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경찰력 증강과 경찰활동 강화가 범죄발생 억제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ARIMA 시계열분석

        이수창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4 치안정책연구 Vol.28 No.1

        Police are in the front line of fighting crime. Does police have a causal relationship with crime deterrence? The effect of crime deterrence is one of the rationales behind the proposition that police can reduce crime. According to the proposition, there are the apparent negative effects of increasing police strength and reinforcing police activities on crime rates. So one of the most common strategies in the war against crime is to increase police manpower levels. There have been, however, constant controversies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olice and crime deterrence effect since empirical studies have showed the different results that especially a reinforcement of police strength has no effect on reducing crimes or a positive influence on crime rates. The Park administration has been increasing the number of police in order to exterminate 4 evils as one of the strategies in the war against crimes since 2013. However, there are some disputes related to this government's measure. The empirical studie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nd causation between police and crime deterrence have been lack significantly in Korean background, so it is not easy to make sure the effect of police on crime deterrence. When considering the analytical results from a lot of the empirical studie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olice and crime deterrence, it is true that there is s strong doubt over whether the increase in police manpower implemented by The Park administration can contribute to reduce the number of crimes including 4 evils. In the contex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police on reducing crimes. That is to s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trength of police and policy activity on crime deterrence. This study employs an ARIMA time-series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olice and crime deterrence effect by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from 1964 to 2012. As result, the study reveals that the policy activity has a negative influence on crime deterrence, while the police strength does not have a significance. The analysis shows that the reinforcement of police strength does not affect the decrease in crime rates. The policy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a police organization should make bigger efforts to establish the effective measures for improving the rates of criminal arrests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crimes instead of giving more policy attention to the reinforcement of police strength as one of the most common strategies in the war against crime. 본 연구는 경찰이 범죄를 억제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즉 경찰력 증강과 경찰활동 강화가 범죄를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는 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49년간의 시계열 데이터를 수집하여 ARIMA 모형을 활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경찰력의 측정변수는 경찰인력과 경찰예산을 그리고 경찰활동의 측정변수는 범인검거 건수를 선정하였으며 범죄발생 건수를 범죄억제의 측정변수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경찰활동은 유의수준 0.01에서 범죄억제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찰조직이 범죄 예방 및 억제를 위한 해결방안으로써 경찰인력 증원에 지나치게 의존하기보다는 범인을 효과적으로 체포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더 정책적 관심과 의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범죄학에 따른 범죄예방모델 분류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박행렬 한국과학수사학회 2007 과학수사학회지 Vol.1 No.1

        ‘The crime prevention models based on criminology’ are divided into four models, namely ① deterrence model, ②treat and rehabilitation model, ③crime prevention model through social development, ④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model. However those models have several defects in themselves. Firstly, the term of ‘the deterrence model’ is a inaccurate term, because the term of ‘deterrence’ is a general term in crime prevention. Every crime prevention model has the factor of ‘deterrence’. Secondly, the treat and rehabilitation model is explained to be primarily a criminal-oriented model. Therefore that model is not a crime prevention model but a correctional model. Lastly, ‘the crime prevention model through social development’ is not clear in it’s meaning. that model is not clear whether it is based on social process theory or social structure theory. Like this, the above-mentioned crime prevention models have several defects in themselves. Therefore those models should be replaced by new models. The new crime prevention models are criminal-tendency deterrence model, the criminal opportunity reduction model, recidivists management model. ‘The criminal-tendency’ means something that inclines one’s mind or attitude to commit crime. One’s criminal-tendency can results from not only his temperament or character but also the influence of one’s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urroundings. ‘The criminal opportunity reduction’ means the direct control of situational opportunities that someone may commit a crime. The strategies in this realm are what make on-the-spot situation impossible or very difficult for a latent criminal to commit a crime. ‘The recidivists management’ means something that control criminals who have an criminal experience (or experiences) not to commit a crime again in the future. 국내학자들은 범죄학에 따른 범죄예방모델을 ①억제모델, ②치료 및 갱생모델, ③사회발전에 따른 범죄예방모델, ④상황적 범죄예방모델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는 억제모델에서의 ‘억제’라는 용어가 다른 범죄예방모델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 용어이므로 억제모델의 내용상 독자성에 혼란을 초래하는 점, 치료 및 갱생모델이 생물학적·심리학적 범죄이론 뿐만 아니라 사회학적 범죄이론의 근거도 가지고 있으며 범죄예방모델이 아니라 교정모델의 하나임에도 막연히 생물학심리학적 범죄이론을 근거로 하는 범죄예방모델이라고 설명하는 점, 사회발전에 따른 범죄예방모델의 범죄학적 근거에 혼란이 있는 점 등에서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기존의 범죄예방모델을 대체할 새로운 범죄예방모델로 범죄적 경향성 억제모델, 범행기회 억제모델, 재범억제모델의 세 가지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 다. 여기서 범죄적 경향성 억제모델은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원들이 어떠한 원인에 기인하든 간에범죄에의 결정단계까지 나아가지 않게끔 하는 영역이고, 범행기회억제모델은 일반 사회구성원에 대한 범죄적 경향성의 억제 전략에도 불구하고 범죄적 경향성을 가지게 된 잠재적 범죄자가 어떤 범죄에의 결정단계까지 나아가거나 상황에 따라 범죄를 저지를 수 있게 된 때 그 범죄 실행의 현장 환경이 범죄를실행할 수 없게끔 또는 대단히 어렵게끔 하여 범죄를 예방하려는 영역에 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재범억제모델은 기 범죄를 저지른 자가 다시 재범하지 않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는 범죄예방영역에 대한 것이다.

      • KCI등재

        사이버 범죄 억제인식에 대한 연구 -사이버 범죄에 대한 처벌의 인식이 범죄신고 의향에 미치는 영향-

        박한호 한국범죄심리학회 2020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6 No.4

        In general, the definition of crime is important to victims. In cyber crime, the definition of crime is more and more important. This is because it is not directly related to life or body, but rather related to property, honor, or efforts to overcome damage. It is also because specialized knowledge is sometimes required to recognize cyber crime. Therefore, cyber crime victims are redefined for crime damage. In this process, victims generally consider the size of the damage, whether or not to recover, the degree of recovery, and the degree of support from a cost-benefit perspective to recover the damage. Even if they have specialized knowledge about cyber crime, they are not only limited in economic and time to recover damage, but also have limited powers for investigation, so they intend to recover the damage as well as the progress and spread of the crime through reports from criminal justice agenci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ttempts to solve two major questions. First, does the procedure and trust of criminal justice agencies affect the intention to report? Second, it is whether criminal justice institutions' perception of suppression of punishment for cyber crimes affects their intention to report. As cyber crime detection technology develops day by day, the technology to avoid it also intelligently evolves, making it difficult to recognize the victim. For all crimes, elaborate countermeasures are made when the overall reality of the crime is accurately identified. Given this, the increase in reports of cyber crime will reduce the male and female rates. As a result, rapid intervention based on the perception of cyber crime will contribute to suppressing crime and preventing crime in the long term. Therefore, this study was surveyed centering on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ctive in cyber activities, and attempted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intentions of reporting cyber crimes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ertainty of punishment for cyber crime is a very important determinant of reporting.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 willingness to report to criminal justice agencies w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punishment for cyber crim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rust of criminal justice agencies is important among the factors to consider for recovering damage through redefinition of cybercrime damage. 일반적으로 피해자에게 범죄라는 정의는 중요하다. 사이버 범죄에서는 더욱 더 범죄에 대한 정의가 중요하게 작용한다. 직접적으로 생명·신체와 관련되기 보다는 재산과 명예 또는 피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또한 사이버 범죄의 인식을 위해 전문지식이 요구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이버 범죄 피해자는 범죄피해에 대한 재정의가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피해자는 피해를 회복하고자 하는 행동에 일반적으로 비용 편익적 관점에서 피해규모, 회복여부, 회복정도, 지원정도 등을 고려하게 된다. 사이버 범죄에 대하여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피해회복을 위한 경제적·시간적 한계뿐 아니라 수사에 대한 권한이 한계로 형사사법기관의 신고를 통해 범죄의 진행과 확산은 물론 피해를 회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질문에 대하여 해결을 시도한다. 첫째, 형사사법기관의 절차와 신뢰가 신고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형사사법기관이 사이버 범죄에 대한 처벌의 억제인식이 신고의향에 영향을 미치는지가 바로 그것이다. 사이버 범죄에 대한 탐지기술은 날로 발전됨과 동시에 이를 회피하는 기술 또한 지능적으로 진화하여 피해자가 피해인지를 어렵게 만든다. 모든 범죄는 범죄의 전체적 실태가 정확히 파악될 때 정교한 대책이 만들어진다. 이 점을 감안한다면 사이버 범죄에 대한 신고의 증가는 암수율을 감소시킬 것이다. 결과적으로 사이버 범죄의 인지에 따른 신속한 개입은 범죄를 진압하고 장기적으로 범죄를 예방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이버 활동이 활발한 대학생을 중심으로 설문되었으며, 사이버 범죄에 대한 인식과 신고 의향에 대해 분석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사이버 범죄에 대한 처벌의 확실성이 매우 중요한 신고의 결정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사이버 범죄에 대한 처벌의 기대가능성이 존재할 때 형사사법기관에 신고할 의향이 존재하는 것으로 사이버 범죄 피해의 재정의를 통한 피해회복의 고려요인 중 형사사법기관의 신뢰가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억제이론의 명과 암

        민흥기(Heungki Min),전용재(Yong Jae Jeon) 한국공안행정학회 2023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32 No.2

        이 연구는 억제이론의 효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실시되었다. 범죄자의 합리적 사고를 가정하는 억제이론은 범죄의 이익이 비용을 초과할 경우 범죄는 만인에게 정상적이고 이성적인 선택이 될 것이라 주장한다. 이에 억제이론에서는 처벌이 범죄의 이익이나 사회적 해악 이상으로 설정되어야 재범과 초범이 방지된다고 예상한다. 그런데 범죄의 피해나 사회적 해악에 대한 개인의 인식은 범죄두려움의 충분조건 중 하나로 간주된다. 범죄가 야기하는 신체적, 정신적 피해의 수준을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범죄두려움은 확대되는 것이다. 처벌의 엄중성이 범죄의 사회적 해악을 반영한다면 엄중성은 범죄두려움을 자극할 것이라 판단되었다. 학계의 일반적인 지식과 달리 범죄를 예방하려는 도구가 오히려 광범위한 범죄피해자를 양산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자의 가정을 검증하고자 815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처벌의 확실성은 범죄두려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처벌의 엄중성은 범죄두려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엄중성의 부작용이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엄벌주의 경향의 견제와 범죄학 이론의 비판적 재검토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ritically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deterrence theory. Deterrence theory, which assumes a criminal's rational thinking, argues that if the benefit of the crime exceeds the cost, crime will be a normal and rational choice for everyone. Accordingly, deterrence theory predicts that recidivism and first-time crimes are prevented only when punishment is set above the benefit of crime or social harm. However, an individual's perception of criminal damage or social harm is considered one of the sufficient conditions for fear of crime. The more positively one evaluates the level of physical and mental damage caused by crime, the greater the fear of crime. If the severity of punishment reflects the social harm of the crime, it was judged that the severity would stimulate the fear of crime. The tool to prevent actual crimes rather produces a wide range of crime victims. In order to verify the assumption of the research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collected from 815 adult men and wome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ertainty of punish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fear of crime, while the severity of punish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it, confirming the side effects of severit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a check on the trend of severe punishment and a critical review of criminology theory.

      • KCI등재

        성인 사이버 성범죄 두려움에 관한 연구: 처벌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박한호,김동현 한국범죄심리학회 2023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9 No.1

        As the cyber world, such as the surrealism-oriented metaverse, is approaching, you will have a new experience that is different from before. On the contrary, this means that crimes like real life will be done as if they are real in cyberspace. Furthermore, it also means that cyber crimes that transcend crimes in the real world can occur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The degree of fear of crime can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fear of crime. Real crimes can be stopped through punishment, but cyber crimes are difficult to punish depending on their methods and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erception of punishment that individuals have can directly affect their fear of crime. The resolution of crimes such as cybersex crimes is not initiated by criminal justice agencies, but rather by reports from victims or witnesses, and these reports are determined by various factors. Assuming that the actions of victims or witnesses are not rational, and that psychological mechanisms work,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yberspac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 of celerity, severity, and certainty, which are the 3 key elements of criminal justice authorities' punishment for cyber sex crimes, and considers the fear of cyber sex crimes through the frame of these three levels of awarenes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Psychological fear of perceived crime was measur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methods, and mai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only the severity of punishment among the perceptions of punishment predicted cyber sex crime fea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plan to lower the fear of cyber sex crimes through strict punishment by strengthening the sentencing judgment for cyber sex crim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초현실주의를 지향하는 메타버스와 같은 사이버 세계가 눈앞에 다가온 만큼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이는 반대로 현실과 같은 범죄가 사이버상에도 실재하는 것처럼 이루어질 것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온라인의 특성이 반영되어 현실세계의 범죄를 초월한 사이버 범죄가 발생될 수 있다는 것 또한 의미한다. 범죄두려움은 유형에 따라 범죄두려움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현실범죄는 처벌을 통해 범죄의 행위를 정지시킬 수 있지만 사이버 범죄는 수법과 그 특성에 따라 처벌이 어려운 범죄이다. 따라서 개인이 갖고 있는 처벌에 대한 인식이 직접적으로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이버 성범죄와 같은 범죄의 해결은 형사사법기관에서 시작되는 것보다 피해자나 목격자의 신고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신고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피해자나 목격자의 행위는 이성적이며 합리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심리적인 기재가 작용한다는 점을 가정한다면 사이버상의 특성을 반영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이버 성범죄에 대하여 형사사법당국의 처벌의 3요소인 신속성, 엄격성, 확실성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이 세 가지의 인식수준의 틀을 통해 사이버 성범죄에 대한 두려움 고찰하여 지각된 범죄에 대한 심리적 두려움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 방법, 주요 분석 결과는 처벌에 대한 인식 중 처벌의 엄격성만이 사이버 성범죄 두려움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 성범죄에 대한 양형판단을 강화하여 엄중한 처벌을 통해 사이버 성범죄 두려움을 낮추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화이트칼라범죄의 원인과 유형 및 대책

        김상원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2 공공정책연구 Vol.29 No.1

        There has been illegal behaviors in free market society and it has become routine in capitalist economic system for people to use illegal strategies to make profits. We refer to these crimes of the marketplace as enterprise crime. Generally, we devide these crimes of illicit entrepreneurship into two distinct categories: white collar crime and organized crime.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extent and influence of white collar crime on victims because all too often those who suffer the consequences of white collar crime are ignored by criminologists. The cost of white collar crime is probably several times greater than all the crimes customarily regarded as the crime problem. In addition, in contrast of street crimes, white collar crime offences breed distrust in economic and social institutions, lowe public morale, and undermine faith in business and government. This research investigated causes and patterns of white collar crime, and suggested law enforcement policies for controlling white collar crime. 화이트칼라범죄가 갈수록 그 유형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수법 또한 예전에 비해 훨씬 세련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그 해악성이나 영향력이 길거리 범죄보다 훨씬 심각한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법은 다른 길거리 범죄에 비해 화이트칼라범죄에 대해 매우 관대한 편이다. 이것은 결국 화이트칼라범죄로 인하여 발생되는 여러가지의 개인 혹은 사회적 비용을 사회 구성원들에게 전가시키는 것이며 그에 다른 피해를 방치하는 셈인 것이다. 미국을 포함한 외국에서는 화이트칼라범죄에 대해 엄격한 법적용과 함께 확실하게 처벌을 하는 것에 비해 우리나라는 사회적 지위가 높은 화이트칼라범죄자들을 집행유예나 가벼운 처벌로 다스리기 때문에 사회지도층들의 부도덕성이 점점 더 커지며 이들에 대한 일반인들의 시선도 따갑고 그들에 대한 신뢰감도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화이트칼라범죄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며, 화이트칼라범죄가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체적인 접근을 해 봄으로써 다른 거리에서 일어나는 범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관심을 가졌던 화이트칼라범죄가 실제로 우리 사회에 얼마나 위험한 요소인가를 객관적으로 살펴보는 계기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연구에서는 화이트칼라범죄의 확대된 정의, 화이트칼라범죄의 원인, 그리고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나타나는 새로운 유형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화이트칼라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대책에 대해서도 검토하여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성폭력 범죄 관련 형사정책의 변화에 관한 연구

        박순진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9 경찰학논총 Vol.14 No.4

        우리 정부는 성폭력 범죄에 대응하기 위하여 처벌을 강화하고 통제를 확대하는 강성 위주의 형사정책 기조를 견지하고 있다. 성폭력 범죄에 대한 강성정책은 처벌을 강화하고 사후통제를 엄격히 하면 성폭력 범죄의 양적 증가와 질적 심각성이 완화될 것이라는 논리에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전체 범죄가 그다지 증가하지 않고 살인, 강도, 방화 등 다른 강력범죄는 오히려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음에도 성폭력 범죄는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어 성폭력 범죄에 대한 강성 형사정책이 실패하였거나 비효율적이라는 의문을 갖게 한다. 이 논문은 성폭력 범죄에 대한 강력한 처벌의 억제 효과가 제대로 드러나지 않는 현상에 주목하여 강성 위주의 형사정책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그 출발점으로써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가능한 추론을 시도하였다. 먼저 처벌을 강화하면 범죄가 줄어들 것이라는 주장과 관련하여 몇 가지 이론적 쟁점을 검토하였다. 첫째, 일반인들은 처벌을 구체적으로 인지하지 못하므로 처벌 강화의 억제 효과가 제한적이다. 둘째, 억제이론은 자유의지를 가진 합리적 인간을 전제하는데, 잠재적 범죄자에게 높은 수준의 합리성을 기대할 수 없다. 셋째, 범죄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형벌이 범죄에 상응해야 하는데 범죄에 대한 강성정책은 범죄에 상응하는 형벌과는 거리가 멀다. 넷째, 심각한 범죄에 대하여 처벌을 강화하는 것은 매우 적은 수의 대상자에 대해서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법률과 제도 개선의 효과가 크지 않다. 다섯째, 처벌을 강화하는 것은 범죄의 원인이 되는 범죄자의 범죄성향을 개선하지 못하므로 범죄억제 효과가 없다. 다음으로 성폭력 범죄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정책이 초래하는 현실적 결과를 검토하였다. 첫째, 처벌 강화의 효과와 범죄 발생 관련 다른 요인의 효과를 분해하여 측정하는 것은 방법론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둘째, 처벌 강화의 단기적 결과는 범죄 처리 비용과 사건 부담의 증가로 귀결된다. 처벌 강화 정책의 효과가 가시적이지 않거나 추가 비용이 기대 이상으로 늘어나면 강성정책에 대한 국민의 지지가 지속하기 어렵다. 셋째, 처벌이 강화되면 전과자가 늘어난다. 전과자가 늘어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고 사회적 균열과 갈등이 심화하면 이를 줄이기 위한 추가 재정 투입을 비롯하여 우리 사회가 치러야 하는 경제적, 사회적 비용이 대폭 증가할 것이다. The government has maintained a tough criminal policy against sexual crimes, which strengthens punishment and expands control. The tough policy against sexual crimes is based on the logic that strengthening punishment and expanding control will ease the increasing trend and the seriousness of sexual crimes. However, sexual crimes continue to increase, even though the overall number of crimes has not increased significantly and other violent crimes such as murder, robbery and arson have been on the decline. It raises questions about the failure or inefficiency of the tough criminal policy. The paper takes note of the phenomenon of the severe punishment's deterrent effect on sexual crimes not properly examined, and proposes the need to review the tough criminal policy. It attempts to make a possible inference from two aspects as its starting point. Several issues related to the theoretical argument that harsher punishment would reduce crime are reviewed. First, the deterrent effect of severe punishment is limited because people are not aware of it specifically. Second, deterrence theory prescribes a rational human being with a free will, and one cannot expect a high level of rationality to a potential criminal. Third, punishment effective in curbing crime should be commensurate with crime, and the tough policy against sexual crimes is far from punishment commensurate with crime. Fourth, severe punishment for serious crimes can only be expected to work for a very small number of criminals, so the effect of toughening laws and system is not as effective as expected. Fifth, strengthening punishment does not have a deterrent effect because it does not weaken the criminal's propensity to crime. Next, the actual predicted consequences of the harsher policy against sexual crimes are discussed. Firs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separate and measure the effects of strengthening punishment from those of other factors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crime. Second, toughening punishment results in an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crime and its handling costs in the short term. If the effect of the tougher punishment policy is not tangible and the additional cost increases beyond expectations, it is difficult to sustain public support for the policy. Third, stronger punishment yields hardened criminals and intensifies fear of crime. As social unrest and conflict intensify, direct financial spending to cope with crime will increase, and social costs that our society has to pay can also increase significantly.

      • 과잉범죄화의 법경제학적 분석

        김일중(Iljoong Kim) 한국경제연구원 2013 한국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3 No.05

        1. 문제의 제기 2000년대 중반 이후 줄곧 필자는 다음과 같은 현상에 주목하였다. 한국에서는 매우 빠른 속도로 전과자가 양산되고 있고, 여전히 창궐하는 행정규제 그물망 속에서 매년 75만 명 이상의 규제위반자(즉 행정범죄자)가 형사기소를 당해왔고, 한편 일반 시민에게 직접적 위협을 주는 형법상의 전통적 일반범죄(특히 강력흉악범죄)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 세 가지 눈에 띄는 경험적 관찰을 좀 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0년 한국의 전과자 수는 약 1,100만 명에 근접하여 인구대비 전과자 비중은 약 22%로서 수준과 증가속도가 심히 우려될만한 수치이다. 둘째, 한국에서 각종 행정규제를 위반했을 때 부과되는 매우 다양한 제재수단 중 형벌의 비중은 무려 44%에 달하고 이른다. 2010년 한국의 전체범죄는 약 192만 건을 초과하였고 그중 행정범죄는 약 51%나 차지하고 있다. 1982년 일반범죄건수를 추월한 이후 약 20년간 증가세가 매우 가팔랐으며 일반범죄건수의 2배가 넘는 해도 많았다. 비록 최근에 그 증가추세가 다소 잦아들었지만, 한국의 범죄발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만큼 형사처벌의 대상이 되는 행정규제가 많다는 의미이다. 셋째, 그 이전에도 꾸준히 증가해 왔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 일반범죄 증가추세는 매우 빠르다 특히 . 시민들의 공공안전에 가장 큰 위협적 범죄로서 인지되는 강력흉악범죄의 발생추세는 우려할만하다. 증가율 평균이 2000년대 전체로는 4.6%이지만, 최근 4년간은 7%대를 훌쩍 넘어 갔다. 특별히 일반범죄발생의 가파른 증가현상이 무엇으로부터 비롯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나 경제이론에 따르면, 가장 기본적으로 범죄억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가능성에 대해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그렇게 범죄억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주요 원인은 역시 ‘과잉범죄화’, 특히 무수한 행정규제 위반행위들에 대한 무분별한 형사처벌 입법에 있다는 것이 필자의 기본시각이었다. 왜냐하면 현재 법집행은 심각한 자원제약 하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검찰의 법집행이 이 행정범죄자들의 기소에 우선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현재 체증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자연적으로 법원에서의 유죄판결인원이나 궁극적으로 매년 양산되고 있는 전과자의 절대숫자는 국제적으로 매우 높은 편이고, 더욱이 (대략적으로) 7할이나 되는 높은 비율로써 행정규제위반자로 채워지고 있다. 이는 정책입안가들은 물론 학자들도 간과 할 수 없는 매우 심각한 수치이다. 따라서 행정규제위반에 대한 과잉범죄화(overcriminalization)를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과잉범죄화에 대한 상식적 수준에서의 정의는 다른 제제수단으로써 통제해왔거나 통제할 수 있는 행위에 대하여 형벌을 부과하는 현상이다. 경제학적으로 표현하면, 새로운 형벌조항의 사회적 한계편익이 없거나 그 한계비용이 더 높을 때 한 사회는 과잉범죄화 상태에 이르렀다고 정의할 수 있다. 모든 사회에는 도저히 허용할 수 없기에 형벌이라는 강력한 제재수단을 사용하여 금지시켜야 하는 행위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반대로 지나치게 많은 숫자의 형벌조항이 존재해도 심각한 문제들이 발생한다. 통상의 ‘도덕적 비난가능성(moral blameworthiness)’과는 무관한 행위에 형벌이 가해지므로 극단적으로 경제주체들의 모든 행위에는 형벌위험이 뒤따른다. 경제주체는 그 위험 여부를 판별하면서 하루하루를 살아갈 수밖에 없다. 과잉범죄화의 극단적 상황에서는 사실상 시민들의 거의 모든 행위에 대하여 경찰은 검거할 수 있게 되고 검찰은 기소할 수 있게 된다. 법에 근거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법집행기관의 지나친 법집행에 대하여 법원도 어찌 할 수 없게 된다. 형벌 사용이 용이한 사회에서 모든 경제주체는 형벌을 오히려 자신의 사적 이익을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하려는 유인을 갖게 된다. 왜냐하면 형벌은 가령 경쟁자를 축출하여 지대(rent)를 창출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지대를 확보하고자 모든 형사절차를 포획하려는 이른바 특수이익집단들의 유인 또한 지극히 자연스럽게 예측된다. 일상의 경제행위에 대해서도 전통적인 형벌의 대상(예: 살인, 역모, 강도, 강간, 폭행, 횡령 등)에 사용되던 수식어들(예: ‘잔인’, ‘파렴치’, ‘사회파괴적’, ‘비도덕적’, ‘문란’ 등)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범죄화시키려 하고, 또는 설사 이미 형벌의 대상으로 된 행위에 대해서도 그 처벌강도를 한껏 높이려는 각종 입법화 노력을 한다. 이렇게 법에 의해 무장된 법집행기관은 무소불위의 모습을 띠게 된다 경찰과 . 검찰은 물론 각종 행정규제를 관장하는 기구의 관료들 역시 규제위반자에 대하여 무거운 형사처벌이 수반될수록 법집 This multi-year research project initially built upon a few worrisome empirical observations regarding the 2000s from Annual Crime Reports by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of Korea. First, the number of regulatory crimes has exceeded that of since 1982. In the 2000s, despite a slow average growth rate of 1.5%, regulatory crimes still accounted for as much as 60% to the total. Second, the number of conventional (or customary) crimes, in contrast, increased relatively fast at 2.6%, and increased more rapidly in the last 3 years. Third, the number of violent crimes, in particular, increased much faster, with an average growth rate over the 2000s of 4.4%, and, for the last 3 years, the average growth rate for violent crimes even reached 7.2%. Finally, according to a different data source, there was fast growth of ex-convicts in Korea at least for the past decade. Over the years I have been convinced that overcriminalization was the major cause of this troubling pi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investigate the main hypothesis that introducing too many regulations and subsequently overcriminalizing the regulatory violations have distorted the entire system of criminal justice. Also, I intend to show that the disproportionate focus on enforcing these regulatory crimes ha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irregularities and has imposed a serious opportunity cost upon the Korean economy. Overcriminalization is defined as a phenomenon that the marginal social cost of an additional penal clause exceeds the marginal benefit. From the law and economics perspectives, criminal punishment becomes an appropriate deterrent-institution only when an act with a clear intention or mens rea is faced with the two main hurdles which the traditional tort law cannot overcome, ‘incomplete compensation’ and ‘extended harm.’ As the most basic proposition, an act becomes a crime ‘only when’ the level of culpability, which is determined by total harm and mens rea, exceeds a certain threshold. In this study I thus have distinguished harmful acts into about ten meaningfully different groups and have determined their culpability. In a nutshell, I claim that overcriminalization takes place unless these considerations are strictly executed. Overcriminalization imposes substantial social costs. The social costs are at least three-fold. The first is production of too many ex-convicts weakening the intended desirable functions of criminal punishment. The second is distortion in the incentives of law enforcers usually associated with their unconstrained discretion. Also, severe inefficiency in allocating enforcement resources is the third social cost.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these issues, I have critically emphasized the nexus among regulations, overcriminalization of their violations, and consequent overenforcement. More specifically, in this study I have endeavored to show several facets of empirical evidence. First, the growth of ex-convicts in Korea most probably was faster than in other countries. Second, the surge in the ex-convicts stock in Korea was driven mainly by regulatory criminal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n outcome of overcriminalization of regulatory violations. Third, the choice of which case to prosecute largely determines the composition of newly added ex-convicts. Given all these results, studies on the prosecuting pattern appear to be shedding critical implications for the criminal justice policy in Korea. Fourth, it will be very intriguing to know the unintended consequences (or tradeoffs) of disproportionate prosecutory focus on regulatory crimes, and I have indeed empirically shown that the opportunity cost seems fairly high. Fifth, my empirical case study regarding the Korea Fair Trade Act, utilizing various proxies for harm size and mens rea, have revealed that the Act is currently being overly criminalized. I admit both data constraints and a certain level of uncertainty concerning the em

      • KCI등재

        한국의 법집행 및 노동시장특성이 범죄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김일중 ( Il Joong Kim ),변재욱 ( Jae Wook Byeon ) 한국국제경제학회 2012 국제경제연구 Vol.18 No.4

        2000년대에 들어와 살인, 강도, 강간, 폭행 등 범죄발생이 심상치 않으며 최근 들어 그 증가세가 더욱 가파르다. 본고의 목적은 한국의 일반범죄공급함수를 추정하는데 있다. 즉 국민의 신체 및 생명뿐만 아니라 재산을 보호하는 활동과 직결된 범죄들의 주요 발생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국내에서 아직 시도되지 않았던 두 가지 구체적 목표를 추구한다. 첫째, 추정작업의 가장 핵심으로서, 검거확률은 물론 기소확률과 관련된 ``억지력가설(deterrence hypothesis)``을 검증한다. 둘째, 지난 40년간 해외 선행연구에서 강조되었던 ``노동시장여건과 범죄와의 연관성 (labor-crime nexus)``을 중점적으로 탐구한다. 분석결과 우선 두 억지변수들은 높은 수준의 억지력을 발휘했고, 특히 기소확률이 검거확률보다 대체로 더 높은 억지력을 보였다. 기소확률은 그간 하락세를 보였고 그 절대수준도 매우 낮았으므로 이 결과가 주는 정책함의는 커 보인다. 다음으로, 노동시장 관련 변수들에 대해서는 ``계층(범죄성향)``별 구분이 중요하다는 명제의 유효성이 확인되었다. 대표적으로 한국에서는 청년층의 실업률이 범죄설명에 중요하다. 그리고 소득 또는 임금의 산업별 영향력 차이가 확실히 존재하며, 운수업과 특히 건설업의 역할이 중요해 보인다. 사실 이는 산업 자체라기보다는 저숙련 내지는 저교육 등 인적자본상태를 포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청년층을 위한 인적자본의 개발프로그램과 같은 노동정책은 형사정책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는 결론이 가능하다. The number of conventional crimes in Korea increased very sharply in the 2000s, and is rising even faster recently. We estimate the crime supply function of Korea by using a panel data method, and pursue a couple of first-run specific missions. First, we test the deterrence hypothesis regarding the conviction probability as well as the arrest probability for Korea. Second, we explore the labor-crime nexus that has been emphasized in the literature. Estimation results firmly verify the deterrence power of both probabilities. Yet, conviction mostly turns out to have a higher level of deterrence, which is believed to shed a meaningful implication to criminal policy. As to the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their disaggregation by the criminal propensity appears to be the most important facet in estimating the crime function. For representative examples, youth unemployment is particularly relevant to crimes and the income or wages make differentiating effects across industries. We submit that these results most probably are capturing the aspect of low-skilled and/or low-educated labors. It thus follows that labor policy selectively designed for enlarging human capital is more closely related to criminal policy than has been treated conventionally. Other policies specifically targeted for crime-prone labors appear to be in serious need in Korea now.

      • KCI등재후보

        A Reflection on the Preventive Measures Against Damages of Unlawful Fund Raising: With a Focus on the Deterrence Theory

        Seungdon Yang(Seungdon Yang),Kangmin Lee(Kangmin Lee),Geumseok Doh(Geumseok Doh) J-INSTITUTE 2022 Regulations Vol.7 No.2

        Purpose: The economic crimes targeting an unspecified majority are beyond imagination in term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extent of their damages incurred. Among the typical examples is the crime of unlawful fund raising. Despite the continuous crackdowns and punishments at the pan-government level, it threatens the econ-omy of the commoners. The most unlawful fund raising companies are not subject to financial supervision, yet promise to pay a fixed interest rate or high dividends several dozen times larger than the financial institutions as a bait of high returns. However, there is no source of income, and it is just a ‘Ponzi scheme’ which preserves the profits of existing investors with the investment of new investors. This is a method through which the unlawful fund raising companies guarantee the principal and interest from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without au-thorization, permission, registration, or reporting. Furthermore, defrauding multi-level investment by paying re-ferral allowances or commissions when introducing sub-investors is a typical behavior of the unlawful fund rais-ing crimes. Method: This study reviews previous studies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and examines the actual situation via the empirical studies along with theoretical review of unlawful fund raising act, which is deceived by high returns, and deceptive behavior through multi-stage investment. Results: This study based on the gravity of the crime of unlawful fund raising, the latest trends in the crime types including the impersonation of financial companies and virtual currencies are analyzed. Sanctions against those who engage in an unlawful fund raising act should be strengthened, and good traders should be protected. Conclusion: Furthermore, the gravity of punishment in the deterrence theory for the crime prevention is pre-sented as a theoretical grounds. As a measure to prevent damages,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criminal punish-ment, and introduce punitive damages and a special judicial police officer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