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목표 행동 촉진을 위한 설득 커뮤니케이션 연구

        김재휘(Jae Hwi Kim),강윤희(Na Jin Kwon),권나진(Yoon Hee Kang) 한국마케팅학회 2014 마케팅연구 Vol.29 No.2

        연구는 공공의 이익을 위해 다수가 관여된 사회적 목표 행동의 실천에 있어, 동일한 상황에 놓인 다른 사람에 대한 상호성 인식에 따라 효과적인 목표 프레임이 달라짐을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1에서는 동일한 목표에 놓인 다른 사람들이 얼마나 많이 행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사회적 목표 행동의 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더 나아가 이러한 사회적 상호성(다수, 소수)과 목표 프레임(to-date, to-go)이 사회적 목표의 실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소수에 비하여 다수가 실천하고 있다는 정보가 사회적 목표의 실천을 높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수 행동에 대한 정보가 주어졌을 경우, to-date 프레임 보다는 to-go 프레임이, 소수 행동에 대한 정보가 주어졌을 경우, to-go 프레임 보다는 to-date 프레임에 대한 실천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사회적 목표를 추구하는 상황에서 개인이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관계 속에서 자신을 해석하는 유형에 따라 사회적 목표의 실천에 있어 효과적인 목표 프레임이 달라질 것이라 가정하였다. 즉, 다른 사람들(집단)과 자신의 상호 관계 점화에 따라 차별적인 목표 프레임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상호의존적 상호 관계가 점화되는 경우에는 to-date 프레임보다 to-go 프레임이, 독립적 상호 관계가 점화되는 경우에는 to-go 프레임보다 to-date 프레임이 사회적 목표 행동의 실천 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oal frame in the process of social goal pursuit. Social goals are defined as shared goals that groups of people are involved, such as charity/fund raising events. In study 1, it focuses on the effect of a message that indicates how many people are pursuing the same goal and its effect on actual goal pursuit. In addition, it also investigates on interaction effect with goal frame (To-go/To-date) and this message suggesting many/only a few people are pursuing the same goal. The result of study 1 suggests that the message that many people are engaged in a goal rather than message that few people are engaged in same goal elicits higher behavioral intention for goal pursuit. Moreover the results of interaction effect suggests that, for the message that few people are engaged, to-date frame (vs. to-go frame) shows higher intention for goal pursuit while for the message that many people are engaged, to-go frame (vs. to-date frame) shows higher intention for goal pursuit. Study 2 focuses on the effect of self-construal level and its interaction effect with goal frame in a pursuit of goal. Self-construal can be explained as the way of how individuals see themselves in a group they belong, whether they include themselves inside the group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or regard themselves independently (independent self-construal). The result suggests that, for th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to-go frame leads to higher behavioral intention while for the independent self-construal, to-date frame leads to higher behavioral intention for goal pursuit.

      • KCI등재

        Do Prior Messages Work to Promote Motivation for Serious Game Playing?

        Eun Hae Park,박은혜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6 No.-

        본 연구는 기능성 게임의 동기와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메세지 개발을 위해 진행 되었다. 메세지는 자기 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에 근거한 내재적 목표 프레임(intrinsic goal framing)과 외재적 목표 프레임(external goal framing)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두 가지 유형의 메세지 중에서 어떤 것이 더 효과적으로 기능성 게임의 동기와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개개인의 이슈 관여도가 메세지 정보처리과정 및 동기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슈 관여도를 조절변수로 실험하였다. 이를 위해, 총 120명의 한국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2x2(목표 프레임 x 이슈 관여도)의 집단간 비교 실험 을 하였다. 실험은 먼저 1) 관여도와 목표 프레임을 설정하기 위한 메세지를 읽고 2) 실제 기능성 게임을 실행 후, 3) 응답지에 질문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내재적 목표 프레임을 기능성 게임 전에 제공하는 것이 외재적 목표 프레임 메세지를 보여주는것 보다 게임에 대한 동기 및 교육적 효과를 훨씬 더 극대화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개인의 이슈 관여도의 경우, 주효과 및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ffects of external aid that can enhance motivation and performance of serious game playing to maximize learning effects.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two types of rationales, intrinsic goal framing and extrinsic goal framing, were examined to examine message type effectiveness. Also, individual’s level of issue involvement was tested as a moderating variabl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oal framing on motivation and moderating effects of involvement, this study used a 2 x 2 (goal framing x involvement) between subjects design with 120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Three procedures were involved in the experiment: 1) receiving messages with involvement and goal framing manipulations 2) playing an actual serious game, and 3) answering a survey questionnaire. Overall, providing an intrinsic goal before a serious game was more effective at increasing both motivation and performance than presenting an extrinsic goal. However, there were no main effects or interaction effects in terms of issue involvement.

      • KCI등재

        메시지 방향성이 광고 반응에 미치는 효과 연구

        윤태웅,이병관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2 No.1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message framing, framing types and regulatory focus on attitudes towards and purchase intention for a digital camera. Specifically, there were moderating roles of framing types and regulatory focu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essage framing and such outcome measures as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While a large number of studies examined the effects of message framing on persuasion without regard to framing types such as attribute framing and goal framing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ffects of message framing differ between attribute framing and goal framing. In the context of attribute framing, positively framed messages were more effective than negatively framed messages regardless of participants’ regulatory focus. However, in goal framing context,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message framing on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was moderated by participants’ regulatory focus. Past studies suggested that promotion focused consumers were influenced more by positively framed messages while prevention focused consumers were affected more by negatively framed messages. This study, however, found that the moderating role of regulatory focus was reversed under high involvement context. In specific, promotion focused participants were more influenced by negatively framed messages while prevention focused participants were affected more by positively framed messages, indicating regulatory unfit effect rather than regulatory fit effect under high involvement context. 본 연구는 메시지 프레이밍의 효과를 연구한 것으로, 메시지 방향성 (긍정적/부정적)이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프레이밍 유형 (속성 프레이밍 vs 목적 프레이밍)과 소비자의 조절초점 (촉진적 또는 방어적) 에 따라 조절되어진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히고 있다. 많은 과거 메시지 프레이밍의 연구들이 프레이밍 유형의 구분 없이 프레이밍 연구를 다루었는데 이 연구에서는 속성 프레이밍의 경우는 Levin, Schneider 와 Gaeth (1998)가 주장한 것처럼 긍정적 메시지 프레이밍이 소비자의 조절초점에 상관없이 부정적 메시지 프레이밍 보다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목적 프레이밍의 경우에서는 소비자의 조절초점에 따라서, 제품태도와 구매의도간에 차이가 나타남을 보여준다. 특히 주목할 점은 기존의 조절초점이론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는 조절초점과 메시지사이의 일치가 이루어진 경우에 더 효과적인 것이 아니라, 촉진초점인 경우에는 부정적 메시지 프레이밍이 긍정적 메시지 프레이밍 보다 더 효과적으로 나타난 반면, 방어초점인 경우에는 긍정적 메시지 프레이밍이 부정적 메시지 프레이밍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기존의 수동적으로 정보처리 하는 상황하의 조절초점이론의 연구를 능동적으로 정보처리 하는 상황으로 연장시킨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Wang 과 Lee (2006)의 연구에서 보인 것처럼, 고관여 상황인 경우에는 기존의 조절초점이론의 예측과는 반대되는 결과를 보여준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고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프레이밍 유형을 구분함으로써, 메시지 방향성에 대한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의 차이가 조절초점에 의해서 조절되어지는 것이 목적 프레이밍에 한정 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조절초점이 메시지 프레이밍에 갖는 영향의 경계에 대해서도 의미 있는 결과를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위에서 밝힌 이론적 기여뿐 아니라, 실용적인 측면에서도, 광고실무자들은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광고 메시지의 방향성을 결정할 때 메시지를 속성 프레이밍 할 경우에는 긍정적 메시지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고, 목적 프레이밍인 경우에는 메시지 방향성을 결정할 때 소비자들의 조절초점과 관여도를 바탕으로 메시지 방향성이 결정 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소비 목표와 조절 프레임이 상품 메시지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민정(Min Jeong Kang),박기완(Ki Wan Park) 한국마케팅학회 2014 마케팅연구 Vol.29 No.3

        본 연구에서는 소비 목표(쾌락적 또는 실용적 목표)와 조절 프레임에 따라 소비자의 메시지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를 탐색하였다. 쾌락적 소비 목표 하에서는 촉진 프레임의 메시지가 예방 프레임의 메시지보다 설득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며, 실용적 소비 목표 하에서는 예방 프레임의 메시지가 촉진 프레임의 메시지보다 설득효과가 더 크게 나타날 것이라 예측하고 검증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메시지 반응에 대한 소비 목표와 조절 프레임 간의 조절적합성 효과를 설명하는 심리적 기저로서 정보 처리의 유창성 및 경험적-이성적 사고방식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매개 가설을 검증하였다. 주스(연구 1)와 자전거(연구 2) 등 두 가지의 상품군을 이용해 연구해 본 결과, 상품 메시지 태도에 대한 소비목표와 조절 프레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두 가지 소비 목표 모두에서 조절 프레임이 메시지 태도에 미치는 효과가 가설에서 예측한 방향과 일치하게 나타났다. 연구 1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쾌락적 목표 하에서는 정보 처리의 유창성에 의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나, 실용적 목표 하에서는 유창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사고방식을 새로운 매개변수로 도입하여 분석한 연구 2에서는 쾌락적 목표 하에서는 경험적 사고방식이, 실용적 목표 하에서는 이성적 사고방식이 소비목표와 조절프레임 간의 적합성 효과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용적 목표 하에서는 유창성의 직접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이성적 사고를 통한 순차적인 매개효과만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쾌락적 목표 하에서는 경험적 사고가 유창성에 영향을 주어 상품 메시지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사고방식의 도움 없이 유창성 자체만으로도 메시지에 대한 태도를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aims to determine how and why consumption goals - hedonic versus utilitarian goals - moderates the effect of regulatory frames on consumers` attitude toward product messages. It is hypothesized that consumers with hedonic goals exhibit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promotion- than prevention-framed messages, whereas consumers with utilitarian goals show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prevention- than promotion-framed messages. Furthermore, two complementary processes that underlie the interactive effect of consumption goals and regulatory frames on attitude toward product messages are proposed. Two sets of mediating variables include processing fluency and experiential- rational thinking style. In two experimental studies that used juice(study 1) and bicycles(study 2) as target products, the interactive effect between consumption goals and regulatory frames on attitude toward product messag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Results also showed that processing fluency emerged as an important mediating variable, even if that was the case only under the hedonic goals. Thus, another mediator, thinking style, was introduced in study 2. The results of study 2 shed more light on the underlying mechanism of the congruency effects between consumption goals and regulatory frames on attitude toward product messages. The bootstrapping tests confirmed two-stage serial mediation processes. Under the hedonic goal, regulatory frames affected attitude toward product messages directly via experiential thinking style and processing fluency or serially via experiential thinking style through processing fluency. In contrast, the (direct) mediating effect of processing fluency was not significant under the utilitarian goal. Instead, regulatory frames influenced attitude toward product messages through rational thinking style directly or the serial mediation of rational thinking stle → processing fluency.

      • KCI등재

        미래 예측 방식, 정서 사건에 따른 메시지 프레이밍, 그리고 실행 의도

        김정애(Kim, Jung-a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0 No.4

        본 연구는 장기간 목표 행동의 실행 의도를 높이기 위해 미래 예측 방식과 정서 사건, 메시지 프레이밍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목표 행동의 실행 의도는 목표의 시작 시점부터 목표의 종료 시점까지의 시간을 얼마나 짧게 지각하였느냐가 매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1은 2(미래 예측 방식: 순향/역향) × 2(정서 사건: 긍정/부정)의 요인 설계를 하였으며, 종속 변인은 목표 행동의 실행의도(프로그램 신청 의도), 매개 변인은 시간 지각을 측정하였다. 이원 분산 분석 결과, 순향으로 목표 수행 기간 동안 발생할 사건을 예측하는 것보다 역향으로 예측하는 것이 목표 행동의 실행의도가 높았다. 이러한 효과는 시간 지각이 매개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연구 2는 2(미래 예측방식: 순향/역향) × 2(정서 사건: 긍정/부정) × 2(메시지 프레이밍: 긍정/부정)의 요인 설계를 하였으며, 종속 변인은 목표 행동의 실행 의도(개인연금의 가입 의도), 매개 변인은 시간 지각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삼원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순향 예측의 경우, 목표 수행 기간동안 자신에게 발생 가능한 부정적인 사건을 상상해 보고, 이후에 목표 행동을 함으로써 미래의 부정적인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긍정적 메시지가 제시되었을 때 목표의 실행 의도가 높았다. 반면, 역향 예측에서는, 자신에게 발생 가능한 긍정적인 사건을 상상해 보고, 그 뒤 목표 행동을 함으로써 예상했던 긍정적인 미래를 누릴 수 있다는 긍정적 메시지를 제시했을 때 목표의 실행 의도가 높았다. 이러한 효과는 수행 기간에 대한 시간 지각이 조절된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future prediction, emotional events, and message framing in order to increase the intention of long-term goal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ntion of the target action mediated how short the time from the start point of the goal to the end point of the goal was perceived. Study 1 was designed 2 (future prediction: forecasting/backcasting) × 2 (affective event: positive/negative).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intention to execute the goal behavior (program application intention). As a result of two - way ANOVA, it was more intentional to execute the target behavior than to anticipate the events that occur during the target execution period in backcasting. These effects were verified to be mediated by time perception. Study 2 was designed 2 (future prediction: forecasting/backcasting) × 2 (affective event: positive/negative) × 2 (message framing: positive/negative). The mediator measured the time perception. As a result, three-way inter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forecasting, when the positive message was presented, the intention of the goal is high. On the other hand, in backcasting, when the positive message was given, the intention of the goal is high. This effect was confirmed as a moderated mediating role of time perception.

      • KCI등재

        45일 vs. 1달 15일:단일단위와 복합단위의 기간 제시와 소비자 자기통제

        김선영,윤세정,석관호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22 No.3

        This research examines the influence of perceived time affected by time unit framing on consumer self-control. Prior research on unit effect focuses on whether numerical information is presented in small units or in large units and compares the difference in consumers’ decision making based on the numeros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time unit framing effect, which has not been test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Specifically, we investigated the time unit framing effect when the same period of time is presented either in mixed-unit time frame (e.g., 1 month and 15 days) or in single-unit time frame (e.g., 45 days). The theoretical explanation for the unit framing effect is based on the phenomenon that people categorize the time presented with mixed-unit frame in discrete periods of time and the subadditive discounting effect, where a time interval broken into subintervals is perceived to be longer than a single time interval. This research tests the time unit framing effect in two different decision-making situations requiring self-control. The first decision-making situation, intertemporal preference, was tested in Study 1. The results showed that satisfactory rewards were higher when delayed time interval was presented in mixed-unit time frame than in single-unit time frame. The second decision-making situation, goal pursuit, was tested in Study 2.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time unit presentation on the perception of remaining goal. Participants reported higher perception of remaining goal when goal-related information was presented in mixed-unit (vs. single-unit) frame. The effect of time unit framing on the evaluation of goal-related time was stronger in participants with higher goal self-relevance. 본 논문은 기간단위의 제시방법에 따른 기간지각의 차이가 소비자의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기존의 단위효과 연구들은 동일한 정보에 대한 지각이 제시되는 단위에 따라 달라지는 단위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기간지각에 초점을 두어, 기존 문헌에서 다루지 않았던 동일한 기간을 표현하는 단위의 개수가 소비자의 기간지각과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기간을 하나의 단위를 사용하여 ‘단일단위’로 제시하는 경우(예, 45일)와 두 개의 단위를 사용하여 ‘복합단위’로 제시하는 경우(예, 1달 15일)에 나타나는 기단단위의 제시효과를 소비자의 자기통제 문제와 관련된 두 개의 의사결정상황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복합단위로 제시된 기간이 비연속적인 기간들로 범주화되어 지각될 수 있음에 주목하여 두 기간의 합을 하나의 기간보다 더 길게 지각하는 준가법적 할인효과를 이론적 근거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 의사결정상황은 시점간 선호(실증연구 1)로 지연된 시간이 복합단위로 제시될 경우에 단일단위로 제시될 경우보다 더 많은 보상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의사결정상황은 목표추구 상황(실증연구 2)으로 기간단위의 제시방법이 잔여목표량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목표와 관련된 기간정보가 단일단위로 제시될 경우보다 복합단위로 제시될 경우에 잔여목표량을 더 길게 지각하였다. 기간단위의 제시방법이 목표와 관련된 기간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목표의 자기관련성이 높은 실험참여자들에게서 크게 나타났다.

      • KCI등재

        모빌리티 플랫폼에 대한 신・구산업 정책갈등 분석: 행위자 중심 제도주의와 목적 프레이밍 이론을 중심으로

        양윤주,김동욱,조민효 한국행정연구원 2022 韓國行政硏究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flict process between the mobility platform industry and the taxi industry through actor-centered institutionalism and goal framing theory. Policy environment factors were set as changes in the mobility industry environment, and institutional setting factors were set as uniform regulatory system and legal system. For the analysis, the period was divided 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lict, and period 1 was divided into expansion of car pool service, and period 2 was divided into implementation of TADA service. As a result, the subject conflicting with the taxi industry changes according to the period, but the goal frame of the two periods was mostly the same. In particular, both the taxi industry and mobility platforms are at odds on the same level of ‘social underdogs’ for hedonic goal, ‘win-win’ for gain goal, and ‘legality’ and ‘regulation’ for normative goal.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conflict between the mobility platform and the taxi industry stems from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same goal fram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social structural problems that cause conflicts and presented policy implications for new and old industries. 본 연구는 행위자 중심 제도주의와 목적 프레이밍 이론을 통해 모빌리티 플랫폼 산업과 기존 택시산업 간의 갈등 과정을 고찰한다. 정책 환경 요인은 모빌리티 산업 환경의 변화로 설정하였고, 제도적 제약은 획일적인 규제방식 및 법체계로 설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세부갈등에 따라 시기를 1, 2로 구분하였으며, 시기 1은 카풀서비스의 확대, 시기 2는 타다 서비스의 시행을 기준으로 나누었다. 분석 결과, 시기에 따라 택시산업과 갈등하는 주체는 변화하지만, 두 시기의 목적 프레임이 대부분 동일했다. 특히 택시산업과 모빌리티 플랫폼 모두 감정과 쾌락 목적에서 ‘사회적 약자’, 선호와 이득목적에서 ‘상생’, 인식과 규범 목적에서 ‘합법성’과 ‘규제’라는 동일한 차원에서 대립한다. 결과적으로 모빌리티 플랫폼과 택시업계의 갈등은 동일한 목적 프레임을 다르게 해석하는 데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갈등의 원인이 되는 사회 구조적 문제를 논의하고, 신・구산업 갈등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미래 자기조절 행동의 시간적 거리, 목표 진행 프레이밍, 자기통제가 탐닉소비에 미치는 영향

        홍민승,양윤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21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mporal distance of future regulatory behavior, goal progress framing, and self-control on immediate indulgent behavior. The results showed that people with high self-control showed higher indulgence in near future condition versus far future condition when they adopted accumulated(to-date) progress framing. Conversely, when people with high self-control adopted remaining(to-go) progress framing, future regulatory behavior in far future versus near future increased indulgence,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people with low self-control, temporal distance and goal progress framing did not yield any effects on immediate indulgence. The results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on indulgence, temporal distance, and self-control in several ways. First, we have expanded existing researches by finding the moderating factors for the effects of temporal distance of future self-regulatory on indulgence. Second, we have revealed the context in which individuals with high self-control do not hold back indulgence. Third, this study has expanded literature on indulgence by approaching indulgent consumption with the theoretical view of self-regulation, as a dynamic process of managing self-regulatory goal, as well as justification. 본 연구는 자기통제의 고저 두 수준, 목표진행프레이밍의 이뤄진 진행프레이밍과 남은 진행프레이밍의 두 수준에 따라 미래 자기조절행동까지의 시간적 거리가 멀거나 가까울 때 탐닉소비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고 자기통제자의 경우, 예상되는 목표달성에 집중하는 이뤄진 진행프레이밍을 취할 때, 먼 미래보다 확실하고 현저하게 느껴지는 가까운 미래의 자기조절행동을 상상한 후 탐닉소비가 더 증가하였다. 반대로 완전한 목표달성을 위해 예상되는 목표진행의 남은 부분에 집중하는 남은 진행프레이밍을 취할 때는 가까운 미래와 먼 미래의 탐닉소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저 자기통제자의 경우, 미래 자기조절행동을 상상했을 때, 그 시간적 거리가 가깝거나 먼 것, 그리고 예상되는 목표진행의 이뤄진 부분에 집중하거나 남은 부분에 집중하는 것 모두 탐닉소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KCI등재

        사물인터넷과 소비자: 웨어러블 기기가 제공하는 피드백이 소비자의 목표지향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지혜,성용준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9 No.1

        With the internet of Things (IoT) changing our lives, a wearable device has been major area of the smart healthcare industry. With its essential features such as counting steps and calculating calories, a wearable devi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goal-directed behavior. This study aims at proving the effectiveness of interaction between social comparison (downward vs. upward) and goal frame (to-date vs. to-go) in terms of QOS on each goal-directed behavior (walking as much as possible to get healthy).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participants wore smartbands for two days and then received manipulated feedback based on their real performance. The goal-directed behavior of each participant was measured how much he walked after the feedback. The results suggest that people walk more when they receive downward comparison (upward comparison) with to-go frame (to-date frame) feedback than when they receive downward comparison (upward comparison) with to-date frame (to-go frame) feedback.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further discussed.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과 소비자의 관계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스마트헬스케어 산업의 대표적인 제품인 웨어러블 기기가 소비자의 건강한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실제 웨어러블 기기 사용 과정에서 소비자가 경험할 수 있는 피드백인 사회적 비교와 목표 프레임을 중심으로 건강과 관련된 목표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실험은 참가자가 1박 2일 간 스마트밴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제공받은 피드백 유형에 따른 걸음 수의 차이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사회적 비교와 목표 프레임의 상호작용이 소비자의 목표지향적 행동을 지속시키는 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신이 타사용자들보다 건강관리를 위한 신체활동 수준이 높다는 하향 비교를 받은 사람들은 목표달성 수준과의 불일치를 강조하는 피드백인 to-go 프레임을 함께 받는 것이 목표지향적 행동을 지속하는 데 더 유용하였다. 반면 자신이 타사용자들보다 건강관리를 위한 신체활동 수준이 낮다는 상향 비교를 받은 사람들은 목표추구 과정에서의 성취 수준을 강조하는 to-date 프레임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목표지향적 행동을 지속하는 데 더 효과적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비교에 의해 활성화되는 내적 동기를 충족시키고 목표지향적 행동을 유지시킬 수 있는 목표 프레임 형태를 탐색함으로써 이론적 및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The Media Influence on Consumers’Energy-Saving Technology Adoption in Korea:An Empirical Study

        구철모,정남호 한국경영정보학회 2016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26 No.1

        The current study attempts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the determinants of energy-saving technology (EST) use by focusing on the individual aspects of environmental behaviors. This study integrates the hedonic, normative, and gain goals to expla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users and EST use. By adopting Goal-Framing Theory, this study proposed three individual goal frames in the environmental context: hedonic (perceived pleasurability), normative (social norms), and gain goals (legislative pressure and economic factor). Partial Least Square (PL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from 104 respondents. Eight of the ten hypotheses were strongly supported. We found that social norms, perceived pleasurability, economic factor, and legislative pressure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attitude to EST use. Interestingly, we found that media influence did not have a severe effect on perceived pleasurability, and that the economic factor enforces mainly positive attitude to EST. Import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