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영화 이미지의 존재론 - 프레임이미지

        정찬철 한국영상학회 2018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6 No.3

        이 논문의 목적은 ‘프레임이미지’를 초기영화 시대의 영화이미지 체계(이하 ‘초기영화이미지 체계’로 표기함)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제안하는 것이다. 그동안 초기영화이미지 체계에 대한 연구는 탐 거닝의 ‘어트렉션 시네마’ 개념과 같이 관객과 영화이미지 사이의 관계에 관한 관객성 분석이 핵심을 이루었다. 특히 이러한 연구 경향은 초기영화이미지 체계와 수용자의 관계를 근대적 시각문화 속에서 바라보는 데 관심을 두었다. 이러한 문화사적 관점의 주도 속에서, 초기영화이미지 체계의 형성에 영화 기술이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라는 문제는 여전히 미답의 영역으로 남아있다. 본 연구는 프레임이미지를 영화 기술에 기반 한 영화이미지 체계로 규정함으로써 이러한 연구의 간극을 채우고자 하며, 문화사적 요인과 더불어 기술적 요소가 영화이미지 체계의 형성에 있어서 얼마나 결정적인 역할을 했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본 논문은 프레임이미지를 ‘단일 프레임’이라는 기술적 조건과 ‘닫힌 프레임’이라는 형식적 조건으로 나누어 설명할 것이다. 단일 프레임은 무빙이미지의 기록·저장·재현 기술 미디어인 필름의 개별 프레임을 뜻하며, 닫힌 프레임은 필름의 공간적 범위로서의 ‘프레임’을 의미한다. 둘째, 본 논문은 단일 프레임이라는 기술적 조건이 어떻게 초기영화이미지 체계의 형성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고는 초기영화 시대 스펙터클하고 환상적인 장면 연출에 사용된 특수효과 중에 하나인 스톱모션 기법을 구체적으로 들여다 볼 것이다. 셋째, 본 논문은 스톱모션으로 완성된 환상적인 상황이나 대상이 쇼트로 분절되지 않고 전체적 상이 프레임 안에서 모두 보여 지는 방식으로 재현되는 경향을 ‘닫힌 프레임’이라는 용어로 개념화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본고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린다. 단일 프레임과 닫힌 프레임으로 특징되는 프레임이미지는 무빙이미지의 상호 연결보다는 개별 프레임의 독자성에 기댔던 ‘사진’의 확장이며, 환영적인 이미지의 재현을 위해 발명된 소마트로프와 매직랜턴과 같은 19세기 시각문화의 계보에 속한다. 영화의 전사, 즉 프레임을 합치는 것이 아닌 프레임 별로 나누는 것에 몰두했던 프리시네마(pre-cinema)의 선구적인 광학기술 및 사진술은 영화장치 등장의 기술적 기반이었을 뿐만 아니라, 초기영화 시대 영화 이미지의 체계의 기술적 조건이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define the frame-image as a form of cinematic image during the early period of cinema. In order to define the frame-image, it suggests two sub-terms for it: a single frame and a closed frame. The single frame is a technical term used to refer to each frame in the sequence of the film. The closed frame describes the spatial domain of frame itself. First, this paper will argue that the regime of early cinematic images was formed practically by the technical condition of a single frame. To do this, the paper analyses stop-motion as a cinematic technique which works in a single frame. Secondly, the paper explains the closed frame as a cinematic style formed by the technical base of a single frame. In the fantastic shots created by the stop-motion technique, the entire figure of the object must be shown instead of a montage. This was a rule when attempting to make the fantastic situation more real while framing it within the frame. The closed-frame style of the frame-image manifests itself throughout the history of cinema - from its beginning to its second century – but realized now by digital imaging technology.

      • KCI등재

        영화 이미지와 얼굴의 미학

        김호영(Kim, Ho-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9 외국문학연구 Vol.- No.35

        본 논문은 영화 속에 나타난 ‘얼굴’ 이미지를 통해 영화 이미지의 다양한 특성들을 살펴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무성영화시대의 유럽의 주요 영화이론가들- 발라즈, 엡스탱, 뒬락, 벤야민 등-의 논의를 중점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먼저, 유럽의 무성영화인들의 얼굴의 미학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선구자로 게오르그 짐멜을 꼽을 수 있다. 이미지의 가시성과 비가시성 및 얼굴의 미학적 특성에 관한 그의 논의는 1920년대 전후 만개하는 무성영화이론가들의 얼굴의 미학 담론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짐멜의 주장을 계승하여, 벨라 발라즈는 ‘인상’(피지오노미크)과 ‘표정’ 개념을 통해 영화 속 얼굴의 조형적 통일성에 대해 설명했고, 장 엡스탱은 포토제니 개념을 근간으로 인간의 내적 정서와 영혼을 표현해내는 영화 속 얼굴 이미지의 속성에 대해 강조했다. 이들과 달리, 발터 벤야민은 영화 속 얼굴의 이미지가 이미 제의가치를 잃어버려 개인의 영혼이나 내적 정서를 담아낼 수 없다고 보았지만, 영화의 기원이라 할 수 있는 초창기 사진에서는 개인의 영혼(혹은 아우라)을 담은 얼굴의 이미지들을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한편, 1910년대에 등장한 ‘클로즈업’은 얼굴 이미지를 가장 잘 나타내는 영화 형식으로 영화 속 얼굴의 미학과 깊게 관련되어 있다. 무엇보다, 유럽의 무성영화인들에게 있어 클로즈업된 영화 이미지는 ‘공간적 확대’ 뿐 아니라 ‘시간적 확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들은 영화 이미지가 그러한 이중적 확대를 통해 현실에서 벗어나는 새로운 시공간 및 정신적 세계를 드러내줄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무성영화 작품들에서 클로즈업은 ‘부분’이자 ‘전체’인 그 분절적 성격으로 인해 하나의 ‘자족적 전체’로 기능할 수 있었는데, 즉 클로즈업된 얼굴 이미지는 무성영화인들에게 영화적 서사의 압박으로부터 벗어나 그 나름의 자족성을 얻는 이미지로 인식되었고, 나아가 정신성과 인격성까지 얻어 ‘재현된 그 무엇’이 아닌 ‘현전하는 그 무엇’으로 간주되기도 했다. This paper attempts to look into the concept of face in the european film theory in the silent film days. Making a comparative study of the diverse concepts of face, generated by Béla Balázs, Jean Epstein, Germaine Dullac, Walter Benjamin, it aimed to review how the early european film theorists described the human face in a film when sensation consumes the spectator with an overwhelming and indescribably profound intensity. Trying to define the meaning of human face in a film image, Béla Balázs describes it as the moral character of every mobile and personal aspects of the world, beings or souls that are enhanced by film reproduction. Jean Epstein is focusing on the power of the human face that could apply to the movement of the close-up. The close-up of human face is designed to account for that which is inarticulable, that which exceeds language and hence points to the very essence of cinematic specificity. In a similar spirit, Germaine Dullac argues that it is notable that the human face is the privileged site for the condition of the film image. For the european film theorists in the silent film days, the close-up which was “the technical condition of the art of film” or the “soul of the cinema”. They try to define the close-up as the mark of cinematic difference and specificity, especially as the invocation of an otherwise unknown dimension. They asserts that the close-up represent the sublime moment individual, personal, and subjective, suggesting that it cannot be defined absolutely or resolved conclusively. It is through this stylistic technique that we are able to reveal human subjectivity in film.

      • KCI등재

        <밀정>과 얼굴 -새로운 변화의 가능태로서 감정-이미지-

        김형래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7 현대영화연구 Vol.13 No.4

        This article analyses a Korean Film The Age of Shadow(2016) through Deleuze’s taxonomy of images. In doing so, it uses especially the affection-images that occupy the interval between the perception-image and the action-image. Deleuze defines the affection-image on the basis of the Firstness which was developed by the American logician C.S. Peirce. We can find the affection-image normally through the close-up of a face in the film, and the affection-image is being characterized through immobile receptive plate and micro-movements of expression, reflecting unity and intensive series, and expression of quality and expression of power and so on. We can find however these affection-images not only in face but also in any-space-whatevers. They, moreover, show up in three ways: the struggle between lights and shadows, lyrical abstraction and colour. Here we can make sure how appropriate it is to analyse the film The Age of Shadow through the affection-images. This film has a lot of close-ups of faces and decontexualized any-space-whatevers with light and shadow, and colour that function as quality-power and generic element. At the same time, it suggests that this film topicalizes the mental struggle, choice and a virtual hope through the various affection-images that imply the possible of a new turn. 본고는 영화 <밀정>(2016)의 얼굴과 얼굴화된 임의의 공간을 분석하고 있다. <밀정>의 이정출 역을 맡은 배우 송강호의 얼굴은 영화의 주제에 상응하는 하나의 도상으로 기능한다. 그 주제란 양극의 항들 사이에이서 갈등하는 주체의 정신적 투쟁과 선택, 그리고 새로운 변화를 함의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영화 전체를 지배하는 표현주의적 경향, 즉 빛과 그림자의 대립과 투쟁 역시 당대의 방황하고 갈등하는 인간 군상들의 정신과 내면을 적절하게 표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영화에 대한 이러한 분석을 들뢰즈의 ‘감정-이미지’에 근거하여 전개하였다. 감정-이미지는 퍼스의 ‘일차성’ 개념에서 파생된 ‘특질-역량’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영화에서는 얼굴 클로즈업을 통해 가장 잘 나타난다. 얼굴은 부동적인 신경의 수용면과 표정의 미세한 운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질적 변화를 잠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가능태로 기능한다. 즉 얼굴의 감정-이미지는 지각-이미지와 행동-이미지의 간격을 점유하고 있는 잠재적 가능태인 것이다. 그러나 감정-이미지는 얼굴 클로즈업으로만 표현되지 않는다. 그것은 임의의 공간으로도 표현되는데, 임의의 공간 역시 감정-이미지의 발생적 요소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임의의 공간이 감정-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것은, 들뢰즈에 의하면 얼굴 클로즈업이 그렇듯이 시공간적 좌표를 상실하고 탈맥락화됨으로써 특질-역량을 띠는 얼굴성을 획득하기 때문이다. 얼굴화된 임의 공간은 세 가지 방식으로 나타난다. 빛과 그림자의 투쟁, 서정적 추상, 색채주의가 그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들뢰즈의 감정-이미지론에 근거하여 <밀정>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이 영화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얼굴 클로즈업과 빛과 그림자의 투쟁을 표현하는 임의의 공간 분석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 KCI등재

        텔레비전 드라마 영상 이미지의 서정적 상상력

        이승이 한국비평문학회 2019 批評文學 Vol.- No.71

        This paper examined a possibility of securing lyrical imaginationby viewer’s interfering in ‘interval’ on the premise that it occurs intouching lyrical television drama, 「To the Airport」. The resultshowed that there are verbal close-ups as ‘relais’, long shotlandscapes and possibility of expression in OST as light motifwhich have a supplementary relationship with image of video intelevision drama. Verbal close-ups aim at awakening dialogue breaking away fromthe existing explanatory ones by making image of visual letterimage out of auditory speaking dialogue which we can see andhear. Long shot landscapes evoke lyricism that were symbolicallyswitched from copying reality because long shot is a significantmethod intended by specific eyes and landscape is meaningfulmoment privileged as places of specific sense. OST as light motifarouses emotion by showing supre-reality hidden inside of imageswhile having intention of description based on figural and symbolicthings. The verbal, visual and auditory images in television dramamake viewers to experience punctum through the interval betweeneach close-up image and letter, long shot image and landscape, andimage in Television drama and music. Also, they enable viewers toconcentrate its image by inducing mutual complementarity of seeing,reading and listening, which helps to recognize sens obutus. This study hereby made us to recognize uniqueness of media by understanding how image in drama is used and what effect itbrings. This is an interest in how image on television shows drama. In addition, it has a significance to prepare media literacy suitablefor reading expressive image in evolving television drama. 본고는 독자에게 감동을 주는 시적 드라마로서 텔레비전 드라마 영상에는 비결정성의 장소인 간격(interval)이 발생함을 전제로 하고, 이 간격에 독자가 개입하여 서정적 상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공항 가는 길」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영상 이미지와 보충적인 관계 속에 있는 중계(relais)로서 말의 클로즈업, 롱 숏의 풍경, 라이트모티프로서 OST의 표현가능성을 찾을수 있었다. 말의 클로즈업은 청각적인 음성 대사를 시각적인 문자 영상으로 이미지화하여보고 들을 수 있는 대사를 만듦으로써 기존의 설명하는 대사에서 벗어나 환기하는대사를 지향한다. 롱 숏의 풍경은 롱 숏이 특정 시선에 의해 의도된 의미심장한 방식이고 풍경이 특정 감각의 장소로 특권화된 의미심장한 순간으로 현실 모사가 아니라 상징적으로 치환됨으로써 서정성을 환기한다. 라이트모티프로서 OST는 형상적이고 상징적인 것들에 근거하여 묘사 의도를 가지고 영상 내부에 숨겨진 상위현실성(supra-reality)을 보여줌으로써 정서를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텔레비전 드라마 영상의 언어적‧시각적‧청각적 이미지는 각각 클로즈업 영상과 문자 사이, 롱 숏 영상과 풍경 사이, 텔레비전 드라마 영상과 음악 사이의 간격을 통해 독자로 하여금푼크툼을 경험하게 하고 보기‧읽기‧듣기의 상호보완성을 유도함으로써 텔레비전 드라마 영상에 집중하여 무딘 의미(sens obutus)를 알아차릴 수 있도록 돕는다. 이로써 본고는 텔레비전 매체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그것이 드라마 영상 이미지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또 어떤 효과가 발생하는지 알 수 있었다. 이는 텔레비전 영상이 드라마를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며, 더불어 진화하는 텔레비전드라마의 표현적 영상 읽기에 적합한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를 갖추고자 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영화 속 얼굴 이미지

        황지은(Ji-eun Hwa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1

        영화 속 얼굴 이미지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것은 영화가 하나의 예술임을 인정받기 시작한 무성 영화시기부터 인데, 이 시기는 클로즈 업 을 인식하는 두 관점에 따라 얼굴 이미지는 다른 의미 와 기능을 갖게된다. 첫째는 클로즈 업 을 영화의 새로운 미학적 가능성을 지닌 독립체로 보는 관점인데, 이 경우 클로즈업 은 얼굴을 재현하는 독자적 수단으로 이해되어, 얼굴 이미지와 클로즈 업 모두에게 특권적 지위가 부여된다. 둘째, 클로즈 업 또한 서사를 완성하는 구성체 중 하나로 보는 관점인데, 이 경우 대상의 지표 성을 부곽 시키는 클로즈 업 의 특성이 이해되지 못하기 때문에, 얼굴 이미지 또한 서사의 완결성을 와해시키지 않는 선에서, 다른 쇼트와 변별점이 없는 하나의 쇼트로 이해된다. 이 시기의 논의는 영화의 미장센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와의 관계를 통해 다양한 기능과 의미를 갖게 될 얼굴 이미지의 미학적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클로즈 업 의 자장 안에서만 이루어진다는 한계가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 속 얼굴 이미지에 대한 미학적 탐구의 가능성을 발견 했다는 점과, 이 시기의 비평적 담론이 현재까지도 유효하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Discussion of facial image of the movie starts is recognized as an art movie that started from silent film period. Critical discussions on the facial image initiated with the emergence of ‘close-up’ are performed in the context to claim the superiority of close-up format. Therefore, the trend of critical discussion on the facial image differs from two perspectives to perceive close-up in this era. The first perspective is to privilege both face and close-up since close-up is recognized as the unique tool to realize the face considering close-up as the independent body to have new aesthetic feasibility of the movie. The second perspective is to consider close-up as one of the plots in the movie language to complete its narration. In this case, it is perceived as just a short, which has no differentiation from the others, as long as the facial image does not interfere the completeness of the narration,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close-up to highlight the subject more than the other short is not recognized as the unique form to complete the movie, and because it has the meaning only when the subject and the format aim to maintain the completeness of the narration.

      • KCI등재

        프라이버시 침해 방지를 위한 얼굴 정보 변환 메커니즘

        김진수(Jinsu Kim),김상춘(Sangchoon Kim),박남제(Namje Park) 한국정보기술학회 2019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6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is increasingly exposed to CCTV per person as the number of installations increases every year for accident prevention and facility safety. The intelligent video surveillance system technology is attracting attention to the privacy protection of exposed subjects. The intelligent video surveillance system performs a process for the privacy protection so as to perform the action type of the subject and the judgment of the situation in the simple identification of the photographed image data, or to prevent the information, from which the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ed subject is exposed. The proposed technique is applied to the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converts the original image information taken from the video surveillance system into similar image information so that the original image information is not leaked to the outsid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age conversion mechanism that inserts a virtual face image that approximates a preset similarity.

      • KCI등재후보

        백석 시 「힌 바람벽이 있어」에 나타난 영화적 수사: 이미지의 생성과 감화의 다차원

        함종호 인문예술학회 2019 인문과 예술 Vol.- No.6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 between film and poetry and seeks to examine the way of image formation in Baek seok’s “On White Wall.” The reason why we should look at the poem image in comparison with the film rhetoric system is to better understand the various dimensions of creation and change that correspond to the composition principle of poem image. Therefore, we tried to understand the constitution principle in the film rhetoric system and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oem image considering it. The cinematic rhetoric applied to “On White Wall” is a scene pattern, a close-up screen, and a subtitled narration. These cinematic rhetoric not only show the change and creation of images but also clearly show the aspect of the influence that reveals complex emotional states that can not be defined as specific. Especially, the proximity screen shows the expressive side of the affection, which is in line with the double nature of the paradox. It is a very characteristic work because it shows the transition of the multi-dimensional and new recognition of the affection very effectively by utilizing these cinematic rhetoric. 본고는 영화와 시의 유비관계에 주목하여 백석의 시 「힌 바람벽이 있어」에 나타난 이미지 형상화 방식과 이로 인해 복합적인 감화가 일어나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시 이미지를 영화의 수사 체계와 견주어 바라보아야 하는 이유는 시 이미지의 구성 원리에 해당하는 생성과 변화의 다양한 차원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본고는 영화의 수사 체계에 담긴 구성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고려한 시 이미지의 구현 방식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힌 바람벽이 있어」에 적용된 영화적 수사는 장면화 양상, 근접화면, 자막 처리된 내레이션 등이다. 이들 영화적 수사는 이미지의 변화와 생성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특정한 것으로 규정할 수 없는 복합적인 정서 상태를 드러내는 감화의 측면을 적확하게 보여준다. 특히 근접화면은 감화의 표현적인 측면을 잘 보여주는 것으로써 이는 이 시에 나타난 역설의 이중적 성격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힌 바람벽이 있어」는 이들 영화적 수사를 활용함으로써 감화의 다차원 및 새로운 인식의 전환을 매우 효과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특징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신체표현을 활용한 영상디자인 연구 - 본인의 작품 "Echoes"와 "Slice"를 중심으로

        손우경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4

        본 논문에서는 연구자 자신의 제작을 근거로 하여 신체표현을 소재로 한 영상디자인의 가능성을 모색하 고자 한다. 연구자는 2014년부터 2015년에 걸쳐 신체표현을 소재로 한 영상작품 "Echoes"시리즈와 "Slice"시리즈를 제작하였다. 작품들은 2015년 개인전 신체와 영상의 현상-Image Phenomenon of Dance 展을 비롯해 전시 및 축제 등을 통해 발표되었다. 작품들은 신체표현이나 무용을 소재로 하여 제작한 다 수의 영상작품으로 이루어진다. 신체는 가장 보편적이며 원초적인 소우주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명이 신 체와 영상의 현상-Image Phenomenon of Dance인 이유는 신체표현을 담은 이미지의 단편들을 모아 영 상만이 가능한 현상을 실험하고 현실과는 다른 소우주를 찾아보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제작을 통하여 신 체표현을 활용한 영상디자인에 대한 가능성을 고찰하였고, 공연예술과는 다른 영상의 특성을 살리는데 중점을 두었다. 영상만이 가능한 신체표현을 위시하여 클로즈업, 화면분할과 다면, 시간조작을 키워드로 논문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키워드는 영상을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고려되어야할 영상미학적 측면에서 해 석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starts with the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moving image designs on my artworks, which explore the use of physical expressions. I created video works about the "Echoes" series and the "Slice" series using physical expressions during 2014 and 2015. The video works were displayed at my solo exhibition, entitled "Image Phenomenon of Dance” in 2015, along with other exhibitions and festivals. The artworks consist of several videos about dance and physical expression applications. The human body can be considered to be composed of universal and elemental components. The title "Image Phenomenon of Dance” was selected as part of my effort to examine phenomena associated with only video media and to seek a small universe invisible to the naked eyes. I explored the ability of moving image designs as they relate to physical expressions, placing importance on the design of the features of video media as opposed to performing arts on a stage. For the physical expressions only possessed by video media, this research considers the following keywords of close-up, multi-screen and time remapping. These keywords can be interpreted in terms of aesthetic val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moving images.

      •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Close-Range Photographic Imaging Quality and Measurement Precision

        Kaifeng Ma,Ximin Cui,Guiping Huang,Debao Yuan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media and Ubiquitous Vol.11 No.2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flash intensity in digital close-range photogrammetry, test methods for the light intensity adjustment of a ring-flash on close-range photographic imaging quality and measuring precision were researched respectively. First, according to the efficiency of the flash, the imaging characteristics, and the gray distribution of the mark points of the image, the identified method of the image gray value for subjective visual analysis was presented, and a quality standard for the close-range photographic image was provided. Then, as a precondition to obtaining the best image quality, based on the estimation theory governing measurement adjustment precision, the changes in measuring precision under conditions of different light intensity and different photographic distances were analysed,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measurement precision and light intensity, or photographic distance, were obtained. Finally, the globally optimal imaging quality and measurement precision for any given light intensity were quantified.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root mean square (RMS) errors of the measurement adjustment precision were 0.028 mm, 0.039 mm, and 0.085 mm: the RMS errors in the measuring precision and the corresponding coordinate repeatability were 0.038 mm, 0.053 mm, and 0.118 mm. The best imaging quality was achieved at photographic distances of 3 m, 5 m, and 7 m, with corresponding output light intensities of 1/64, 1/32, and 1/16 under certain conditions, respectively. This can satisfy the precision requirements for large-scale coordinate measurement, and provides a basis for formulating a reasonable light intensity output from a ring-flash in the digital close-range photogrammetry.

      • KCI등재

        3D 애니메이션 클로즈업 숏의 감정 연출 특성 연구

        조정성(Jung Sung Cho)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애니메이션연구 Vol.11 No.1

        이 연구는 극사실주의적 표현의 한계를 넘어선 3D 애니메이션이 영화보다 더 사실적인 감정 표현과 심리묘사 장면으로서 심리적 수용의 리얼리티를 강화해 나가고 있음에 주목했다. 이러한 연구의 출발은 사실적인 감정의 표현이 표정의 클로즈업을 통해서 극적 감정을 어떻게 매개하고 있는가와 상호적인 감정 소통의 주요 수단이 되는 영상 이미지 언어의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애니메이션의 비언어적인 감정소통 체계를 구성하는 영상 언어의 최소 단위인 숏의 역할과 특성들을 살펴보았고, 애니메이션 프레임 이미지 안에서 캐릭터의 표정과 동작으로 전달되는 감정 표현의 연출적인 의도와 방법으로서 클로즈업 숏의 활용 방안과 효과를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했다. 연구방법으로는 애니메이션에서 감정의 사실적인 재현과 심리적인 현실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이론적인 고찰을 선행연구했고, 애니메이션 내러티브 전개와 흐름에서 극의 맥락과 상황에 따라서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클로즈업 숏들의 연출 방식과 역할에 따른 의미를 파악해 보았다. 또한 두 편의 애니메이션을 통한 실증 사례 분석을 통해서 감정 표현과 심리묘사 장면에서 추구하는 심리적 사실감의 획득 과정과 효과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극의 전개에 따라 감정 표현과 감정 전달 형식은 클로즈업 숏을 통해서 주관적인 카메라 시점으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클로즈업 숏의 활용은 관객 수용의 심리적 거리감을 좁히고, 극에 대한 친밀감을 형성함으로써 공감적 이해와 감정적 공유가 용이하도록 하는 연출적인 의도와 목적성을 갖는다. 이에 이 연구는 3D 애니메이션의 관객들이 극의 심리적 상황과 감정이나 정서까지도 깊숙이 파고들어가, 내면적인 동화를 이루게 되는 클로즈업 숏의 표현 형식의 연출적인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해 보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결론적으로, 애니메이션의 내러티브 전개에서 클로즈업 숏의 연출은 관객 수용의 심리적 리얼리티를 극대화시킴으로써 환상서사에 몰입할 수 있게 하는 효과적인 감정 표현의 방법이자 수단이다. In this study, it was noted that it is to strengthen the psychological acceptance of reality as very fact principle representation of the scene of 3D animation realistic emotional and psychological descriptions than the movie that exceeds the limit. Departure of these studies, mutual emotions major means to become of the video image and language of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of real feelings is how the parameters a dramatic feelings through a close-up look The wa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Therefore, in this paper, we look to examine the short of roles and characteristics is the smallest unit of the video language that make up the non-verbal emotional communication system of animation, are delivered in character of facial expressions and behavior in the animation of the frame image as director intent and methods of that emotion, it was let"s specifically analyze the ways to use and effect of close-up shot. Research method is to previous studies theoretical considerations for understanding the feelings of realistic reproduction and psychological real relationships in the animation, effective according to the pole of contexts and circumstances in animation stories deployment and flow I tried to understand the meaning according to the close-up shot production method and the role of that is been used to. In addition, the acquisition process and the effect of psychological realism to pursue in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depiction of a scene through the analysis of empirical case through two of the animation was examined and what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emotions and feelings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format is the development of poles was found to be composed of a subjective camera viewpoint through the close-up shot. Take advantage of these close-up shot, narrow the psychological sense of distance of audience housing, the production intent and purpose of the share 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emotion to make easy by forming the familiarity of poles with. Therefore, in this study, 3D animation of the audience is entered to penetrate even the psychological situation and feelings and emotional drama, directing mechanism specific forms of expression of close-up shot so make the inner assimilation manner has its significance to be viewed presented and analyzed. Speaking In conclusion, director of the close-up shot in the animation of the story deployment is an effective emotional expression of how to make the psychological reality of the audience accommodation can be immersed in the fantasy west by letting the maximum, is a me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