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유권자들의 이념적 정렬과 정서적 양극화 : 18대, 19대, 20대 대통령 선거 분석 결과

        김성연 ( Kim Sung-youn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6

        정서적 양극화(affective polarization)에 관한 그동안의 연구들은 그 이론적 시각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정서적 양극화가 당파적 정렬(partisan sorting)과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에 이 연구는 한국 유권자들의 정서적 양극화와 이념적 정렬(ideological sorting)의 관계를 18대, 19대, 20대 대통령선거 여론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우선 한국 유권자들의 정서적 양극화와 이념적 정렬은 동시에 진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즉, 18대 대선 이후 양당 지지자들이 점차 진보와 보수로 결집하면서 동시에 이들 사이의 정서적 양극화가 심화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이념적 차이의 확대와 정서적 양극화는 실제로 밀접한 연관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적으로, 지난 세 차례 대선을 거치면서 이념 성향이 정서적 양극화에 미친 영향은 계속해서 강해졌다. 이것은 이념적 정렬에 따른 양당 지지자들 사이의 이념적 차이의 확대가 정서적 양극화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합적으로, 이 연구는 적어도 18대 대선 이후 한국 유권자들의 정서적 양극화가 이념적 정렬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정서적 양극화의 원인 중 하나가 이념적 차이의 확대일 수 있는 것이다. Studies on the cause of affective polarization, despite the difference in their theoretical perspective, suggest that affective polarization is likely to be related to partisan sorting. This study investigates how Korean voters’ affective polarization is related to ideological sorting using three presidential election survey data since 2010s. The results show that the affective polarization and ideological sorting took place together since the 2012 election. That is, affective polarization increased while the supporters of the two largest parties in Korea got more ideologically extreme. Moreover, this increased ideological distance actually influenced affective polarization. In essence, the effect of ideological strength on affective polarization has steadily increased over time, indicating that the increase in ideological difference impacted affective polarization. Overall, the study suggests that the affective polarization in Korea since the 2012 election was closely related to the increase in ideological difference. That is, ideological sorting may be one of the reasons of affective polarization in Korea.

      • KCI등재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원인

        이내영(Nae Young Lee) 한국정당학회 2011 한국정당학회보 Vol.10 No.2

        본 논문의 핵심 목적은 최근 한국 사회에서 심화되고 있는 이념갈등의 원인이 일반국민들 사이의 이념적 양극화 때문인지, 아니면 정치권에서의 이념 양극화 때문인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2002년부터 2009년까지의 다양한 여론조사자료를 경험적으로 분석하여 일반국민과 국회의원의 이념성향의 변화와 주요 정책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이 논문의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선 일반국민들의 이념성향의 분포는 역동적으로 변화하였다. 노무현 정부의 출범시기인 2002년 겨울부터 국민들의 이념성향의 분포에서 진보의 비중이 증가하였지만, 이후 노무현 정부에 대한 실망감이 커지면서 중도의 비율이 증가하여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 왔다. 이 조사결과는 일반국민들 수준에서는 이념적 양극화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을 나타낸다. 2) 국회의원의 이념성향의 분포의 변화 추세를 보면 어느 당이 다수당이 되는가에 따라 진보, 중도, 보수의 비율이 크게 변화해 왔다. 가장 주목할 만한 추세는 16대 국회에 비해, 17대, 18대 국회 의원들에서 중도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다는 점이다. 중도성향 국회의원의 비율이 감소하는 추세는 주요 정당 소속 의원들 사이에 이념적 거리와 간극이 크게 증가하였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제시한 본 연구의 핵심 주장은 최근 한국 사회에서 이념갈등이 심화되는 주요 이유는 일반국민들 사이에 이념대립과 양극화가 커졌기 때문이 아니라, 정당의 지도부를 구성하는 정당 소속 의원들 사이에 이념적 거리가 커져왔기 때문이라는 점이다.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at is the main cause of increasing ideological conflict in Korean society. This paper tries to test the two contending hypotheses: the general public polarization hypothesis and the political elite polarization hypothesis. In order to test these hypotheses, this paper analyzes changing ideological orientation and policy preference of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by analyzing various opinion surveys conducted from 2002 to 2009. The main finding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ideological configuration of the general public has been changed substantially. Reflecting the victory of Roh Mu-hyun in the 2002 presidential election, the ideological configuration of the public shifted to the progressive direction. However, when the public became disenchanted with Roh Mu-hyun presidency, the proportion of the public having the neutral ideological position increased substantially and remained the largest, compared to the proportion of the public having the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position. This finding clearly indicates that the ideological configuration of the general public was not polarized. 2) the ideological configur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also changed rapidly. The most significant trend was that the propor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having the neutral ideological position among the 17th and the 18th National Assembly members substantial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16th National Assembly members. This trend indicates increasing ideological distance and disparity among major party members. From these findings, this paper draws the main conclusion that the ideological polarization of the political elite, not the polarization of the general public, was the main source of intense ideological conflict observed recently in the Korean society.

      • KCI등재

        미국의 정치양극화와 대의민주주의 실패의 한국 정치에의 함의: 정치양극화의 헌법사회학 분석

        정영화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홍익법학 Vol.20 No.1

        There is an important evidence which the gap of ideological conflicts (polarization) between the ruling party and a leading opposition party has intensified since the 2000s. There is no theoretical study on whether polarization of politics is caused by the polarization of political group or whether it affects the polarization of voters. Moreover, when politicians and voters regard the polarization debate such as ideological conflict as 'unfavorable or favorable' of their political interests, they may ignore the essential problem of political polarization. I examine the constitutional improvement of parliament, political parties and elections in order to develope a representative democracy, which is an essential issue of political polarization. In the 1990s,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reformed the Congress through a keen debate on the political polarization, but the ideological indicators of voters have changed from the Republican conservatism, the Democratic Liberalism and the Tea Party’s Centrism, which advocates the establishment of the Third Party. This paper is concerned abou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polarization of political parties and the polarization of voters through the origins and evolution of political polarization in the United States. First, I examined the definition and types of political polarization, and the polarization of political parties and parliament in detail. Second, I examined the dysfunctions of democracy and electoral system due to the polarization of parliament and political parties in United States(Ⅲ). Finally, I examined the differences in political polariz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and analysed the constitutional reformations to the parliamentary, party, and electoral systems needed to resolve political polarization in Korea. 2000년대부터 여당과 야당 간의 양극화가 심화되는 증거가 있다. 정치 양극화가 정치집단의 양극화에서 기인하는지 또 유권자의 양극화에 악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없다. 더구나 정치인이나 유권자가 이념적 갈등과 같은 양극화 논의를 자신의 정치적 이해관계의 ‘유(불)리’로 파악하면 정작 정치 양극화의 본질적인 문제를 간과하게 된다. 필자는 정치 양극화의 본질적 문제인 대의민주주의를 발전시키기 위해서 의회와 정당 및 선거의 헌법적 제도개선을 검토하지 않을 수 없다. 이미 1990년대부터 미국 연방하원에서 정치 양극화가 점화되면서 먼저 의회권력이 조정되었다. 그러나 2000년대부터 미국 유권자의 이념 지표가 종래 공화당의 보수주의와 민주당의 진보주의 이외 제3 정파인 중도주의가 다수를 점하면서 정치 양극화는 정당개혁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 글은 미국의 정치 양극화의 원인과 변천을 통해서 정당의 양극화와 유권자의 양극화의 인과관계를 살펴본다. 정치 양극화의 개념과 유형, 정당 및 의회의 양극화가 유권자의 정치적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Ⅱ). 둘째, 의회와 정당의 양극화가 대의민주주의 및 선거제도에 미치는 역기능도 검토한다(Ⅲ). 끝으로, 미국의 정치양극화가 한국 정치양극화의 해소방안에 대한 시사점으로서 의회․선거․정당에 관한 헌법개혁을 검토한다(Ⅳ).

      • KCI등재후보

        정당 간 양극화를 통해 본 유권자의 투표참여

        가상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1 『選擧硏究』 Vol.1 No.1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tisan polarization on voters' participation in elections. Likewise, it investigates whether voters' participation in elections shows different patterns depending on their preference for political parties and the evaluation of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political parties. Existing literatures on voting participation have limitations in explaining the increase of voting turnout. To explain this more comprehensively, it is necessary to find out how partisan polarization has an effect on the electorate. Scholars who consider partisan polarization to be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argue for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urnout and partisan polarization. However, scholars who see party discrimination, interests of voters, and threats from opposing parties from partisan polarization suggest the rising voting turnout. Statistical result shows that both variables have an influence on voting participation in different directions in the 21st General election. In other words, the more the electorate have conflicting preference for the two parties, the more they participate in the election. But, the more the electorate evaluate the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arties, the less they participate in the election.The variables having effect on the vot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evious election but didn't participate in the 2020 election are the difference in party preference and the difference in party ideology. However, the factor that influences the voter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evious election but have did participate in the 2020 election is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between parties. These results show that partisan polarization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voting behavior of the electorate, and it is an important factor in understanding rising voting turnout. The study finds that some voters who understand partisan polarization as conflict between parties are moving away from voting, but there are more voters who connects partisan polarization as a threat to their interests and their group participate in elections. In result, it is expected that affective polarization be an important factor in explaining voting behavior of the electorate. 본 연구는 유권자들의 적극적 투표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정당 간 양극화를 보는 . , 유권자의 인식이 투표참여에 어떠한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알아보려 한다. 투표참여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현재 일어나고 있는 투표율 상승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를 좀 더 포괄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정당 간 양극화가 어떻게 유권자에게 다가오고 있는가에 대해 알아봐야 한다. 정당 간 양극화의 이념적 대립을 보는 학자들은 투표율과 정당 간 양극화의 부정적 관계를 주장하고 있다. 반면, 정당 간 양극화로 인한 정당 차별성, 유권자의 이해관계, 반대 정당의 위협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투표율 상승을 말하고 있다. 제21대 국회의원선거를 통해 두 변수 모두 투표참여에 다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두 정당에 대해 상반되는 호감도를 가지고 있을수록 투표에 참여하지만 두 정당 간 이념 평가 차이가 커질수록 투표에 참여하지 않는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과거에 투표에 참여한 유권자가 투표불참을 결정하는 데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당 호감도차이 변수와 함께 정당 이념 평가 차이 변수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과거 투표에 불참한 유권자가 투표참여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당 간 호감도 차이 변수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엘리트 간 이념 양극화는 유권자의 투표행태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으며 상승하는 투표율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인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정당 간 이념 양극화를 정당 간 갈등으로 이해하는 유권자들은 투표로부터 멀어지고 있지만 이들보다는 자신의 이해관계 그리고 자신이 속한 집단에 대한 위협으로 느끼며 투표에 참여하는 유권자가 많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정당일체감을 통한 유권자의 정서적 양극화는 유권자의 투표행태를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 국회에서의 정당 양극화: 제16-18대 국회 본회의 기명투표에 대한 경험적 분석

        이내영,이호준 한국의정연구회 2015 의정논총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trend of party polarization and analyze its political consequences in South Korea. Party polarization refers to the diminishing of the center and surge of extreme political positions among political parties. In order to explore the trend of party polarization, we analyze the roll-call votes data in the 16-18th South Korean National Assembly by exploiting the NOMINATE method. The main findings from empirical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arty polarization in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increased substantially during the last decade or so. Second, we find that the emergence of the Uri Party in 2003 is the watershed of party polarization in South Korea. Finally, party polarization in South Korea is ‘asymmetrical’ where the emergence of liberal parties (Uri Party and Democratic Labor Party) significantly expanded the ideological dimension to the liberal-side while the Grand National Party’s move towards the conservative-side is subtle. In the final section, we also discuss the political consequences of party polarization. We argue that despite some of the positive effects of party polarization, party polarization has more negative effects in the South Korean context. We argue that hostile confrontation between ruling party and opposition party, frequent political gridlock, low political productivity, and the increasing political distrust are the consequences of party polarization. We suggest that institutional reforms and the revitalization of consensus politics are crucial to alleviate the negative effects of party polarization. 한국사회에서 ‘정치의 실패’가 반복되는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되는 현상이 정당의 이념양극화이다. 정당의 이념양극화는 중도의 비율은 줄어들고 극단적인 이념성향을 가진 세력의 비율과 영향력이 늘어나면서 정당간의 이념적 거리가 증가하고, 그 결과 정당간의 적대적 대립이 증가하고 정치적 교착이 일상화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국회에서의 정당 양극화의 추세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그 정치적 결과를 논의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국회의원과 국민에 대한 여론조사를 통해 정당 양극화를 분석한 다수의 기존 연구들과는 다르게 국회의원들의 기명투표 자료를 활용하는 NOMINATE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제 16대부터 18대 국회에서의 정당 양극화의 추세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경험적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회에서의 의원들의 기명투표 자료를 통해 한국 국회의 정당 양극화의 수준이 지난 십여 년간 뚜렷하게 증가한 추세가 확인되었다. 둘째, 한국 국회의 정당 양극화는 17대 국회에서부터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중요한 분기점은 2003년 열린우리당의 창당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한국의 정당 양극화는 진보계열의 정당인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에 의해 추동된 비대칭적 양극화(asymmetric polarization)였다. 지난 십여 년간 보수정당인 한나라당의 이념적 위치는 대동소이했던 반면 2003년과 2004년에 원내로 진입한 진보계열의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이 한국 국회의 이념적 스펙트럼을 진보 쪽으로 급격하게 확대시켰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더불어 본 논문은 경험적 분석에서 확인된 정당의 이념양극화의 심화 추세가 정치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본 논문은 정당의 이념양극화는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를 동시에 가지지만 한국의 정치현실에서는 정당의 이념양극화가 정당정치는 물론, 국회운영과 국정운영 전반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가 더 두드러지고 심각하다고 주장한다. 정당의 양극화로 인한 부정적 효과로는 적대적인 여야관계, 빈번한 입법 교착, 정치의 생산성 저하, 정치적 불신의 증가 등을 지적한다. 따라서 정당양극화로 인한 정치의 실패를 극복하기 위해 정치권이 정치제도 개혁과 소통과 타협의 정치를 복원시키는데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남남갈등에서의 정치적 양극화와 중도정치

        채진원(Chae, Jin Wo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통일인문학 Vol.69 No.-

        우리 사회의 이념무드가 중도로 수렴되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진보진영과 보수진영간의 남남갈등이 심화되는 현상을 어떻게 봐야 할까? 본 논문의 목적은 ‘정치적 양극화’에 대한 논의를 통해 남남갈등의 원인을 진단하고, 바람직한 해법을 탐색하는 데 있다. 즉, 논문은 첫째, 정치엘리트들이 이념적인 편향성을 동원(mobilization of bias)하여 국민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그것에 영향을 받은 국민이 보수와 진보로 편을 갈라서 이념적 · 정파적으로 싸우게 됨으로써 남남갈등이 초래된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경험적으로 논의한다. 둘째, 그러한 원인진단에 따라 바람직한 남남갈등의 해법을 탐색한다. 이러한 접근은 그동안 남남갈등의 원인이 진영간의 적대적인 불인정과 소통부족이고, ‘진영간의 합리적인 의사소통’을 대안으로 제시했던 것에 대한 반성이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남남갈등의 실체는 결국 국민수준과 무관하게 정파적 · 이념적 편향성을 동원하는 정치엘리트 수준의 정치적 양극화에 따른 갈등이다. 남남갈등의 원인이 정치엘리트 차원의 ‘집단 극단화’에 따른 이념적 편향성의 동원이라는 ‘정치적 양극화’때문이라면, 그 해법은 ‘집단 극단화’와 ‘정치적 양극화’에 따른 극단정치에 대한 경계이며, 평균적인 국민수준의 정서와 이념적인 성향에 초점을 맞추면서 극단을 견제하고 균형을 추구하는 중간지대가 활성화되는 ‘중도정치’가 바람직하다. Though the trend that we have ideological mood of society converge to Moderate, decide how the phenomenon of intensifying South-South conflict between liberals and conservatives look?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agnose the cause of South-South conflict through discussion of "political polarization" and navigate to the desired solution. in other words, paper, first, the political elite ideological mobilized bias affects the national level by the National influenced it divided into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ideological, partisan to the fight being strangers in theory empirically that the conflict has caused It will be described in. the second, paper searches for the solution of the preferred according to the South-South conflict cause such diagnosis. these approaches, which have been the cause of South-South and disregarded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hostile sides of the conflict, therefore, is a reflection of what was presented the "Reason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 camp" as an alternative.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the reality of South-South conflict is a conflict of the political polarization of the political elite, regardless of the level of the end mobilize the national level, partisan, ideological bias. If, because the cause of South-South conflict political elite dimensional "political polarization" of the mobilization of bias based on ideological excess, the solution is the refrain of the extreme politics of the political polarization, the average national level of the emotion and focus on the ideological inclinations aligning it would be desirable that "Moderate politics to counterbalance the extremist and seek balance.

      • KCI등재

        한국 국회에서의 정당 양극화 : 제16-18대 국회 본회의 기명투표에 대한 경험적 분석

        李來榮,李皓俊 한국의정연구회 2015 의정논총 Vol.10 No.2

        한국사회에서 ‘정치의 실패’가 반복되는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되는 현상이 정당의 이념양극화이다. 정당의 이념양극화는 중도의 비율은 줄어들고 극단적인 이념성향을 가진 세력의 비율과 영향력이 늘어나면서 정당간의 이념적 거리가 증가하고, 그 결과 정당간의 적대적 대립이 증가하고 정치적 교착이 일상화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국회에서의 정당 양극화의 추세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그 정치적 결과를 논의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국회의원과 국민에 대한 여론조사를 통해 정당 양극화를 분석한 다수의 기존 연구들과는 다르게 국회의원들의 기명투표 자료를 활용하는 NOMINATE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제 16대부터 18대 국회에서의 정당 양극화의 추세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경험적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회에서의 의원들의 기명투표 자료를 통해 한국 국회의 정당 양극화의 수준이 지난 십여 년간 뚜렷하게 증가한 추세가 확인되었다. 둘째, 한국 국회의 정당 양극화는 17대 국회에서부터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중요한 분기점은 2003년 열린우리당의 창당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한국의 정당 양극화는 진보계열의 정당인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에 의해 추동된 비대칭적 양극화(asymmetric polarization)였다. 지난 십여 년간 보수정당인 한나라당의 이념적 위치는 대동소이했던 반면 2003년과 2004년에 원내로 진입한 진보계열의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이 한국 국회의 이념적 스펙트럼을 진보 쪽으로 급격하게 확대시켰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더불어 본 논문은 경험적 분석에서 확인된 정당의 이념양극화의 심화 추세가 정치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본 논문은 정당의 이념양극화는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를 동시에 가지지만 한국의 정치현실에서는 정당의 이념양극화가 정당정치는 물론, 국회운영과 국정운영 전반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가 더 두드러지고 심각하다고 주장한다. 정당의 양극화로 인한 부정적 효과로는 적대적인 여야관계, 빈번한 입법 교착, 정치의 생산성 저하, 정치적 불신의 증가 등을 지적한다. 따라서 정당양극화로 인한 정치의 실패를 극복하기 위해 정치권이 정치제도 개혁과 소통과 타협의 정치를 복원시키는데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trend of party polarization and analyze its political consequences in South Korea. Party polarization refers to the diminishing of the center and surge of extreme political positions among political parties. In order to explore the trend of party polarization, we analyze the roll-call votes data in the 16-18th South Korean National Assembly by exploiting the NOMINATE method. The main findings from empirical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arty polarization in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increased substantially during the last decade or so. Second, we find that the emergence of the Uri Party in 2003 is the watershed of party polarization in South Korea. Finally, party polarization in South Korea is ‘asymmetrical’ where the emergence of liberal parties (Uri Party and Democratic Labor Party) significantly expanded the ideological dimension to the liberal-side while the Grand National Party’s move towards the conservative-side is subtle. In the final section, we also discuss the political consequences of party polarization. We argue that despite some of the positive effects of party polarization, party polarization has more negative effects in the South Korean context. We argue that hostile confrontation between ruling party and opposition party, frequent political gridlock, low political productivity, and the increasing political distrust are the consequences of party polarization. We suggest that institutional reforms and the revitalization of consensus politics are crucial to alleviate the negative effects of party polarization.

      • KCI등재

        한국 유권자의 정서적 양극화 : 주요 원인과 비정치적 효과

        이내영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2022 亞細亞硏究 Vol.65 No.4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auses and effects of affective polarization among Korean electorate. In order to examine the main causes of affective polarization, this paper suggests the two contending theories: the partisan identity theory and the ideology/policy theory, and various hypoheses drawn from the two theories are tested by empirical analysis. Empirical findings indicate that affective polarization is strongly related to the strength of partisan identity as well as ideological distance and policy difference between the two main parties. In addition, strong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strength of partisan identity and policy difference of the two main parties is detected. This paper also tries to analyze non-political effects of affective polarization in Korea. This paper examines whether affective polarization brings negative effects on four different types of social relations between the partisans of different parties. The empirical findings show that the hypothses are only partially supported. In the highly intimate social relations such as marriage and close friendship, the negative effect of affective polarization on social relations is very salient. Yet in the less intimate social relations such as neighbors and company colleague, the negative effect of affective polarization is not salient. 본 논문의 목적은 새로운 정치 갈등의 양상으로 최근 부각되고 있는 한국 유권자의 정서적 양극화의 원인과 효과를 2022년 한국정치학회가 수행한 양극화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정서적 양극화의 주요 원인에 관한 분석에서는 먼저 정서적 양극화의 원인을 설명하는 두 가지 지배적인 이론적 시각으로 당파적 정체성 이론과 이념/정책차이 이론을 제시하고 두 이론에서 도출된 가설들에 대한 검증을 통해 두 이론의 적실성을 비교하였다. 경험분석의 결과 당파적 정체성의 강도와 양당 사이의 이념과 정책에 대한 차이가 각각 정서적 양극화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당파성 강도와 양당의 정책 차이, 그리고 두 변수 사이의 상호작용 항을 포함한 종합모델에서는 두 변수의 정서적 양극화에 미치는 독립적 영향력이 현저하게 줄고 상호작용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당파성의 강도 변수가 정당의 정책차이 변수에 비해 정서적 양극화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이 크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정당의 이념적 양극화와 정서적 양극화 사이의 상호 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정서적 양극화의 효과에 관해서는 비정치적 효과에 주목하여, 정서적 양극화가 타당 지지자와의 네 가지 다른 유형의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경험분석의 결과 친밀도가 깊은 사회적 관계인 결혼이나 친구관계에서는 양당에 대한 호감도의 차이가 큰 유권자일수록 타당 지지자와의 관계를 불편하게 여기는 것이 확인되었지만, 친밀도가 얕은 사회적 관계인 이웃이나 직장동료관계에서 양당에 대한 호감도의 차이가 크더라도 타당 지지자를 불편하게 여기지는 않는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즉 정서적 양극화가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는 사회적 관계의 영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정치이념, 정책의 중요성, 그리고 정서적 양극화: 제20대 대통령선거

        김기동,박영득,이재묵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지역과 세계 Vol.46 No.3

        South Korea, like other democracies, recently experiences affective polarization. Some scholars, based on social identity theory, explain that partisan identity leads to the rise of affective polarization, while others focus on political ideology and policy preferences to explain it. In this study, we argue that the two perspectives are not independent, but rather intertwined each other. Specifically, we expect that both voters' political ideology and the degree to which policy is important for their vote choice may conditi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artisan identity and affective polarization. Analyzing original survey data fielded before the 20th Sou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we find empirical evidence that supports our expectation. T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ppears more salient among those with extreme political ideology and those who perceive policy is important for their vote choice. In sum, our findings suggest that political ideology and policy attitudes as well as partisan identity concurrently produce South Korean voters' affective polarization. 최근 세계적으로 목격되는 정서적 양극화의 현상에서 한국 역시 예외는 아니다. 정서적 양극화의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 몇몇 연구들은 사회정체성 이론에 입각하여 당파적 정체성과 당파적 배열에 근거한 논리를 제공하는 반면, 또 다른 연구들은 유권자들 사이의 정치이념과 정책선호에 주목한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설명논리가 병렬적이지 않고, 그 대신 당파적 정체성의 심화에 따른 정서적 양극화의 표출이 정치이념 및 정책선호의 강도에 의해서 더욱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를 제20대 대통령선거에서의 한국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경험적으로 검증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경험적 분석결과는 사회정체성 이론에 근거한 당파적 정체성과 정서적 양극화 간 양의 상관관계가 중도보다 진보 혹은 보수적 정치이념 강도가 강한 유권자들 사이에서 더 두드러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양자의 관계는 정책을 중요하게 여기는 유권자들 사이에서도 더욱 강해지는 것으로 확인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 유권자들의 정서적 양극화가 당파적 정체성뿐만 아니라 정치이념 및 정책에 의해 함께 추동되고 있음을 보인다.

      • KCI등재

        정치적 양극화 연구의 현황과 과제

        신정섭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23 연구방법논총 Vol.8 No.3

        Political polarization is considered one of the global phenomena threatening both modern democracies and emerging democracies alike, and it is regarded as a serious issue jeopardizing democracy. Particularly, South Korea has been assessed as one of the countries where political polarization is most pronounced, according to recent global surveys. Therefore, many studies have been published on political polarization, but existing research has shown limitations in terms of solutions to address it.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critically analyzes existing studies to summarize the definition, measurement, causes, and impacts of political polarization and proposes future research agendas. Based on this, it discusses strategies to resolve political polar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