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럽 법제에서 오픈 프라이스 청약의 유효성에 관한 고찰

        김재성(Kim Jae Seong) 한국무역상무학회 2008 貿易商務硏究 Vol.38 No.-

          I have observed the validity of open-offer from a point of European contract law in comparison with International Trade Law in this paper.<BR>  Generally we know that an offer is an expression of willingness bo be bound to the contract. In English law if there are no intention it will be considered such as circulation of price lists or catalogues.<BR>  As for French law these activities could be considered as an offer. However German law is closer to English law as to an offer.<BR>  A contract which does not ascertained price is open-price terms and it can be applied not only for general commercial contracts but also for franchise or for distributorship agreements especially in Europe.<BR>  When open-price terms applied to reserve a exclusive right to the contract the validity of contract can be a serious matter between principals.<BR>  In English law an offer must be sufficiently complete to be capable of acceptaqnce. English law does not require that price terms should be indicated on offer. English law allow a open-price terms in the contract.<BR>  In French law a contract will be valid in the absense of a price which is either determined or objectively determinable. A price by the market price of similar products is not enough to be valid offer. It should be recognized and accepted objectively by third parties. French law require that price terms should be indicated on offer. Open-price terms are not enough to be an effective offer.<BR>  However German law shows more flexible than French law. In German law if the price is not fixed in the contract there are four ways to determine it. The seller may determine the price by the time of deliver.<BR>  By reason of thess backgrounds I have made comparison with European contract law and International trade law on the validity of open-price offer in this paper.<BR>  It seems that we are not familiar with open-price terms although franchise contract or special terms of contract have been increased in these days. So I hope this paper will be helpful to show a new point of view.

      • KCI등재

        정부계약에서 낙찰자 선정방법과 하자발생 관계

        문병옥,정재욱 한국회계정책학회 2013 회계와 정책연구 Vol.18 No.4

        This study analyzes the cost and contract data of the general commodity and the service contract that were concluded at the Air Force agency A in the past 2 years from 2011 to 2012 and examines whether the eligibility review system has lower defect occurrence rate than the lowest price successful bid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urport of the system. In the government contract where the party is the state that represents the nation, the successful bidder selection with recourse to the rational contracting process, the security of the contract quality and the reasonable contract price are the element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state and the nation. If taken a brief look at the government contract process, the estimation cost is determined within the budget range of the respective business once the budget is appropriated and then the final contracting party is selected after the review of the bidding price and the eligibility review of the bid participants. The aforementioned system where the final contracting party is selected is known as ‘successful bidder selection system’ and it can be divided into two classes:the lowest price successful bid system and the eligibility review system. In the lowest price successful bid system, the lowest tenderer who quoted the lowest price not exceeding the estimation cost is selected as a successful bidder. As for the eligibility review system, the bidder’s bidding price and the commodity and service performance capability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he tenderer with the scores above the certain amount is selected as a successful bidder, which prevents poor delivery by the lowest price successful bid system and the successful bids resulting from the dumping bids and secures credibility of the contract performance. The research finding indicates that the evidence that proves the eligibility review system having lower defect occurrence rate than the lowest price successful bid system could not be found. This result shows that the existing commodity and service eligibility review system is not in accord with its purport and its practical effectiveness is weak. Therefore the examination items and the evaluation standard for the eligibility review system need to be supplemented and the systematic reform is necessary for enhanced quality of the contracted commodities and also to lower the defect occurrence rate. The subject research renders services by analyzing the defect occurrence and the government contract methods such as the eligibility review system in depth for the first time. It has discovered the deficient factors of the government contract methods that affect the whole nation and proposed the alternative measures, and provided many suggestions to the policy making authorities and the interested parties as well as of the party directly involved in the government contract.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2년까지 2년간 공군 A기관에서 계약한 일반 물품․용역 계약의 원가 및 계약자료를 분석하여 적격심사 낙찰제가 제도 취지에 부합되게 최저가 낙찰제보다 하자발생비율이 더 낮은지 살펴보았다. 정부계약은 국민을 대표하는 국가가 계약 당사자가 되는 계약으로서, 합리적 계약과정에 의한 낙찰자 선정과 계약품질의 확보 및 적정한 계약금액은 국가와 국민 전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정부계약 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예산이 책정된 후 개별 사업예산 범위 내에서 예정가격을 결정하고, 결정된 예정가격 이내에서 입찰참가자의 투찰가격 및 적격심사 등을 고려하여 최종 계약상대자를 선정한다. 최종 계약상대자를 선정하는 제도를 낙찰자 선정제도라고 하며, 크게 최저가 낙찰제와 적격심사 낙찰제 2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최저가 낙찰제는 낙찰자 선정 시 예정가격 이내에서 최저 금액으로 입찰가격을 제출한 자를 낙찰자로 선정하는 방식이며, 적격심사 낙찰제는 입찰금액과 당해 물품․용역 수행능력을 함께 고려하여 일정한 점수 이상을 획득한 자를 낙찰자로 선정하는 방식으로 최저가 낙찰제의 부실납품, 덤핑입찰에 의한 낙찰 등을 예방하고 계약이행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제도이다. 연구결과, 적격심사 낙찰제가 최저가 낙찰제보다 하자발생을 더 감소시킨다는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행 물품․용역 적격심사 낙찰제가 제도 취지와 부합되지 않고, 실무적으로 실효성이 미약하다는 증거이다. 따라서 적격심사 낙찰제의 심사항목, 평가기준 등을 보완하여 계약이행물의 품질향상 및 하자율 감소 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공헌으로는 최초로 적격심사 낙찰제 등의 정부계약 방식과 하자발생 등을 심도 있게 분석함으로써, 국민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정부계약 방식의 미비점을 발견하여,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고, 정부계약 당사자는 물론 정책당국과 관련 이해관계자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건설공사 설계변경 계약금액 조정 방식에 관한 고찰

        김미자 한국지방계약학회 2018 지방계약연구 Vol.9 No.2

        「국가계약법」에 따르면 건설공사 도급계약은 상호 대등한 입장에서 합의에 따라 공정 하게 계약을 체결하고 신의를 지켜 성실하게 계약을 이행하여야 한다. 물가변동이나 설 계변경에 의한 계약금액 조정은 관련법 및 계약조건에 따라 대부분 계약당사자간 분쟁까 지 가지 않고 원만하게 진행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발주기관은 관련 법규의 모호함 등을 이유로 설계변경 계약금액 조정 등에 대하여 책임을 회피하여 발주자와 계약상대자 간 법적 분쟁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당초 계약이 계약상대자의 책임 없는 사유로 인 해 공사기간이 연장되거나 추가비용이 발생한다면 계약금액을 조정함이 마땅하다. 따라 서 물가변동이나 설계변경에 의한 계약금액 조정은 관련법 및 계약조건에 따라 대부분 계약당사자간 분쟁까지 가지 않고 원만하게 진행하여야 한다. 17) 「국가계약법」은 장기공사 또는 발주자가 요구하여 설계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신규비 목 단가 적용함에 있어 설계변경 당시를 기준으로 산정한 신규 단가와 낙찰률 범위 내에 서 협의하여 결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기관에서는 설계변경의 규모가 변 경되어 공사량이 증가하거나 공사기간이 장기화 됨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계약단가를 적 용하여 계약금액을 조정하는 사례가 존재하고 있다. ‘FIDIC 계약조건’, 미국 ‘FAR 규정’, 영국 ‘JCT 계약조건’, 독일 BGB(민법), 일본의 ‘계약 금액 조정 규정’ 등의 외국 규정을 살펴보면, 계약금액을 조정할 때 ‘Variation’이나 ‘Change Order’ 조항에 근거하여 발주자와 시공자가 협의하여 공정한 금액을 지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입찰자가 직접 소요물량과 시공원가를 산출하는 순수내역입찰, 총액계약 이나 단가계약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신규 비목(품목)은 원칙적으로 추가공사의 일 종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별도 계약이 가능하다. 때문에 설계변경을 요구한 주체와 상관 없이 발주자와 시공자가 합의하여 신규 단가를 결정한다. 우리나라 설계변경 환경과 매 우 다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보통 낙찰률을 적용하여 설계변경 계약금액을 변경한다. 시공자가 해당 공사를 수주하고자 할 때, 이를 위하여 전략적인 가격 투찰이나 덤핑으로 낙찰률 을 이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물론 이렇게 계약된 공사 내용에 대하여는 시공자가 감수 하는 것이 당연하다. 하지만, 발주자나 설계자를 원인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설계변경에 대해서까지 계약시점의 낙찰률을 적용하여 계약금액을 조정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판 단된다. 때문에 장기공사의 경우 발주자나 설계자의 원인으로 설계변경이 발생할 때 설 계변경 시점에서 새로운 신규단가를 산출하여, 여기에 낙찰률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According to the 「National Contract Law」, contracts for construction contracts must be concluded in a fair and equitable manner, mutually agreed, and honorable and faithful to the contract. The adjustment of the contract amount due to the price change or design change is proceeding smoothly without the dispute between the contracting parties mostly according to the related laws and contract conditions. However, some of the ordering organizations have avoided responsibility for adjustment of design change contract amount due to ambiguity of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and legal disputes between contractor and contractor are increasing. If the contract is originally due to the contractor’s non-liability, extension of the construction period or additional costs may be necessary. Therefore, the adjustment of the amount of contracts due to price fluctuations or design changes should be smoothly proceeded in accordance with the relevant laws and contract conditions, without dispute among the contracting parties. The “National Contract Law” requires that, in the case of a long-term construction or a change of design required by the client, the new unit price shall be decided within the range of the new unit price calculated at the time of design change and the successful bid rate. However, in some organizations, there is a case where the contract amount is adjusted by simply applying the contract price, even though the size of the design change is changed and the construction amount is increased or the construction period is prolonged.39) If you look at foreign regulations such as ‘FIDIC contract condition’, US ‘FAR regulation’, UK ‘JCT contract condition’, German BGB (Civil law), Japan ‘Contract amount adjustment regulation’, ‘Variation’ The contractor and the contractor agree to pay a fair amount based on the “Change Order” clause. The pure bidding, the total contract or the unit price contract, which calculates the required quantity and the construction cost directly, is mainly used by the bidder. In addition, new contracts (items) can be contracted separately because they can be regarded as a kind of additional construction in principle. Therefore, the contractor and the contractor decide the new unit price regardless of the subject who requested the design change. It is very different from the design change environment in Korea.

      • KCI등재

        채무불이행과 구체적⋅추상적 손해산정

        김영두 한국민사법학회 2016 民事法學 Vol.76 No.-

        The creditor’s loss caused by breach of contract should be, in principle, measured by concrete way. Where the creditor has terminated for fundamental non-performance and has made a reasonable cover transaction, he or she can claim the damage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ice of the terminated contract and the price of the cover contract. What should be compared are the values of what would have been payable under the terminated contract and the value of what is payable under the substitute contract. The values should be calculated at the time of the substitute contract. The creditor's loss can also be measured by abstract way. If the creditor is entitled to damages, he or she can claim damage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ice of the terminated contract and the market price. The assessment of damages on the basis of a cover transaction or a market price is possible in all the legal systems; The rule of concrete and abstract assessment of damages applies to the damages of a buyer as well as a seller. Though not provided in the legislation, the assessment of damages on the basis of a cover transaction or a market price is admitted in Korea.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to apply these rules to the buyer's breach of contract. According to Art. 397 Korean Civil Code and the prevailing view in Korea, when payment of sum of money is delayed. the creditor including a seller is entitled to interest on that sum of money but may not in addition recover damages for any further loss. Only when the seller can claim damages for any further loss than interest, he or she can recover damages measured by abstract or concrete way. Another problem is that, when the buyer can not accept or refuses to accept the performance, the seller can not terminate the contract and recover damages, because the incapability or refusal to accept performance in itself is not a breach of contract. If the buyer’s incapability or refusal to accept performance is a breach of contract, the seller can terminate the contract and claim damages by abstract or concrete way.

      • KCI등재

        장기계속공사계약에서 공기연장과 계약금액조정 관련 법적 쟁점

        이재하 ( Lee¸ Jae-ha ),신만중 ( Shin¸ Man-joong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일감부동산법학 Vol.- No.23

        최근 대법원판결에 의하면 장기계속공사계약에서 총괄계약상 총공사기간은 각 연차별 계약을 체결하는 잠정적 기준으로 확정적 구속력을 인정할 수 없으므로, 계약상대방은 총공사기간이 아닌 각 연차별 계약의 공사기간 연장을 통해서만 계약금액조정이 가능하다. 공공계약의 요식성과 연차별 공사대금정산 원칙을 중시한 금번 대법원판결을 긍정하더라도, 관급공사의 사법상 계약으로서 본질상 장기계속공사계약의 공사기간 연장에 의한 계약금액조정에 있어서 계약당사자간의 신뢰와 이익을 실질적으로 조화할 수 있는 해석과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계약당사자의 연차별 계약기간 연장을 통한 계약금액 조정 원칙 실현방안, 각 연차별 계약 사이의 공백기에 지출된 비용의 계약금액조정 방안, 계약상대방의 민법상 채권자지체 법리를 통한 비용청구방안, 총괄계약에 의한 계약금액조정 개선방안 등을 검토하여 법적ㆍ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이 글에서는 공사계약일반조건에서 명확히 정하지 않거나 계약당사자간에 분쟁이 가능한 법적 쟁점에 대하여 검토한다. 즉 공기연장의 요건과 관련한 쟁점으로 불가항력, 돌관공사, 동시발생 공기지연의 문제와 계약금액조정과 관련한 쟁점으로 설계변경과 공사기간 연장에 의한 계약금액조정의 경합, 법원의 계약금액 조정액 감액, 간접공사비 청구포기 특약의 효력 등 실무상 문제이다. 이를 검토하면서 관급 공사에서 대등한 계약당사자간 이익의 조화라는 관점에 유념하면서 의견과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According to a recent Supreme Court ruling, the total construction period of the overall contract in a long-term construction contract is a provisional standard for concluding each annual contracts and do not have conclusive binding force. Therefore, the counterparty can adjust the contract price only through the extension of the construction period of each annual contracts, not through the total construction period. Although the Supreme Court ruled emphasizing the formality of public contracts and the principle of annual settlement of construction costs, it is necessary to find an interpretation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that can effectively reconcile the trust and profits between the parties in adjusting the contract price due to the extension of the construction period in the long-term construction contract. This article proposes a plan to realize the contract price adjustment principle due to the extension of each construction period in annual contracts, claim additional costs spent during the gap between each construction period of annual contracts, claim additional costs through creditor delay system, and recognize the adjustment of contract price due to extension of the total construction period. In addition, this article presents improvements to solve practical problems concerning the extension of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e adjustment of the contract price such as force majeure, acceleration of work, concurrent delay, competion of change order and the extension of construction period, reduction of contract adjustment payment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waiver agreement of overhead costs.

      • 건설공사 하도급 계약금액 조정제도 개선방안 연구 - 납품대금 연동제를 중심으로-

        홍성진 ( Sungjin Hong ) 한국건설경제산업학회 2023 건설경제산업연구 Vol.9 No.1

        최근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라 건설 하도급업체의 경영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오랜 기간 국회에서 논의를 거쳐 납품단가 연동제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현행 “상생협력법”과 “하도급법 개정안”의 납품단가 연동제는 원재료의 비중이 10% 이상인 경우를 증명하기가 매우 어렵고, 광범위한 예외조항으로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국가계약법”은 물가변동 등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 규정을 두고 있다. “국가계약법”은 공공조달계약을 규율하는 법률로써, 계약 자유의 원칙과 함께 조달계약의 특수성에 따라 공정성을 담보하고 있다. “하도급법”에서 “국가계약법”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 규정을 준용할 경우 원자재 가격 상승 시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공표하는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납품단가 연동제를 형해화시키는 광범위한 예외조항도 배척하여 공정성을 제고할 수 있다. 따라서 “하도급법”상 납품단가 연동제는 “국가계약법”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 규정을 준용하도록 입법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recent surge in raw material prices has added to the management burden of construction subcontractors. Accordingly, after a long period of discussion at the National Assembly, the Unit price adjustment system was introduced. However, the current Act on the promotion of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on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are very difficult to prove that the proportion of raw materials is more than 10%, and the effectiveness is very low due to a wide range of exceptions. The Act on contracts to which the state is a partyt has provisions for Adjustment of contract amount according to price fluctuation. The The Act on contracts to which the state is a partyt is a law that regulates government procurement, and guarantees fairness according to the specificity of procurement contracts along with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If the provisions for adjustment of contract amount according to price fluctuation under the Act on contracts to which the state is a party“ are applied mutatis mutandis the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are applied mutatis mutandis, the standards of a credible institution may be applied when the price of raw materials increases. In addition, fairness can be improved by rejecting a wide range of exceptions that undermine the Unit price adjustment system. Therefore, the Unit price adjustment system under the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should be legislatively revised to apply the Adjustment of contract amount according to price fluctuation under the Act on contracts to which the state is a party.

      • KCI등재

        조선후기 廣州의 토지매매문서 연구

        김세민 서울역사편찬원 2013 서울과 역사 Vol.- No.84

        본 논문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조선후기 광주의 토지매매문서에 대한연구이다. 시기는 1698년부터 1898년까지 약 200년간 작성된 명문이다. 범위는 조선시대 광주가 현재 경기도 일부와 서울시 강동, 강남, 송파구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 지역 모두가 연구 범위에 든다. 그러나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명문 119건 중 98건이 동부면에 집중되어 있고, 그외나머지 지역은 모두 21건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광주군 동부면의 토지매매문서를 중심으로 하면서 그외 지역도 함께 살펴보기로한다. 조선시대 광주지역에서 작성된 토지매매문서를 보면 양반과 양인, 노비 등 다양한 신분계층 간에 토지매매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양반들의 경우, 유학, 출신, 생원, 선달, 진사, 첨지, 주부 등으로 표기되었고,나머지는 간혹 良人으로 표기하는 외에는 모두 이름을 쓰고 있다. 조선시대 양반들은 자신들의 이름을 명문에 기재하는 것을 기피하여자신이 직접 매매에 관계하지 않고 노비들에게 대행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광주의 경우에도 노비가 양반인 상전으로부터 일종의 위임장인 패지를 발급받아 매매행위를 대행한 사례가 있다. 그런데 토지매매문서만 남아있고 패지가 확인되지 않으면, 노비도 자신의 토지를 소유, 매매할 수 있었기 때문에 노비 자신의 토지를 매매한것인지, 상전의 토지매매를 대행한 것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토지매매문서 상에 상전댁의 필요에 의해 토지를 매도한다거나, 이 토지는 상전댁이 매수한 것이라는 등 토지의 매도 이유나 취득 형태를 기재한 경우에는 패지가 없더라도 노비가 상전을 대행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토지의 매매문서를 작성할 때 기본적인 형식은 대부분 대동소이하다. 제목은 작성 연월일과 토지 매수자의 이름을 기재하고 明文이라고 쓴다. 다음에는 토지를 매도하는 사유, 토지를 취득한 경위, 토지의 위치, 지번,크기, 토지의 가격을 기재하였다. 그 다음은 토지의 구문서, 신문서에 관련된 내용과 함께 이후 매도 토지와 관련된 분쟁이 발생할 경우, 이 문서를 가지고 官에서 증명하라는 내용을 기재한 후 토지주, 증인, 필집이 사인을 하면 거래가 성사된다. 토지매매는 대부분 1회성에 끝나는 경우가 많으나, 장심여, 이문회, 석경석, 안병사댁 노비 백중과 윤오위장댁 노비 분이 등 몇몇 사람은 여러차례에 걸쳐 토지를 사고 파는 모습이 보인다. 물론 기간의 길고 짧은 차이는 있지만 사고 파는 과정에서 매수가와 매도가가 크게는 10배 이상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다. 토지매매 과정에서 증인을 서거나, 筆執으로참여하는 사람도 많다. 그중 최씨댁의 노비 三福이는 7년간 7차례에 걸쳐 증인과 필집을 맡기도 하였다. 대개 노비라고 하면, 남자 노비를 ‘奴’라 하고 여자 노비를 ‘婢’라고 한다. 그런데 토지매매문서에는 여자로 보이는, 즉 한금이나 윤금, 분이, 동이, 복이, 갑덕, 정월, 이월, 얌전 등 모두 奴라고 기재하여 남자노비나여자노비를 구분하지 않았다. 토지매매문서의 작성과정이나 토지거래의 관행이 지역마다 차별되는특성을 갖지는 않기 때문에 광주 역시 다른 지역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않아 보인다. 그러나 토지매매문서에는 당시 이 지역을 기반으로 한 양반계층과 양인, 노비들의 명단이 들어 있다. 현재에는 없어졌거나 알 수없는 지명도 나타난다. 이런 정보들을 잘 활용한다면 광주 지역을 연구하는데 많은 도움이 ... This paper addresses the land contracts in Gwangju in the late Joseon Dynasty kept in the National Library. The land contracts was made from 1698 to 1898, for nearly 200 years. Gwangju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cluded some part of Gyeonggi-do, Kangdoong-gu,Gangnam-gu and Songpa-gu and these areas are the scope of this study. However 98 of 119 Myeongmun(land contract) kept in the National Library focus on Dongbu-myeon and the rest 21 are for another areas. Thus this paper will address mainly the land contracts in Dongbu-myeon, yet other areas too. The land contracts made in Gwangju in the late Joseon Dynasty show the land was traded between various social classes-yangban, yangin and nobi(slave). Yangban was specified as yuhak, chulsin, sangwon, seondla, jinsa, or jubu; and the rest were specified in names or as Nobi of Mr.so-and-so’s family as well as specified as ynagin occasionally. Yangban in the Joseon Dynasty did not want to specify their names in Myeongmum, and thus gave mandates to nobi. In Gwangju, there are some cases in which nobi traded the land on behalf of their masters based on Paeji- a kind of letter of attorney. However, if paeji cannot be identified even if there is land contract,nobi also can own and trade the land. Thus it is not possible to tell whether nobi traded their land or just acted on behalf of their masters. However if the land contract contains the descriptions specifying the cause of the transaction of the land, for example, nobi traded the land acted on behalf of their masters, it proves nobi traded the land on behalf of their masters. The forms of land contract is almost identical. As for the title in the land contract, the date when the contract was made and the name of buyer were described and Myeongmun(明文)was written. Next, the cause of the trade, how the land was acquired, the location of the land, lot number, size and the price of the land were described. Next, the information about old document and new document and the instruction “In case disputes relating to the trading of the land arise, please present the document to the government office to prove the transaction” was described and then the contract was signed by and between land owner, witnesses and piljip. In most cases, the transaction of the land is one-off transaction, yet Jang, Shim Yeo, Lee,Moon hee, Seok, Gyoeng Seok, Beakjung, a salve to An, Byoneg Sa’s family traded the land several times. Of course there were time gaps,yet in some cases there were more than 10 times the price difference between selling price and buying price. Some people involve in the transaction as witnesses or piljip. Among them, Sambo, a servant to Choi’s family, involved in the transaction as a witness and jipil 7times during 7 years. In general, male servant is called No and female is called Bi. However, in the land contract, Yoongeum, Bun-ee,Dong-ee, Bun-ee, Gapdeok, Jungwol, Leewol, Yamjeon are described as No, which means the land contract did not discriminate the gender of Nobi. How to write the land contract and the land transaction practice do not vary depending on region, and thus Gwangju will be the same as other regions. Yet the land contract includes the names of yangban,yangin and nobi and even the names of some places which are unknown nowadays. Thus the use of this information will greatly contribute to studying Gwangju.

      • KCI등재

        분양계약의 해제에 따른 분양대금의 반환 - 대법원 2018. 7. 12. 선고 2018다204992 판결을 계기로 -

        최수정 대한변호사협회 2019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84

        분양사업에 있어서 분양계약을 해제 또는 취소한 수분양자는 계약상대방인 시행사가 무자력인 상태에서 자력이 있는 신탁회사를 상대로 분양대금을 반환받을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게 된다. 종래 수분양자는 분양계약의 취소나 해제로 인한 신탁계약과 대리사무계약의 소멸을 주장하면서 신탁회사를 상대로 분양대금의 반환을 구하였다. 그러나 분양계약의 무효, 취소, 해제는 원칙적으로 신탁계약이나 대리사무계약의 효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리고 단축급부에 있어서 반환관계는 해소된 계약의 당사자 사이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신탁회사는 수분양자로부터 분양대금을 지급받았지만 분양계약이 해제된 때 수분양자에 대해 원상회복의무를 지지 않는다. 또한 판례는 사업약정 또는 대리사무계약이 제3자를 위한 계약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해석함으로써 수분양자의 신탁회사에 대한 직접적인 청구를 허용하지 않았다. 물론 신탁회사가 수분양자에게 분양대금을 반환한 데 대해 이를 적법하다고 판단한 예도 없지 않으나, 현재 수분양자의 신탁회사에 대한 분양대금반환청구를 부정하는 판례의 입장은 확고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판례에서 근거로 제시된 계약법 법리 자체는 정당하다고 하더라도, 수분양자는 분양사업에 소요되는 자금의 중요한 부분을 출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타의 분양사업 관련한 채권자들에 비해 취약한 지위에 놓인 것이 사실이다. 수분양자의 보호를 위한 특별법이 존재하지만 그 적용범위와 요건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수분양자의 보호를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그리고 본고는 신탁회사에 대한 분양대금반환청구의 근거를 신탁계약과 대리사무계약의 해석에서 찾고자 하였다. 분양계약의 해제에 따른 대금반환은 분양사업에 내재된 필연적인 비용이므로, 이를 대리사무계약에서 정한 사업비 지출항목 중 필수적 사업비로 볼 수 있다. 시행사가 사업비지출 요청권을 행사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우선수익자의 동의도 우선수익자가 근거 없이 이를 거부하는 때에는 강제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수분양자는 이러한 시행사의 권리를 대위행사함으로써 분양대금반환채권을 확보할 수 있다. 수분양자가 시행사의 무자력위험을 전적으로 부담하게 되는 부당한 결과를 방지하기 위해서도 향후 법원의 이와 같은 전향적인 해석과 판단이 요망된다. The purchaser who made a contract on sale of buildings in units with a developer usually pays the price to a trust company under the terms of contract. But the purchaser who has canceled or rescinded the contract tries to claim of restitution of purchase price from the trust company instead of contract party, the developer now facing insolvency. In several cases the purchaser argued that the rescission of the contract of sale made the business agreement and the trust contract between the developer and the trust company void, so the trust company should restitute. But over a period of years the Supreme Court dismissed the plaintiff’s claims on the grounds that the rescission of the contract of sale did not affect the others. On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8Da204992 decided July 12. 2018, the plaintiff claimed that the defendant(trust company) should restore the purchase price to the purchaser because the contract of sale was rescinded. The plaintiff also claimed that the business agreement and the trust contract are contracts made for the benefit of third party(purchaser). But the claims failed. The decision ruled that the business agreement as well as the trust contract could not be interpreted as a contract made for the benefit of third party, and the defendant was paid for on the basis of the business agreement, so the liquidation of the contract of sale should be made between the contract parties, purchaser and developer. The decision corresponds to the general principles of unjust enrichment or the law of contracts itself. But in fact the purchaser, unlike other creditors, is in the most vulnerable position in real estate development business even though he provides most funds for the business. When the contract party, the developer becomes insolvent, the purchaser cannot acquire the ownership of the building nor the purchase price back. There are several acts to protect the purchasers, but the scope of their application is still limited. By analyzing the cases, acts, and the contracts concerned this article proposes the way to protect the purchaser’s right to restore the payment from the trust company: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contracts the purchaser can claim the restitution and subrogate the developer’s right to expenditure request.

      • KCI등재

        옵션가격모형에 의한 채소수급안정화사업의 경제적 가치 평가 -농협계약재배와 예시가격제의 평가-

        강태훈 ( Tae Hoon Kang ) 한국농업경제학회 2004 農業經濟硏究 Vol.45 No.4

        N/A The purposes of Vegetable Supply Stabilization Program(VSSP) are to stabilize farm income through controlling vegetable production and harvests and to stabilize market prices through cold storage or junking underlying products when prices plunge. This paper analyzes VSSP`s economic value for participating farmers. VSSP consists of 1) contract farming between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s and farmers and 2) target price support program by government. VSSP is a forward contract when harvest prices remain in a predetermined range, while it`s payoff is similar to a call option when prices soar above the range and is a down-and-out put option--the trigger is the target price-- when prices plunge below the range. Furthermore, a put option is added to the program when prices go below the target price. Therefore, the value of VSSP can be estimated using option pricing models. Using option pricing models, the value of VSSP in 2001 is estimated about 96.1 billion won. From contract farming is 82%~88% of the total value and the rest 12~18% is from government target price support. Under WTO regime, government plans to stop the target price support in VSSP and to expand contract farming.

      • KCI등재후보

        국가계약법령의 물가변동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규정에 위배되는 계약금액 고정특약의 효력에 관하여-대법원 2017. 12. 21. 선고 2012다74076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이화연 사법발전재단 2018 사법 Vol.1 No.44

        In the subject case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12Da74076 Decided December 21, 2017), the key issue was the judicial validity of the special terms excluding the application of the provision on the adjustment of contract amount according to price fluctuation under the Act on Contracts to Which the State Is a Party (hereinafter “State Contracts Act”) based on a public contract entered between the State, etc. and the contracting counterparty. Such issu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foregoing provision to which the State Contracts Act does not explicitly prescribe. Hence, the Justices on the bench were divided over whether the provision on the adjustment of contract amount is a mandatory provision through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legal nature of public contracts and the legislative intent of the State Contracts Act (including said provision). Inasmuch as a public contract is also a type of contract under the private law,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should be respected. However, when considering the special feature of public contracts distinct from general contracts between private persons, such as its public nature and gap in the contracting party’s status, the State should act as a guardian and become more actively involved in the execution and performance of public contracts. Against such backdrop, the provision on the adjustment of contract amount under the State Contracts Act also appears to have been legislated in its current language and form, which obligates a public official to adjust the contract amount according to price fluctuation. These aspects should be sufficiently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legal nature of the provision on the adjustment of contract amount and the validity of special terms in violation of such provision. Deeming special terms that go against the provision on the adjustment of contract amount to be valid not only contradicts with the statutory language but also results in undermining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State Contracts Act regulating public contracts, which is to ultimately realize public interest by protecting the interest of contracting counterparties and maintaining the public nature of such contracts from its conclusion to the formation and realization of its terms. Meanwhile, deeming otherwise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causing serious harm to the safety of transaction. In view of the aforementioned circumstances, it is reasonable to construe that the provision on the adjustment of contract amount according to price fluctuation under the State Contracts Act constitutes a mandatory provision and that the special terms in violation of such provision is invalid. Moreover, the judicial branch, as the last bastion of the rule of law, ought to deny the validity of a juristic act in violation of a statute, thereby securing the unity and consistency of the legal order. 대법원 2017. 12. 21. 선고 2012다74076 전원합의체 판결에서는 국가 등과 계약상대방이 공공계약을 체결하면서 국가계약법령상의 물가변동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규정의 적용을 배제하는 내용의 특약을 체결한 경우 그 사법상 효력이 문제 되었다. 이는 위 계약금액 조정규정의 법적 성격과 직결된 문제로서, 국가계약법은 이에 관하여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지 아니한바, 대상판결의 다수의견과 반대의견은 공공계약의 법적 성격, 국가계약법 및 계약금액 조정규정의 입법 취지 등에 관한 서로 다른 해석에 기초하여 계약금액 조정규정이 강행규정인지 여부에 관한 서로 다른 결론에 이르렀다. 공공계약 역시 사법상의 계약이므로 사적자치의 원칙은 존중되어야 할 것이나, 공공성과 당사자 지위의 비대칭성 등 일반 사인 간의 계약과는 구별되는 공공계약의 특수성을 고려하면 그 체결과 이행에 관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국가의 후견적 관여가 요구된다. 국가계약법령상의 계약금액 조정규정 역시 그러한 배경에서 공무원에게 물가변동에 따른 계약금액을 조정할 의무를 부여하는 현재와 같은 문언 및 형식으로 입법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측면은 계약금액 조정규정의 법적 성격과 이에 위배되는 특약의 효력을 판단함에 있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계약금액 조정규정에 위배되는 특약을 유효로 보는 것은 법 문언에 반할 뿐만 아니라 계약상대방의 이익을 보호하고 계약이행 결과의 건전성을 확보하여 궁극적으로는 공익을 달성하기 위하고자 한 국가계약법의 입법목적과 위 규정의 입법 취지를 훼손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반면, 이를 무효로 본다고 하여 거래의 안전을 심각하게 해치는 결과가 초래되지도 아니한다. 이러한 여러 사정을 고려하면, 국가계약법령상 물가변동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규정은 강행규정에 해당하고, 이에 위배되는 특약은 무효라고 해석함이 타당하다. 그리고 그것이 정책적으로도 타당하고, 법치주의의 보루로서의 사법부의 존재의의에도 부합하는 태도라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