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心象地理imaginary geography의 외부, ‘불확실성의 심연’과 문학적 공간 -春園 李光洙의 문학에 나타난 러시아의 공간성을 중심으로-

        정주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1 No.2

        This paper's aim is to criticize the recent theoretical tendency that regards all kinds of the geographical imagination in literary works only as the concept of imaginary geography(E.Side). This paper explains that the specificity of literary spatiality is the contradiction originated in blending the Idea and the Real. I've analyzed the travel essays and novels with their backgrounds in Russia written by Lee Kwang-soo. Especially, I've tried to emphasize on 'the outside of imaginary geography' which exist as the origin of anxiety without binding the subject in an owner's viewpoint. Main points are:Ontological abyss caused by overlapping civilization dis- course and fatalism, drive toward dissipated pleasure hidden Tolstoyan Idealism, and interaction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appeared in his book, titled 'His autobiograghy'. All points can be evidence of 'abyss of uncertainty', the Real faced with the border of the ideal certainty. 이 논문은 춘원의 러시아 관련 산문 및 소설을 대상으로, 문학적 공간의 재현 양상을 관념적 공간과 실재적 공간의 경합 혹은 모순적 겹침의 형태로 읽어보고자 한 것이다. 근대 문학의 지리적 상상력을 식민지의 심상지리로 還元하곤 하는 분석 경향을 반성하고, 문학적 공간의 재현 방식이 도리어 관념과 실재의 錯綜에서 오는 모순상태의 현현으로서 나타난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춘원 문학에서 러시아라는 공간이 재현되는 방식을 들어, 시선의 주인인 주체에게 귀속되지 않은 채 불안의 源泉으로 존재하는 세계의 형상, 즉 심상지리의 ‘외부’를 제시하고자 했다. 문명 담론에 겹쳐진 숙명론의 그늘, 톨스토이적 이상주의와 겹쳐진 육체적 쾌락 및 방탕을 향한 충동, ‘그의 자서전’이라는 명명에 내포된 자아와 타자의 겹침이라는 테마를 논하였다. 이들은 모두 명료한 관념적 질서의 영역의 경계에서 마주친 통제 불능의 실재, ‘불확실성의 深淵’의 정황이다.

      • KCI등재

        ‘먼 나라/전원’의 상상의 지리학

        김수이(Kim Su-Yee) 한국시학회 2007 한국시학연구 Vol.- No.20

        This paper 1) finds out modern character in scenery of Shin's early poetry, 2) considers 'distant country/fields' as sensuous and aesthetic spacefor self-preservation of dissociate modern ego. Representation of 'nature' in Shin's early poetry is under the influence of Eastern and Western view of nature in poetry of Do Yeon-myung and Tagore etc. In this basis, his 'nature' has reborn as characteristic-aesthetic space. Negative reality and desperate inner-state has neutralized to the 'nature' called 'distant country' or 'fields' imaginarily and aesthetically. That is, it is the imaginary-geographical space as a 'reversed form of repression'. This space, as an imaginary opponent of dissociate modern ego's inner scenery, is divided into opposite form of realty. Yet, it doesn't have any individual self-regulation. Thus, it is hard to interpret the 'Mother' of his early poetry symbols Mother Earth's maturnity and redemption. The 'Mother' only functions as mere listener who receives unilateral solicitation and confession of poetic narrator. In conclusion, it is reasonable to have a hermeneutics point of view, which put a matter of monotonous, plane scenery and aesthetic itself, rather than a reflective point of view, which criticizes lack of reality-recognition, in reviewing 'nature' of his poetry.

      • KCI등재

        문학 연구와 인식적 로컬리티, 그리고 지역 내러티브 - ‘성북문학’을 중심으로

        김준현 돈암어문학회 2022 돈암어문학 Vol.42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cept of 'perceptional locality' that can intervene in literary research using 'Seongbuk Literature' as an example, and captures the moment when the boundaries between literary research and 'local narratives' are blurred. 'Seongbuk' is an area that has a lot of literature and related literary works enough to suit the term 'Seongbuk Literature.' In this regard, Seongbuk Literature was discovered and established in various ways in connection with various institutions in Seongbuk. In the process of enthusiastically calling literary writers and their works, various perspectives of locality were mobilized, and accordingly, it was discussed that approaching local literary phenomena shows new characteristics of locality. Accordingly, the concepts and methods of 'perceptional locality', 'imaginary geography', and 'local narratives' became possible and mobilized in local studies. The case of Seongbuk Literature describes that revealing locality goes beyond finding and proving related facts in the local, finding awareness related to the local, and further creating and reproducing perceptive meanings and images of the local and therefore, local narratives. 이 글은 ‘성북문학’을 사례로 하여 문학 연구에 개입할 수 있는 ‘인식적 로컬리티’의 개념을 고찰하고, 문학 연구와 그것을 통한 ‘지역 내러티브’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순간을 포착한다. ‘성북’은 ‘성북문학’이라는 말이 어울릴 만큼 문인과 관련 문학작품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지역이다. 그와 관련하여 성북 문학은 성북 내의 여러 기관과 관련하여 다각도로 발굴되었고, 조명되었으며, 또한 호명되었다. 의욕적으로 문인과 작품을 호명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관점들이 동원되었고, 이에 따라 지역의 문학 현상에 접근하는 것이 기존의 방식을 넘어서는 특징을 보인다는 것이 논의되었다. 이른바 ‘로컬리티’가 인식적으로 호명되는 과정이며, 이에 따라 ‘인식론적 로컬리티’와 ‘심상지리’, ‘지역 내러티브’가 가능하게 되었다. 로컬리티를 밝히는 것이 지역 내의 관련 사실을 찾아내고 증명하는 것을 넘어서, 지역과 관련된 인식을 찾아내는 것, 거기에서 나아가 인식을 창출하고 재생산하는 것까지 닿아 있는 일이라는 것을 성북 문학의 사례를 통해 서술하였다.

      • KCI등재

        냉전기 아시아 상상과 반공 정체성의 위상학 - 해방~한국전쟁후(1945~1955) 아시아 심상지리를 중심으로

        김예림 상허학회 2007 상허학보 Vol.20 No.-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context in which ‘Asia’ was imagined in the Cold War period. The main object of this analysis is the ideological situation or the structure of political-cultural imagination in South Korea in the decade immediately following liberation, 1945~1955. This paper mainly deals with the situation of South Korea in comparison with that of Japan.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South Korea’s intellectuals expressed passionate feelings of solidarity towards newly independent nations as well as nations struggling for liberation. But the birth of ‘red’ China was the dominant cause for new lines of division on South Korea’s map of Asia. In addition, ‘the Pacific fantasy’ got to be constructed. The Pacific was a geographical metaphor for a bright new age and an imaginary-geography of political solidarity, which could never be imagined without the continued existence of the U.S. Since the Korean War, the intellectuals in South Korea located the imaginary position of their country in the center of the Cold War map. It can be said that it was after the Korean War that Asia was initially imagined as a political unit began to be re-characterized in cultural terms. With the emergence of the political map of Asia in 1953, interest in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East’ also intensified. The cultural historical re-writing and re-defining of this region evolved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discourse. We can observe the dual motivation of the proponents of ‘the East’ discourse of the early 1950s. First, they intended to establish the origin of Asian inferiority on the level of culture. In addition, they planned to promote the anti-communist rebirth of Asia, clarifying the selective exclusion/inclusion of particular nations. In this way, the Cold War ideology grew stronger borrowing the cultural account of the imaginary geography of ‘Asia’ or ‘the East’. 본고는 한국의 ‘아시아 상상’이 냉전이라는 새로운 국제적 환경과 국민국가 건설이이라는 국내적 요구 속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는지를 검토한다. 논의의 대상은 1945년 이후부터 1950년대 중반까지 약 10여 년에 걸친 시기이며, 『신천지』와 『사상계』의 담론을 중심으로 냉전기 지식집단의 아시아론을 살펴보았다. 이 시기에 한국은 강력한 반공 국가로서 자기구성을 시도하면서, 미국 헤게모니의 자장 내에서 자신의 국가적 위상을 확보하려는 시도를 보인다. 본고는 이러한 국가 정체성 확립과정에서 출현한 반공주의적 지역주의를 ‘태평양 환상’으로 개념화하여 그 구체적인 상을 규명하였다. 해방기 한국의 지식집단은 동남아시아 제국의 해방 및 해방투쟁에 연대감을 표현하지만 ‘중공’의 탄생과 더불어 반공국가 연대를 요구하게 되고, 반공 태평양 연대라는 정치적 구상에 호응과 지지를 보낸다. 태평양이라는 심상 지라는 냉전적 세계 질서 속에서 이념적인 재가공을 거친 것으로서, 새롭게 열린 해방과 희망의 시대에 대한 지리적 메타포이자 동시에 장차 미국 없이는 상상될 수 없는 정치적 연대의 상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전쟁 이후 담론에서 한국의 국가적 위상은 상상적 이동을 하여, 냉전적 세계의 구심점으로 정체화된다. 동시에 지식인들은 한국사회를 ‘아시아적 존재’로 규정하면서 국가적/지역적 퇴보로 인해 공산화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음을 역설한다. 당시의 동양론은 정체된 아시아가 처한 상황과 위험 요소들을 아시아 역사에 대한 규명을 통해 분석하고자 했다. 그리고 새로운 동양사의 전개를 주장했는데, 이 시기 동양론의 근저를 흐르는 것은 반공주의적 발전주의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한국 농민 이주의 문학적 형상화 : 이민촌의 풍경을 중심으로

        윤영옥(Yun Young-ok) 韓國批評文學會 2009 批評文學 Vol.- No.33

        The aim of this writing is the searching into the aspects and its’ transition of literary representations about Korean peasants’ migration under the Japan’s colonial reign. This research have done focusing on the scenery of colonial migrant’s villages. This writing was intended to investigating about what were the scenery of colonial migrants’ villages and it’s the social discourses. Because the colonial migrants’ villages had made by Japan’s colonial government, it had showed the typical essences of colonial reign.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are The Son of the Earth (Taejieui Adeul 대지의 아들 of Lee Ki-young, ?Peasants(Nonggun 농군)? of Lee Taejun, North Gando (Bukgando 북간도) of Ahn Soo-gil, Foreshore Fields (Gaetdeul 갯들) of Lim Young-chun, Arirang (아리랑) of Jo Jeong-rae etc. Social contexts of these texts ranged from colonial reign system to free diversified society. The changes of the social contexts had effected on the representative aspects of texts. During Japanese colonial reign, Korean peasants had been represented in utopian farmland by the imaginary geography. But since 1945, the scenery of colonial migrants’ villages were space that implied the coloniality and modernity and intervened the standpoint of colonizer and peasants settler. Korean migrant peasants have been changed in the literary texts following to social contexts. It had shown that they have possessed not ethnic identity but changed national identity. That have been represented from national to variety viewpoints.

      • KCI등재

        1950년대 세계여행기와 소설에 나타난 로컬의 심상지리 : 전후 여성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양선(Kim Yang-sun) 한국근대문학회 201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1 No.2

        이 논문은 해방과 전후 여성작가들의 소설, 여행기, 산문을 대상으로 미국이나 유럽 등 서양에 대한 심상지리, 한국을 로컬한 것으로 배치하는 상상력을 탐구하였다. 먼저 모윤숙과 김말봉의 미국여행기는 중심 제국의 풍요로움/한국의 미개와 가난이라는 지리적, 물질적, 정서적 로컬의 심상지리를 보여준다. 전후 지적 엘리트를 자임한 여성작가들은 이 차이와 위계를 극복하기 위해 민족의 대표자를 자임한다. 반면 전혜린의 유럽/독일 체류기는 모윤숙과 김말봉의 미국여행기와는 대척점에서 ‘민족(주의)’의 일원으로 수렴되지 않는 실존적 주체를 꿈꿈으로서 주변부 여성지식인의 정체성을 보여준다. 두 번째, 박순녀의 소설 ?외인촌 입구?는 로컬에 위치하되 로컬적이지 않은 ‘외인촌’이라는 장소를 통해 전후 한국의 식민 상황을 포착하였다. 반면 김말봉의 ??방초탑??은 전형적인 연애서사 형식을 차용하면서 서양을 상상적 볼거리로 전시한다. 텍스트는 표층적으로는 서양의 자유주의와 물질문명을 옹호하지만 심층적으로는 한국적 미와 윤리를 지향하는 로컬적 속성을 띤다. 서사를 규율하는 것은 동양적인 여성미를 체현한 여성주인공, 그리고 동양적 윤리이다. 서양적인 것의 과잉 담론화와 한국적인 것으로의 회귀. 195?60년대 여성작가들의 글쓰기가 보여준 담론적 지평은 세계체제를 향한 지향과 전후 국가주의 재건 사이에서 유동하는 지식인 주체의 분열된 내면에서 비롯된 것이다. 또 이 로컬의 인식, 로컬의 정체성은 여성적인 것의 형상화라는 모종의 젠더 프리즘을 거쳐 구체화됨으로써 남성작가들의 로컬인식과 차이를 드러낸다. This thesis deals with the imaginary geography about West, and the principle which posits Korea as 'the local'. The texts are women writer's novels, travel essays in 1950's. First, Mo Yunsook and Kim Malbong's travel essays about America show the geographical localism, and material and emotional localism through the binary opposition between abundance of imperial America and uncivilization, poverty of Korea. This intellectual women writers think themselves as the representative of nation overcoming the difference and hierarchy. In the other hand, Jeon Haerin's essays about Europe(Germany) propose the existential subject who isn't reduced by 'nation(alism)'. Second, Park Soon Nyeo's 〈The Entrance of Foreigner's Village〉 represents Korea's colonial situation in post-war period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Entrance of Foreigner's Village', the place which is posited in local but isn't local. In the other hand, Kim Malbong's 〈Bangchotab〉 exhibits West as the sightseeing through the typical melodramatic narrative. This novel seems to defend the liberalism and materials in the surface structure, but in the deep structure, Korea's oriental beauty and ethics are chosen. The oriental ethics are embodied by female character. The over-discourse about West, and return to Korea. These traits are caused by the intellectual's split inner mind who floats between world system and restoration of nationalism. And the identity of local differs from male writers, because it becomes concrete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the feminine, that is gender prism.

      • KCI등재후보

        지역내러티브와 심상지리 - 지역의 관광/문화 특성화의 인식론적 양상과 관련하여 -

        김준현 돈암어문학회 2018 돈암어문학 Vol.34 No.-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the idea of ‘Geo-narrative’ and to consider the potential of the idea for developing the resources of culture and tourism of the regional services and businesses. This articles proves that the characters and traits of the regional culture are not the result of excavation or proof, but that of interpretation or creation in the epistemological way. However, the fact that these cultural businesses and services has the (cultural) narrative – methodology has not been fully recognized. So, it has been often forgotten that the works need relative (not absolute) objectivity and consideration of the cultural codes, and more importantly, creativity. The examples in this article share the common character that they suggest the characters of the regions by the method of subjective selection and interpretation rather than positive verification. Thus, calling a region a tourist attraction is to practice cultural narrative and epistemology. The names of tourist attractions are not administrational or official, but imaginary – geographical. That is the reason that the ones who practice the regional services and business have to focus the idea of 'geo-narrative'. 이 글은 ‘지역내러티브’의 개념을 제시하고, 이 개념이 지역의 관광자원과 문화자원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지역의 문화적 특성이나 개성들은 사실 ‘발굴’이나 ‘증명’의 성격보다는 ‘해석’, 혹은 ‘창작’의 성격을 갖고 있는 일임을 여러 사례를 통해서 밝혔다. 하지만 지역 문화 사업이 이러한 ‘내러티브’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은 충분히 인식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지역의 성격에 대해 적극적인 제시를 하고, 그 작업을 수행하면서도 그 한계 안에서 문화적 코드, 혹은 합의된 기준에 따라 상대적 객관성을 마련해야 하는 작업임을 의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 글에서 살펴본 사례들은, 실증적 방법론에 의해 밝혀진 지역의 특성이 아니라, 적극적인 의미 제시, 지역 특성이 될 수 있는 인자들의 주관적인 선택 및 해석에 의해 이루어진 일들이다. 지역을 관광지로 호명하는 것은, 이렇듯 실증적 발견과 분석의 차원을 넘어 ‘내러티브’의 차원으로 접어드는 일이라는 점을 명확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는 소위 말하는 ‘내러티브적 전환’ 이후 ‘내러티브’를 뒷받침하는 이론이 인식론이라는 사실과 연관이 있다. 특정 지역은, 관광/문화 산업에서 존재론적 대상이라기보다는 인식론적 대상으로서 존재한다. 따라서 존재론적 대상으로서 인간에게 인식되기 이전의 지역을 호명하는 경우는 드물다. 이와 관련하여 ‘심상지리’는 지역의 관광자원과 문화적 특성을 논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개념이 된다. 우리가 ‘신림동 고시촌’, ‘성신여대앞’이라는 지역을 명명하는 경우, 그 지역은 객관적인 구획을 가지고 있는 행정적 지역을 일컫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에 의해 인식된 주관적 대상으로서의 ‘심상지역’을 일컫는 것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러시아 유라시아주의

        권정임(Kwon Jyoung Im) 한국노어노문학회 2005 노어노문학 Vol.17 No.1

        Russian eurasianism has begun among the russian emigration groups in 1920-s. G. Vernadskii, N. Trubetckoi, L. Gumilyov were the members of this new philosophical school. They reconsidered the influence of Mongol on russian society during 13-15 cc. They reversed stand-firm opinions on the mongolian reign, which had been considered without exception as negative, shameful and loathful period in the russian history. Against all these traditional views, eurasianists thought that Rus of Moscow period, having actively accepted mongolian systems of governing nations, army, tax etc., tried to obtain all the territory, conquered by mongolian empire. According to the eurasian theory, Moscow Rus, being officially the last and the only successor of Constantinople, at the same time have goaled to the eurasian superpower. Eurasianism revealed the very asian sources in the russian ideas and soul, which had always persisted to belong to the european world. Therefore Eurasia had been regarded at first as the imaginary geography, and then later as the real one to russians. In the past eurasian territory had been considered for russians as alien, unfamiliar and pagan world. Russian every time has been tried to belong to the european world, hence she has despised the asian sources and eurasian world. But as time goes by, Russia stood as eurasian power both territorially and spiritually, though she officially and deliberately had orientation toward Europe. Eurasianism revealed the asian sources, hidden in the very europeanized russian mind and ideas.

      • KCI등재

        <태원지(太原誌)>의 일주(一周) 상상력과 다원(多元)의 세계관―고소설의 사유 실험에 대한 단상을 더하여―

        김수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5 No.-

        In the novel <Taewonji>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nfucian and non-Confucian thought work mutually. Although Confucianism’s concept of ‘destiny [天命]’ penetrates the superficial narrative, the concrete world conception is based on the experience of voyages in the West, the Daegu theory of the ancient Chuyeon, and the archaeological astronomy mathematics of the Qing dynasty, which has been focused on intellectual experiments since the 18th century, are getting involved. The acceptance of this intellectual movement is realized through narrative composition based on a sense of number, geography imagination, imagination around the world, and a multi-dimensional worldview. <Taewonji> is active in the use of numbers to the extent that it is said to be a novel made up of numbers. It embodies figures and imaginary geography with numerical information and images. This provides realistic impressions and logical realism to fictional characters and virtual worlds. <Taewonji> is a scene of natural displacement from the East Sea to the West Sea during the voyage, and by narrating the imagination of the circumnavigation, it reveals the mathematical logic and empirical worldview of round earth, and recognizes fictional works logically and empirically. However, the circle of <Taewonji> is not a simple physical cycle, but is connected to a symmetrical plural world that moves to the same space with a different order and character. Taewon, which arrived in this way, is a symmetrical plural world of Jungwon, and has the character of ‘the beginning of the Jungwon’, which is historically and civilly located in ancient times. <Taewonji> reflects the competitive knowledge field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the attitude of narrative thought experiments that do not passively accept the intellectual movement is also found. <Taewonji> provides an opportunity and experience to reexamine the cultural framework of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was taken for granted, by narratively adapting the thought experiment that causes tension in the existing cultural framework. It also shows the circumstances in which nove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participated in thought experiments with an open attitude to the dynamic intellectual environment. A novel cannot be completely free from the cultural framework of the times, but it also does not unilaterally accept the existing cultural culture. The novel participates in the field where the cultural framework of its time is reconstructed, and can serve as a place of experimentation to contemplate new thoughts through highly scalable popular writing. 조선후기 소설 <태원지> 속 유교적 사유는 비-유교적 사유와 상호구성적으로 작동한다. 유교의 ‘천명(天命)’ 개념이 표층 서사를 관통하지만, 구체적 세계 구상의 바탕에는 18세기 이후 조선 지식인의 사유 실험에서 주목한 서양의 항해 일주, 고대의 대구주설, 청나라의 고증학적 천문수학 등이 관여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지적 운동의 수용은 숫자 감각에 의한 서사 구성과 지리 상상, 일주의 상상력과 다원의 세계관으로 구현된다. <태원지>의 숫자 감각은 인물과 지리의 구체화에 기여하여 허구적 캐릭터와 가상세계에 논리적 실감성(實感性)을 제공한다. 일주의 상상력은 항해 도중 동해→서해의 전위(轉位)로 장면화되며 지구지원(地球地圓)에 대한 이론적⋅경험적 흔적을 드러냄으로써, 허구 작품을 논리적 세계로 인식하게 한다. <태원지>의 일주는 동일 공간으로의 회귀를 거부하고 질적으로 다른 유사 공간으로의 이동을 상상한다. 그렇게 하여 도착한 태원은 중원의 대칭적 다원 세계이자, 역사적⋅문명적 신화 시대로 재귀한 ‘태초의 중원’이라는 성격을 지닌다. <태원지>에는 조선후기에 경합하는 ‘지식장’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다. 동시에 지적 운동을 수동적으로 수용하지 않으려는 서사적 사유 실험의 태도도 발견된다. 이것은 조선후기 문화틀에 대한 재검토의 기회와 계기를 제공하고, 소설이 역동하는 지적 환경에 열린 자세로 동참했던 정황을 보여준다. 소설은 시대의 문화틀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지만, 기존의 문화적 교양에 일방적으로 압도당하지 않는다. 소설은 자기 시대의 문화틀이 재구성되는 현장에 참여하며, 확장성이 높은 대중적 글쓰기를 통해 새로운 사유를 고민하는 실험장으로 역할 할 수 있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