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부상소의 허용범위와 경합범의 일부상소에 있어서의 상소심의 심판범위

        김현철(Hyuncheol Kim)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논총 Vol.40 No.2

        형사소송법은 제342조 제1항에서 “상소는 재판의 일부에 대하여 할 수 있다.”고 규정하여 일부상소를 허용하면서, 제2항에서 “일부에 대한 상소는 그 일부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부분에 대하여도 효력이 미친다.”고 규정하여 상소불가분의 원칙을 규정하고 있는데, 일부상소의 허용범위나 상소불가분의 원칙이 적용되는 범위에 대하여는 구체적 내용을 규정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위 조문들의 해석과 관련하여 경합범의 일부상소에 있어서 상소심의 심판범위와 관련하여 문제가 되는 경우를 살펴보기 위하여 필요한 범위 내에서 일부상소의 의의 및 기능, 구별개념, 일부상소의 허용범위와 상소불가분의 원칙의 적용범위에 대하여 살펴본 후, 경합범의 일부상소에 있어서 상소심의 심판범위와 관련하여 문제가 되는 경합범에 대하여 일부유죄・일부무죄 판결이 선고된 경우, 죄수판단의 변경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경합범의 경우 ① 일부유죄, 일부무죄 등이 선고된 경우, ② 2개 이상의 다른 형이 병과된 경우, ③ 확정판결 전후의 수개의 범죄에 대하여 수개의 형이 선고된 경우, ④ 경합범 전부에 대하여 무죄판결이 선고된 경우 일부상소가 허용되지만, 동시적 경합범에 대하여 한개의 형이 선고된 경우는 일부상소가 허용되지 않는다. 그리고 일죄의 일부, 주형과 일체가 된 부가형 등의 경우도 일부상소가 허용되지 않는다. 일부상소의 허용범위와 상소심의 심판범위는 일부상소의 법리를 엄격하게 관철할 것인가 아니면 피고인의 이익보호를 우선할 것인가라는 가치관이나 인식의 차이에 따라 견해가 상반될 수 있는바, 일부상소의 법리를 크게 훼손하지 않으면서 피고인의 이익보호를 고려하는 조화점을 찾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일부상소의 경우 이론적 논의 못지않게 실무상의 죄수, 처단형의 산정, 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 등과 관련한 적절한 처리라는 관점에서의 접근이 다른 어떤 영역보다 필요해 보이므로 이론구성에 있어 이런 관점도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Criminal Procedure Act permits appeal against part of decision as it provides that “An Appeal is allowed to be filed against part of decision.” in Article 342 (1). And it provides the principle of indivisibility of appeal as it provides that “An Appeal which is taken against one part shall be deemed to have effect over the other part which is indivisibly connected with that part.” in Article 342 (2). But this articles do not provides concrete contents about permission scope of appeal against part of decision and the principle of indivisibility of appeal. In this thesis first author within the necessary scope for studying problematic cases with regard to trial scope of appellate court in appeal against part of decision of concurrent crimes studied about the meaning and function of appeal against part of decision, distinguished concept, permission scope of appeal against part of decision and applicable scope of the principle of indivisibility of appeal. In succession author studied about the case that partial guilt and partial innocence is convicted in the original trial and the case that appellate court differently judge in numbers of crimes with regard to trial scope of appellate court in appeal against part of decision of concurrent crimes. In case of concurrent crimes, appeal against part of decision is permitted in ① the case that partial guilt and partial innocence was convicted, ② the case that different punishments over two were convicted parallelly, ③ the case that punishments over two about crimes over two committed front and rear of irrevocable judgment were convicted, ④ the case that judgment of being not guilty was convicted about all concurrent crimes. But appeal against part of decision is not permitted in ① the case that one punishment was convicted about concurrent crimes, ② part of single crime, ③ additional punishment unified with main punishment. Point of view about permission scope of appeal against part of decision and trial scope of appellate court can be contrasted according to difference of view of value or recognition about application of strict legal principles of appeal against part of decision or priority of the accused s interest. We must find harmonic point that considers protection of the accused s interest without severe injury to legal principles of appeal against part of decision. And in the discussion about appeal against part of decision, approach with point of view that proper disposal in practical affairs with regard to number of crimes, calculation of punishment,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disadvantageous alternation is as much important as theoretical discussion.

      • KCI등재

        일부상소와 상소심의 심판범위 - 판례에 대한 분석과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

        양동철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경희법학 Vol.45 No.3

        Article 342 (1)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provides that “An Appeal may be filed against part of decision.”Part of decision does not mean part of its subjective scope but its objective one. And appeal against part of decision is not against part of a count but against part of decision of the criminal procedure in which court examine consolidated case like concurrent crimes In case appeal against part of decision is filed, the part shall be transferred to court of appeals and shall be its object of trial. On the other hand, the other part is not transferred but settled in principle. However, there are some exceptions. Article 342 (2)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provides that “An Appeal which is taken against one part shall be deemed to have effect over the other part which is indispeably connected that part.”With reference to those issues, many sincere arguments are raised. And Supreme Court has released many meaningful precedents, like [Supreme Court Decision 1991Do1402], [Supreme Court Decision 1990Do2820] and so 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tandpoint of the Supreme Court and suggest a manifest criterion on that issue. This Article starts with a review of general theory about “Appeal against Part of Decision” and major issues Secondly, it analyzes leading judicial precedents and theories of domestic and abroad. Finally, it suggests criteria on that issue and possible solutions to the problems.

      • KCI우수등재

        법률에 대한 위헌결정의 효력과 헌법소원의 대상이 되는 법원 재판 ― 헌재 2022. 6. 30. 선고, 2014헌마760, 2014헌마763 결정에 대한 헌법적 검토 ―

        박경철(Park, Gyung-Chul) 한국공법학회 2023 공법연구 Vol.52 No.2

        This paper critically reviewed the decisions(2014Hun-Ma760 and 2014Hun-Ma763 (consolidated)), which were announced on June 0, 2022 by the Constitutional Court(CC), on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prohibition of a constitutional appeal against all court’s trial of Article 68(1)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ct(CCA) and constitutional appeals against court’s trials. CC decided that among the court’s trials where constitutional appeals are prohibited pursuant to Article 68(1) of CCA, those parts of the court’s trials that are contrary to the binding force on national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of the CCs unconstitutionality decision are unconstitutional. So CC recognized that the court’s trial contrary to the binding force of CCs unconstitutionality decision should be subject to a constitutional appeal and decided to cancel it. This decision is significant in that, notwithstanding Article 68(1) of CCA, it expands the scope of the court’s trials subject to a constitutional appeal through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But, CC denied the eligibility of the constitutional appeal to the court’s trials that were confirmed before the CCs unconstitutionality decision. In this decision, CC did not provide a convincing reasons as to not only why a court trial that is contrary to the retroactive effect of CCs unconstitutionality decision cannot be the subject of a constitutional appeal, but also why only a court trial that is contrary to the binding force of CCs unconstitutionality decision should be the subject of a constitutional appeal. I believe, to deny the eligibility of the constitutional appeal to the court’s trial that was confirmed before the CCs unconstitutionality decision violates the retroactive effect and the general binding force on the citizens and all public institutions of CCs unconstitutionality decision on a law and violates the constitutional right of citizens to be tried by laws conforming to the constitutional law. With this decision, CC directly undermined the retroactive effect of CCs unconstitutionality decision and the retrial system to realize it, and indirectly undermined the constitutional appeal system of Article 68(2) of CCA and the binding force of CCs limited unconstitutionality decision.

      • KCI등재

        공동심판의 심결에 대한 취소소송에서의 당사자적격

        윤기승 ( Yoon Giseung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9 지식재산연구 Vol.4 No.3

        무효심판의 공동심판에서 공동심판청구인이 패소한 경우, 공동심판청구인 전원이 공동으로 심결취소소송을 제기하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으나 공동심판청구인 중 일부는 소를 제기하고자 하고 다른 공동심판청구인은 소를 제기하지 않으려고 하면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공동심판청구인 중 일부가 심결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지, 그렇다면 그 효력이 다른 공동심판청구인에게도 미치는지 여부가 문제된다. 한편, 공동심판청구인이 승소한 경우 특허권자는 공동심판청구인 중 1인을 피고로 심결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지, 그렇다면 다른 공동심판청구인에게 어떠한 효력이 미치는지의 여부도 문제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는 무효심판의 공동심판의 성질에 대하여 살펴보고, 또 공동심판의 심결에 대한 취소소송을 능동소송인 경우와 수동소송인 경우로 구분하여 공동심판의 성질에 따른 효력에 대하여 살펴본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고는 무효심판의 공동심판은 통상의 공동소송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또 이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일사부재리의 판단시점을 ‘심결시’가 아닌 ‘심판청구시’로의 판례변경을 제안해 본다. Where the invalidation trial was decided against joint applicants, it is no problem that all of them file a litigation for cancellation of a trial decision within a given period, but it is problem that some of them try to file such a litigation and the others try not to do. In other words, it is debatable whether or not one of joint applicants can be a plaintiff in the litigation, or whether, if so, the effect of the judgment in the litigation who some of them filed reaches to the others. Meanwhile, where the invalidation trial was decided in favor of joint applicants, it is debatable whether or not the owner of the patent right can file such a litigation against one of them, or whether, if so, the effect of the judgment in the litigation who the owner of the patent right filed against one of them reaches to the other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 character of the invalidation trial who some interested persons filed, and the effect of which the judgement reaches to the other joint applica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joint appeal trial(or co-litigation) in the active litigation who one of them filed against the owner of the patent right, or in the passive one who the owner of the patent right filed against one of them. In addition, based on above examination, I think that the invalidation trial who some interested persons filed has the character of general co-litigation. Accordingly, I want to suggest that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against double jeopardy’ should be applied ‘at the time filing the trial', not ‘at the time of the trial decision'.

      • KCI등재후보

        특허심판제도와 그 운영을 둘러싼 쟁점과 과제

        김원오(Kim Won Oh)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法學硏究 Vol.13 No.2

        1998년 3월 1일 특허심판원과 특허법원이 개원함으로써 우리나라 특허쟁송제도의 새로운 장이 열린지도 어언 12년이 지났다. 그동안 특허청은 시대적 상황에 부응하기 위하여 부단히 심판제도와 실무를 개선함과 동시에 심판기간의 획기적 단축, 심판관의 전문화를 추진하여 특허심판 이용자편의를 고려하면서 적정하고 신속하고 공평한 절차의 심판이 이루어지도록 나름대로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우리나라 특허심판제도는 선진국제도에 못지않게 정비되어 왔지만 이상론에 비추어보면 아직도 개선하여야 과제 또한 적잖게 남아 있다. 본고는 우선 특허법상 특허심판제도를 운영하는 주체이면서도 관심의 대상으로 크게 주목 받지 못하여 온 특허심판원의 위상과 역할을 재점검해 보고 그 본질적 역할에 비추어 특허심판제도의 개선 방향성을 제시해 보았다. 특히 특허심판원의 독립성 강화와 심사 계도 및 방향성 제시기능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토대로 현행 특허심판제도의 문제점을 총체적으로 도출해 보고 그 개선방안을 강구하였던 바, 현행 특허법상 심판관련 제도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법 개정이 필요한 사항을 중심으로 대표적인 특허심판 유형별로 구분하여 쟁점과제들을 정리해 보았다. 아울러 심판원 운영 실무상의 제 문제에 관한 그 동안의 공과와 쟁점 과제도 살펴보았다. 특히 이와 관련하여서는 구술심리와 집중심리를 더욱 활성화하고, 심판관의 전문성 향상 방안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어 보았다. 나아가 효율적인 분쟁해결 구도의 수립을 위해 법원과 기능적 역할분담차원에서 제기 되어온 쟁점과 제들을 살펴보고 특허법원과의 연계 내실화 방안을 살펴본 후 시대변화에 따른 특허쟁송제도의 새로운 위상정립을 모색해 보았다. It has passed 12 years since the Korean Patent Court and the Board of Patent Appeals established as of March 1st. 1998. During the times, Korean Patent Appeals & Litigation system has been drastically changed in volumes in that the number of demanding a trial increased 4 times(patent cases) and the number of rendering a judgement also increased as much as it. But also it shows quite a development in quality in that average trial pendency shortened, the rate of cancellation of trial decision by the Korean Patent Court decreased due to the precise and well-reasoned decision. All the above development of Korean Patent Appeals & Litigation system, it still leaves much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future. This article aims to review on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Korean Patent Trial System to go and on the implemental inner policy of the Board of Patent Appeals to be more effective in the course of management. This article firstly studies the roles and status of the Board of Patent Appeals in general. Further, this article is to address issues concerning the principal directions for the appeal system to enhance such as to increase the quality of trial decisions, to guide and control examination of patent application and to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Patent Court. Further, Contending Legal Issues on an individual trials such as Appeals against final decision of rejection, Invalidation Trial, Confirmation Trial of Scope of the Right, Trial for Correction and interrelationship thereof are discussed in detail to enhance more effective trial system. For example, the Scope of examination of the Patent Court, Reconsideration by an Examiner before Appel, and relationship between infringement suits and invalidation trial are discussed in detail and so on. In order to introduce them into Korean patent trial system properly, the above issues are discussed or examined and proposed a desirable directions for the revision of the Korean Patent law and regulations.

      • KCI등재

        권리범위확인심판에서의 진보성 판단에 관한 고찰

        구대환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4 지식재산연구 Vol.9 No.3

        The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12hu4162 declared thatthe court in infringement litigation cannot decide whether the patentedinvention has an inventive step in a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and change precedents. Until the en banc Decision, the Supreme Court had decided theinventiveness of the patented invention in a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a patent except the Supreme Court Decision 97hu2095 sentenced onMarch 20, 2014. In addition, even though the Patent Act stipulates thatthe patent can be invalidated though an invalidation trial of the patentwhen the patent cannot satisfy the requirements to be patented, the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10da95390 which is aninfringement suit notified that the court dealing with an infringementsuit could determine whether the patented invention had an inventivestep. Considering the Patent Act and the Supreme Court en bancDecision 2010da95390, the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2012hu4162 makes us have questions. Because the Supreme Court enbanc Decision 2010da95390 declared that the courts of an infringementsuit could decide the inventive step of a patented invention when it wasobviously considered to be invalidated in an invalidation trial, itappeared that courts of a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which isbasically similar to an infringement suit in that it is to confirm whether an accused invention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atented invention)also could decide the inventive step of the patented invention. Againstthis backdrop, this paper argues that the en banc Decision 2012hu4162is not proper in that it prohibits judgment of the inventive step of apatented invention even when it is considered to be invalidated in aninvalidation trial and the en banc Decision is a trial to confirm the scopeof a patent. 대법원은 2012후4162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권리범위확인심판에서 특허발명에 진보성이 결여되어 무효사유가 명백하다고 하더라도 이에 대한 진보성 판단을 할 수 없다고 하면서 이와 배치되는 판례를 변경하였다. 종래 대법원이 권리범위확인심판에서 진보성 판단을 할 수 없다고 한 판례는 단 한 건에 불과하고 다수의 판례에서 진보성 판단을 인정하였다. 또한 특허법은 특허에 무효사유가 있는경우 특허무효심판을 통하여 무효로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대법원은2010다95390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침해소송에서는 진보성 판단을 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법원은 2012후4162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권리범위확인심판에서는 진보성 판단을 할 수 없다고 한 것이 적절한 것인지에 대하여의문이 남는다. 대법원은 2010다95390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특허발명에 진보성이 결여되어 무효심판에서 무효로 될 것이 명백한 경우 침해소송에서 진보성 판단을 할 수 있다고 했다면, 이와 유사한 성격의 권리범위확인심판에서도 특허발명에 진보성이 결여되어 있는 것이 명백한 경우 당연히 진보성 판단을 할 수 있어야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문점을 바탕으로 이 논문은 대법원이 2010다95390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침해소송법원이 진보성 판단을 할 수 있다고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권리범위확인심판에서는 진보성 판단을 할 수 없다고 한 2012후4162 전원합의체 판결이 갖고 있는 의미와 문제점을 검토한다.

      • KCI등재후보

        국민참여재판 회부시까지의 절차에 관한 고찰

        김용찬(Kim Yong-Chan) 한국법학원 2010 저스티스 Vol.- No.116

        2008. 1. 1.부터 국민의 형사재판 참여에 관한 법률(이하 ‘참여재판법’이라 한다)이 시행되어 2008. 2. 12. 우리나라 사법사상 최초로 대구지방법원에서 국민참여재판(이하 ‘참여재판’이라 한다)이 실시되었는바, 비록 참여재판제도의 시행 기간이 얼마 되지 않지만 그 동안의 참여재판에 대한 실무례와 참여재판이 도입되기 이전부터 이루어진 참여재판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결합하여 참여재판의 운영에 관한 지식과 정보가 축적되고 있고, 이를 기초로 하여 참여재판의 통일적인 운영 기준이 확립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참여재판에 대한 논의는 주로 배심원 선정절차, 공판절차, 평의절차에 집중되어 있고, 참여재판 회부시까지의 절차, 즉 피고인의 참여재판 의사 확인, 피고인의 참여재판 신청시부터 참여재판 회부시까지 사이에 법원이 내리는 각 결정 및 그에 대한 불복방법 등에 관한 논의는 그다지 많지 않지만, 그 중요성은 전자에 못지않으므로 이에 관한 고찰의 필요성이 있다. 참여재판 회부시까지의 절차 중 참여재판절차의 시초가 될 뿐만 아니라, 피고인의 참여재판을 받을 권리의 보장을 위한 매우 중요한 절차인 피고인의 의사 확인 절차는 참여재판법 제8조에 규정되어 있는데, 피고인의 참여재판을 받을 권리의 최대 보장이라는 참여재판법 제8조의 취지, 입법경위, 법 문언 자체의 의미 등을 종합하여 보면, 참여재판법 제8조 제2항 전문은 피고인의 참여재판 의사 표시시기를 제한한 것이 아니라, 피고인의 의사 확인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 재판절차의 진행이 지연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피고인이 공소장 부본을 송달받은 날부터 7일 이내에 참여재판 의사 확인 서면을 제출하지 않으면 참여재판을 희망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여 향후 절차를 진행하도록 하는 취지일 뿐이므로, 피고인이 위 기간 이내에 참여재판 불희망의사를 표시하였거나 위 기간 이내에 아무런 의사를 표시하지 않아 참여재판법 제8조 제3항에 따라 참여재판 불희망의사로 간주된 경우에도 참여재판법 제8조 제4항 소정의 기한까지는 종전의 의사를 번복할 수 있다고 할 것이고, 대법원 2009. 10. 23, 자 2009모1032 결정도 같은 입장이다. 한편 피고인이 참여재판 희망의사를 번복(철회)한 경우에는, 형사절차의 명확성 및 안정성을 도모하는 한편 참여재판 의사의 효력에 관한 다툼에 있어서 피고인에게 실효적인 구제수단을 인정하기 위하여, 법원은 참여재판법 제9조 제1항 소정의 배제결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고인이 배제결정에 대하여 즉시항고를 제기한 경우에는 공판절차의 정지를 인정할 수 없고, 다만 법원은 참여재판절차의 진행 중 피고인의 배제결정에 대한 즉시항고로 인하여 피고인에 대한 구속기간 내에 사건을 종결하기 어렵다고 예상될 때에는 참여재판법 제11조 제1항에 따라 직권으로 통상절차 회부결정을 하여 당해 사건을 통상재판절차로 진행하는 방법을 강구할 수 있다. 「Civil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 Act」 has come to effect on Jan. 1, 2008. And according to the above act, the civil participating trial was held at Daegu District Court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re is an anticipation of great change in korean judiciary system as a result of adopting the civil participating trial. As the civil participating trial was held at most of the District Courts of the whole country, some questions about the civil participating trial arose. They are the deadline for application of the civil participating trial, the method to appeal against the court decision of holding the civil participating trial, etc. The most important question of them is whether a prisoner at the bar can apply the civil participating trial to court 7 days after from the day he received a written arraignment or not. Civil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 Act Article 8 states that a prisoner at the bar must present the document expressing that he wants to submit to the civil participating trial or the ordinary trial(trial by judge) within 7 day, and if not, then it is regarded that he don't want to submit to the civil participating trial. Many conflicting opinions have been expressed on this subject. A majority opinion is that a prisoner at the bar can't apply the civil participating trial to court 7 days after from the day he received a written arraignment. But investigating the purpose of legislation and the process of legislation of Civil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 Act, it is reasonable that a prisoner at the bar can apply the civil participating trial to court 7 days after from when he received a written arraignment too.

      • KCI등재

        特許侵害訴訟에서의 辨理士의 訴訟代理權 認定與否* - 직업행사의 자유에 대한 기본권제한의 한계와 관련하여 -

        이승우 한국헌법학회 2010 憲法學硏究 Vol.16 No.4

        The court in Korea has rejected so far the status of the patent lawyers as an attorney. The reason the court has rejected is that they have no right to act as an attorney according to the Article 87 of the Civil Procedure Act. The court divides all kinds of patent petition(특허 등에 관한 소송) into two: An appeal against the trial decision(심결취소소송) and a patent infringement action(특허침해소송), and denies the patent lawyers' right in the latter. On the contrary, patent lawyers claim their rights according to the Article 8 of the Patent Lawyer`s Act. Here this writer presents an argument against the court's decision based on the followings: first, the purpose of denying the right to act as an attorney itself is not justifiable. Second, the court misinterprets the Article 87 of the Civil Procedure Act. Third, Restriction of the patent lawyer`s license in the patent infringement action itself infringes the fundamental contents of the freedom of occupation. Fourth, the method of restriction of basic rights itself is not only inappropriate, but it violates the balance of legal benefits and the minimalism of infringement. Accordingly, this problematic legal article should be revised or abolished, since it is unconstitutional in that it violates the freedom of occupation of patent lawyers. 지금까지 법원은 특허침해소송에 있어서 변리사의 소송대리인으로서의 법적 지위를 인정하지 않았다. 변리사는 민사소송법 제87조에 따라 소송대리인으로서의 행위를 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는 것이 법원의 입장이었다. 그리고 법원은 ‘특허 등에 관한 소송’을 2가지로 분류하였는데, 심결취소소송과 특허침해소송이 그것이며, 그 가운데서 후자에 대하여 소송대리권을 부인해온 것이다. 그에 반하여 변리사들은 변리사법 제8조에 근거하여 그들의 권리를 주장하고 있다. 그런데 필자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법원의 결정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한다. 첫째, 변리사의 소송대리인으로서 활동할 권리를 부인하는 목적이 정당하지 못하다. 둘째, 법원은 민사소송법 제87조의 해석을 잘못하고 있다. 셋째, 특허침해소송에서 변리사의 소송대리권을 제한하는 것은 그 자체로서 직업의 자유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한다. 넷째, 기본권을 제한하는 방법 그 자체가 적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법익의 균형성과 최소침해성을 위반하고 있다. 결국 문제의 민사소송법 제87조는 개정되거나 폐지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변리사의 직업의 자유를 침해하는 위헌규정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 KCI등재

        特許侵害訴訟에서의 辨理士의 訴訟代理權 認定與否

        李丞祐(Lee Seung Woo) 한국헌법학회 2010 憲法學硏究 Vol.16 No.4

        지금까지 법원은 특허침해소송에 있어서 변리사의 소송대리인으로서의 법적 지위를 인정하지 않았다. 변리사는 민사소송법 제87조에 따라 소송대리인으로서의 행위를 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는 것이 법원의 입장이었다. 그리고 법원은 ‘특허 등에 관한 소송’을 2가지로 분류하였는데, 심결취소소송과 특허침해소송이 그것이며, 그 가운데서 후자에 대하여 소송대리권을 부인해온 것이다. 그에 반하여 변리사들은 변리사법 제8조에 근거하여 그들의 권리를 주장하고 있다. 그런데 필자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법원의 결정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한다. 첫째, 변리사의 소송대리인으로서 활동할 권리를 부인하는 목적이 정당하지 못하다. 둘째, 법원은 민사소송법 제87조의 해석을 잘못하고 있다. 셋째, 특허침해소송에서 변리사의 소송대리권을 제한하는 것은 그 자체로서 직업의 자유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한다. 넷째, 기본권을 제한하는 방법 그 자체가 적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법익의 균형성과 최소침해성을 위반하고 있다. 결국 문제의 민사소송법 제87조는 개정되거나 폐지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변리사의 직업의 자유를 침해하는 위헌규정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The court in Korea has rejected so far the status of the patent lawyers as an attorney. The reason the court has rejected is that they have no right to act as an attorney according to the Article 87 of the Civil Procedure Act. The court divides all kinds of patent petition(특허 등에 관한 소송) into two: An appeal against the trial decision(심결취소소송) and a patent infringement action(특허침해소송), and denies the patent lawyers' right in the latter. On the contrary, patent lawyers claim their rights according to the Article 8 of the Patent Lawyer`s Act. Here this writer presents an argument against the court's decision based on the followings: first, the purpose of denying the right to act as an attorney itself is not justifiable. Second, the court misinterprets the Article 87 of the Civil Procedure Act. Third, Restriction of the patent lawyer`s license in the patent infringement action itself infringes the fundamental contents of the freedom of occupation. Fourth, the method of restriction of basic rights itself is not only inappropriate, but it violates the balance of legal benefits and the minimalism of infringement. Accordingly, this problematic legal article should be revised or abolished, since it is unconstitutional in that it violates the freedom of occupation of patent lawyers.

      • KCI등재

        이명박 정부 하에서의 사법개혁작업 논의과정과 그 평가

        신평(Shin, Pyung)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10 世界憲法硏究 Vol.16 No.4

        한국의 사법제도는 외관에 있어서는 다른 외국의 것에 비하여 크게 손색이 없다. 오히려 그 효율성에 있어서는 커다란 경쟁력을 갖는다. 이는 세계은행이 발표한 ‘기업환경평가보고서’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2009년의 위 보고서에서 사법시스템의 효용성에 직결되는 ‘계약의 강제이행’ 부문에서 무려 세계 5위에 랭크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화려한 외관의 꺼풀을 조금 벗겨나가면, 우리는 국민들의 강한 사법불신과 만나게 된다. 특히 ‘전관예우’라는, 우리 사회에서 흔히 사용되는 단어는 엄정무사해야 할 사법권의 행사와 본질적으로 상충하는 의미를 갖는다. 바로 이 단어의 잦은 사용이야말로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뿌리깊은 사법불신의 실증적 예이다. 사법불신을 바탕으로 해서 전개된 사법개혁의 작업은 한국의 민주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된 김영삼 정권에서부터이다. 그리고 노무현 정권에 이르러서 이것은 일단 완성을 보게 된다. 그것은 모두 정권의 파워 엘리트들이 강하게 그 과정에 간섭하며 이루어졌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여전히 국민들의 사법불신은 강하고, 따라서 사법개혁은 또다시 요구되는 실정이다. 현재의 보수적인 이명박 정권은 ‘법과 질서의 확립’을 국정의 가장 큰 과제로 삼아 출발하였는데, 이는 법집행의 흠결을 지적하며 그 개선을 요구하는 사법개혁과는 양립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런데 지난 사법개혁의 역사에서와는 전혀 다르게 이번에는 정권이 아닌, 국회에서 먼저 사법개혁의 움직임이 시작하였다. 그리고 대법원이 이에 자극을 받아 새로운 사법개혁의 안을 내놓았다. 국회의 사법제도개혁특별위원회는 법원관계법 심사소위원회, 검찰관계법 심사소위원회, 변호사관계법 심사소위원회의 3개 소위원회에 작업을 분장시켰다. 대법원은 국회에서의 의제를 참작하며, 상고심사부의 도입, 법조일원화, 1․2심 법원 이원화, 판결문의 공개 등의 안을 먼저 내놓았다. 국회는 대법원의 안에 대하여 원론적인 부분에서의 찬성을 표시하고 있으나, 다만 상고심사부의 도입보다는 프랑스와 독일의 대법원 조직운영을 참고하여 대법관의 증원을 꾀하고 있다. 사법개혁에 관한 안은 어느 쪽에서 추진한 것이건, 국회에서 입법화되어야 그 성과를 낼 수 있다. 법원관계 개혁안은 여하튼 어떤 형식으로든 조만간 결론을 낼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공직자비리수사처의 신설안, 검경수사권의 조정안등처럼 첨예한 정치적 이해관계가 대립되는 검찰관계 개혁안은 앞으로도 난항을 거듭할 것으로 본다. 전관예우의 금지 등을 시도하는 변호사관계 개혁안은 큰 정치적 이슈가 없는 이상 국회에서 원만한 합의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런데 과거 대법원이 주도적으로 관여해온 사법개혁은 사실은 개혁의 대상이 되어야 할 곳에서 개혁의 주체가 되었다는 점에서 우선 비판의 여지가 있었다. 그러나 국민의 대표로서 사법개혁을 추진할 가장 적합한 기관인 국회가 이번에 나서 사법개혁을 추진하였으나, 그 성과가 제대로 나지 않고 과거 대법원이 추진한 것만큼도 못하다면 이는 아주 불행한 선례로 기억될 것이다. We could say the Korean judicial system is not inferior to those of other nations. In some meanings, especially in the part of effectiveness or compatibility, the Korean judicial system has many prominent merits. For example, 'The Report of Doing Business 2009' surveyed by IBRD said Korea ranked 5th among 183 nations in the section of 'Enforcing Contract', which was directly connected to the effectiveness of judicial system. It's a amazing accomplishment of a country to have an experience of some 60 years of administrating modern judicial system. But this gorgeous appearance does not last long if we begin to look into the details of Korean judicial system. At first, the judicial-distrust by people has come to the critical point. The word of 'Once Official-to-be-Merited', which means that if a lawyer once worked for courts or prosecutions, he will be benefited from courts and prosecutions working his job, is symbolizing the dangerous distrust situation. Many persons have thrown doubts on judicial procedures, particularly on the aspect of fairness, which is the true nature of judicial system. In Korea the work of democratization had been energetically pursued after President Kim, Yeongsam inaugurated in 1993 till President Noh, Muhyeon quitted in 2008, during which judicial reforms had been done as an essential agenda for democratization. However, the current conservative government led by President Lee, Myeongbak have represented no interest in judicial reform. but we can't say that there has been no needs for judicial reform these days. In the contrary, the Korean unicameral Parliament begun to speak of judicial reform. It initiated firstly, the special committee for judicial reform, which comprised 3 sub-committees, namely, sub-committee for reviewing laws related to the courts, sub-committee for reviewing laws related to the prosecutions, sub-committee for reviewing laws related to lawyers. The Korean Supreme Court proposed the outlines of judicial reform propositions limited to the courts in accordance with the special committee in Parliament, which included ① The panels in appellate courts reviewing appeals to Supreme Court, ② The system of nominating judges in the pool of experienced lawyers and prosecutors, ③ The dual system between the first trial courts and the appellate courts, ④ The publication of judicial decisions and so on. The special committee for judicial reform in Parliament has suggested some proposals for judicial reform regarding to courts, which are in line with Supreme Court's suggestions, that overall not contradicts against Supreme Court's suggestions but in one point, that is, the proposal of the panels in appellate courts reviewing appeals to Supreme Court, the committee strongly disagree, instead of that the committee proposed the increase of Justices, by which it claims the Supreme Court can manage the disposal of the increased number of cases. But anyway, we could say a cautious prospect of an agreement on some important points of judicial reform with regard to courts relating laws and lawyers relating laws, the latter of which has no serious political points. Nevertheless, we have a gloomy prospect for the prosecution reform, which involves politically critical interests crush, for example in initiation of the agency for investigation against high ranking officials independent from the prosecution and the adjustment for the decision of main body of investigation between the prosecution and the police. So we might say that the first attempt of the Parliament in the history of the judicial reform in Korea might not be the full grade of suc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