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차이의 관찰 : 체계 이론적 뉴미디어 개념

        김무규 국제언어인문학회 2013 인문언어 Vol.15 No.2

        Observing Differences: A system-theoretical Conceptualization of New Media Mookyu Kim (Pukyong National University) This paper aims to delineate a new concept of media in terms of Niklas Luhmann’s system theory. Niklas Luhmann is well known for his pursuit of the theorization of the social construc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communication and media. Although he commented on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computer partially in his double volume book, Die Gesellschaft der Gesellschaft, the details of the new media concept was not fully comprehensible. Yet, his system-theoretical media concept had already insinuated on this issue, especially when he put forwar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art media in a communicative environment. Art in communication is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dia and the form itself becomes the media or the form in the second order of observation, and only when this recursive transformation remains consistent. This description of the communicative art media based on the differentiation between the first order and second order media is a necessity in order to comprehend the new media. The modality and variability of the digital codes, which symbolizes the uniqueness of the new media, provides the positive environment to this media/form- differentiation.

      • KCI등재

        다매체 환경에서 청소년의 미디어 활용 방식에 대한 FGI 연구 : 성별과 환경적 요인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송요셉(Yosep Song),오상화(Sang-Hwa Oh),김은미(Eun-mee Kim),나은영(Eun-yeong Na),정하소(Haso Jung),박소라(Sora Park)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09 언론정보연구 Vol.46 No.2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청소년 집단의 미디어 이용 행태를 재검토해보려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미디어 이용 전반, 광범위하게는 디지털 격차와 관련된 기존의 논의들은 미디어 이용에서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성별, 세대, 소득, 라이프스타일 등 인구사회학적 배경들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 연구는 기존의 미디어 이용 행태 측정 방법으로는 새로운 미디어 이용 패턴을 간과할 수도 있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는 기존의 매스 미디어 이용 패턴과는 다소 다른 방식으로 소비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서베이와 같은 구조화된 조사에서는 놓칠 수 있는 이러한 새로운 면모들을 밝히기 위해 FGI를 도입하여 청소년 집단의 미디어 이용 행태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47명의 10대 청소년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미디어의 다중적 이용 방식에 대하여 탐색하고, 미디어 이용과 이들이 맺는 사회적 관계, 그리고 전통적 미디어 환경에서의 성별 차이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이용 패턴을 측정하는 도구들로는 측정되기 어려운 새로운 유형들이 발견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새로운 이용 패턴이 다분히 기존의 성별 차이나 환경적 차이에서 비롯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media use patterns of adolescents in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Previous studies on media users show that gender, age, income and life styles are best predictors of media use patterns. However, this study tries to look at the changes in the influence of these factors. In the digital environment it is impossible to have a full view of the actual usage with the existing methods of measurement. This is because people use the digital media in a very distinctive way. So we adopted a qualitative method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media use behavior of adolescents. FGI of 47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eoul area, we found that the gender differences were not as obvious in the sense that most girls and boys use similar media content. However, in the way of usage, boys tend to be more addictive, while girls used a more diverse range of media. Boys did not show differences according to income, whereas girls behavior surrounding the media were difference among different social class. Media was a more important activity to girls, while for boys it was just one of many activities that could be shared with friends.

      • KCI등재

        FoMO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소셜미디어 이용강도와 사회적 유대감의 다면적 이해: 글로벌 대학생의 경직적-유연적 문화 차이를 중심으로

        박현지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4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9 No.1

        본 연구는 글로벌 대학생들의 문화적 차이에 따른 소셜미디어 이용이 FoMO(Fear of Missing Out) 경험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와 함께 소셜미디어 이용강도와 사회적 유대감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한다. 이를 위해 2023년 3월에 글로벌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온라인 설문조사 데이터를 SPSS와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각 변수 간의 상호작용과 매개효과를 분석한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소셜미디어 이용에 따른 FoMO 경험이 문화적 차이와는 상관없이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소셜미디어를 이용함에 있어 글로벌 대학생들 간의 국가별 문화적 차이성이 줄어들고, 동시에 문화적 동질성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FoMO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소셜미디어 이용강도와 사회적 유대감의 다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나, 문화적 차이에 따른 영향력이 상이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는 경직적 문화와 유연적 문화의 차이로 인해 자신이 사회에서 경험하는 규범의 명확성이 다르게 지각되어 소셜미디어 이용과 관련된 행동 패턴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다. 특히 서양의 유연적 문화권의 대학생들은 소셜미디어의 이용강도가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이는 소셜미디어의 활발한 이용과 삶의 만족도 간 강력한 상호작용을 보여준다. 반면, 동양의 경직적 문화권의 대학생들은 집단과의 조화를 중요시하며, 타인과의 연결을 통한 사회적 유대감이 삶의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직적 문화와 유연적 문화 간의 차이가 FoMO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소셜미디어 이용강도와 사회적 유대감이 다양한 문화적 맥락에서 다양한 역할을 하며, 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더불어 본 연구는 글로벌 대학생들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경험하는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고, 문화 간 차이를 고려하여 새로운 문화에 대한 이해 증진과 다양성 존중, 적응력 향상을 위한 지침과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국제적인 교류와 문화 간 이해를 촉진하는 데 이론적이고 실무적인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use of social media among global university students, influenced by cultural differences, affects the experience of FoMO (Fear of Missing Out) and life satisfaction. Additionally, it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media use intensity and social connectedness. Data collected from an online survey conducted in March 2023 with global university students is analyzed using SPSS and the Process macro to explore the interactions and mediating effects among variabl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regardless of cultural differences, the experience of FoMO due to social media use negatively impacts life satisfaction. Moreover, the study reveals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use intensity and social connected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MO and life satisfaction varies depending on cultural differences. Particularly, university students from Western cultures, characterized by looseness, show that the intensity of social media use significantly impacts life satisfaction, indicating a strong interaction between active social media eng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In contrast, university students from Eastern cultures, characterized by tightness, prioritize harmony within groups, where social connectedness with others has a greater impact on life satisfaction. Consequently,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diverse roles of social media use intensity and social connectedness across different cultural contexts, providing valuable theoretical and practical insights for promoting international exchange and cultural understanding.

      • KCI등재

        Social Media Commerce: Next Frontier in Online Shopping Focused on Chinese Consumers

        Min Chung Han 사람과세계경영학회 2019 Global Business and Finance Review Vol.24 No.1

        Chinese social media heavily influence consumers’ purchasing decisions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social media use. Furthermore, Chinese millennials purchase products using social media commerce, a fast-growing, online commerce platform in China. This study tried to answer following questions to understand the new platform of online commerce: (a) how do different types of products influence Chinese social media users’ perceptions of social media commerce? (b) Are there gender differences in perceiving risk and convenience of social media commerce? And (c) how do Chinese consumers’ perception affect their trust and willingness to purchase products through social media? This study employed a between-subjects’ online experiment of a fictitious Weibo page to measure Chinese social media users’ perceptions of social media commerce. A total of 149 Chinese university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Jiangsu Province, China. The results confirm the importance of product types and gender on consumers’ perceptions of social media commerce and how their perceptions of the convenience of social media commerce strongly influence their purchase intentions in China.

      • KCI등재

        유아부터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까지의 미디어 사용 시간 변화와 성차에 대한 종단 연구

        이귀옥 한국아동권리학회 2021 아동과 권리 Vol.25 No.3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만 4세 유아부터 만 9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까지의 미디어 사용 시간 변화를 살펴보고, 연령별 미디어 종류와 활용 내용에 관한 성차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한국아동패널 자료 5차(2012년)부터 10차(2017년)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연구도구는 미디어 사용 시간과 미디어 종류와 미디어 활용 관련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반복측정분산분석, 독립표본 T검정, 교차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유아기는 미디어 사용 평균이 매년 조금씩 감소했으나, 초등학교 시기는 미디어 사용평균이 증가하였다. 유아기는 주로 TV를 시청하였고, 초등학교 시기부터 미디어 종류, 사용과 활용 내용도 다양하였다. 특히 유아부터 초등학교 저학년 남아가 여아보다 미디어 이용 정도가 높았고, 남아는 유아기부터 주로 게임 위주로 활용하였던 반면, 여아는 초등학교 시기부터 미디어를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하였다. 결론: 유아기보다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가 미디어 사용의 중요시기이고, 성별로 사용 시간, 종류와 활용에도 성차가 있었다. 연령별, 성별 미디어 시간 조절과 활용 내용과 관련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과 동시에 특히 남아의 경우 유아시기부터 게임에서 탈피하는 미디어 활용 안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media usage times from four-year-old preschoolers to nine-year-old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examines gender differences by media type and content by age. Methods: Data from the Fifth (2012) to the Tenth (2017) versions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were used. As a research tool, a questionnaire related to media usage time, media types, and media usage was used. For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crossover analysis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version 23.0). Results: Average media use for preschoolers decreased slightly every year, but the average time increased during elementary school. Subjects in early childhood mainly watched TV, and media types, usage and contents varied from elementary school. In particular, boys from preschoolers to those in elementary school showed a high degree of media use and mainly used games, whereas girls in elementary school used media for various purposes. Conclusions: The early years of elementary school are more important than the preschool years. Also,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usage times, types, and usage by gender. Through this, education on related to the use of time control and the use of contents by age and gender should be conducted. At the same time, the findings also suggest, especially for boys, that education in preschool should strive to help them break away from the use of game-centered media.

      • KCI등재

        개인미디어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섭언정 ( Nie Yan-ting ),김인재 ( Kim In-jai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18 情報시스템硏究 Vol.27 No.3

        Purpose As web 2.0 has taken root in the Internet environment, people began to create specific values to produce and disseminate contents on their own. In order to emphasize the personalized media attributes, the concept of self media was derived. In this paradigm shift, self media has emerged that succeeded in commercializing themselves in social media. Taking advantage of the influence of self media will have a tremendous positive impact on management activities such as marketing strategy, brand promotion, customer retention, and profit growth.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affecting the loyalty of self media in Korea and China because the studies in the area of selfmedia is not enough.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analyzed what factors influenced the loyalty of self-media in terms of Korea-China comparison. The research model was proposed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papers. Content value, interactivity, ease of access, self-congruity, sympathy, and reputation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Trust and satisfaction are used as mediating variables, nationality as moderator variables, and loyalty to self-media as a dependent variable.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ll independent variables directly influence the loyalty of self-media except interactivity, and interactivity indirectly influence loyalty through trust and satisfaction.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nationality between satisfaction and loyalty, but was not a moderating effect between trust and loyalty.

      • KCI등재

        가정폭력 노출이 청소년의 성폭력가해에 미치는 영향-유해매체 접촉의 매개효과와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김재엽 ( Kim Jae Yop ),김희진 ( Kim Hee Jin ),장대연 ( Jang Dae Yeon ),이현 ( Lee Hyun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7 청소년복지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이 유해매체 접촉을 거쳐 성폭력가해에 이르는 경로를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5개 중학교에서 83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실시하였고 STATA 14을 활용하여 포아송 및 OLS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변수들의 실태를 살펴보면, 첫째, 청소년의 53.6%가 평생동안 최소 1번 이상의 가정폭력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59.9%가 지난 1년간 유해매체를 최소 1회 이상 접촉했으며 남자 청소년이 여자 청소년에 비해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셋째, 청소년은 9.5%가 성폭력가해경험이 있다고 응답했고 빈도는 남녀 간에 유사 하였다. 연구모형 검증을 통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 노출이 남자 청소년의 성폭력가해와 유해매체 접촉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해매체 접촉이 남녀 청소년 모두에서 성폭력가해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직·간접효과가 확인된 남자 청소년 집단에서 유해매체 접촉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성폭력가해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수립에 있어 남녀의 성별차이를 고려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성폭력가해 예방을 위해서 1) 남자 청소년들의 가정폭력 노출 초기의 상담적 개입과 지속적 사례관리 실시, 2) 유해매체 접촉에 대한 예방적인 대책과 교육의 강화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domestic violence, harmful media, and sexual violence and gender differences. 835 students in 5 middle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responded to the survey.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18.0. Poisson-based regression analysis and OLS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using STATA 14.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53.6 percent of respondents had domestic violence for their lifetime at least more than once. Second, 59.9 percent were exposed to harmful media at least more than once. Third, 9.5 percent had committed sexual violence, in which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sum, domestic violenc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sexual violence crime of male adolescents and harmful media exposure. Harmful media exposure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sexual violence crime in both male and female. Third,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harmful media expos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in male groups. These findings imply the need to consider gender differences in programs and policies which are designed for preventing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in adolescents. In order to prevent sexual violence in adolescents, we suggest counseling male victims in the early stages and continuously managing cases. Also, it is suggested that taking preventive measures and strengthening education on harmful media exposure should be provided to adolescents.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특성과 고전문학 교육 방안

        권순긍(Kwon Sun keu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5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9 No.1

        How can we make it possible to teach classical novels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sophisticated digital media? First of all, it should be noted that many versions of classical novels and Pansori (Korean narrative songs) are quite different from modern novels in that they do not have complete or fixed texts. Instead, they have maintained constantly changing channels of interactivity between writers and readers, and also narrators and audiences. This fact proves that classical novels and Pansori are mobile texts fitting the age of digital media. The application of interactivity enables us not only to rewrite the endings of classical novels but also fully understand the texts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creative education. Secondly, fantasy features inherently have unrealistic elements which cannot be measured by modern realism. In reality, fantasy features convey the meaning of resistance and overthrow against oppression of modern society which emphasizes rationality and science. Fantasy features from classical novels turn out to have enclosed the dreams and hopes of the people of those days. Fantasies of the past, when compared with today's fantasies, intended to highlight the connection of the realities of those days. The application of fantasy grammar, which includes fantasy features and adventures, can help readers to enjoy much more about unrealities and fantasies of classical novels. Finally, from the viewpoint of literature education, a great number of classical novel resources should be digitally convert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so that they may be easily accessed regardless of place and time. They should be available not only in browsing but also in giving information about performance situations and work environments. All being considered, it will be possible to utilize such resources in teaching literatures and also to open the way to create new content. 첨단 디지털 시대에 고전문학을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활용해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 우선 고전소설이나 판소리의 숱한 이본들은 근대소설처럼 완성되거나 고정된 텍스트가 아니라 작자와 독자 혹은 창자와 청중 간의 끊임없이 변하는 상호소통방식의 통로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고전소설이나 판소리가 디지털 시대에 맞는 유동적인 텍스트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디지털 미디어의 상호소통방식을 활용하여 고전소설의 결말을 새롭게 써 봄으로써 고전소설의 텍스트를 온전히 이해하게 되며 창작교육의 효과도 거둘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고전소설의 환상성은 근대 리얼리즘의 척도로는 잴 수 없는 비현실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다. 실상 환상성은 이성과 과학이 중시되던 근대사회의 억압성에 대한 저항이자 전복으로서 의미를 갖는다.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환상성의 요소는 근대 리얼리즘의 척도에서는 미달된 것이지만 당시 민중들의 꿈과 소망을 담았던 것이다. 오늘날의 판타지와 비교하면 당시는 현실과의 연관성이 중요하게 부각된다. 환상성이나 모험의 공식 등 판타지 장르의 문법을 활용하면 고전소설의 비현실성이나 환상성이 훨씬 재미있는 이야기로 읽혀질 것이다. 마지막으로 문학교육의 활용이란 관점에서 숱한 고전문학의 자료들이 디지털로 전환되어 언제 어디서나 쉽게 볼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저장, 활용돼야 한다. 단순히 자료를 검색하는 것만이 아니라 구연 상황이나 작품의 환경까지 고려해 제공돼야 한다. 그래야만 교육 현장에서 손쉽게 문학교육의 자료로 활용되고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길까지 열어주게 되는 것이다.

      • KCI등재

        Addressing User Engagement in Social Media Platforms with Cultural Differences Based on Hofstede’s Dimensions

        Yoon Han,University College Cork,김태훈 한국경영정보학회 2024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34 No.1

        This paper proposes the presence and importance of cultural differences to address user engagement in worldwide social media platforms. Based on Hofstede’s cultural dimensions, this paper addresses their new meanings in the context of user engagement in social media. Our propositions address two research questions: (1) how do cultural dimensions, displayed on social media platforms, differ across national cultures?; (2) what different preferences the social media platforms have in terms of which cultural dimensions promote or suppress user engagement? User engagement in social media platforms is explained by the cultural differences in terms of the four cultural dimensions: individualism vs. collectivism, uncertainty avoidance, power distance, and masculinity vs. femininity.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for research and practice.

      • KCI등재

        Learners` Smart Media Literacy on the Gender and School Levels

        ( Eunmo Sung ),( Hyoseon Choi ) 한국교육공학회 2016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Vol.17 No.1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 gender and school of students affect smart media literacy in South Kore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in Korea Youth Competency Measurement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research II was analyzed. The data was nationwide data collected from 11,284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high, and undergraduate school in South Korea.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18 items of smart media literacy questionnaire (SMLQ) that consisted of four factors; ability to learn using smart media, ability to operate smart devices, ability to use smart applications, and positive perception of using smart media. As a result,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participants’ gender and school levels. In relation to the gender level, female students scored higher than male students on the smart literacy survey. With regard to the school level, middle school students scored the highest whi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ored the lowest. In addi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gender level of smart media literacy on two dependent measures in terms of the interaction effect of gender and school level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trategies to improve smart media literacy according to students’ gender and school levels have been made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have been proposed in deta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