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미술표현의 사회적 의미

        김보영,윤재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학논집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the artistic expression of a child means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between children and their peers. To this end, the researcher conducted participating observations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six 5-year-olds, nine 4-year-old children, and two teachers at a kindergarten in small city in 'G' province. After collecting reference material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data through categorization. The study found that participating children had two distinct expressions which are 'imitation' and 'transformation'. The mean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rtistic-expression through imitation acted as the medium of peer-relevant communication. It has been shown in the categories of 'becoming one-to-one friendship through repeating the same artistic-expression', 'becoming us through sharing the same artistic-expression', and 'becoming the best through repeating the same artistic-expression', and 'becoming the best through adding the shared artistic-expression'. Second, the artistic-expression through transformation acted as the passage of the emergence of peer culture. It has been showed in the categories of 'becoming the one through re-creation', 'coordinating new artistic expressions', and 'growing through collabor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미술표현이 유아와 또래들 사이 사회ㆍ문화적 맥락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G도 중소도시 소재 병설유치원 혼합연령학급 만5세 유아 6명, 만4세 유아 9명, 교사 2명을 대상으로 참여관찰, 비형식면담을 실시하고 참조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범주화 과정을 거쳐 자료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참여 유아들의 미술표현은 ‘모방’과 ‘변형’ 두 가지 뚜렷한 현상이 나타났으며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방을 통한 미술표현은 또래관계 소통의 매개가 되었으며, 이는 ‘똑같이로 단짝 되기’, ‘반복으로 우리 되기’, ‘더 많이로 최고되기’ 범주로 나타났다. 둘째, 변형을 통한 미술표현은 또래문화 출현의 통로가 되었으며, 이는 ‘재창조로 하나 되기 ‘새로움 조율하기, ‘결합으로 성장하기’ 범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서는 ‘모방’과 ‘변형’ 이외의 미술표현 현상에 대해 사회적 의미를 살펴야 할 것이며 보다 다양한 지역, 유아교육기관의 형태, 학급 구성, 연령 등을 고려하여 연구대상의 범위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미국에서의 예술의 자유의 헌법적 보호

        김웅규(Kim, Woong-Kyu)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4 江原法學 Vol.41 No.-

        예술은 표현의 자유의 대표적인 영역이며 발전된 국가형태의 구성원리인 문화국가원리를 구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법규범의 영역에서 보호받을 수 있는 개념과 그 내용 그리고 보호범위의 정립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우리나라에서도 헌법 제22조에서 학문과 예술의 자유를 규정하여 헌법 제21조의 언론출판의 자유의 특별법적 가치를 법이론적으로 인정하고 있지만 실제 가치의 상대적 우위가 현실적으로는 구체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미국에서 순수예술이 수정헌법 제1조하에 어느 정도의 헌법적 보호를 받는 가 하는 문제는 표현의 자유과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그 독자적 논의가 시작된 것이 그리 오래되지 않았지만 연방대법원의 판결은 예술도 그 다양한 형태를 떠나 수정헌법 제1조의 보호를 받는다고 판단하고 있다. 연방대법원은 예술적 표현이 헌법상 보호를 받는 이유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다음 두 가지의 이유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예술은 향유자들의 내면에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구두 혹은 활자화된 언론의 기능과 유사점을 가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두번째 이유로서, 표현의 의미를 타인이 이해하는 지 여부와 관계없이 예술가의 순수한 자기표현행위를 들고 있다. 연방대법원이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예술적 표현은 수정헌법 제1조의 보호를 받는다고 판단한 입장은 지금까지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지만, 예술적 표현이 정치적 사상같은 순수언론이 보호해온 영역에 관련된 경우 외에는 보호의 정도가 명확하지 않거나 전통적 언론보다 낮은 수준의 보호를 받는다고 다루고 있어 여전히 논의의 대상이 된다. 연방대법원의 명확한 입장이 정립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대부분의 연방항소법원들은 전통적 시각예술(그림, 조각, 스케치 등)은 일반적으로 보호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항소법원들은 자신들의 견해를 독자적으로 형성하여왔고 같은 항소법원내에서 조차도 동일하지 않은 의견들을 표명하고 있다. 본 논문은 우선 미국연방대법원의 판결을 중심으로 하여 예술의 의미와 그 보호의 이유 그리고 보호의 수준을 통시적으로 분석하고, 구체적으로 아직 연방대법원의 통일된 입장이 밝혀지지 않고 있는 현시점에서 연방항소법원에서 구체적으로 다루어진 시각예술작품과 관련된 사건들을 분석하여 미국에서의 예술의 의미와 그 보호영역을 고찰한다. Art and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something qualifies as art have been the subject of heated debate in both the law and the humanities for a long time. U.S. Supreme Court Justice Oliver Wendell Holmes Jr. warned that judging the value of art is a “dangerous undertaking for persons trained only in the law.” Nowadays it is definitely clear that The First Amendment protects artistic expression . But what makes a thing artistic expression has not solved yet in the United States. Indeed, the Supreme Court has never precisely defined art. Though the Supreme Court has given no explicit answer to the question, its precedent cases provide some points with explaining why it deserves First Amendment protection. the Supreme Court has suggested two rationales for artistic expression’s constitutional protection. First, it has said that, because art influences the thinking of those who view or hear it, it resembles in function the spoken or written word. Second, the Supreme Court has noted that art should be protected by the First Amendment because artist’s self-expression has its own value regardless of whether such expression is intelligible to others. In addition, consistent with these rationales, the Supreme Court has insisted that artistic expression merits protection not merely as symbolic speech, but as pure speech. Still, some appellate courts require a surer analytical basis for understanding artistic expression than what the Court has provided and so have developed their own tests. Most appellate courts have concluded that the traditional visual arts (paintings, drawings, sculptures, pictures, and the like) are generally protected. There are some tests for discerning artistic expression made by appellate courts. First, for art to rise to the level of protected speech on First Amendment, it must constitute self-expression, one characteristic of which may be originality. Second, for a piece of artistically expressive merchandise or the activity of making or selling it to fall within First Amendment coverage, the Second Circuit requires that it pass a “dominant expressive purpose” test. With the various kinds of mediums and the changing standards of what is “artistic expression,” courts are likely to find themselves struggling with emerging questions in the future.

      • KCI등재

        현대무용에서의 예술적 표현과 사회성의 관계 연구 - <우리시대의 새>를 중심으로

        김복희 ( Bock Hee Kim ) 대한무용학회 2006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49 No.-

        This treatise thoroughly examines how the elements of social phenomena influence the artistic expression in Arts and how the same element of the social phenomena that is expressed in an artistic genre can be expressed differently in a different artistic genre. The study is about the scholar analysis and compares the elements of social phenomena with the expression of them through the medium of art. The researcher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the social elements and the expression in researcher`s dance piece <Birds of Our Generation> that is based on the poem <Birds of Our Generation> by Kyung Lim Shin. As its definition, the art consists of 1) the line that expresses forms and movements of the subject, 2) the tone that gives true substance, 3) forms, 4) unity, and 5) structural motif. However, for dance works the researcher adds another element that is the power radiated from the movement, and that power is one of the biggest aesthetic elements. Among all the elements of art including the structural motif, the researcher focuses on the case in which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elements that bring social issues are expressed through art, and compares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s have before they are expressed in art and how they change after they are expressed through art. The scholar emphasizes that there is not only a difference between the poem (art work) and the reality in Kyung Lim Shin`s poem <Birds of Our Generation>, but also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cholar`s dance piece <Birds of Our Generation> that is based on the poem <Birds of Our Generation> and the poem itself. The poem is realistic while the dance piece is imaginative. (Researcher suggested that since the poem is expressed through language, it has the power to let the reader imagine more realistically and to appeal stronger than the dance form.) The subject matters for art could be the realistic ones, but the elements that comprise art are images. These image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rtist`s view or the artwork`s view. The scholar analyzes that the birds are the metaphors that generalize human suffering and signify human beings in Kyung Lim Shin`s poem. In addition, she emphasizes that the poet unifies the poetic space and his reality space and by unifying two spaces, the poet succeeds to make the social pressure in reality melt into his poetic space. The scholar expresses the unification of two spaces through two methods in her own dance piece <Birds of Our Generation>. One is personification of birds, and the other is symbolism. The scholar provides freedom to the characters that are conservative in the poem, so their specific images become general ones that represent generalized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and their lives in her dance <Bird of Ou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scholar, unifying two spaces in Kyung Lim Shin`s poem brings the dependence on the reality and stimulates pathos, so giving freedom to the characters leads her to soften pathos that the poet`s expression "frozen bluish summer street" brings in the poem and convert it into ethos that enhances emo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is clear that although the original basic element is the same for the two different genres of art, the creations can become very different corresponding to the artists` interpretation and expression of the element of social phenomena. Also, arts and reality, the real and image can als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different artists` eye

      • KCI등재

        메를로 퐁티의 몸의 현상학에 근거한 유아미술표현에 관한 연구

        정은정 ( Eun Jung Jung ),이화도 ( Hwa Do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5

        This study examines the artistic expression of young children from the perspective of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the body’ and discusses that perspectives implications for today`s eduction.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the body’ perceives the body as the subject of perception and the subject of human relations communicating with others in the world. According to him, each human being becomes an ‘l`etre-au-monde’ (being-in-the-world) through the body. This constantly evolving process can be observed in the artistic expression of young children. From the perspective of Merleau-Ponty`s phenomenology, the meaning of expression through the body can be seen as embodying expression as the subject of perception, expression as presenting knowledge and experience, expression of ‘being’ as the ‘l`etre-au-monde’. This phenomenological meaning of artistic expression of young children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our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 First, it implies that young children are individual and active ‘beings’ perceiving through the body. Second, it implies the deep reflection and meditative thinking of cogitation embedded in the expression process of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transformative embrace of the world through perception. Third, these implications thus lead us to recognize that young children give a new meaning to their prior-knowledge and experiences through their artistic expression. Fourth, as well we are led to understand that young children are the subject of expression and influenced by other-beings in the world; they are intersubjective-beings. In other words, young children are ‘l`etre-au-monde’. Today`s science, and its integrative research regarding brain (body) and mind adds more credence and urgency to Merleau-Ponty’s insights. This is a time to accept and act upon the notion of the child as ‘l`etre-au-monde’, each an active unique individual active subject existing in and relating to the ‘l`etre-au-monde’, and changing it, while being changed by it in the process. Notions of children as blank slates or clay to be molded must be discarded. In doing so, we shall understand, value and enhance the processes of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s as unique and vital. 본 연구는 메를로 퐁티의 ‘몸 현상학’을 근거로 유아의 미술표현의 의미를 살펴보고 그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메를로 퐁티의 ‘몸 현상학’은 지각 주체로서의 몸, 세계 속에서 타자와 소통하는 관계의 주체로서 몸의 의미를 보여준다. 그에 의하면 몸을 통해 ‘세계-에의-존재’가 되는 것이다. 이는 유아의 미술표현과정에서도 잘 드러난다. 메를로 퐁티의 ‘몸 현상학’에 비추어 유아의 미술표현의 의미를 살펴보면, 지각의 주체로서의 몸을 통한 세계이해, 앎과 경험을 드러내는 몸을 통한 표현, 세계-에의-존재로서의 몸을 통한 표현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유아미술표현의 현상학적 의미는 유아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첫째, 유아는 ‘몸’을 통해 세계를 지각하고 이해하는 존재이다. 둘째, 유아들은 미술표현과정 속에서 자신의 선 경험과 지식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발견으로 성장해간다. 셋째, 유아는 ‘몸’을 통해 세계 안에 자리하고, 세계를 향해 나아가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존재이다. 넷째, 유아는 ‘몸’을 통해 세계와 끝없이 상호영향을 주고받으며 성장하는 세계-에의-존재, 곧 상호주관적 존재이다.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유아에 대한 이해와 함께 ‘생활세계’ 속에서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존재하는 세계-에의-존재로서의 유아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와 더불어 유아의 미술표현과정에 대한 가치부여와 그 의미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 KCI등재

        임노월의 예술론적 실천 양상과 그 의미 : 동시대 문단과의 관련성과 표현주의 수용을 중심으로

        김선 ( Kim Se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8 민족문학사연구 Vol.66 No.-

        임노월이 5년여의 짧은 기간 동안 보여준 문학과 그의 예술론은, 근대라는 시기와 함께 태동한 창작자이자, 개별 주체로서 인간의 ‘감정’을 적극 옹호하고 그것을 자신의 문학적 근거로 삼았던 독자성을 보여주었다. 자연미의 모방이라는 전통적 예술의 개념이 지향했던 보편성과 객관성의 가치에서, 주관적 감정으로의 미의식의 가치 이행은 서구 예술 사조를 매개로 하여, 근대의 미의식에 대한 개념과 감각을 인식하고 독자적 예술론을 꿰려했던 임노월의 시대감각을 말하는 지점일 터이다. 그러나 동시에 주관화된 미의식 개념을 임노월이 우리나라 문단내에 적용할 때, 실상 그가 당면하고 있던 시급한 과제는, 예술 전반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이나 기준상의 정립조차 되어 있지 않았던 당대의 빈곤한 상황에 우선해 있기도 했다. 이에 따른 문제의식은 임노월의 글 전반에서 전통적 미의식의 가치인 ‘객관’과 ‘보편’, 근대적 예술의 가치인 ‘개성’과 ‘주관미’를 공립하는 것에서, 근대 예술의 원리와 개념들을 규정하고 제시하는 것에 대한 고민을 살필 수 있다. 또한 이는 예술이 주는 주관적 감정 효과에 있어 독자가 가지는 수용적 효과를 강조하는 것과 더불어 나타났다. 이처럼 근대적 예술의 창조와 그 원리를 중심으로 탐구했던 그의 예술론은, 최초문예잡지였던 『창조』를 필두로 하여 보여주었던 예술론적 실천 양상과, 우리나라 근대 문학의 중심과 그 도정 속에서 충분한 의의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artistic practice of Lim Ro Wol and its im-plications by examining its relation with contemporary literature and acceptance of expressionism. Lim Ro Wol is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artist of aestheticism in the 1920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Lim Ro Wol’s art does not directly reflect con-temporary literature and expressionism, but shows appropriation of them. In this thesis, I examine the re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literature and expressionism with aesthetics of Lim Ro Wol,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Lim Ro Wol’s artistic practice. This thesis starts from the fact that the existing study of Lim Ro Wol only focuses Oscar Wilde’s aestheticism. Aesthetics of Lim Ro Wol is not only limited to aesthetics of Oscar Wilde but it also has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contemporary arts of Kandinsky, Baudelaire and Poe and the ideas of Kant, Hegel, Schopenhauer and his contemporary lit-erature, Chang-jo and Yeong-dae. It was in accord with his own understanding of modern-ity and his sense of times. I examined aesthetics of Lim Ro Wol based on its relation with contemporary literature and its acceptance of expressionism to build a multi level per-spective that includes Oscar Wilde’s aestheticism but also transcends it. The organic relationship of emotion and expression is important for Lim Ro Wol’s aes-thetical perspective. Throughout his writings, his interest in the emotions that can be felt only in art and expressions that can evoke them can be perceived. In particular, he appro-priates the concept of expressionism of painting represented by Kandinsky in his artistic methodology. He especially focuses on the constructive elements of expressionism and how colors can leave impressions. Appropriating expressionism, he is in accord with Oscar Wilde’s aesthetics, and the influence of contemporary literature such as Chang-jo or Yeong-dae and contemporary ideas. Lim Ro Wol deviates from the aesthetical under-standing of art as imitation of nature, and recognizes artistic emotion and independent expression in modern art. The formation of his own artistic logic and methodology can be typified as follows with his work. In conclusion, the process of forming the aesthetical point of view of Lim Ro Wol is a result corresponding to comtemporary literature such as Chang-jo and Yeong-dae which were born from modernity and expressionist modern art. His artistic concepts do not reach to the establishment of a concrete methodology or an independent aesthetics by the short period of activity and the situation of the time. Therefore, I confirm the aspects of Lim Ro Wol’s attitude and viewpoint to modern art and his efforts.

      • KCI등재

        민화 감상과 연계활동이 유아의 미적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정소연 ( So Yeon Jumg ),성소영 ( So Young S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1

        본 연구는 민화 강상과 연계활동이 유아의 미적 표현력(미술활동과정, 미술표현능력, 미술감상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민화 감상과 연계활동과정에서 유아의 미적 표현력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A유치원의 만 5세 유아 6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동일한 수로 배정하여, 실험집단은 민화 감상활동 및 연계활동을 10주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자유로운 표현 중심의 미술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화 감상에 기초한 연계활동은 유아의 미적 표현력의 하위 요인인 미술활동과정과 미술표현능력, 미술감상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화 감상과 그에 따른 연계활동은 유아의 미적 표현력에 질적 변화를 가져왔다. 민화 감상과 연계활동을 통해 민화에 대한 단편적 감상이 아닌 전체적 미적 감상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유아의 미술표현활동에도 반영되어 공간배치, 선, 색, 구도 등의 요소에서 다양한 표현적 특징과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인화 감상 및 연계활동은 유아의 미적 표현력 증진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말해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nnected activities based on appreciation of folk paintings on artistic expressiveness of children and explore how connected activities based on folk paintings change artistic expressiveness of children. The study subjects were 60 5-year-old children enrolled in A Kindergarten located in Daegu. The half of them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were to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ten weeks of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connected activities based on appreciation of folk paintings,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 art activities based on free exp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connected activities based on appreciating folk paintings had positive effects on developing artistry activities process, artistry expression, and artistry appreciation, which are subordinate factors of artistic expressiveness of children. Second, the treatment was also found to make qualitative change of artistic expressiveness of children. Through the connected activities based on appreciating folk paintings, the children extended their fragmentary appreciation into general artistic appreciation, which was also reflected on artistry expression activities. Also, the expression of children showed relation with various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in the factors such as place arrangement, lines, colors, and composition. In conclusion, conducting connected activities based on appreciating folk paintings is an effective way to enhance the artistic expressiveness of children.

      • KCI등재

        사진 메커니즘의 예술적 표현 구조에 관한 연구

        김영도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6

        사진은 기계성에 기초한 선택이라는 행위의 개입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사진적 표현의 창조성이나 예술성은 사진 메커니즘을 충분한 이해하고, 그것을 예술적 표현으로 연계시킬 때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사진은 사진술을 바탕으로 생성되는 인화지 위의 이미지라는 물리적 실체뿐 아니라, 그것을 구상하고 활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가치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술로서의 사진은 그 다양한 가치 중의 하나이다. 사진술(photography)은 과학이지만, 사진(photograph)은 기술적 요소뿐 아니라, 예술적 요소와 인문적 요소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그런데 사진의 한 측면인 기술에만 집중하고, 그 나머지 가치를 등한시하는 불균형의 흐름이 존재하고 있다. 대체로 기술적인 측면에 과도하게 치중하는 부류와 예술에만 치중하는 부류 등으로 양극화되는 형국이다. 균형감을 가진 진정한 의미의 사진이 되려면, 먼저 사진의 기술적 요소에 내재한 예술적 표현 요소를 활성화하면서 사진의 범주를 확장하여야 한다. 그리고 사진의 기술적 메커니즘을 분절해야 한다. 본고는 사진의 기계성과 예술성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검토를 통해 사진 메커니즘을 26단계로 분절한다. 아울러 그것을 예술적 표현과 연계한 개념적 틀을 다이어그램으로 제시한다. 그리고 본고는 사진의 역사 속에서 보이는 사진가와 사진의 예술사조를 연계시켜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사진 메커니즘의 예술적 표현 구조를 탐색한다. Photography stems from an intervening act of selection based on a machine. Therefore, photographic expressions of creativity and artistry are sufficient to understand the photographic mechanism, and this takes place in conjunction with artistic expression. Therefore, photographs represent a physical entity on photographic paper generated on the basis of photography. Moreover, photos are a comprehensive concept which includes a range of values that occur during the process based on the specific use of it. Photography as art has a range of values. Although photography is a science, photographs include all elements, i.e., technical elements as well as artistic and humanistic elements. However some photographers concentrate on one aspect of photographic technology. Furthermore, there is a disproportionate flow of neglect with regard to the other types of value of photography. Status is generally divided into several classes that focus excessively on technical aspects and art. To become a true photographer with balance, the scope of photography should initially be extended to enable the artistic expression of the technical elements. In addition, the technical mechanisms of photos should be segmented. This study segments the photographic mechanism into 26 phases by reviewing the machine and artistry of photography. In addition, it presents a conceptual framework of a diagram linked to artistic expression. The paper also explores artistic expression and the structure of artistic expression as part of the photographic mechanism utilized by the photographer in conjunction with the photographic art flow as seen in the history of photography.

      • Contemporary Media Art Performance under the Visual Threshold of Interpretation

        Dongfang Liu 동북아경상학회 2023 동북아경상연구 Vol.4 No.2

        Purpose - Introduce contemporary media art, study the virtual representation forms of contemporary media art, and deeply explore the artistic meanings expressed by their forms of express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rtistic expression such as innovation and interactivity, this article applies the three elements of understanding,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in hermeneutics theory to interpret multimedia art works. Findings - This article analyzes contemporary media art works from three dimensions of hermeneutics: understanding,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The conclusion is that artists express their desire for balance and wisdom, their perception of the world's spiritual state through multimedia forms, and also enable readers to associate and make independent judgments about the works, thereby exploring their own spiritual world and perceptual experience. At the same time, participants themselves are also creating meaning, interpreting value, completing perception, determining intention, and jointly explaining the humanistic value and responsibility of the work with the artist. Research Implications - The study of cultural communication at the visual level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social information. Multimedia image visual art has been integrated into daily aesthetic life in the form of popular culture, becoming the most important carrier for exploring artistic life. This article combines theory and practice, using typical art cases for specific analysis, in order to better apply contemporary multimedia art theory to artistic creation, and provide fresh materials and beneficial attempts for the research of digital media art application theory.

      • KCI등재

        회화의 아이디어와 저작권

        최우령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30 No.4

        유명가수의 회화작품이 무명화가에 의해서 작품이 만들어졌고, 유명화가는 마지막에 덧칠하는 정도로 마무리만 하였다고 보도가 되어서 주목을 받은 사건이 있었다. 당사자는 이러한 작업방식은 현대 미술에서는 흔히들 있는 조수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것이고 이는 미술계의 관행이라고 항변하였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소재가 된 것은 당사자 본인이 아이디어를 제공하였기 때문에 저작자로서 권리가 있다고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조수의 역할과 지위, 아이디어 제공에 대한 저작권법적 권리 범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유명가수의 지휘·감독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작업에 대한 지시만 받고 작업을 완성하여 작품을 보냈고, 유명가수는 이에 대해 10%도 안되는 부분을소위 ‘덧칠’이라는 작업을 하고 본인의 작품으로 발표 한 점을 고려하여 볼때 그림을 대신 그린 무명화가가 조수로서 역할을 하였고 유명가수가 원저작자가 된다고 할 수 없다. 팝아트라는 작업분야에서의 작업형태와 비교하여 보아도 문제가 된 사건에서 작업의 형태는 저작자가 아닌 보조작가가 작업하여 발표하는 것이라고 알리지도 않았고, 이 작업의 형태가 대량생산이라는 목적을 위한 것도 아니었음을 볼 때 팝아트라고 볼 수는 없는 것이다. 현대 미술의 장르에서는 표현기법과 함께 아이디어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얘기를 하는 경우도 볼 수 있다. 최근 게임저작물의 경우 아이디어의 범위를 확대하여 판단한 법원의 판단도 있어서 앞으로 아이디어와 표현이라는 저작권법상 범위에도 고려해보아야 할 필요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문제가 된 사건에서 유명화가가 화투 그림이라는 콘셉트만 정해주었을 뿐 재료선택에서 작품구상 그리고 완성까지 무명화가가 스스로 진행했다고 한다. 이러한 상황을 볼 때 A가 그림을 그리도록 지시한 것이저작권의 권리를 인정할 수 있는 저작물의 ‘표현’의 범주로 얘기하기에는표현의 범위를 너무 넓게 고려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famous artist’s paintings were made by an unknown artist, and the famous artist had been reported as having been finished to the last extent to be painted. The parties argued that this work was done using assistants, which are common in contemporary art, and this is the practice of the art world. And the most important subject matter was that the person himself had the right to be an author because he provided the idea. Based on this, the role and status of assistants and the scope of copyright law for providing ideas are discussed. Under the direction of the famous singer, the artist completed the work only after receiving instructions on the work, and the famous singer made the work of so-called ‘painting’ and presented it as his own work. In light of this, an unknown artist who painted a picture acted as an assistant, and a famous singer cannot be the original author. Compared to the form of work in the field of pop art, the form of work in the matter in question was not informed that the work was presented and presented by an assistant artist, not the author, and the form of work was not for the purpose of mass production. When you look at it, you can’t see it as pop art. In the genre of contemporary art, we can also say that ideas are important in addition to expression techniques. In the case of recent game works, there is also a court decision that expands the scope of ideas, so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the scope of copyright law of ideas and expressions.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oblem, only the famous artist chose the concept of painting, and the unknown artist proceeded from the selection of materials to the design and completion of the work. Given this situation, A instructed to draw a picture that considers the scope of expression too broad to speak of the category of ‘expression’ of a work that can recognize copyright rights.

      • KCI등재

        거리 공연에 관한 공법적 고찰

        이장희 한국법제연구원 2018 법제연구 Vol.- No.55

        This paper deals with the legal meaning and issues of street performances. The key elements in the legal sense of street performances (or artistic performances) are 'public places' and 'artistic activities'. Therefore, as far as belongs to "artistic activities in public places", we can call them in principle as street performances regardless of its level of art, whether they are paid or not, size of performances or genre of artistic activities. Street performances are a way for anyone to freely participate and enjoy art by being performed on open places. In addition, street performances can be seen as more popular and democratic artistic acts than mainstream art culture in that anyone can become street performers. Although street performances are in vogue and becoming a universal cultural phenomenon, they do not appear to be legally organized yet. However, we don't have to strictly regulate street performances on the grounds that they are something different and special. Instead, they should let their street performances be freely performed and enjoyed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al law that guarantees the freedom of art or the freedom of artistic expression. Of course,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relevant laws on key issues raised regarding street performances. Finally, for street performances to be well established as cultural phenomenon, it should be harmonized that efforts to observe the law and orders by street performers, mature rituals and cultural tolerances of citizens who enjoy street performances, and efforts to realize the purpose of cultural countries and to promote street performances by governments. 이 논문은 거리 공연의 법적 의미와 쟁점을 검토한 것이다. 거리 공연(또는 거리 예술)의 법적 의미를 이해하는데 핵심 징표는 ‘공공장소’와‘예술행위’에 있다. 따라서 ‘공공장소에서의 예술 행위’라 할 수 있는 한, 원칙적으로 그 예술성의 수준이나 대가의 지급 여부, 공연의 규모, 예술행위의 장르를 불문하고 거리 공연 또는 거리 예술이라 할 수 있다. 거리 공연은 개방된 길거리에서 행해짐으로써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하고 예술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이다. 또 누구나 거리공연가가 될 수 있다는점에서 거리 공연은 주류적 예술문화보다 더 대중적이고 민주적인 예술행위라 볼 수 있다. 다만 거리 공연이 유행하고 보편적 문화현상으로 자리잡아가고 있지만, 아직 법적으로 정돈되어 있는 상황은 아니라고 보인다. 하지만 거리 공연을 뭔가 이질적이면서 특별한 것으로 취급하면서 법으로 규제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예술의 자유 등을 보장하는 헌법의 취지에 맞게 거리 공연을 자유롭게 행하고 즐길 수 있도록 내버려 두는 것이 타당하다. 거리 공연이 사회적 유해성을 가진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최근 여러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한다는 이유에서 거리공연을 적극적으로 조례로 규율하고 있지만, 거리 공연을 규율하기 위한법률이 별도로 필요하지는 않다고 판단된다. 다만 거리 공연에 관해 제기되는 주요 쟁점별로 관련 법률을 정비하는것은 필요하다. 예컨대 공연 무대를 설치하는 대규모 거리 공연에서 별도의 허가가 필요한지 좀 더 분명하게 규정해 줄 필요가 있으며, 거리 공연으로 인한 생활소음의 규제를 받기 위해 「소음·진동관리법」상 거리 공연에 관한 근거 규정과 소음 기준을 별도로 마련해 주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거리 공연이 문화 현상으로 잘 정착되기 위해서는 거리공연가의 법질서 준수 노력, 거리 공연을 즐기는 시민들의 성숙된 의식과 문화적 관용태도, 그리고 거리 공연을 활성화하려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문화국가적 보호 노력이 조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