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교 계열별 고등학생들의 교육적 성과 차이 분석

        주동범 한국직업교육학회 2010 職業 敎育 硏究 Vol.29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raw some sugges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tracking and students' educational outcomes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students' job-related, course-related, and educational perspective by high school track(general, industrial, and commercial high school). The sample for the study was 946 third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attending 20 public high schools(10 general, 4 industrial, and 6 commercial high schools) located in Busan. In order to survey students' background, job-related, course-related, and educational perspective, a questionnaire including a total of 20 items was used. The collected data from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through one-way analysis of variance(one-way ANOVA) and individual comparison by Scheffé. The results analyzed separately by job-related, course-related,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indicat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students' job-related, course-related, and educational perspective by high school track. More specifically, they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one sub-area of job-related perspective, eight sub-areas of course-related perspective, and four sub-areas of educational perspective. In particular, there were remarkable differences in the sub-areas of course-related and educational perspective between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and ones in vocational high school. Specific results on each sub-scale were presented and through discussions on each result, some suggestions between high school tracking and students' educational outcome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직업관, 진로관 및 교육관에 대한 고등학교 계열별(인문계, 공업계, 상업계) 차이 분석을 통해 고등학교 계열화와 학생들의 교육적 성과사이의 관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부산광역시 소재 인문계 및 전문계(공업계, 상업계) 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946명의 학생들이다. 학생들의 배경, 직업관, 진로관, 교육관을 조사하기 위하여 총 20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이용하였다. 질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직업관, 진로관, 교육관을 따로 분리하여 일원변량분석 및 Scheffé 사후검증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주요 연구결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고등학교 계열별로 학생들의 직업관, 진로관, 교육관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좀 더 구체적으로 직업관의 1개 하위영역(나의 특성)에서, 진로관의 8개 하위영역(나의 특성, 학교성적, 계획실천, 주위권유, 가정형편, 취직의 용이성, 장래희망, 교육기간) 모두에서, 그리고 교육관의 4개 하위영역(전문지식, 명예나 사회적 위신, 직업수단, 결혼이나 인간관계)에서 고등학교 계열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진로관과 교육관의 하위영역에서는 인문계와 전문계(공업계, 상업계) 고등학교 학생들 사이에 두드러진 차이가 있었다. 각 하위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각 결과에 대한 논의를 통해 고등학교 계열화와 학생들의 교육적 성과 사이의 관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국어과 창의성 교육의 관점

        김은성 국어교육학회 2003 國語敎育學硏究 Vol.18 No.-

        국어과 창의성 교육의 이론과 실행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은 교육관점이다. 그런데 이제까지 국어과에서는 국어과 창의성 교육에 대한 뚜렷한 관점을 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국어과의 창의성을 논해왔다. 국어과 창의성 교육의 관점은 국어과 창의성이 구성적 개념이라는 점을 보아도 시급히 논해야 할 사항이기도 하다. 어떤 관점에 따라 보느냐에 따라 국어과 창의성의 개념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국어과 창의성 교육의 관점은 창의성 이론, 창의성 교육 이론, 국어과 교육 이론 등을 엄밀하게 검토하는 과정을 밟아 정립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이런 세부 분야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향에서 교육 관점을 검토하였다. 첫째, 창의성 교육의 관점에서 보면, 국어과 창의성은 특수한 창의성으로서, 교육을 통해 신장시킬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특히 국어과라는 교과를 통해 신장시킬 수 있는 창의성이다. 따라서 영역 특수적인 관점 아래서 국어과 교육과 창의성 교육이 유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국어과 교육의 관점에서 보면, 국어과 창의성은 국어과만의 특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고, 모든 국어 활동에서 나타날 수 있는 창의성이다. 그리고 국어과 창의성은 기발하거나 천재적인 그 무엇이기보다는 모든 국어 활동의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보편적인 것이다. 따라서 이것을 교육하기 위해서는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을 쇄신해야 한다. The educational perspective is the primary basis in theory and practice of the Education of creativ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KLE). However, to this date, the researcher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discussed the Education of creativity in KLE without clear perspectives on creativ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it is rather urgent to establish specific educational perspectives on creativity in KLE in the sense that creativity in KLE is constructive concept. According to its perspective, the concept of creativity in KLE could be different. The educational perspectives on creativity in KLE should be founded through austere examination of the theories of creativity, creativity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the work of those three field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perspectives on creativity in KLE in the following two perspectives. First, in the perspective of creativity education, creativity in KLE means specific creativity which could be cultivated through educational teaching, especially through the discipline of Korean language. Accordingly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reativity education should be systematically combined in the domain-specific perspective. Second, in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reativity in KLE has its own characteristics and appears any area of Korean language activities. In addition, creativity in KLE is rather a universal one which can appear any stage of Korean language activity than a something unique or genius. To promote and educate creativity, positive innovation of the content and methodologi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needs to be searched.

      • KCI등재후보

        듀이의 유아교육사상의 기독교적 조명

        정희영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8 기독교교육논총 Vol.17 No.-

        Dewey's educational thought has great effect on not only America but also all around the world, The effectiveness of it is on a par with Korea. It is emphasized the education by practical experience in accordance with his thought in Korea, the Korean educated by his thought has had very practical thinking. Dewey's educational thought has especially effect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thus, the curricular for young children of 1969, 1992 were made by Dewey's educational thought. Like this, Dewey's educational thought has huge effect on the education of Korea and the importance of his educational theory was recognized by people who are related to education. Dewey's educational philosophy, however, is based on atheism and puts down roots in humanism. Christian teachers accept Dewey's thought without any critique, thus, the constitution of the curricular based on God's sovereign authority and the education of children are disturb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iticize it in a Christian perspective. A Christian perspective can be possible then teachers and scholars have a Christian world view, this can be the foundation for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is thesis the characteristics of anti-Christianity about Dewey's educational thought were founded through a Christian perspective and a Christian world view were emphasized, thu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presented. For these, the background of Dewey's educational thought for young children were described, Dewey's educational thought for young children were dealt with, and a Christian perspective on Dewey's educational thought were discussed. A Christian perspectives on Dewey's thought as conclusion are as follows: first, Dewey asserts that it is needed to change for the reconstruction of experience and the change is the essential of reality. Therefore, Dewey trusts that education means change. The denial of the absolute being puts down roots in the other side of the assertion of Dewey which reality is to change. However, the reality and the truth in this world are not changeable and there are unchangeable nature in the nature of human beings such as pleasure, sorrow, love and gladness. According to Dewey, a human being is a organism, is changed by experience and an human being is a being who finds the possibility for other change through other experience. The ultimate goal of a human being is the satisfaction by the experience of a human being. However, the ultimate goal of a human being is toward to God. Third, Dewey argues that the thinking of a human being can be possible by real experience. A human being, but, can know truth by not only experience but also wisdom given by God. 듀이(Dewey)의 교육사상은 미국에서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그 영향력이 대단하여 우 리나라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유아교육에도 영향을 미쳐 실제 경험을 통한 교육이 강 조되었다. 그러나 듀이의 교육철학은 무신론에 근거하고 있으며 인본주의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이러한 듀이 사상을 기독교인 교사들이 무비판적으로 수용함으로 인해 하나님의 존재 와 하나님의 주권사상을 기초로 유아교육과정을 구성하는 일과 유아를 가르치는 일이 방해 받고 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기독교적인 시각에서의 비판이 요구되고 기독교적인 시각은 기독교 세계관이 있을 때 가능하며 이것은 기독교 유아교육을 위한 초석이 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듀이 교육사상의 기독교적 조망을 통해 듀이 교육사상의 비 기독교 적인 성격을 파악하고 기독교적 세계관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기독교 유아교육을 위한 철 학적 기초의 한 부분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듀이의 유아교육사상의 배경을 살펴보고, 듀 이의 유아교육사상을 알아본 후, 듀이의 유아교육사상을 기독교적으로 조망해 보았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가정에서의 소비윤리 교육경험과 교직관이 윤리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제미경,황보영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가정에서의 소비윤리 교육경험과 교직관이 윤리적 소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교직관과 윤리적 소배행동의 전반적인 경향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지역 유아교육과 학생 3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 기초분석과 Cronbach α 신뢰도 계수, t-검증, 일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직관 수준은 공직관, 전문직관, 노동직관, 성직관 순으로 나타났고 교직관의 모든영역에서 중간점을 상회하였다. 단계별 윤리적 소비행동은 기초단계, 성장단계, 성숙단계 순으로 소비윤리행동 단계가 높아질수록 윤리적 소비행동 수준은 낮아졌다. 윤리적 소비행동에 대한 변수들의 영향력은 가정에서의 윤리적 소비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전문직관과 성직관이 높을수록 윤리적 소비행동을 많이 하고 있었다. 이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윤리적 소비행동의 향상과 관련하여 교원양성교육과정에서 교직관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ethical consumption educational experience and perspective affects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2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in the Busan and Gyeongnam regions. The collected data treated with SPSS Win. 25.0 and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rough Cronbach α, t-test, one-way ANOVA,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ducational perspective scores were all above median values. The official educational perspective scor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professional, and Holy Order educational perspectives. As the level of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increased, the measured score for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decreased. The average score of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decreased as the level of ethical consumption increased in the order of basic, growth, and maturity levels. The results of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regarding educational experience in ethical consumption in family, and higher professional educational perspective 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The Holy Order educational perspective also had a positive effect, except for on the basic level of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perspective training on shaping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o improve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가정과 교사들이 지각한 소비자교육 패러다임과 관련 요인

        문영훈,이수희,손상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가정과 교사들이 어떤 소비자교육 패러다임을 가지는지를 조사하고, 교사들이 가지는 소비자교육패러다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편의 표집한 설문지 205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win(v. 20.0)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t-검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가정과 교사가 지각한 소비자교육 패러다임에 대한 전체적인 경향을 조사한 결과, 인식측면에서는 비판적 관점의 소비자교육 패러다임이, 실행측면에서는 전통적 관점의 소비자교육패러다임이 우세하였다. 또한 소비자교육구성요소에 대한 경향을 알아본 결과 소비자교육방법은 비판적 관점의 소비자교육 패러다임이 인식과 실행측면 모두에서 우세하였지만, 소비자교육목적, 소비자교육지식, 소비자, 소비사회는 두 관점이 혼재되어 있었다. 둘째, 소비자교육 패러다임 관련변수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정교육전공과 가정과 교사들이 지각한 교육과정 관점이 의미 있는 변수였다. 이 변수는 소비자교육 패러다임 인식측면에는 의미 있고, 실행측면에는 의미 있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sumer education paradigm perceived by home economics teachers and its related factors, and to find out relationships among them. 20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ived that the critical consumer education perspective is more important, but in practice, they mostly used the traditional consumer education perspective. Second,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 on the consumer education teaching method, the critical perspective was considered more significant and was more frequently used than the traditional perspective. However, the home economics teachers held an ambivalent perspective on the areas of purpose of consumer education, consumer education knowledge, consumer, and consumer society. Accordingly, they used both perspectives in practice for those areas. Finally, the teachers’ degre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he perspective on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were found to be the two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the teachers’ consumer education paradigm.

      • KCI등재

        홀리스틱 교육패러다임에 기초한 한국 교육행정의 성찰과 과제

        주철안(Joo Chul-An)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2005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9 No.2

        이 글에서는 홀리스틱교육패러다임의 관점에서 한국교육행정의 특징을 비판적으로 성찰해보고, 한국교육행정의 과제를 탐색한다. 이와 함께 홀리스틱교육패러다임에서 강조되고 있는 학교 내 학생-교사-학부모간, 그리고 학교-지역사회간의 학교공동체 형성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교육행정의 홀리스틱교육 실천가능성을 검토한다. 한국교육행정의 특징으로서는 교육활동에서 교육기관들간의 괴리와 협력 부족, 교육이념과 실천의 괴리, 교육정책의 입안과 실천방법에서 교육주체들간의 갈등, 학교내 교육주체들간의 상호협력 부족, 교육학의 하위영역 세분화 및 분과학문간 교류부족으로 인한 교육현상의 종합적 이해와 처방 한계 등을 지적할 수 있다. 이러한 한국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행정과제로서는 교육행정실제 개선을 위한 사회 각 분야간 협력, 학교급별 교육기관간ㆍ학교와 지역사회간ㆍ학교내 교육주체들간 협력, 단위학교와 교육행정기관간의 협조체제 재구축, 학제적인 교육연구, 교육행정실제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교육행정이론의 정립 등을 들 수 있다. 부산대학교 교육연구소에서는 “배움과 돌봄을 위한 학교공동체 실천모델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학교공동체의 목표를 배움과 돌봄으로서 설정하고 학교교육의 본질인 배움과 구성원들간의 돌봄을 추구한다. 동 연구는 교육학의 여러 전공학자들이 학제적으로 참여하고, 학문적 이론의 정립과 교육 실제의 개선, 학교구성원의 참여와 지역사회 인사의 협력, 교육청의 지원, 실천연구회의 운영, 국제적인 학자들과의 연계 등을 통해서 교육연구와 학교공동체 실천운동을 병행하고 있다. Holistic education is examining the educational climate of mechanistic knowledge oriented education and the loss of humanity because of fierce competition among students. This paper i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tasks of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the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It also analyzes research case relating to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by Pusan National Universit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 the followings. Firstly, it has weak connection among educational institutions, educational administrative institutions,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ions, etc. Secondly, there is little consensus on ideal and practice of schooling which results in conflicts among educational administrative authority, teachers" labor unions, students" parents associations. Thirdly, scholars of educational fields are lacking in interdisciplinary dialogue resulting in limitation on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problems and prescriptions. As task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the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are the followings. There is a need for closer cooperation among various fields in society, trust and cooperation among schools and educational key players, developing better educational theories f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practices etc. Research team of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is carrying out the research, "A study on practice model of building school community for learning and caring". The study is to seek after learning and caring for both students and other participants in schooling. The study has the characteristics such as interdisciplinary participation of scholars, the practice improvement as well as a theory development, participation of school members as well as community members, support from educational authorities, management of research association, networking of international scholars.

      • KCI등재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주거교육 가치관

        이연정(Lee Yeon-Jung),조재순(Cho Jae-Soon),채정현(Chae Jung-Hyun)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가정과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주거교육가치관 요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들의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자료는 전국에서 중학교 가정교과의 주생활 영역을 지도하고 있거나 지도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를 상대로 e-mail과 방문을 통해 설문지로 수집하였으며, 207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ver.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t-test, ANOVA와 scheffe,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사의 교육과정 관점은 실존적 관점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구조적 관점, 전통적 관점의 순으로 높았다. 전통적 관점은 교사의 연령과 교직경력이 많고 남녀공학보다는 남학교나 여학교 근무 교사가 그리고 사립학교에 다니는 교사가 높았다. 실존적 관점은 여교사, 가정교육전공, 대학원 재학 이상 학력, 공립학교에 다니는 교사가 높았다. 구조적 관점은 여교사, 연령이 적고, 가정교육전공, 그리고 대학원 재학 이상의 학력을 지닌 교사가 높았다. 둘째, 가정과교사의 주거교육가치관 요소의 일반적 경향은 9개 요소 모두 평균 이상이었다. 그 중 주거의 생태학적 요소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경제적인 요소, 사회심리적 요소, 공간계획적 요소, 지역환경적인 요소, 진로교육적인 요소, 문화적 요소, 주거관리적인 요소, 주택정책적 요소 순이었다. 가정과교사의 일반적 특성 중에서 전공자격, 최종학력은 5개의 주거 가치관 요소와 차이를 보였으며 학교 형태는 4개, 가족수, 소득수준, 교직경력은 각각 2개씩, 그리고 성별, 결혼여부, 거주주택 유형, 연령은 각각 1개씩의 주거가치관 요소와 차이를 보였다. 가정교육 전공 교사가 사회심리적 요소, 경제적인 요소, 지역환경적인 요소, 생태학적 요소를 기술교육 전공 교사보다 중요하게 생각한 반면 기술교육 전공 교사는 주거관리적 요소를 가정교육 전공 교사보다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최종학력에 따라서는 대학원 재학 이상인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사회심리적 요소, 지역환경적 요소, 생태학적 요소, 주택정책적 요소, 그리고 문화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학교 형태에 따라서는 여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남학교나 남녀 공학에 근무하는 교사 보다 사회심리적 요소와 주택 정책적 요소를 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여학교나 남녀공학에 근무하는 교사는 남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지역환경적 요소와 생태학적 요소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셋째, 가정과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주거교육가치관 요소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전통적 관점은 주거교육가치관 요소중 오직 주거관리적 요소와 관계가 있었으나 그 정도는 낮으며 실천적 관점과 구조적 관점은 주거가치관의 각 요소에 따라 약간 다르기는 했으나 주로 보통의 관계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HE) teachers perspective on HE curriculum, their Housing Education Value in Home Economics, and then find out correlations between them.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HE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teaching Housing content over the whole country through e-mail or face-to-face meeting. 207 data collected from the responses were finally analyzed statistically with mean,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 T-test, one-way ANOVA, post verification(Scheffe) and Pearson correlation by using SPSS/WIN(ver. 10.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bout Home Economics teachers perspective on HE curriculum, the existential perspectiv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structural perspective and the traditional perspective. Second, about their perspectives on Housing Education Value, generally the most important thing they value was an aspect of ecology, followed by an aspect of economics, an aspect of Socio-Psychology, an aspect of space planning, an aspect of local environment, an aspect of career education, an aspect of culture, an aspect of housing management and an aspect of housing policy. Third,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ir perspectives on curriculum and Housing Education Value, among 9 kinds of Housing Education Value, the traditional perspective was low associated with only housing management value including to Housing Education Value. However, the existential perspective and the structural perspective tended to be moderately or low associated with most of the values including to Housing Education Value.

      • KCI등재

        한국 기독교교육 관련 연구기관의 현황과 전망 —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소를 중심으로—

        박종석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9 기독교교육논총 Vol.20 No.-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status, reflection and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al institutes within the theological universities of Korea. Research of Christian education is important because of its influence on the educational field and practice. In Korea, Christian education related research is mainly carried out by theological professors or those connected to the theological universities. And, the Christian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within the theological university acts as a bridg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us, there is a great potential that the Christian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can contribute towards the revitalization of Christian education. Starting off from this perspective, I believe that efforts to review and reflect on the status of Christian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theological universities in Korea as well as seek new vision and direction through such efforts would be meaningful. The paper is divided into sections that touches on the purpose of establishment/vision, major programs, finances etc of the Christian educational institute of theological universities. The currently these institutions are facing extreme financial difficulties, which is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retain researchers. This in turn is making it difficult for the institutions to conduct their professional work and activities. To improve upon this situation and provide direction for these research institutions, the author submits the following projects: professional research for education at the church field, blue ocean specialization project, full-time moderator, training of educational professional, running of institution from a managerial perspective. 이 논문은 한국에서의 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소의 현황과 반성, 그리고 방향성에 대한 것이다. 기독교교육 연구는 교육 현장과 실천에 영향을 준다는 면에서 중요하다. 한국에서 기독교교육 연구는 주로 신학대학교 교수들과 관련된 이들을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다. 여기에 신학대학교의 기독교교육연구소는 이론과 실천을 연결하는 기교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 면에서 기독교교육연구소는 기독교교육의 활성화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이 같은 관점에서 한국에서의 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소의 현실을 살펴보고 반성을 통해 비전을 새롭게 하면서 나아갈 방향을 탐구하는 일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논자는 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소의 설립목적/비전, 주요 사업, 재정 등의 영역에서 관찰하고 비교하였다. 기독교교육연구소들의 상황은 재정적인 면에서 대단히 열악하며 그로 인해 연구원의 확보가 어려우며, 이것은 연쇄적으로 전문적인 사업이나 활동을 하기 어려운 상황을 만들었다. 이 같은 상황을 개선하고 연구소들이 나아갈 방향을 논자는 교회현장의 교육을 위한 전문적 연구, 블루오션적 특성화 사업, 조정자로서의 전임자, 교육전문가 훈련, 경영적 관점의 운영 등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성평등 관점의 성교육을 실천하는 보건교사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김금화,이종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motivations for practicing sexuality education provided by health teachers and the various practice experiences of sexuality education from a gender equality perspective. Methods Six health teachers who practice sexuality education from a gender equality perspective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is study. By collecting stories about their experience in practicing sexuality education from a gender equality perspective and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reexamining the research purpose and research puzzle, the intermediate text was processed based on the three axes of narrative inquiry: temporality, sociality, and space (place). The intermediate text was interpreted and analyzed with evidence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research puzzle and previous research and theory and presented as a research text. Results The meaning of the health teacher's experience of practicing sexuality education from a gender equality perspective was derived by classifying it into three dimensions: personal justification, practical justification, and social justification. First, in terms of personal justification, it was derived as ‘awareness of gender inequality and growth gained from it’, ‘self-reflection and internalization of gender equality perspective’, and ‘establishing teacher identity as a minority in school space’. Second, in terms of practical justification, it was derived as ‘approaching everyday life as unfamiliar and making gender equality a habit’, ‘expanding the perspective of gender equality to the periphery’, and ‘changing perception of feminism’. Third, in the social justification dimension, it was derived as ‘implications of the implementation process for generalization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desire to improve structure for efficient practice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and ‘clarification of support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policy’. Conclusions This study about the current state of sexuality education from a gender equality perspective provides meaningful data to prepare practical support measures, suggests new practice and processes to solve problems in school sexuality education, and contributes to find the alternatives for various changes in the sexuality education field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교육관에 기초한 학교환경교육의 목적 고찰 - 이홍우와 장상호의 교육관을 중심으로 -

        조성화,최돈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08 敎員敎育 Vol.24 No.4

        The purpose of Environmental subject in the Korean school is pretty much similar to that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 Because it doesn't apply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Education to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purpose needs to be discu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reasonable purpose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by analyzing the educational views. This study have been done through review of research literature, which usually includes references and papers on environmental education,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educational point of view, educational purpose. It analyzed two kinds of views on education: educational view as developing students' perspective and intrinsic educational perspectiv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urp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s developing students' perspective is to help students see the world with pro environmental view through understanding the knowledge of environment fully. Purp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intrinsic educational perspective is proven to satisfy all of the principles of personality or creativity and democratic citizenship fairly well and only basic faculty principle to a large degree. 우리나라 학교환경교육 목적은 우리나라의 교육적 상황이나, 교육 그 자체보다 외국의 연구나 국제적인 권고에 토대를 두고 있다. 따라서 교육에 기초하고,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에 적합한 학교환경교육 목적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홍우와 장상호의 교육관을 중심으로 학교환경교육 목적을 고찰해 보았으며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홍우의 교육관을 중심으로 도출된 학교환경교육 목적은 “환경교과의 지식을 깊이 있게 이해하여 세상을 환경적인 ‘눈’으로 볼 수 있게 하는 교육”으로, 장상호의 교육관에 의해서는 “환경과 관련된 주제중심 교육방법으로 환경교육계에서 스승과 제자가 상호협력하는 과정을 통해서 각자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이 목적들을 Engleson이 1994년에 제시한 학년별 환경교육의 주요 강조점과 조성화․최돈형(2008)의 연구 등에 비추어서 시사점과 의의를 조명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