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valuation of Economic Potential and Level of Concentration of the Regions of Kazakhstan

        Nailya K. Nurlanova,Anel A. Kireyeva,Rashid M. Ruzanov 한국유통과학회 2017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 Vol.4 No.2

        This research is devoted to the development of methods general and standard methodological approaches and approbation those for the evaluation of economic potential and level of concentration of the regions of Kazakhstan.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development of the authors on the selection and justification of the methodological approaches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economic potential (the degree of territorial differentiation of the profile) and concentration of regions. In this study, we used scientific methods: method of analysis the main trend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method of evaluation of concentration of the region. Based on the analysis of foreign techniques developed and tested methodical approaches to the assessment of the economic potential (index and coefficient methods). Proposed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the assessment profile of the territory and developed a system of indicators, which includes an aggregated index of spatial concentration, which accurately reflects the concentration of production in the region. This study show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potential regional disparities and trends of economic development of Kazakhstan. By using, the proposed methodology shows the possibility of their use; we calculated the indicators of integrated assessment of the economic potential and indicators of spatial concentration.

      • Evaluation of Economic Potential and Level of Concentration of the Regions of Kazakhstan

        Nailya K. Nurlanova,Anel A. Kireyeva,Rashid M. Ruzanov 한국유통과학회 2017 한국유통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This research is devoted to the development of methods general and standard methodological approaches and approbation those for the evaluation of economic potential and level of concentration of the regions of Kazakhstan.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development of the authors on the selection and justification of the methodological approaches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economic potential (the degree of territorial differentiation of the profile) and concentration of regions. In this study, we used scientific methods: method of analysis the main trend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method of evaluation of concentration of the region. Based on the analysis of foreign techniques developed and tested methodical approaches to the assessment of the economic potential (index and coefficient methods). Proposed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the assessment profile of the territory and developed a system of indicators, which includes an aggregated index of spatial concentration, which accurately reflects the concentration of production in the region. This study show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potential regional disparities and trends of economic development of Kazakhstan. By using, the proposed methodology shows the possibility of their use; we calculated the indicators of integrated assessment of the economic potential and indicators of spatial concentration.

      • KCI등재

        공정거래법상 경제력집중 억제시책과 일반집중의 문제

        이황 ( Hwang Lee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法學硏究 Vol.31 No.1

        공정거래법상 출자총액제한제도가 2009년 폐지되면서 순환출자제한제도 등 종래경제력집중 억제시책들이 갖는 일반집중 규제제도로서 실효성이 약화되었다. 과거 대기업집단들의 불합리한 경영관행에 대응한 제도였는데, 상당수 규제는 이미 목표를 달성한데다 상당수 대기업집단들이 지주회사로 전환하여 경영관행 자체가 바뀌었기 때문이다. 소유집중 내지 지배집중(소유와 지배 간 괴리 문제)과 관련된 기업지배구조 개선은 일반집중 내지 시장집중과 최소한의 복합적 관련성이 인정되어야 비로소 공정거래법 규율범위 내에 편입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 그런데 공정거래위원회가 최근 집중하는 부당지원행위 및 사익편취 금지 규제는 일반집중과 최소한의 관련성을 배제한 상태에서 소유(지배)집중 내지 기업(집단)지배구조 개선을 직접 목적으로 삼는 둣한 인상을 주고 있다. 이러한 정책방향은 일반집중의 우려를 배제하고 소유 집중 내지 지배집중, 또는 기업지배구조 문제만 부각시키는 것으로, 공정거래법의 목적과 체계에 부합한다고 보기 어렵다. 한편 미국에서는 GAFA 등 디지털 플랫폼의 독점력이 커지면서 과도한 시장집중과 민주주의 위협에 대한 경계감이 커지고 있다. New Brandeis School은 GAFA 등에 의한 경쟁제한적 기업결합과 시장독점에 대한 적극적 규제를 요구하고, 독점금지 당국과 의회 역시 규제에 나서고 있다. 이는 1970년대 이래 소비자후생과 경제적 효율성 증진에 몰두해온 독금법이 시장집중 규제논리를 확장하여 일반집중에 대한 관심을 키우는 것으로, 온라인 플랫폼 기업들의 급속히 성장해가는 우리나라도 종래규제체계를 재설계하는등 참고할 필요가 있다. 근래 극소수 최상위 대기업집단의 규모와 GDP 대비 비중이 급속히 커져 일반집 중의 폐해가 우려될 수 있다. 따라서 시장구조론적 관점에서 일반집중 차원의 규제를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시장집중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거나 유럽식 특별책임을 부과하는등 유연한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국내 온라인 플랫폼에 대해서는 특성에 맞도록 과거 규제를 재설계하는 동시에 시장집중에 대한 감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As the regulation of the “ceiling on total amount of shareholding in other domestic companies” had been removed from Korea’s Competition Law in 2009, remaining regulatory tools of countermeasures over excessive economic concentration, e.g. limitation on cross-shareholding, became ineffective regarding the concerns of general concentration. Existing regulations that were designed to fit into the old management practices and/or corporate governance lost their target in the new business environment. Despite such institutional changes, the economic share of the top large business groups in national economy increased drastically. As a result, it is observed that the effectiveness of regulations over general concentration became weakened while concerns of general concentration continue. An interpretation of statutes suggests that the mission to improve corporate governance may belong to the power of Korea’s Competition Law only when it is relevant to general concentration and/or market concentration. However, the prohibition of unreasonable subsidy and tunneling which the KFTC has recently emphasized in enforcement seems to aim to improve concentration of possession or corporate governance at first hand, lacking appropriate relations with any concentration issues. It is argued that such an enforcement by the KFTC that deals with the concerns of concentration of possession and/or control in appearance without proper attention to general concentration may not be compatible with the purpose and structure of the present Competition Law. In the United States, growing awareness of the excessive monopoly power of digital platforms including GAFA raises the concerns of excessive market concentration and a potential threat to democracy. The New Brandeis School calls for aggressive regulation over anti-competitive M&A and monopolization by GAFA. The antitrust authorities and Congress echo with serious antitrust enforcement and discussion of legislational changes. It may suggest changes of enforcement direction that considers issues of general concentration seriously, 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sole goals of consumer welfare and efficencies as directed by the Chicago School since 1970’s. Considering growing concerns of general concentration by a few top business groups, it is argued that we need to strengthen the regulation over general concentration in the perspective of market structure. We also need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tougher antitrust enforcement or imposing special responsibilities as stated in the European Competition Laws. Regarding local digital platforms, restructuring existing regulations to fit into their characteristics and strengthening watches over their market dominance is required.

      • KCI등재

        논문 : 민주화 이후 경제력집중 규제실패 원인에 관한 연구 -공정거래법상 경제력집중억제제도를 중심으로-

        장훈각 ( Hoon Kak Chang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7 社會科學論集 Vol.38 No.2

        경제력집중을 규제하는 제도가 존재함에도 불구 하고 민주화 이후 국민경제에서 소수 재벌기업집단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재벌기업집단 내에서도 경제력의 불균등 분포현상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본 연구는 경제력집중억제제도들이 효과적으로 기능 하지 못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향후 경제력의 집중현상에 정부가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했다. 이 논문에서는 하나의 제도가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이유를 민주주의와 같은 단일한 변수와의 관계에서 고찰하기 보다는 정치적 선택과 정부의 경제성장정책 그리고 제도가 갖는 설계상의 문제들과 같은 여러 변수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 과로 이해해야 한다. 경제력집중을 억제하기 위 한 제도들이 실패하게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수단 또는 제도들이 그 목적과 수단 간에 괴리가 존재함으로 인해 적절한 역할을 해 내지 못했다. 둘째, 정부의 대기업정책이 경기변동과 정치적 필요에 따라 무원칙하게 적용됨으로써 형평과 효율이라는 근본적으로 충돌 가능성이 있는 문제를 적절히 조율하지 못했다. 셋째, 재벌그룹 중심의 산업구조정책을 지속적으로 유지함으로써 경제력집중억제제도는 제한적인 역할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 This article tries to explain the mechanism of institutional formation through the case of the regulation of economic concentration in Korea after democratization.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despite the presence of various types of regulatory institutions, the continuity and reinforcement of Korea`s economic concentration resulted from the political nature of regulatory institutions in their formation and change. This paper argues that the content of regulatory institutions is shaped by the outcomes of political choices, which reflect each government`s interest in the process of institutional formation and change. And these institutions fail to get to an appropriate institutional condition in which they can effectively implement the ultimate goal of such regulatory statues for restraining economic concentration. This article suggests the following three reasons for the failure of anti-economic policy. First, the discrepancy of the aim and the policy measure leads to the deepening of the economic concentration in Korea. Second, Korean government failed to balance between equity and efficiency, since its policy measures on big business were arbitrarily taken according to the business cycle and political demands. Third, because overall economic policy was oriented towards bug business, the anti-economic concentration policy played only s a limited role in treating the problem.

      • KCI등재

        경제력집중 규제론, 무엇이 문제인가

        황인학(Inhak Hwang),최원락(Onelack Choi) 한국경제연구원 2013 규제연구 Vol.22 No.2

        경제민주화는 지난 2012년 대선 과정에서 여ㆍ야 정치권의 공통 화두였고, 2013년 새 행정부가 출범한 이후에도 구체적 제도화 방안을 놓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경제민주화가 정치적 쟁점으로 부상한 이면에는 경제력집중 현상에 대한 우리 사회의 깊은 우려가 함께 하고 있다. 경제력집중은 일반집중, 복합집중, 시장집중, 소유집중을 포함하는 다의적 개념이다. 이 중에서 각국의 정부가 정책규율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소비자후생과 직결되는 시장집중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경제민주화 논쟁과 대선공약에서 보듯이 일반집중의 문제를 중시하는, 매우 독특한 규제 프레임을 견지하고 있다. 세계화 개방경쟁 시대에 각국의 시장제도와 기업정책은 국제적으로 수렴하는 추세인데 경제력집중 규제에 관한 한 한국적 특이성이 지속되는 까닭은 무엇인가? 이러한 의문과 관련, 이글에서는 경제력집중 폐해 가설의 내용과 한계를 재평가하는 한편, 최근 10년 동안의 경제력집중 변화추이를 추정ㆍ분석한다. 분석 결과,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GDP 기준 집중지표는 최대 60%의 上向偏倚와 함께 추세 해석상 錯視를 야기하는 등 경제력집중의 실상을 왜곡 전달하는 오염된 척도인 것으로 나타난다. Since 1981, Korea has maintained an unique regulatory framework on economic concentration. While most countries manage competition laws to discipline the market concentration and its subsequent problems, Korea rather focuses on restraining the aggregate concentration, esp. the economic power of the big chaebols. Recently the inhospitality tradition against the business groups is being aggravated mostly due to the political rhetoric of economic democratization propagated during the 18th presidential race in 2012. Why has the economic concentration been so much social concern in Korea? What makes the Korea specific regulation persistent and even stricter in the globalization era of open competition?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logics and myths behind the regulation in the contexts of economic theory and history. We also estimate theoretically consistent measures of concentration of the 30 large chaebols and test the corporate hegemony hypothesis, using the data of employments, sales, assets, and diversification indices. The major finding is that various measures used in previous literatures have a feature of ‘quick-and-dirty ones’ in that they lead to significantly upward biases up to 60 percent and a misleading interpretation in the long-term change of economic concentration.

      • KCI등재

        김정은 시대 정치제도화와 경제정책의 경로 분석

        Kim,Chang Hee,Park,Seong Yong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공공정책연구소 2021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Vol.7 No.2

        This study explores North Korea’s pathway to attain the goal of an economic powerhouse sustaining the party-centric politics and Kim Jong-un’s monolithic leadership system. The economic-nuclear parallel development policy strongly envisioned by the Kim Jong-un regime worked for political institutionalization and core national strategy in a transition period. The strategic priority of the policy was given to nuclearization although North Korea carried out economic measures including “Five-year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to ameliorate people’s living. The plenary meeting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party revised the parallel policy on April 20, 2018. On the declaration of the accomplishment of nuclear arsenal, “All-out Concentration Policy for Economic Building” was suggested as a new national strategy. Confronting the economic sanction and the COVID-19 pandemic, North Korea came forth with “Five-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admitting the failure of the previous economic strategy. Nonetheless, the general situation is unfavorable to North Korea in spite of its strong drive to the new economic development plan. In the sake of soothing the current difficult situation and becoming a normal state, North Korea has to consider enhancing credibility with South Korea and improving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한국의 경제 발전과정과 재벌기업 규제 패러다임의 변화 - 경제력집중 규제를 중심으로 -

        최은진 ( Eunjin Choi ) 연세법학회(구 연세법학연구회) 2017 연세법학 Vol.29 No.-

        우리나라 “독점거래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공정거래법”이라 한다)이 재벌기업을 통제하기 위한 시책이 도입되어 시행된 지 약 30년이 지났다. 특히, 공정거래법 `제3장의 기업결합의 제한 및 경제력집중`의 억제는 대표적인 재벌기업의 규제라 할 수 있다. 사실 경제력집중 억제정책은 세계적으로 그유래를 찾아보기가 힘들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처음부터 재벌기업에 대한 규제를 시작한 것은 아니었다. 과거에는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을 위하여 정부가 주도적으로 기업을 대상으로 `성장중심주의` 정책을 지향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업의 과도한 성장으로 특정 기업의 독점화가 발생하고, 자유로운 시장경제가 위태롭게 되는 등 부작용이 발생하자 재벌기업들을 규제해야 할 필요성이 절실해졌고, 그 결과 `경제력집중`을 규제하기 위한 법규가 생긴 것이다. 이러한 법체계의 변화는 우리나라 공정거래법 역사에서 큰 패러다임의 변화라고 볼 수 있겠다. 본 논고는 법의 영역에서도 과학적 패러다임의 변화과정을 적용할 수 있다고 보며 그 예시로써 공정거래법에서 기업규제 측면에서의 지배적인 견해가 어떠한 다른 지배적인 현상으로 변화하였는지 살펴보고, 이를 법적 패러다임주의(legal paradigmism)를 적용해보고자 한다. About 3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air Trade Act") by the Korean government to control `Chaebol` enterprises. Particularly, Chapter 3 Restriction on M&A and Repression of Economic Power Concentration of Fair Trade Act can be regarded as a typical conglomerates(Chaebol) regulation. In fact, the policy restraining economic power concentration is difficult to find out its origin in the world. However, Korea did not start to regulate Chaebol from the beginning. This is because in the past the government has been leading the `growth centered` policy for companies to promote the economic growth of Korea. However, when the adverse effects such as the monopolization of a specific company due to excessive growth of the company and the risk of a free market economy have arisen, the necessity of regulating the Chaebol has been urgently needed, and as a result, there has been legislation to regulate the economic power concentration. This change in the legal system can be considered as a great paradigm change in the history of the Korea Fair Trade Act. In this paper, we can see that the change process of scientific paradigm can be applied in the field of law as well. As an example, we examine the change of the dominant view on corporate regulation in Fair Trade Act into another dominant phenomenon, and apply it to legal paradigmism.

      • KCI등재

        북한 병진노선의 경제건설 총력집중노선으로 전환

        김창희(Kim, Chang Hee) 한국정치정보학회 2019 정치정보연구 Vol.22 No.2

        김정은 체제가 2013년 3월 당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공식적으로 내세운 국가핵심전략은 ‘경제건설과 핵무력건설 병진노선’이었다. 핵무력을 증대하여 전쟁억지력과 방위력을 갖추고 국가안보를 확보하여 경제건설에 진력하겠다는 것이다. 북한에서는 병진노선을 ‘정의의 핵보검’이라 하며, 항구적인 국가전략노선이라 하였다. 2016년과 2017년 동안에 경제발전 5개년 계획을 추진하는 등 인민생활향상에 힘을 쏟기도 하였지만, 수차례의 핵실험과 미사일 시험발사를 강행하면서 ‘국가핵무력건설’을 완성하였다. 2018년 김정은 위원장은 신년사를 통하여 자신들은 어떠한 위협에도 대응할 만큼 ‘강한 전쟁억제력’을 갖추어 미국도 어찌하지 못할 것이라 하면서도, 대남문제에 대해서는 남북관계개선을 강하게 주장하였다. 북한이 문재인 정부의 국정목표인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의 시그널을 받아들여 평창동계올림픽에 참가의사를 밝혔다. 남북관계에 새로운 모멘텀이 마련되었고, 고위급의 상호방문이 이루어지면서 남북정상회담에 합의하였다. 남북정상회담을 바로 앞둔 2018년 4월 20일 당중앙위원회 전원회의를 개최하여 병진노선의 전략을 수정하였다. 병진노선의 과업 완수를 선언하고 ‘경제건설 총력집중’노선이라는 새로운 국가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는 대내외정책의 방향전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비핵화에 대한 실행의지도 포함되었다. 이 연구는 북한이 병진노선을 어떻게 이끌어 왔으며, 핵무력 완성의 의미를 살펴본다. 왜 만능의 보검이라고 하던 핵을 내려놓고 경제건설 총력집중노선으로 전환했는지를 나름대로 분석해봄과 동시에 새로운 노선을 추진하는데 제약 요소는 무엇이며, 과연 지속될 것인지를 규명해 보려한다. The economic-nuclear parallel development policy (byungjin nosun) was officially articulated as the new national strategy of the Kim Jong-un regime in the plenary meeting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It aimed to achieving war deterrence and defense by enhancing nuclear power and pushing forward economic development by securing national security. The policy was termed as the treasured sword of justice and a perpetual national strategy. The years of 2016 and 2017 witnessed economic endeavor to ameliorate people’s living including the five-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and simultaneously, the accomplishment of building nuclear arsenal with nuclear tests and missile launchings in several times. Confidently acknowledging North Korea’s “strong war-deterrent power” ready to any type of threats, in so much that even the United States could not handle, Kim Jong-un accentuated the rapproche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in his 2018 New Year’s address. Upon North Korea’s participation in the Pyongchang Winter Olympics, a new momentum for the inter-Korean relation set forth, which produced following high-level inter-visits and the inter-Korean summit. Just before the summit, the plenary meeting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party revised the parallel policy on April 20, 2018. On the declaration of the accomplishment of the parallel policy, it proclaimed “All-out Concentration Policy for Economic Building” as a new national strategy which connoted the alternation of North Korea’s foreign policy including the will of denucleariz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pathway of the parallel policy and the implication of the accomplishment of nuclear force. Then, the pursuit of the all-out concentration policy for economic building at the expense of nuclearization is scrutinized. Lastly, this study examines obstacle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national strategy and the sustainability of the strategy.

      • KCI등재

        대규모기업집단 규제에 대한 평가 및 정책방향의 검토

        홍명수 ( Myung-su Hong ) 한국경제법학회 2006 경제법연구 Vol.5 No.1

        1986년 ‘독점규제및공정거래에관한법률의’ 개정 시에 도입되었던 일반집중의 관점에서 경제력집중을 억제하기 위한 규제가 시행된 이후 20년이 경과하고 있다. 동 규제는 지주회사의 규제와 대규모기업집단을 대상으로 한 출자제한 등으로 구성되며,개별시장에서의 경쟁제한성을 주된 문제로서 다루는 경쟁법의 본질에 비추어 다분히 이례적인 제도로서 인식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집중적인 의미에서 경제력집중을 규제하는 제도가 도입된 근거는, 재벌에 의한 경제력집중이 심화되고 이에 의하여 자유롭고 공정한 개별시장에서의 경쟁이 제한되며 나아가 시장경제의 본질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의미에서의 경제력집중 억제를 위한 규제가 여전히 필요한 것인지, 그리고 이와 같은 규제의 부정적 효과로서 지적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도의 개선이 요구되는지가 논의되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고 생각된다. 이를 위하여 우선 기존의 경제력집중 억제를 위한 제도들의 의의와 운용성과 그리고 문제점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전제로 하여 형식적이고 엄격한 사전규제로서 많은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출자총액제한제도를 포함한 기존의 제도들의 존폐여부와 개선의 여지에 관하여 논의하고, 나아가 가능한 대안들을 제시한다. The korean ‘Monopoly Regulation Law’ has had the regulations on the large business groups from a point of view of general concentration since 1987. These mean the prohibition on cross share-holdings, ceiling on total amount of equity investment, prohibitions on debt guarantees for affiliated corporations, restrictions on the voting rights of finance or insurance companies and decision of large-scale intra-group transactions by board of directors and notification, and besides the regulation on the holding companies and the unreasonable aid to a specially related corporations are related to the regulations on the large business groups. These regulations have introduced in competition law in order to restrict economic concentration, and contributed to the restraint of growth of economic concentration. But could we acknowledge the necessity of these regulations, specially ceiling on total amount of equity investment? But ‘Ceiling on Total of Equity Investment’has a relation to a general concentration. Because the economic concentration of Chaebul has a complex character of market, general and owner concentration, the problem of a general concentration could not be overlooked. If a general concentration of Chaebul gives rise to some problems in Korea national economy and ‘Ceiling on Total of Equity Investment could restraint a general concentration, the justification of this regulation could be approved as ever. But we have to remove the negative effect of these regulations, specially ceiling on total of equity investment’. In consequence we have to maintain the purpose of these regulations and find out the way to minimize the negative effect of these regulations.

      • KCI등재후보

        기업집단지정제도의 유효성에 관한 실증분석

        최정표 한국산업조직학회 2003 産業組織硏究 Vol.11 No.3

        공정거래법은 1987년부터 재별규제조항을 도입하여 재벌에 의한 과도한 경제력집중을 억제시키려는 목표를 추구하였다. 본 연구는 핵심적 재벌규제조항인 직접상호출자금지, 출자총액제한, 채무보증금지를 기준으로 이 정책들이 재벌에 의한 경제력집중을 완화시키는데 얼마만큼 기여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재벌규제에 의해 경제력집중이 완화되었다는 징후를 찾기는 어려웠다. 공정거래법에 재벌규제가 도입된 이래 계속 규제대상으로 지정되었던 18개 재벌들의 경제적 비중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이들에 의한 경제력집중이 완화되었다는 증거는 찾기 어려웠다. 규제가 도입된 이후 그리고 규제가 강화된 이후 재벌에 의한 경제력집중이 통계적으로 유익한 수준에서 감소되었다는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재벌규제가 경제력집중이 심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는 어느 정도의 역할을 수행했을지 모르나 경제력집중을 완화시켰거나 해소시켰다고 평가하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재벌정책은 그 지향점과 정책수단이 재조정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his study attempts to summarize chronologically the various contents of chaebol regulations adopted by Korea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chaebol regulations on the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measured in terms of aggregate concentration. Chaebol regulations has become tightened up since they were first adopted in 1987. It was believed that most of chaebol regulations were designed to pursue mitigation of economic concentration. However, empirical analysis of this paper found no significant effects of chaebol regulation on aggregate concentration. The difference of aggregate concentration between pre- and post-regul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