were carried out from Sep. 27 to Dec. 13, 2001 as an activity group. Activity group attended twice a week for 1 hour. For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each therapy, Self-Concept Scale, Inner-Control Scale, Trait-anxiety Scale were used 2 times, that is, before/after HT or AT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self satisfiction, personal self, and total positive self items among Self-Concept Scal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nd tension and anxiety item among Trait anxiety Scal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HT group. On the other hand, in AT group, both inner control and self confidence item in Trait-anxiety Scal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conclusion, in HT group it was suggested that the improvement of self concept could be brought about by being provided the chance of self expression during program and the alleviation of inner anxiety and discord resulted from group therapy program in which joint work have been provided. In case of AT group, it was logically postulated that the alleviation of inner anxiety and discord resulted from personal counselling with AT therapist during program and the improvement of inner control was caused by active program such as painting paper clay, making color mix, and etc.

      • KCI등재

        박인환의 시와 W.H. 오든의 『불안의 연대 The Age of Anxiety』의 비교문학적 연구- ‘로제타’의 변용과 ‘불행한 신’의 의미를 중심으로 -

        최라영 한국문학회 2018 韓國文學論叢 Vol.78 No.-

        이 글은 『불안의 연대』의 ‘로제타’의 발화와 관련하여 박인환의 시에서 초점화되는 ‘인간적 가치’를 조명하고 ‘일곱단계’의 의미와 관련하여 오든이 형상화한 ‘신’과 대비하여 박인환의 ‘불행한 신’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오든은 ‘로제타’의 사랑을 초점에 두기보다는, 파멸되어가는 인간세계들을 확인하고 신의 에덴을 향하지만 끝내 절망하는 모습을 초점화하고 있다. 그런데 박인환은 오든의 인물들 중에서 ‘인간애’를 충만하게 보여주는 ‘로제타’라는 여성의 인간적인 사랑과 애도를 부각시켰다. ‘로제타’의 변용과 대비되는 박인환의 ‘호흡이 끊긴 천사’는 시인이 지켜주어야 하는 대상이었으나 그렇지 못하고 죽어버린 여성이다. 그는 사랑하는 이를 향한 애도를 초점화되며 애도하는 이의 ‘불행한’마음 속에 있는 ‘호흡이 끊긴’ 사랑하는 이에게서 ‘천사’ 곧 ‘신의 속성’을 발견한다. 즉 그는 여인과의 사랑과 애도와 같은 ‘인간적인 가치들에’ 의미를 부여하며 그것들 속에서 ‘신적인 것’을 찾고 있다. ‘로제타’의 변용과 함께 유의성을 지닌 재제는 ‘일곱단계’를 들 수 있다. ‘일곱단계’는 “불안의 연대”의 2장과 3장의 제목이자 각 장의 구성원리이다. ‘일곱 단계’의 의미는 1,2차 세계대전 및 6.25전쟁이라는 역사의 비극적 단계를 나타내면서 성경에서의 ‘일곱’, 즉 인간세계의 환난의 극단 혹은 신의 재림에의 희망이라는 상반되면서 양립적인 뜻을 나타낸다. 오든은 ‘일곱단계’의 구성을 경유하여 인간세계에는 어떠한 희망도 부재하며 강력한 ‘신’의 처벌만이 있을 뿐이라는 철저한 절망을 형상화한다. 그 절망의 여정에는 유년기의 ‘엄격한 부모’의 형상이 자리잡고 있다. 유년기의 불행이 형상화된다는 점에서 오든과 박인환은 유사성을 지니지만, 오든의 ‘엄격한 부모의 상’과 대비적으로 박인환은 ‘연민의 대상이자 분신으로서의 부모의 상’을 보여준다. 두 시인에게서 ‘신의 온정’의 세계를 향하는 길은 결핍 혹은 상처를 입은 인물들의 유년기 자아의 문제 즉 ‘일곱단계’의 여정 속에서 의식, 무의식적으로 떠올랐던 ‘부모의 형상’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즉 오든의 인물들은 시공간적 여행 속에서 심층적 이해가 결핍된 유년기 자아의 관점에서 과거의 상처만을 기억해내는 일에서 더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그들은 인간들의 결점과 죄, 폭력과 전쟁의 사태를 일일이 들추어내면서 ‘엄격한 훈육’과 환치되는 인류를 처벌하는 신의 자취들을 발견하면서 다만 두려움 속에 허우적거리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박인환이 전쟁의 공포 속에서도 함께한다고 의식하는 신의 형상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는 ‘친우’와 ‘가족’을 염려하는 자리에서 자아의 내면을 응시하고 ‘신’을 부르며 ‘불안’으로부터 안정감을 찾는다. 즉 그의 ‘신’은 ‘불안한 신’이자 ‘불행한 신’이다(그의 작품들에서 ‘불안’과 ‘불행’이라는 말은 혼용되며 그 둘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된다). 그것은 ‘절름발이 내 어머니’와 유사하게 그 자신의 내면에 자리잡은 분신으로서 나타난다. 그의 ‘신’은 고통스런 현실에 처함에도 자아에 내재된 ‘인간적인 가치들’을 인식하고자 하는 절박함 속에서 부상한다. 오든의 ‘로제타’의 ‘신’은 ‘나’와 ‘인간들’의 마음 속에 있다기보다는, 인간들 세계의 외부에 있는 ‘... Park In-hwan gives much value to 『the Age of Anxiety』of Oden by introducing Oden group’s poetry and poetics in his poetics. He argues the stream of modern poetry focused on the ‘anxiety’ and ‘agony’ of modern people who lives before and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rough indicating that the contemporary literature has tendency of the ‘system of anxiety’. There are many motives of 『the Age of Anxiety』 such as ‘dying women’, ‘seven ages as a meaning of time and space’, ‘dialogue in the pub’, and ‘monologue to the God’ in his poetry. Especially, conceptions related with ‘the seven ages’, and ‘the God’, main motives of 『the Age of Anxiety』, are important to examine his imagery of ‘consciousness of anxiety’ and ‘the God’. He uses frequently ‘anxiety’ and ‘unhappiness in his verse and prose, and makes imagery of ‘consciousness of anxiety’. he shows his constant aims to the ‘wretched God’ in those works. Especially, he deals with ‘Rosetta’ who is one of the four main characters of 『the Age of Anxiety』and focuses on the love of her and her lover’s death. The feature of dealing with ‘Rosetta’ shows that it has connection with his ‘wretched God’. In addition, it can be contrasted with the imagery of Oden’s ‘Rosetta’ and ‘the God’. This essay examines ‘humanism’ of Park In-hwan’s poetry by viewing ‘Rosetta’ of 『the Age of Anxiety』and the meaning of his ‘wretched God’ by comparing it with ‘the God’ of Oden. Oden describes ‘Rosetta’ as a guide to the Garden of Eden and a humane woman. Meanwhile, Park In-hwan describes ‘Rosetta’, ‘an angel who stop breathing’, as a dead object failed to be protected. ‘Rosetta’ of Oden is a guide to Eden but ‘Rosetta’ of Park In-hwan is a guide of a poet by giving his condolences. In other word, he pursues ‘the God’ by giving value to love, death, and condolences which are humanistic. Park In-hwan can be called as a realist, but Oden can be called as an idealist. Park In-hwan’s imagery is contrasted with that of Oden who pursues ceaselessly paradise made by God after assuring the ugliness of human and this world. The imagery of ‘Rosetta’s ‘God’ is not in the mind of ‘me’ and ‘people’, but in the outer world of people as a ‘powerful’ existence. This is related with the figure of God that punishes human who brought about the worst situation such as war. The ‘God’s world’ of ‘Rosetta’ is an Eden located far away and cannot be reached at in spite of constant hunting by characters including ‘Rosetta’. Consequently, characters of Oden seek only outer world where their soul can avoid agony or seek God’s world where they can be rescued. Meanwhile, it is not outer world but his inner world where is painful real self that Park In-hwan seek ‘humanism’ and ‘sanctity’. The ‘God’, to him, is an existence who exists in the poor. His ‘unhappy God’ is an existence who listens to his scream and gives condolences in the circumstance of his reporting horrors of the Korean war and witnessing the death of friends.

      • KCI등재

        박인환의 시와 W.H. 오든의 󰡔불안의 연대 The Age of Anxiety󰡕의 비교문학적 연구* - ‘로제타’의 변용과 ‘불행한 신’의 의미를 중심으로 -

        최라영(Choi, Ra-Young) 한국문학회 2018 韓國文學論叢 Vol.78 No.-

        Park In-hwan gives much value to 󰡔the Age of Anxiety󰡕of Oden by introducing Oden group’s poetry and poetics in his poetics. He argues the stream of modern poetry focused on the ‘anxiety’ and ‘agony’ of modern people who lives before and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rough indicating that the contemporary literature has tendency of the ‘system of anxiety’. There are many motives of 󰡔the Age of Anxiety󰡕 such as ‘dying women’, ‘seven ages as a meaning of time and space’, ‘dialogue in the pub’, and ‘monologue to the God’ in his poetry. Especially, conceptions related with ‘the seven ages’, and ‘the God’, main motives of 󰡔the Age of Anxiety, are important to examine his imagery of ‘consciousness of anxiety’ and ‘the God’. He uses frequently ‘anxiety’ and ‘unhappiness in his verse and prose, and makes imagery of ‘consciousness of anxiety’. he shows his constant aims to the ‘wretched God’ in those works. Especially, he deals with ‘Rosetta’ who is one of the four main characters of 󰡔the Age of Anxiety󰡕 and focuses on the love of her and her lover’s death. The feature of dealing with ‘Rosetta’ shows that it has connection with his ‘wretched God’. In addition, it can be contrasted with the imagery of Oden’s ‘Rosetta’ and ‘the God’. This essay examines ‘humanism’ of Park In-hwan’s poetry by viewing ‘Rosetta’ of 󰡔the Age of Anxiety󰡕 and the meaning of his ‘wretched God’ by comparing it with ‘the God’ of Oden. Oden describes ‘Rosetta’ as a guide to the Garden of Eden and a humane woman. Meanwhile, Park In-hwan describes ‘Rosetta’, ‘an angel who stop breathing’, as a dead object failed to be protected. ‘Rosetta’ of Oden is a guide to Eden but ‘Rosetta’ of Park In-hwan is a guide of a poet by giving his condolences. In other word, he pursues ‘the God’ by giving value to love, death, and condolences which are humanistic. Park In-hwan can be called as a realist, but Oden can be called as an idealist. Park In-hwan’s imagery is contrasted with that of Oden who pursues ceaselessly paradise made by God after assuring the ugliness of human and this world. The imagery of ‘Rosetta’s ‘God’ is not in the mind of ‘me’ and ‘people’, but in the outer world of people as a ‘powerful’ existence. This is related with the figure of God that punishes human who brought about the worst situation such as war. The ‘God’s world’ of ‘Rosetta’ is an Eden located far away and cannot be reached at in spite of constant hunting by characters including ‘Rosetta’. Consequently, characters of Oden seek only outer world where their soul can avoid agony or seek God’s world where they can be rescued. Meanwhile, it is not outer world but his inner world where is painful real self that Park In-hwan seek ‘humanism’ and ‘sanctity’. The ‘God’, to him, is an existence who exists in the poor. His ‘unhappy God’ is an existence who listens to his scream and gives condolences in the circumstance of his reporting horrors of the Korean war and witnessing the death of friends. 이 글은 󰡔불안의 연대󰡕의 ‘로제타’의 발화와 관련하여 박인환의 시에서 초점화되는 ‘인간적 가치’를 조명하고 ‘일곱단계’의 의미와 관련하여 오든이 형상화한 ‘신’과 대비하여 박인환의 ‘불행한 신’의 의미를 살펴보 았다. 오든은 ‘로제타’의 사랑을 초점에 두기보다는, 파멸되어가는 인간 세계들을 확인하고 신의 에덴을 향하지만 끝내 절망하는 모습을 초점화 하고 있다. 그런데 박인환은 오든의 인물들 중에서 ‘인간애’를 충만하게 보여주는 ‘로제타’라는 여성의 인간적인 사랑과 애도를 부각시켰다. ‘로 제타’의 변용과 대비되는 박인환의 ‘호흡이 끊긴 천사’는 시인이 지켜주 어야 하는 대상이었으나 그렇지 못하고 죽어버린 여성이다. 그는 사랑하는 이를 향한 애도를 초점화되며 애도하는 이의 ‘불행한’마음 속에 있는 ‘호흡이 끊긴’ 사랑하는 이에게서 ‘천사’ 곧 ‘신의 속성’을 발견한다. 즉그는 여인과의 사랑과 애도와 같은 ‘인간적인 가치들에’ 의미를 부여하며 그것들 속에서 ‘신적인 것’을 찾고 있다. ‘로제타’의 변용과 함께 유의성을 지닌 재제는 ‘일곱단계’를 들 수 있다. ‘일곱단계’는 “불안의 연대”의 2장과 3장의 제목이자 각 장의 구성원 리이다. ‘일곱 단계’의 의미는 1,2차 세계대전 및 6.25전쟁이라는 역사의 비극적 단계를 나타내면서 성경에서의 ‘일곱’, 즉 인간세계의 환난의 극단 혹은 신의 재림에의 희망이라는 상반되면서 양립적인 뜻을 나타낸다. 오든은 ‘일곱단계’의 구성을 경유하여 인간세계에는 어떠한 희망도 부재 하며 강력한 ‘신’의 처벌만이 있을 뿐이라는 철저한 절망을 형상화한다. 그 절망의 여정에는 유년기의 ‘엄격한 부모’의 형상이 자리잡고 있다. 유년기의 불행이 형상화된다는 점에서 오든과 박인환은 유사성을 지니지 만, 오든의 ‘엄격한 부모의 상’과 대비적으로 박인환은 ‘연민의 대상이자 분신으로서의 부모의 상’을 보여준다. 두 시인에게서 ‘신의 온정’의 세계를 향하는 길은 결핍 혹은 상처를 입은 인물들의 유년기 자아의 문제 즉 ‘일곱단계’의 여정 속에서 의식, 무의식적으로 떠올랐던 ‘부모의 형상’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즉 오든의 인물들은 시공간적 여행 속에서 심층적 이해가 결핍된 유년기 자아의 관점에서 과거의 상처만을 기억해내는 일에서 더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그들은 인간들의 결점과 죄, 폭력과 전쟁의 사태를 일일이 들추어내면서 ‘엄격한 훈육’과 환치되는 인류를 처벌하는 신의 자취들을 발견하면서 다만 두려움 속에 허우적거리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박인환이 전쟁의 공포 속에서도 함께한다고 의식하는 신의 형상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그는 ‘친우’와 ‘가족’을 염려하는 자리에서 자아의 내면을 응시하고 ‘신’ 을 부르며 ‘불안’으로부터 안정감을 찾는다. 즉 그의 ‘신’은 ‘불안한 신’이자 ‘불행한 신’이다(그의 작품들에서 ‘불안’과 ‘불행’이라는 말은 혼용되며 그 둘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된다). 그것은 ‘절름발이 내 어머니’와 유사하게 그 자신의 내면에 자리잡은 분신으로서 나타난다. 그의 ‘신’은 고통스런 현실에 처함에도 자아에 내재된 ‘인간적인 가치들’을 인식하고자 하는 절박함 속에서 부상한다. 오든의 ‘로제타’의 ‘신’은 ‘나’와 ‘인간들’의 마음 속에 있다기보다는, 인간들 세계의 외부에 있는 ‘강력한’ 존재로서 구체화된다. 그는 전쟁과 같은 최악의 상황을 초래한 인간들을 처벌하는 신의 흔적들을 발견하며 낙원으로부터 쫓겨나 막막한 인류의 상황을 확인한다. 한편, 박인환은 사랑과 애도와 같은 ‘인간적 가치’에 의미를 부여하며 그것에서 ‘신성한’ 의미를 찾는 ‘현세주의적 경향’을 보여준다. 이것은 인간세계의 추악한 면과 신의 처벌상을 확인하고서 자신들을 구제할 신을 부르는 오든의 ‘관념주의적 경향’과 대비된다. 박인환에게 ‘불행한’(혹은 ‘불안한’)과 ‘신’ 이 결합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불행한 나’의 ‘신’ 즉 ‘불행한 인간들의 마음에 존재하는 신’이기 때문이다. 그의 ‘불행한 신’은 ‘1950년대 사절단’ 으로서 전쟁현실을 보고하고 친우들의 비참한 주검들을 목도하면서 불렀던 절박한 토로처이기도 하였다. 이것은 ‘현대시의 의의’를 “전후적인 황무지 현상과 광신”에서 “더욱 인간의 영속적 가치를 발견하는”것 즉 ‘인간의 가치’에 대한 그의 신념과 관련된다.

      • KCI등재

        정신치료적 관점에서 고찰한 기대의 현상학

        김동욱 한국하이데거학회 2017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46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expectation in relation to Husserl's phenomenology. According to the Husserlian analysis of inner time-consciousness, the protention and expectation as a future consciousness are an essential moment to establish a horizon of future experience. Yet, according to the phenomenological psychopathology of Binswanger, if the melancholic subject falls into a self-closed subjective time-experience, the subject might judge a simple expectation as a settled matter. In this case, negative expectations may cause serious anxiety. For the subject has failed to integrate a past consciousness and a future consciousness together in present horizon―that is a failure to encounter a real perception. This solipsistic future time-experience is 'melancholic prospect' in Binswanger's term. And through melancholic prospect, the subject tends to amplify negative expectations which increases anxiety. In the view of psychotherapy, Husserl and Binswanger's phenomenological account on expectation could make a contribution toward complementing neuroscience that explains consciousness with respect to brain tissue and neurotransmitter. 본 논문의 목표는 기대를 자연과학적 설명 방식과 대비하여 현상학적 방법을 통하여 해명하는 것이다. 현상학적 의식연구는 자연과학적 인과율에 기초하는 현대 심리학과 뇌 인지과학의 한계를 해명하고 보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 의를 가질 수 있다. 후설의 내적시간의식 분석에 의하면, 미래적 의식으로서 기 대는 미래적 경험의 지평을 형성하는 필수적인 계기이다. 또한 미래적 의식의 지향은 현실적 지각과의 종합 과정을 거쳐서 충족되거나 수정될 수 있다. 하지 만 빈스방거의 현상학적 정신병리학에 의하면, 우울증적 주체가 자기 폐쇄적인 주관적 시간체험에 빠질 경우, 단순한 기대를 ‘기정사실’로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방식으로 주체가 과거적 의식과 미래적 의식을 현재적 지평에서 통합하지 못하고 현실적 지각과 종합적 관계를 맺지 못할 경우, 부정적 기대가 심화되어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 정신치료적 관점에서 고찰할 때, 우울증을 겪 는 환자의 의식 체험을 ‘내적시간의식의 현상학’을 통하여 해석한 빈스방거의 시도는 근대 과학주의에 기초한 현대 정신의학이 지닌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특집 : 고전소설의 주인공 ; 인물의 내면소설로서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의 독법

        김문희 ( Moon Hee Kim ) 한국고소설학회 2011 古小說 硏究 Vol.32 No.-

        이 논문의 목적은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의 인물의 내면의식을 규명하고 그 의미를 논의하여 이 두 작품을 인물의 내면소설로 읽어보는 것이다.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의 여성 인물의 내면은 여성 인물의 직접적인 말과 시(詩)와 사(詞)로 주로 나타난다. 여성 인물의 내면은 정절과 정념에 대한 갈등, 이 갈등을 넘어서서 애정 욕망을 지향하는 의식으로 가득 차 있고 이것이 여성적 담화로 표현되어 있다. 독자는 애정 욕망이 현실적으로 좌절되고 있지만 억눌린 내면 욕망을 분명한 목소리로 표현되는 것을 읽음으로써 정서적 카타르시스를 경험할 수 있다. 남성 인물의 내면은 서술자의 직접 제시와 공간묘사로 표현되어 있다. 남성 인물의 내면은 의심과 즐거움, 두려움과 기쁨을 반복하는 형태로 드러난다. 이것은 남성 인물의 내면이 현실의 남루한 처지, 인간 존재의 유한성과 이것을 벗어나 환락적 삶을 희구하는 욕망으로 가득 차 있음을 의미한다. 독자는 남성 인물이 느끼는 불안과 초조는 인간의 현실적 삶이 노정하고 있는 그늘지고 어두운 측면에서 기인한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고 여기서 남성 인물에 대한 연민의 감정을 느낄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은 인물의 내면을 전경화하여 독자가 인물의 내면을 구체적으로 읽을 수 있고 인물의 정서적, 인식적 차원에 깊이 공감하여 현실의 문제를 되돌아보게 한다는 점에서 내면소설이 될 수 있다. This paper aims at reading "Manboksajeopogi" and "Isaenggyujangjeon" as inner side oriented novels by discussing the meanings and flows of characters` minds. The inner side of the female characters of "Manboksajeopogi" and "Isaenggyujangjeon" are expressed by their dialogues and poems. Their inner side reveal the conflict between maintaining chastity and pursuing sexual desire, Leaning toward the desire. Although their desire is frustrated by the reality, readers may experience catharsis by reading the subdued desire. Male characters` inner side is represented by writers` description about their minds as well as the environment. They are described as repeatedly experiencing suspicion, pleasure, fear and joy. This shows that men are filled with the desire that pursue epicurean Lifestyle, beyond their humble status and the Limited nature of human Lives. Readers may realize that male characters` fear and anxiety are attributable to the inherent misfortune of human Lives. Here is where readers can sympathize the male characters. In this regard, both "Manboksajeopogi" and "Isaenggyujangjeon" can be regarded as inner side oriented novels in that they mostly describe the inner side of the characters so that readers can empathize the characters while reflecting on the problems in their real Lives.

      • KCI등재

        士禍期(사화기) 한 詩人(시인)의 孤獨(고독)의 삶과 詩(시) 習齋(습재) 權擘(권벽)의 詩(시)를 對象(대상)으로

        김창호 ( Chang Ho Kim ) 근역한문학회 2013 漢文學論集 Vol.37 No.-

        이 글은 조선 중종~선조 년간에 활동한 權擘(1520~1593)의 시에 나타나는 ``孤獨``의 양상과 그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화기에 벗 윤결이 옥사하면서 권벽은 폐쇄적인 내면지향의 삶을 살아간다. 이 같은 태도는 정치현실에서 積薪신의 상태로 이어지고 배척을 받는 이유가 되기도 했다. 그렇지만 그는 자신이 구축한 고독의 영역의 안에서 ``시``를 통해 자신의 모든 것을 표 현하고자 했다. 사화 직후의 시들에는 상승의 이미지가 두드러진다. 상승의 이미지를 통해, 폐쇄 적 내면세계로의 방향 전환이, 간험한 정치현실과 거리를 둠으로써 禍를 멀리하고, 정치현실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하며, 자신의 고결함을 유지하고자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권벽의 시에는 ``愁``의 정서가 지배적인데, 사화 이후 벗의 죽음으로 인한 감당하기 힘든 충격이나 정치 현실에서의 무력감이 ``수``로 집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경험 단위의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표현의 어려움이 음울하고 어둡고 시름겨운 정서(愁)로 응축되었음을 생각할 수 있다. ``愁``의 정서는 일부 작품에서 역 동적인 성격을 가지고 나타나기도 한다. ``愁``는 존재의 불안감과 결합하면서 정치현 실에 대한 비판과 풍자, 無望한 현실에서의 체념 비판의 두 가지 방향으로 나타나는 데 후자가 보다 강한 색채를 띤다. 한편 세상의 입장에서 패배자로 보일 수도 있는 그의 입장에서는 항구적 가치를 통해 세계에 대한 대응의 지점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했다. 그는 ``맛없는 술``, ``못생긴 아내``, ``부드러움``, ``어리석음``, ``우졸`` 등 세상의 관점과 상반되는 가치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당장의 효용이나 외양적 화려함이 아니라, 더디고 투박해 보일지라도 내면의 견실함을 바탕으로 한 항구적 가치를 추구했다. 그리고 소소한 일상이나 행위에 유의 함으로써 폐쇄적 삶에서 유희적 즐거움을 느끼며, 일상생활에서 유념할 가치를 점검 하기도 했다. 이처럼 가려져있거나 드러나지 않은 가치에 대한 주목은, 고독의 영역으로 돌아선 자아의 세계에 대한 대응방식이자, 고독의 생활 속에서의 정신적 균형을 찾아가는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이해 가능하다. 사화기 한 시인으로서의 권벽은 폐쇄적 내면지향의 고독을 추구했다. 그렇지만 그 자신이 정치현실을 떠나지 않았던 만큼 사유와 정서는 정치현실에 대한 반응의 성격을 가지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런 점에서 한편으로 그의 고독은 혼란한 세상에서의 처세의 성격을 가지는 동시에, 또 다른 형태의 정치 행위적 의미를 띠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spects and the meaning of ``Solitude`` shown in the poems of Gwon-Byeok(1520~1593) who wrote poems from the sovereignty of Jungjong to Seonjo. Gwon Byeok witnessed his friend Yoon Gyeol dead in prison and lived a closed and inner directed life afterwards. Such attitude became the reason of slow success.(積薪) in politics and that he was ostracized by colleagues. However, he tried to tell all the things about him through ``poems`` in the area of solitude that he had built. In the poems right after Massacre of Scholars, image of ascension(上昇) is eminent. Through the image of ascension, he avoided disasters(禍) by detaching himself from politics through being directed to closed inner world, secured distance to see political reality more objectively and maintained his nobility. In his poems, the dominant emotion is anxiety(愁). Shocks that he had because of deaths of his friends in massacre and helplessness in the reality became converged to ``Su``. It seems that the difficulty of concrete and practical expression of experience unit became condensed to gloomy and dark emotion full of worries. On the other hand, he needed to find points of responses to the world through permanent values from his viewpoints, as he may be seen as a los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orld. He paid attention to values opposite to worldly values such as ``blend drink``, ``ugly wife``, ``tenderness``, ``foolishness``, and ``Stupid.`` Through them, he tried to pursue permanent values based on solidity of inner side although it is slow and rough rather than instant utility or external luxury. He felt joy in his closed life by paying attention to trivial everyday routines and behaviors and reviewed values that he should remember and bear in his mind. On the other hand, we need to remember that his solitude had polit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it was how he got along in the world of chao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