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경험 및 자기주도 학습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주동범,전은순 한국직업교육학회 2011 職業 敎育 硏究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dult learner's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self-efficacy. For achieving the purpose,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questionnaire, self-directed learning test, and self-efficacy test were administrated using 376 adult learners.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were as the follows. First, adult learners who had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experience were less than those who had no it.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total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total of self-efficacy and between subscale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subscale of self-efficacy mostly. Finally, after controlling adult learner's gender, age, and educational level, previous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experi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only self-regulated efficacy, subscale of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generally influenced self-efficacy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 particular, among subscales of self-directed learning, creative approach, responsibility acceptance of learning, attachment to learning, and future-oriented influenced the total of self-efficacy, academic efficacy, and self-regulated efficacy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The discussions on the main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ovided.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평생학습 참여경험 유무와 자기주도 학습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성인학습자 376명을 대상으로 평생학습 참여 질문지, 자기주도 학습 검사,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평생학습 참여경험이 있는 성인학습자들이 없는 성인학습자들보다 적었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자기주도 학습 전체와 자기효능감 전체 간, 자기주도 학습 하위요인과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간 대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거 평생학습 참여경험 유무와 자기주도 학습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인학습자의 성별, 연령, 학력을 통제한 후에 과거 평생학습 참여경험 유무는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 효능감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대체로 자기주도 학습은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주도 학습 하위요인 중 독창적 접근, 학습의 책임성 수용, 학습에 대한 애착, 미래지향성이 자기효능감 전체, 학업적 효능감, 자기조절 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내러티브 중심 교과교육에 대한 교수, 교사, 학생의 인식 차이분석

        주동범,강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8 교육과학연구 Vol.39 No.2

        Using a total of 702 people(71 professors, 299 teachers, and 332 students), the study was analyzing how do professor, teacher, and student perceive about narrative-centered subject education and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in the perceptio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 group is positive about current subject education, but professor and student group are negative. Second, compared to teacher group, professor and student group are negative about current subject education and have more needs for change. And professors are positive about the applicability of narrative, but they are likely to have cautious stance about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curriculum. Professor and student group are more positive about specific application of narrative such as instructional syllabus,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 Third, processor and student group are more positive than teacher group about the necessity of mutual complement of knowledge-based subject and narrative, and possibility of narrative will be selected as a new curriculum and the increment of its importance. However, teachers are more negative than students about narrative because teachers think narrative is highly possible to be limited to an instructional method simply. Discussions on main results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 중심 교과교육에 대해 관련 이해당사자라 할 수 있는 교수, 교사, 학생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식이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경험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내러티브 중심 교과교육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제작된 질문지를 총 702명(교수 71명 , 교사 299명, 학생 3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하여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과교육에 대해 교사집단은 다소 긍정적인 반면에 교수와 학생집단은 다소 부정적이다. 둘째, 교수와 학생집단이 교사집단에 비해 현행 교과교육에 대해 더 부정적이고 더 많은 변화 요구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교수들은 내러티브 활용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이나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수업지도안, 수업 소재, 수업 자료 개발 등과 같은 구체적인 내러티브 활용에 대해 교수집단과 학생집단이 더 긍정적이다. 셋째, 교수집단이나 학생집단은 교사집단보다 주지교과와 내러티브의 상호 보완이 필요하다고 여기며, 내러티브가 새로운 교육과정으로 채택될 가능성과 그 중요성의 증가에 대해 더 긍정적이다. 반면에 교사들은 학생들에 비해 내러티브가 단지 수업 방식에 국한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어서 내러티브에 대해 다소 부정적이다. 주요 결과에 대한 논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교사효과성에 대한 요인분석

        주동범,강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00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교사의 수업행동에 관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교수활동의 전체적 조망을 위해 교사효과성의 구조적 차원의 규명에 주목한다. 따라서 교사의 효과적인 수업행동에 대한 구조적 차원을 파악하기 위하여 교사효과성에 대한 요인을 밝히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 6학년생 275명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섯 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이 요인의 각각에 대해 남녀별 지각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들은 학생의 학습결과와 교사의 수업행동에 대한 전체적 이해에 시사점을 제공하며 효과적인 교사교육 방법의 구안에 구체적 지침을 제공해 줄 것이다.

      • 초등학생들이 지각한 효과적인 교사 분석

        주동범,안우환 한국교육학회 대구·경북지회 1999 교육학논총 Vol.19 No.2

        Using 275 fifth and sixth graders, this study examines what are the factors in the teaching behavior of effective teacher, and if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fifth and six graders and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the perception of effective teacher. The findings show that although the factors are not consistent with theoretical factors assumed by researchers, six factors(clarification, organization, diversification, motivation, behavior management, and learning management) are identified as teaching behaviors of effective teacher. The findings also show that fifth graders perceive organization, diversification, and learning management as teaching behaviors of effective teacher, and females perceive clarification, organization, diversification, motivation, and behavior management as teaching behaviors of effective teacher. Grade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effective teacher, and six factors as teaching behaviors of effective teacher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가족구조와 중학교 청소년의 학업성취 및 교육포부수준과의 관계

        주동범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9 미래청소년학회지 Vol.6 No.2

        Using a sample(N=2,992) from first year data of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in Korean Youth Panel Survey(KYPS), the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family structure to the middle school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educational aspirations and factors that mediate the relationship. The results represented that even after controlling the adolescent characteristics(gender, age), family's economic resources(parent's educational level, income), and family's social resources(parent's educational expectancy, parent-child interaction, and supervision and monitoring), one-parent family had a negative relation to academic achievement which suggests that family's economic and social resources didn't mediate the relation. In the other hand, after controlling the adolescent characteristics and family's economic and social resources, one-parent family didn't have a significant relation to educational aspirations any more which suggests that the family's economic and social resources mediated the relation compositively.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by considering previous research focusing on the family's economic and social resources.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중 2 패널 1차년도 데이터에서 추출한 2,992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가족구조와 학업성취 및 교육포부수준사이의 관계와 그런 관계를 매개하는 요인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를 보면, 학업성취의 경우 청소년특성(성별, 연령), 가족의 경제적 자원(부모교육수준, 소득) 및 사회적 자원(부모기대교육수준, 부모와의 상호작용, 외출지도)을 통제하였을 때조차도, 한부모가족은 학업성취와 유의미한 부적 관계가 있었으며, 이것은 경제적 자원과 사회적 자원이 한부모가족과 학업성취사이를 매개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교육포부수준의 경우 청소년특성, 가족의 경제적 자원 및 사회적 자원을 통제하였을 때, 한부모가족과 교육포부수준사이의 관계가 더 이상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이것은 경제적 자원과 사회적 자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한부모가족과 교육포부수준사이를 매개함을 암시한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의 경제적 및 사회적 자원을 중심으로 선행연구에 비추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중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TIMSS로부터의 증거 Evidence from TIMSS

        주동범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2

        TIMSS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 연구는 중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선행연구 및 이론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 포함된 변인은 크게 학생배경 변인, 과학관련 태도변인, 학교학습관련 변인, 학교 밖 학습관련 변인이었다. 중학교 1, 2학년생 5,827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 학업성취도에 큰 영향을 미친 변인은 학생배경 변인(가정의 책보유량, 교육포부수준)과 과학관련 태도변인(과학 자기효능감)이었다. 그리고 학생의 성이 과학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주요 결과에 대한 함의점고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Using TIMSS data, the study explored the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theory, the study included student background variables, science-related attitude variables, school learning-related variables, and extra-curricula learning-related variables. Descriptiv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5,827 of 1st and 2nd graders. Results showed the main variables influencing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were student background variables(the amount of books at home, educational aspiration level) and science-related attitude variable(science self-efficacy). And the student's gender influenced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The suggestions for the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고등학교 계열별 고등학생들의 교육적 성과 차이 분석

        주동범 한국직업교육학회 2010 職業 敎育 硏究 Vol.29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raw some sugges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tracking and students' educational outcomes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students' job-related, course-related, and educational perspective by high school track(general, industrial, and commercial high school). The sample for the study was 946 third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attending 20 public high schools(10 general, 4 industrial, and 6 commercial high schools) located in Busan. In order to survey students' background, job-related, course-related, and educational perspective, a questionnaire including a total of 20 items was used. The collected data from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through one-way analysis of variance(one-way ANOVA) and individual comparison by Scheffé. The results analyzed separately by job-related, course-related,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indicat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students' job-related, course-related, and educational perspective by high school track. More specifically, they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one sub-area of job-related perspective, eight sub-areas of course-related perspective, and four sub-areas of educational perspective. In particular, there were remarkable differences in the sub-areas of course-related and educational perspective between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and ones in vocational high school. Specific results on each sub-scale were presented and through discussions on each result, some suggestions between high school tracking and students' educational outcome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직업관, 진로관 및 교육관에 대한 고등학교 계열별(인문계, 공업계, 상업계) 차이 분석을 통해 고등학교 계열화와 학생들의 교육적 성과사이의 관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부산광역시 소재 인문계 및 전문계(공업계, 상업계) 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946명의 학생들이다. 학생들의 배경, 직업관, 진로관, 교육관을 조사하기 위하여 총 20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이용하였다. 질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직업관, 진로관, 교육관을 따로 분리하여 일원변량분석 및 Scheffé 사후검증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주요 연구결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고등학교 계열별로 학생들의 직업관, 진로관, 교육관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좀 더 구체적으로 직업관의 1개 하위영역(나의 특성)에서, 진로관의 8개 하위영역(나의 특성, 학교성적, 계획실천, 주위권유, 가정형편, 취직의 용이성, 장래희망, 교육기간) 모두에서, 그리고 교육관의 4개 하위영역(전문지식, 명예나 사회적 위신, 직업수단, 결혼이나 인간관계)에서 고등학교 계열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진로관과 교육관의 하위영역에서는 인문계와 전문계(공업계, 상업계) 고등학교 학생들 사이에 두드러진 차이가 있었다. 각 하위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각 결과에 대한 논의를 통해 고등학교 계열화와 학생들의 교육적 성과 사이의 관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 탐색

        주동범 한국상담평가학회 2010 상담평가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에 대해 논의해보면서 청소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을 탐색해보는 것이 목적이다. 비록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문헌이나 선행연구가 많지 않았지만,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주로 문헌연구를 사용하였다.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교육의 의미는 예술교육을 기본으로 하나 기존의 예술교육이 갖는 장르 중심적 사고를 뛰어넘는 통합적 교육방법을 수용하는 것으로 확대 해석하고 문화예술교육 역시 그 범위를 확대하여 미적(학) 교육, 문화 다양성 교육, 여가교육, 매체교육, 문화적 문예교육이 지향하는 개인적 심미 체험, 창의적․성찰적․소통적 역량을 북돋워줌으로써 개인의 발전과 성숙은 물론, 사회의 문화적 성장과 성숙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하는 유기적 연계교육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로는 문화적 문해, 문화적 대응력 향상, 역사적․사회적 맥락에 대한 교육, 공동체의식 함양, 자존감 고양과 자아정체성의 재발견 등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를 담당하는 전문가가 풍부해야 한다. 따라서 기술과 지식이 결합될 때 가장 효과적인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얻어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교사 효능감 관련 변인의 분석 : 직무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주동범,임성택 한국교육학회 2002 敎育學硏究 Vol.40 No.2

        본 연구는 교사효능감 관련 변인 중 직무한경 변인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선행연구 및 이론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 포함된 직무환경 변인으로는 교육활동업무량, 학생에 대한 지각, 학부모에 대한 지각, 근무조건 및 동료교사에 대한 지각이었고 교사 및 학교의 특성 변인은 통제변인으로 사용되었다. 총 462명의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이 각각의 변인들을 측정하기 위해 제시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자료분석은 위도우용 SPSS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중다회귀분석에 의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변인은 직무환경 변인가운데 학생에 대한 지각, 근무조건(처우 만족도, 여건 만족도), 학부모에 대한 지각, 교육활동업무량(담임여부)이었다. 그리고 교사특성 중에는 교사의 성이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주요 결과에 대한 함의점과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