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R콘텐츠의 재현적 공간 연출 사례 연구 - Google Spotlight Stories VR를 중심으로 -

        김종민 ( Kim Jongmin ),한정엽 ( Han Jungyeob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VR은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와 산업으로 범위를 확장시키고 있다. VR은 프레임으로 화면을 분할, 제한, 연출하는 기존의 콘텐츠와는 다르게 프레임이 없는 360 °공간을 모두 제작, 체험해야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새로운 연출방법이 필요하지만 VR콘텐츠의 연출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VR의 기술적 특성과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VR의 서사를 진행하기 위한 주요 요소로 재현적 공간 연출로 한정하고 재현적 공간 연출을 위한 주요 요소를 세가지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주요 요소를 중심으로 VR콘텐츠의 몰입감 연구를 위해 제작된 Google Spotlight VR를 분석하여 VR의 재현적 공간 연출방법을 도출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사례를 분석하여 특성을 도출하는 사례분석연구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자는 VR의 서사를 진행하기 위한 재현적 공간 연출의 주요 요소를 장소이동연출, 시선유도 연출, 사이버 멀미 방지 연출의 세가지 요소로 도출하였다. 장소이동연출은 VR공간 안에 체험자를 위치시키는 카메라의 공간 내 이동 및 고정 여부에 따른 장소 이동 연출을 뜻한다. 시선유도 연출은 360° 공간 안에서 체험자의 시선을 유도하여 VR의 서사를 따라갈 수 있도록 하는 연출이다. 사이버 멀미 방지 연출은 체험자가 VR공간을 체험하면서 사이버 멀미를 느끼지 않거나 적게 느끼게 할 수 있는 연출을 뜻한다. 사이버 멀미가 발생하게 되면 체험자는 VR콘텐츠에 집중하기 어려워지며 이는 몰입감 저하를 발생시킨다. 도출된 주요 요소를 중심으로 Google Spotlight VR 7편의 콘텐츠를 분석하고 VR콘텐츠의 재현적 공간 연출특성을 확인한다. (결과) 장소 이동 연출은 장소고정 및 이동, 컷, 디졸브, 와이프 등의 연출사례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VR콘텐츠의 재현적 공간이 확장되며 체험자가 위치하는 공간을 다양하게 제공하여 서사를 확장, 발전시키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선 유도 연출은 보면 음영에 의한 밝기 차이, 팔로우, 채도 등을 통해 체험자의 시선이 이야기의 주체인 등장인물을 따라 효과적으로 서사를 체험하도록 유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사이버 멀미 방지 연출로는 장소 고정, 정지좌표계, 주변 요소 제거 등의 연출사례를 통해 감각갈등에 의한 사이버 멀미 발생을 감소시키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Son of Jaguar에선 감각갈등을 일부러 발생시켜 서사를 위한 연출방법으로 사용하는 모습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Google Spotlight Stories VR의 재현적 공간 연출 사례분석을 통해 각 연출요소별로 다양한 방법의 연출방법이 존재하며 단일 연출방법을 사용하는 경우는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VR콘텐츠의 효과적인 재현적 공간 연출을 위해선 하나의 방법이 아닌 다양한 형태의 연출 방법을 사용하여야 하며 콘텐츠의 스토리에 맞게 효과적, 복합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Unlike the existing content that divides, limits, and directing screens with frames, VR has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ing and experiencing 360° space without frames, which requires a new method of Directing,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Directing of VR content. Based on the main elements derived, Google Spotlight VR produced for the study of immersion of VR contents was analyzed to derive the Diegesis spatial Directing method of VR. (Methodology) This study is conducted as a case-analysis study. This researcher derived the main elements of Diegesis spatial Directing for VR Storytelling into three elements: location movement directing, gaze leading directing, and cyber motion sickness prevention directing. In VR spatial, cameras and experienced people have the same location. Location Movement Directing is the location movement depending on the movement and fixation of the camera in VR spatial. Gaze leading directing is designed to attract the eyes of experienced people within a 360° space so that they can follow the VR Narrative. Cyber motion sickness prevention directing is that allows people to experience VR spatial without cyber motion sickness. When cyber motion sickness occurs, it becomes difficult for people to focus on VR content, which causes a decrease in immersion. It analyzes the contents of seven Google Spotlight VR based on the main elements derived Diegesis spatial Directing characteristics of VR contents. (Results) The location movement directing was found to have the cases of directing such as fixation and movement of place, cut, dissolve, and wipe. Based on that, it was found that the narratives were expanded and developed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Diegesis spatial. The gaze leading directing showed that the gaze of the people experiencing the VR contents induced the experience with narratives, tracking the characters, the subjects of the story, through Contrast, follow, and saturation. The cyber sickness prevention directing included the directing cases such as fixation of place, stationary coordinate system, and removal of surrounding elements, and, in specific content, the sensory conflicts were found to be used for narrative directing. (Conclusion)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cases of representational spatial directing of Google Spotlight Stories VR, it was found that various types of directing methods should be used in combination for VR content directing in a way suited for story of the contents, rather than using single method. Finally, additional study would need to b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presentational spatial directing of VR contents on the users experiencing the VR contents, given that the experiment in this study was not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recting, derived through the analyses of concerned cases, on the users experiencing the VR contents.

      • KCI등재

        국내ㆍ외 사례 분석을 통한 무대조명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송선용 ( Seonyong Song ),신동준 ( Dongjun Shin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5

        (연구배경 및 목적)오늘날 문화와 관련된 공연 및 행사가 지역별로 광범위하게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내용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다양한 형식과 주제로 사회적 관심을 증대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공연 및 행사에 있어 주된 장소에 대한 공간적 환경은 많은 부분 변화하고 있는데 특히 외부 환경에 설치되는 비상설 무대 형식과 내용적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인 무대조명연출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무대조명연출에 의하여 공연 및 행사의 결과가 결정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문화와 관련된 공연 및 행사의 빈도가 매우 많아지는 상황에서 국내 무대조명 및 무대조명연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하고 기본적인 데이터베이스가 부족하므로 학문적 측면에서 연구를 통한 정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대조명연출에 대한 문헌적 측면의 일반적 고찰과 실무를 통한 실질적인 국내 ㆍ 외 사례 분석을 통하여 무대조명연출의 특성을 종합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연구 방법의 내용을 보면 1장에서는 무대조명연출에 대한 연구 범위 및 방법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 2장에서는 무대조명연출의 기능과 특성에 대하여 일반적인 고찰을 하였으며 3장에서는 무대조명연출에 대한 국내 ㆍ 외 사례연구를 분석 요목별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4장에서는 3장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내용을 정리, 종합하였는데 국내 ㆍ 외 사례를 기반으로 무대조명연출에 있어 도출된 효과를 종합하고 향후 무대조명연출에 대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결과)본 연구에서는 국내 ㆍ 외 공연 프로젝트를 사례 6개를 중심으로 무대조명연출에 대한 특성을 연구하였는데 사례연구에 있어 연구 요목을 정리하면 무대면적, 실행년도, 적용 이미지, 도면, 조명연출 내용분석, 분석 다이어그램, 적용조명 분석, 적용조명 및 범례 등의 내용으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국내 ㆍ 외 사례연구 분석을 통하여 무대조명연출에 있어 6가지 효과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가시적 효과, 현상적 효과, 연속적 효과, 뉘앙스 효과, 공간형성 효과, 차원적 효과 등으로 내용으로 종합할 수 있었다. 또한 향후 무대조명연출 연구 방향에 있어서는 장식적 특성, 방향적 특성, 변화적 특성, 상징적 색채 특성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은 부분 이루어져야 하겠는 결론을 얻었다. (결론)무대조명연출에 관련된 연구는 2010년 이후 연구 빈도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그 중요성이 인식되어 연구가 부족했던 무대조명연출에 대한 연구가 많은 부분 진행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대조명연출에 대한 실질적인 사례연구 분석을 통하여 무대조명연출의 효과에 대하여 분석, 종합하여 무대조명연출에 대한 학문적 중요성을 인지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무대조명연출의 분석에 의한 효과 종합이 향후 연구의 학문적 기초 자료로서 역할이 되기를 기대한다. (Research Background & Purpose)Today, cultural shows and events are being widely promoted in every region of Korea, and the diverse formats and themes of such shows and events attract social interest. The spatial environment of the location where the shows and events are promoted has made a number of partial transitions. In particular, the role of temporary stages installed in the outside environment and the role of stage lighting serve as important elements in the content determination process. In many cases, the results of the shows and events are based on the stage lighting directing.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ynthesize the characteristics of stage lighting directing by analyzing practical Korean and overseas cases by conducting a literature examination and practice on stage lighting directing. (Method)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ope and method of research on stage lighting directing is described in Chapter 1, and the general examination on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tage lighting directing is described in Chapter 2. The Korean and overseas cases of stage lighting directing that are practically applied to the actual field are categorized. A case analysis is conducted in Chapter 3 and the results are organized and synthesized in Chapter 4. In addition, the effects deducted in terms of the stage lighting directing based on the cases applied to the actual field are synthesized, and future research on the stage lighting directing is proposed. (Results)In this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stage lighting directing are analyzed based on six cases of Korean and overseas show projects directly promoted in the actual field. The cases are categorized into the areas of stage area, executed year, applied image, drawing, lighting directing analysis, analyzed diagram, applied lighting analysis, applied lighting, and legend. In addition, six effects related to stage lighting directing are deducted through the Korean and overseas case analysis, which are visual effect, phenomenal effect, consecutive effect, nuance effect, space formation effect, and dimensional effect. Based on this case analysis, future research on stage lighting directing must focus on decorative characteristics, directional characteristics,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and symbolic color characteristics. (Conclusion)Since 2010, research on stage lighting directing has gradually increased and its importance has been gradually recognized as well. Accordingly,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establish the insufficient theory on stage lighting directing. In this research, the academic importance of stage lighting directing is recognized by analyzing and synthesizing the effects of stage lighting directing through actual case studies. The effects that were synthesized based on the stage lighting directing analyzed in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academic data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정전으로서의 『연극연출』이 갖는 연극 교육적 의의와 그 한계

        이경성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3

        This study examines the canonization process of Minsu Ahn's 『Principles, Techniques, and Theatre Directing』, which has been evaluated as a canon in the field of theater directing education in Korea, and contemplate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book by analyzing its contents and composition. Ahn Min-soo had been working long period of time at the university theatre educa- tion field after successful career as a theatre director mainly at the Drama Center in the 1970s. 『Principles, Techniques, and Theatre Directing』 is a theory based book about directing that system- atizes his experience and method as a theatre director. Since its publication, it has been regarded as a canon in the related field. And a canonized theory or book must overcome its academic and prac- tical errors through constant critical review and expand the boundaries through this. Minsu Ahn's 『Principles, Techniques, and Theatre Directing』 is the first introductory book in Korea to describe the whole process of theatre directing in the combination of theory and practice, and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is important. However, the concept of directing theatre described in the book is limited to the form centered on English and American plays, which does not reflect the vari- ous methods of theatre directing that are being tried both at home and abroad in these days. In addi- tion, since there is no reflec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atrical directing and the social con- text of the time in the book, its limitations in theatrical directing education are clearly revealed. Therefore, it is now necessary to cooperate with the academia and the theatre makers to pursue book that introduces to theater directing in a new language which can contain contemporary changes while inheriting the significance of the above book. 본 연구는 연극연출 교육 분야에서 하나의 정전(正傳)으로 평가받아온 안민수의 『연극연출』의 정전화 배경 을 살펴보고 책의 내용과 구성을 분석함으로써 그것이 동시대에 갖는 교육적 의의와 한계를 고찰하고자 하였 다. 안민수는 1970년대 드라마센터를 중심으로 활발한 연출활동을 한 뒤 대학 연극 교육현장에서 오랜 기간 후학을 양성하였다. 『연극연출』은 그의 연출가와 교육가로서의 경험을 체계화한 이론서인데 이 책은 한국 연 극계의 주요한 거점이었던 드라마센터에서의 연출경력, 교육현장에서의 방대한 활동, 그리고 새로운 연출 개론 서의 부재 등으로 말미암아 출간된 이래 ’정전화‘되었다. 안민수의 『연극연출』은 이론과 실제의 융화 속에서 연극연출의 전 과정을 기술한 국내 최초의 연출 개론서 로서 그 교육적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연극연출의 개념을 영미권 위주의 희곡 중심 연극으로 한정 짓고 있어 오늘날 국내외에서 시도되고 있는 다양한 연출방식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연극연출과 당대 의 사회적 맥락과의 관계성에 대한 사유가 부재하여 연극연출 교육에 있어 그 한계가 명확히 드러난다. 따라서 이제는 학계와 연극현장의 상호협력 속에서 위의 책이 갖는 의의를 계승하면서도 동시대의 변화를 담을 수 있 는 새로운 언어의 연극연출 개론서를 모색해 나가야 한다.

      • KCI등재

        이야기를 다루는 방식, 사회극의 확장과 진화

        김유미 ( Kim Yoo Mi ) 한국연극학회 2024 한국연극학 Vol.1 No.86

        이 논문은 전인철 연출론의 성격을 지닌다. 2006년 데뷔 이후 현재까지의 작업 전체를 개괄하고 의미있는 전환이라고 할만한 변곡점을 짚어 보고 구체적인 작품을 예로 들면서 연출방법을 고찰하고자 했다. 다소 개괄적이면서도 구체적인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귀납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하나로 설명하기 어려운 전인철 연출 작업에서 이야기성이 중요한데 결국 이야기를 다루는 방식의 변화가 의미 있으며 이것이 사회극적 지향과 맞물려서 확장과 변화를 거듭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것이 이야기성을 기반으로 한 전통적인 방식과 비슷하지만 전인철 연출만의 큰 차이를 만들어낸 주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다양한 시도 속에서 특징을 정리하자면 주제 면에서는 소외된 존재에 대한 관심과 잊혀지는 가치에 대한 존중이, 형식 면에서는 연극이 지닌 재현의 속성을 인정하되 재현하지 않는 미덕이 발휘된다. 우리 사회를 탐구하고자 하는 사회극 지향이 잘 드러난 작품은 <노란봉투>와 < XXL레오타드 안나수이 손거울 >이다. 두 작품은 세월호 이후 한국연극의 새로운 흐름과 맞물려 전인철 연출 작업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극단 돌파구의 첫 작품인 < XXL레오타드 안나수이 손거울 >은 여러 가지 의미를 지닌 작품으로 사회극으로서의 가치를 위한 리서치의 중요성, 배우들 모두가 소외되지 않도록 하는 새로운 콘셉트로의 도전 면에서 논의했다. 그리고 기존의 재현 방식과 차별화하는 실험으로 과학연극을 주목할 수 있는데 <당신을 기다리고 있어>를 통해 관객의 상상력 확장이라는 과제를 어떻게 수행했는지 살펴보았다. 극단 돌파구의 운영 방식을 통해서도 연출 방법론을 들여다보았는데 낭독공연-트라이아웃공연-본공연의 과정이 잘 수행되었던 작품 중 <지상의 여자들>을 통해 더 구체적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과학연극 이후 관객을 염두에 둔다는 의식이 강해졌고 연극이 지닌 재현의 속성을 인정하면서도 그것을 벗어나기 위한 연출적인 요소들이 이 작품에서 서사의 분절 효과를 드러내며 더욱 강화되었다. 이러한 방향과 지향 설정에 드라마터그, 배우와의 협업을 통한 극단 돌파구의 방식이 미친 영향이 작지 않다고 판단된다. This article has the characteristic of Jeon In cheol directing theory. It tried to check the turning point and meaningful changes in whole works till now since debut in 2006 and review the direction method with examples of specific work. The inductive method was used to simultaneously solve somewhat general and specific tasks. It aimed to find the identity of the characteristic of storytelling with spreading Jeon In cheol directing work which is difficult to be explained into one and confirmed the repeats of expansion and change with engagement of social drama directing. It is the important factor to make a big difference of Jeon In cheol directing although it is similar to the traditional method based on storytelling. To summarize the consistent aspect in various attempts, it is the respect for forgotten value and the interest for alienated being in the aspect of subject, and it exerts the virtue of acknowledging the nature of representation of the play but not reproducing it in the aspect of form. The works which show well the aim of social drama to investigate our society are < Yellow envelope > and < XXL leotard Anna Sui hand mirror >. These two works exerted a big impact on Jeon In cheol directing work with engagement of new trend of Korean play since Sewol Ferry Incident. The first breakthrough work of Dolpagu, < XXL leotard Anna Sui hand mirror > has various meanings, which was discussed in the aspect of the importance of research for the value of social drama and challenge with new concept not to alienate actors and props. Further, as we could notice play of science topics as the experiment to differentiate it from the traditional recreation method, we looked into how to perform the task of imagination expansion of audience through < Waiting for you >. We could confirm the more specific differentiation through < Women on earth > among works which did well the process of reading performance-tryout performance-main performance as we looked into the directing methods by the breakthrough running method of Dolpagu. After play of science topics, the consciousness of keeping the audience in mind became stronger, and while acknowledging the nature of the play's representation, the directing elements to escape it were further reinforced by revealing the segmental effect of the narrative in this work. The effect of the breakthrough method of Theater Company Dolpagu by co-work with actors and dramaturg on the establishment of direction and aim seems to be considerable.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태권도공연 연출 인식 및 방향성 연구

        유한철(Han-Chul Yoo),이창민(Chang-Min Lee) 세계태권도문화학회 2024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cognition and direction of Taekwondo performance directing through big data analysis and to find the on Taekwondo performance directing. To this end, as a result of a 10-year big data analysis from January 1, 2014, to January 29, 2024,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frequency and TF-IDF through keyword analysis, words such as directing, taekwondo, performance, demonstration, and actors were found to be the most searched. Second, it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Taekwondo, performance, demonstration, play, demonstration, actor, work, production, and story as words related to ‘directing’ using Concor analysis. Third, in the future, Taekwondo performance production should develop various works by focusing on Taekwondo performance culture and performance elements.

      • KCI등재후보

        교회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디렉팅과 교육디렉터의 직무기술서 연구

        이종민 ( Jongmin Lee )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2021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교회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교육디렉터의 정의와 그에 따른 교육디렉팅의 의미를 고찰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교육디렉터의 직무기술서를 작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교회교육을 지도하는 것은 단순한 인사행정의 문제가 아니라, 기획, 조직 개편, 인사관리, 프로그램 운영, 그리고 평가와 환류 등을 포함한 총체적인 교육목회임을 지적하면서 교육디렉팅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교육디렉터”(educational director)는 협의적 의미에서 개교회에서 교육부서 사역자들을 통솔하고 교회교육과 교육행정을 총괄하는 전임사역자를 의미하고, 광의적 의미에서 총회나 노회 차원에서 교회교육을 기획하고 운영하도록 프로그램을 계발하는 기독교교육 전문사역자로 정의한다. 그리고 일련의 인사관리 원리를 교회교육에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운영 관리하는 과정을 “교육디렉팅”(educational directing)이라고 규정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현재 교회교육에서 교육디렉터로 활동하고 있는 사역자들을 대상으로 직.간접적인 인터뷰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얻은 자료들을 데이컴 차트(DACUM Research Chart)와 역량기반 리더십 개발 모형(Competency Based Leadership Development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교육디렉터가 해야 하는 직무(job), 직책(duty), 과업(task) 그리고 역량(competency)을 도출하여 교회교육을 위한 교육디렉터의 “직무기술서”(job description)를 작성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definition of an education director and the meaning of education directing accordingly for the vitalization of church education, and to prepare a job description for an education director to utilize it effectively. First of all we suggest the need for educational directing, pointing out that guiding church education is not a matter of simple personnel administration, but a total educational ministry including planning, organizational reorganization, personnel management, program operation, and evaluation and feedback. Next, “educational director” refers to a full-time minister who leads the ministers of the education department in a local church and is in charge of church education and education administration in a narrow sense. Also in a broad sense, it is defined as a Christian education specialist who develops church educational programs to plan and operate at the general assembly level. And the process of effectively applying and managing a series of personnel management principles to church education is defined as “educational directing”. Based on this definition, the duties, responsibilities, and roles of the educational director for church education were investigated. To this end, direct and indirect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ministers who are currently serving as education directors in church education, and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s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 DACUM Research Chart and Competency Based Leadership Development Model. As a result, the job, duty, task, and competency that the educational director should have were derived and job descriptions for the educational director were produced based on the contents.

      • KCI등재

        웹툰에서의 영화 연출 적용에 관한 연구 -윤태호의 <이끼>를 중심으로-

        박민주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hots and transitions in webtoons with the film directing point of view and categorize them to prove their effects. This paper firstly investigated th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webtoons through the preceding research papers. It also proceeded an intensive study about time and space in the language of webtoons and the techniques of film directing applied into webtoons to present sequential storytelling. I have chosen the webtoon <Moss(2007)> by Yoon Tae Ho as a case study and the paper could reach to a conclusion as it follows. First, the vertical scroll in webtoons created a new layout and directing techniques that were impossible on the pages of classic comic books. Second, the infinite digital space of webtoons gave gutters much more flexibility and it generated influence from film directing. Third, it is not difficult to find that several similar images repeatedly appear in slightly different size or angle of shots in webtoons. Fourth, digital production environment brought new techniques like ‘image blur’ so that film transitions such as ‘lack focus’ and ‘dissolve’ have become possible. Fifth, webtoons actively drag audience into narratives using POV shot, that matches the audiences’ point of view to the characters’. Sixth, webtoons adopted the editing technique with sound that are used only in films like ‘J cut’ to enhance their continuity. Additionally, those techniques have created new layouts, editing and directing systems in webtoons. This research has focused on webtoons’ attributes in terms of storytelling and its flexibility from other media. Further research should be done as needed for direction of webtoon education, curriculum and educational model analysis. 본 연구의 목적은 웹툰의 장면 구성과 전환에 적용되고 있는 영화 연출의 기법을 유형별로 연구 분석하여 이에 대한 효과를 입증하고, 웹툰 고유의 연출 방법론을 재고하는 데 있다. 이에 대한 연구방법으로 먼저 선행연구분석을 통해 웹툰의 형식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웹툰의 시간성과 공간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웹툰의 시공간 연출을 위해 적용된 영화 연출의 기법을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각각의 유형에 해당하는 연출 기법의 비교와 분석에 대한 사례연구로 윤태호 작가의 웹툰 <이끼(2007)>를 채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웹툰의 세로 스크롤 방식이 전통 출판 만화에서는 불가능했던 레이아웃과 연출 기법을 탄생시켰다. 둘째, 웹툰의 무한대의 디지털 공간은 패널과 패널 사이의 공간인 홈통의 연출에 대한 유연성을 가지며 영화적 시공간 연출을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비슷한 내용의 이미지를 쇼트의 크기를 달리하여 반복하는 방식으로 영화에 가까운 세련된 연출을 시도하고 있다. 넷째, 디지털 제작 환경이 이미지 블러 방식을 가능하게 하여 랙 포커스, 디졸브 등의 영화적 장면 전환이 가능해졌다. 다섯째, 등장인물과 독자들의 시점을 일치시키는 POV샷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며 내러티브 전개에 독자들을 능동적으로 끌어들였다. 여섯째, J컷과 같은 사운드를 이용한 영화적 편집 기법을 텍스트를 활용하여 시도함으로써 연속성을 높임과 동시에 웹툰 만의 창의적 연출을 탄생시켰다. 영화나 애니메이션과 같은 주변 매체로부터의 영향과 더불어 웹툰 고유의 연출 방법론을 논의하였다는 점에 본 논문의 의의가 있으며, 후속 연구로 대학에서의 웹툰 교육, 커리큘럼, 교육모델 연구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풍랑을 뚫고》에 나타난 최승희 연출의 특징과 의의

        오세준 ( Oh Sae-joon ) 한국무용교육학회 2017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28 No.3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h`oe Sung-hui`s directing of P`ungnang ul ttul`ko (Throughout the Storm) and the significance of her directing. In her dance performance P`ungnang ul ttul`ko, which had quite dramatic quality, Ch`oe Sung-hui showed a great directing ability. In P`ungnang ul ttul`ko, Ch`oe Sung-hui used a song as pangch`ang (the unique usage of musical chorus for performing arts in North Korea) as the accompaniment for the performance instead of an instrumental music. Also Ch`oe Sung-hui created a great Mise-en-scene with condensed representation utilizing the various elements of theatrical art including movement, blocking, stage setting, and lighting. In addition, by the well-calculated change of the theatrical convention from the representational to the presentational in the performance, she succeeded in dominating the audience during the performance. Ch`oe Sung-hui`s directing competency shows that she was well accustomed to the techniques of Western performing arts or modern performing arts. Viewing Ch`oe Sung-hui as a "director" gives her a new meaning as a well-rounded artist, not limited as a mere "dancer." This point of view will extend the horizon of discourse about Ch`oe Sung-hui.

      • KCI등재

        3D 입체애니메이션의 연출에 대한 고찰 - <아이스에이지3>를 중심으로 -

        김세훈 ( Kim Sae-ho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2 No.-

        입체영상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지금 3D 입체애니메이션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제작되고 있다. 3D 입체영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작이 용이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와 더불어 입체애니메이션에 관련한 레이아웃 혹은 화면연출에 대한 관심 또한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이전의 2D 영상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가상의 공간 즉 Z축 공간의 연출이 가능해지면서, 플러스 효과인 돌출 효과와 함께 스크린의 뒤 쪽으로 후퇴하는 마이너스 영역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평면의 스크린 안에 현실에 존재하는 입체 공간을 재현하려는 시도는 이미 오래전부터 진행되어 왔다. 그리스 르네상스 시대부터 구축되어 온 공간감의 표현에 대한 연구는 입체영상 시대의 도래와 함께 더 강조되거나 또는 다소 상이한 측면에서의 접근을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세 가지 요소 중 하나인 공간 구성(Background Composition)은 기존의 원근에 관련한 요소를 입체영상에 적절하게 적용하여 강조한 방법을 고찰한 것이다. 이것은 달라진 부분이라고 보기보다는 기존의 요소들이 입체영상의 효과로 인해 강조된 부분으로 더 넓고 더욱 깊어진 공간의 연출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카메라 워크(Camera Works)와 캐릭터 연출(Chracter Position)은 기존의 연출 이론과는 다소 달라진 부분을 조명하여 살펴보았다. 이와 같이 3D 입체애니메이션에서 효과적인 화면연출을 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이론들을 어떻게 적용하고 강조할 것인가와 달라진 요소들을 어떤 방법으로 활용할 것인가에 관하여 적절하게 대처해야만 무한하게 펼쳐질 가상의 영화적 공간을 창조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growing demands for digital three dimensional visual contents nowadays, digital three dimensional animation`s been producing positively all over the world because it is easier to be produced than digital three dimensional films comparatively. Besides, Layout or screen directing related to digital three dimensional animation`s become a matter of interest or a conversation topic. Since cyber space , in other word, space on the Z-axis can have been directed that were never existed in two dimensional images, the minus space which move rearward of screen as well as projecting effect, that is plus effect is been requiring. To reproduce cyber space which exists in reality on the flat screen had been tried for a long time. The study on the expression of space sense which has been considered since the Renaissance in Greece, is emphasized more or required how to contact with other ways in the age of digital three dimensional image. This study can be subdivided into three main sections. One of them is Background Composition which is considered how to use perspective on stereoscopic images properly and emphasize them. The others are Camera Works and Character Position focused on the differences from the existing theory of directing. Like this, The effective screen directing in digital three dimensional animation should be prepared and planed perfectly how to use and emphasize the existing theories, and cope with the differences as well. It can make cyber space in films be created infinitely.

      • KCI등재

        욕망의 헤테로토피아 건축하기-사라 룰의 <옆방에서 혹은 바이브레이터 플레이> 수행적 공간 연출-

        이강임 ( Lee Gang-im ) 한국연극교육학회 2020 연극교육연구 Vol.37 No.-

        It is fairly necessary for the theatre director to conceive what the theatre space for the work in planning would like to be. Furthermore, conceiving theatre space is the first and basic tool to embody the work in process. Therefore, time-space matter has been the very important issue in the academic field of performance studies. Since the concept of time-space is also based on our very subjective and individual experience, it is a fact that the researchers have had a hard time in dealing with time and space in performance studies. For the author of this paper, as a theatre director and a scholar, I have been searching for the materials about theatre and time-space, but I have not found much resources for that matter. I had tried to illuminate time-space matter from the perspectives of performance studied in a paper titled 「performance space directing: focused on the performativity of space」. As for that paper, I explained the concept of performativity of theatre space, but I could not have a scholarly achievement in examining how the director in focus conceived the theatre space in detail. In that paper, I borrowed the concept of performativity defined by Judith Butler, stating that “in social space like theatre space, space does not express the real relationship and identity, but space itself is the very process in which the relationships and identifications are produced.” As a continuing project of the earlier paper, in this paper, not only I delve into the peformative quality of space, but also I apply the very concept of performative space to my own directing work, Sarah Ruhl’s < In the Next Room or the Vibrator Play > in 2017. My thesis is that social space like theatre space is not an empty container, but a site in which the very complex social relations and differences like ‘gender,’ ‘class,’ and ‘race’ cross and overlap. In this paper, using interdisplinary research method of performace studies, I try to look at the various concepts about space which inspired me to conceive theatre space for Sarah Ruhl’s < In the Next Room or the Vibrator Play >. The scholars and practitioners like Doreen Massey, Henri Lefevre, Jacques Rancière, Elizabeth Grosz, bell hooks, Luce Irigaray, Zaha Hadid offered me huge insights about the concept of time-space. Conclusively, I define performative space directng as image cartography. Through my discussion of space directing as image cartography, I talk about the desired images of house, home, sexuality, and love in Sarah Ruhl’s < In the Next Room or the Vibrator Play >. Using the diverse theoretical backgrounds in this practical paper, I suggest the model of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pa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