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장애 청소년의 불안 및 비행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은옥주 한국미술치료학회 2011 美術治療硏究 Vol.18 No.3

        This art therapy case study aimed to reduce anxiety and delinquent behavior of an intellectually disabled 12 year-old adolescent through art therapy.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as diagnosed as having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in May when he was a sixth grader. His mother had not been aware of his disability in intellectual development and the parent's improper parenting contributed to the participant having low self-esteem, depression, and anxiety. He developed more anxiety and committed delinquent behavior as he entered adolescence. This case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8th, 2008 to September 14th, 2008, all in 23 sessions, once or twice a week, each session 50 minutes long. The therapy sessions changed from structural to non-structural therapy as the therapy progressed. Individual art therapy was given from 1st through 15th session to reduce the anxiety in the participant. From 16th through 23rd session, family art therapy was given. The KPRC and HTP were administered to the participant before and after the study, and change in his behavior measured from the pretest was compared to that from the potties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PRC showed a decrease of 14 point in anxiety from63 to 49. The HTP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 had developed a positive feeling toward himself. Second, compulsive behavior decreased, whereas expressing his emotions increased. Change in regulating the anger took place. The participant showed more adaptive behavior in interacting with others. In conclusion, all these changes prove that art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anxiety and delinquent behavior of intellectually disabled adolescents. 본 연구는 불안 및 비행 문제를 보이고 있는 12세 지적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불안과 비행 감소를 목적으로 하는 미술치료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은 초등6학년이 되던 해 5월경에 경도 지적장애 진단을 받았다. 인지나 발달이 또래에 비해 늦었음에도 아동 모가 아동의 장애여부를 인식하지 못하여 부모의 부적절한 양육태도로 인한 낮은 자존감, 우울 및 불안의 정서를 갖게 되었고 청소년기가 되면서 불안과 비행의 문제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본 연구는 2008년 3월 8일부터 9월 14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총 23회기에 걸쳐 초기에는 구조적 미술치료, 후기에는 비구조적 미술치료로 주 1~2회, 회당 50분씩 진행하였다. 1~15회-551-기는 불안감소를 위한 개인미술치료를 진행하였고 16~23회기는 부모, 가족 미술치료로 진행하였다.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KPRC검사와 HTP 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고 행동에서의 변화를 사전․사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KPRC 검사에서 불안은 63점에서 49점으로 14점 감소, 비행은 T점수 71점에서 63점으로 8점 감소하였으며 HTP 검사에서 가정과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이 형성되었다. 둘째, 행동에서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강박행동의 감소, 감정 표현 증가, 분노조절 등의 행동변화가 나타났으며 대인관계에서도 보다 적응적인 모습이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불안 및 비행 감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원예치료 및 미술치료가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영향연구

        손기철,엄수진,배혜진,조문경,은옥주,최외선 충북대학교 한국과학재단 지정 첨단원예기술개발 연구센터 2002 연구보고서 Vol.6 No.-

        본 연구는 원예치료와 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개념, 내적 통제력, 불안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는 각 치료의 효과성이 비교·분석되었다. 인천 남구에 위치한 W공업고등학교에서 대조군 15명, 원예치료군 15명, 미술치료군 15명을 주 2회씩 2001년 9월 27일부터 12월 13일까지 원예치료군에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미술치료군에는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및 미술치료는 각각 전문 치료사에 의해서 행해졌다. 원예치료 및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자아개념(Self-Concept Scale), 내적 통제력 척도(Inner-Control Scale), 특성불안 척도(Trait-Anxiety Scale)을 각 프로그램의 실시전과 실시후로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원예치료군에 있어서는 자아개념척도 중 자아수용, 성격적 자아, 총 자아 긍정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특성불안척도에서는 우울 및 불안 항목에서 매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한편, 미술치료군에 있어서는 내적통제력과 특성불안척도중 자신감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원예치료군은 프로그램 과정중 자기표현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자아개념이 향상되었으며, 또한, 공동작업을 하는 집단 프로그램을 통하여 내면의 불안과 갈등이 완화되었다고 판단된다. 반면, 미술치료군은 치료자와의 개인적인 상담과정을 통하여 내면의 불안과 갈등이 완화되었고, 지점토 및 칼라믹스 만들기 등 활동적인 프로그램을 통하여 내면의 감정을 통제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T (horticultural therapy) and AT (art therapy) on the changes of self-concept, inner control, trait anxiety of the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45 school maladaptive of teena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rapy program at the W high school were randomly assigned to 3 groups: 15 for the horticultural therapy, 15 for art therapy, 15 for control group. The program were carried out from Sep. 27 to Dec. 13, 2001 as an activity group. Activity group attended twice a week for 1 hour. For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each therapy, Self-Concept Scale, Inner-Control Scale, Trait-anxiety Scale were used 2 times, that is, before/after HT or AT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self satisfiction, personal self, and total positive self items among Self-Concept Scal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nd tension and anxiety item among Trait anxiety Scal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HT group. On the other hand, in AT group, both inner control and self confidence item in Trait-anxiety Scal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conclusion, in HT group it was suggested that the improvement of self concept could be brought about by being provided the chance of self expression during program and the alleviation of inner anxiety and discord resulted from group therapy program in which joint work have been provided. In case of AT group, it was logically postulated that the alleviation of inner anxiety and discord resulted from personal counselling with AT therapist during program and the improvement of inner control was caused by active program such as painting paper clay, making color mix, and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