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SDPA-to-WiFi Access Point 구현 -HSDPA CPE

        박천관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0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0 No.5

        본 논문은 HSDPA 무선망에 접속하여 WiFi 단말에게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HSDPA-CPE 시스템 구현에 관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상향 인터페이스로 HSDPA를 지원하며 하향 인터페이스로 WiFi 및 100Mbps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시스템은 지하철, 자동차, 선박 등에서 다수의 인터넷서비스 가입자에게 WiFi 단말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HSDPA에 가입한 Wi-Fi 단말들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o implement HSDPA-CPE that can provides WiFi terminal with wireless Internet service through the connection to HSDPA wireless network. This system aims to support HSDPA interface in upstream, and WiFi and 100Mbps Ethernet interface in downstream. So, this system can provide multiple Internet customers with wireless Internet service by using WiFi terminal in subway, car, ship, and so on, and WiFi terminals that be registered in HSDPA service can be connected to Internet.

      • KCI등재후보

        확산과 전이 모형을 적용한 WiBro와 HSDPA 서비스 수요 예측

        장인갑 ( In Kap Chang ),홍정완 ( Jung Wan Hong ),홍정식 ( Jung Sik Hong ),박광만 ( Gwang Man Park ),이광희 ( Gwang Hee Lee ),이창훈 ( Chang Hoon Lie )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08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7 No.1

        WiBro와 HSDPA는 초고속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동통신 시장에서 매우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서비스 초기에는 HSDPA와 WiBro의 서비스 기술 한계로 인하여 보완 관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관련 기술의 발전에 따라 잠재적으로 경쟁관계로 변화할 것이다. 따라서 기술 발전에 따라 WiBro와 HSDPA 서비스의 상호관계 변화를 고려한 수요 예측 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 진보에 따른 이동통신 서비스들 간의 상호관계 변화를 고려하여 이동통신 시장에서 WiBro와 HSDPA의 보완 및 경쟁 관계, 그리고 시장 잠식 효과를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수요 예측 모형을 제안한다. 수요 예측 모형은 확산 모형과 전이 모형을 혼합하여 제안하였으며, 일반인과 전문가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모형에 필요한 모수들을 추정하고 제안한 모형을 적용하여 WiBro와 HSDPA의 수요를 예측하였다. WiBro and HSDPA aim to provide wireless broadband internet service stably and it is well known that they provide similar services in telecommunication markets. WiBro and HSDPA are expected to be complementary due to the limit of technology in the early stage of service, but the relationship of them becomes competitive as the related technology develop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demand forecasting model considering the change of mutual relationship between WiBro and HSDPA is necessary.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demand forecasting model which reflects complementary and competitive relationship between WiBro and HSDPA in telecommunication markets according to the advance of the related technology. The proposed model consists of diffusion and transition model and the demand forecasting of WiBro and HSDPA is predicted by using the parameters estimated from the survey results.

      • KCI등재

        HAPS 기반의 HSDPA 시스템 성능 분석

        김남겸(Namkyeom Kim),손인수(Insoo Sohn),이진구(Jingu Lee) 대한전자공학회 2008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5 No.6

        현대에는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접할 수 있는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고 이것을 반영하듯이 많은 시스템들이 개발되었다. 특히 HSDPA (High Speed DATA Packet Access)의 경우 최대 14.4Mbps의 데이터 수율을 가져 3세대 이동통신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HSDPA의 경우도 지상망 시스템인 관계로 LOS (Line of Sight)가 보장되지 못해 이것은 다중 페이딩에 의한 데이터 수율의 악화로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는 HAPS(High Altitude Platform Station)를 사용하게 되면 해결이 된다. HAPS는 비행선을 이용한 시스템으로 LOS의 보장뿐만 아니라 기존의 지상망 이동통신에 접목해 좀 더 높은 성능을 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HAPS 시스템을 HSDPA 시스템과 결합한 시스템 모델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성능을 분석하고 가능성을 살펴본다. Today, there are many high speed data access systems that provide the truly “anytime and anywhere” services. Especially, HSDPA (High Speed Data Packet Access), one of the main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provides 14.4Mbps maximum data throughput. However, HSDPA will fail to provide high data throughput in hostile multipath fading environments due to lack of LOS (Line of Sight). HAPS (High Altitude Platform Station) is one of the solutions to this problem. HAPS system not only provides LOS, but it can also provide high data rate services to the conventional terrestrial systems. This paper proposes HAPS-HSDPA system model and compares performance of HSDPA and HAPS-HSDPA.

      • KCI등재

        이동통신 서비스 브랜드 자산의 결정요인과 HSDPA 사업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홍승혜,김문구,Hong, Seung-Hye,Kim, Moon-Koo 한국통신학회 2007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2 No.8b

        성숙기에 접어든 이동통신 시장은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해지는 반면에, 서비스 차별화가 어려워지고 있으며 번호이동성의 도입으로 인해 전환장벽이 완화되면서 사업자간 고객유지 및 확보를 위한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HSDPA라는 신규 서비스의 도입으로 세대간 고객전환을 위한 치열한 마케팅 활동이 펼쳐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지속적 경쟁우위를 가져올 원천으로 브랜드 자산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그런데 선행연구에서는 이동통신 브랜드 자산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특히 CDMA 시장에서 형성된 고객자산이 HSDPA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이미지, 고객혜택, 가격, 품질, 마케팅 활동을 중심으로 이동통신 서비스의 브랜드 자산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신규 서비스인 HSDPA 서비스 가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동통신 사업자의 브랜드 관리의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Consumer needs becomes various in a mature mobile telecommunication market, while service differentiation is hard to achieve. Because of the introduction of number portability, switching barrier becomes lower and the competition among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is getting fierce in order to maintain and obtain customers. Moreover, HSDPA, which is a new telecommunication service, caused the intense marketing activity for the move to the next generation customers. Under these circumstances, brand equity can be a key to a long-term competitive edge for mobile phone service providers. However, there were few researches reporting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brand equity, and none of them analyzed if customer equity which particularly is developed at the CDMA market has an effect on HSDPA service.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determinants of mobile telecommunication brand equity, which is focused on brand image, customer benefit, price, service quality, and marketing activity, and its influence on the HSDPA service subscription behavior. Finally, we suggested the strategic implication of br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mobile phone service providers.

      • WiBro 와 HSDPA 망간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Hybrid Mobile IP 프로토콜

        김성진,최우진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8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1

        현재 WLAN, WiBro, HSDPA 등의 다양한 형태의 망 환경들이 존재함에 따라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망간 연동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높은 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수많은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우선적으로 단말이 이종망간에 이동을 하더라도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여 주는 이동성 제공 기술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이미 상용 서비스를 제공 중인 이종 망간(i.e., WiBro 와 HSDPA)에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는 데 있어서는 접속 망 자체의 기본적인 기술적 특성 (i.e., 전송 속도, Coverage, QoS)이외에도 이미 망을 Deployment하여 서비스를 제공 중인 사업자의 현실적인 문제 (i.e., 접속 망 기능 변경의 어려움 및 비용) 등 다양한 변수들도 존재하며 이러한 망의 다양성을 충족시키면서 망간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독자적인 이동성 기술로는 한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미 망이 Deployment되어 상용 서비스 중인 Wi-Bro와 HSDPA망간에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발생할 수 있는 현실적인 문제점들을 제시하고 이를 고려한 효율적인 이동성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Client Mobile IPv4 (CMIPv4)와 Proxy Mobile IPv4 (PMIPv4)의 기술적인 장점을 취하고, 이미 Deployment되어 서비스를 제공 중인 망의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CMIPv4와 PMIPv4기술을 동시에 혼재하여 적용가능 한 Hybrid Mobile IP의 이동성 기술 방안을 제안하였다. Recently, various types of wireless access networks, such as WLAN, WiBro and HSDPA, etc, have been successfully deployed by commercial service providers (i.e., KT, KTF). In this situation, there are many efforts to provide high quality of services to guarantee seamless mobility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The IP layer mobility protocols are efficient mechanisms to provide seamless mobility between IP based heterogeneous networks as well as homogeneous networks. However, to apply IP mobility protocols in real heterogeneous networks (i.e., WiBro and HSDPA), we must consider not only the basic features of techniques of wireless access networks (i.e., Data rate, Coverage, Quality of Service) but also the problem of real environment of service provider (i.e., Expanse cost to change the access network). Due to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satisfy required conditions by using only one IP mobility protocol in real heterogeneous network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mobility protocol to solve the complex problems that are occurred in real heterogeneous networks. The proposed protocol, so-called, “Hybrid Mobile IP” tries to provide a synergy effect by integrating Client Mobile IPv4 (CMIPv4) and Proxy Mobile IPv4 (PMIPv4), and using the two mobility protocols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real heterogeneous networks.

      • KCI등재

        SDR 기반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위한 듀얼 모드 채널 카드 구현

        김종은,최승원 한국통신학회 2008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3 No.12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of a dual-mode Software Define Radio (SDR) smart antenna base station system. SDR technology enables a communication system to be reconfigured through software downloads to the flexible hardware platform that is implemented using programmable devices such a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microprocessors. The presented base station channel card comprises the physical layer (PHY) including the baseband modem as well as the beamforming module. This channel card is designed to support TDD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s well as Wireless Broadband Portable Internet (WiBro) utilizing the SDR technology. We first describe the operations and functions required in WiBro and TDD HSDPA. Then, we explain the channel card design procedure and hardware implementation. Finally, we evaluate WiBro and TDD HSDPA performance by simulation and actual channel-card-based processing. Our smart antenna base-station dual-mode channel card shows flexibility and tremendous performance gains in terms of communication capacity and cell coverage. 본 논문에서는 TMS320C6416T DSP를 기반으로 하여 SDR용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의 듀얼 모드 채널 카드를 구현하였다. SDR(Software Define Radio) 기술은 공통된 하드웨어 플랫폼에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로 재구성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채널 카드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차세대 이동통신 방식인 WiBro와 HSDPA 통신 모드를 지원하며, 스마트 안테나 기술이 적용된 듀얼 모드 기지국 시스템의 핵심인 모뎀 카드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WiBro 시스템과 HSDPA 시스템으로 구현된 채널 카드의 구조를 설명하고, 구현된 채널 카드의 성능 검증을 위해 상용 통신 규격인 WiBro와 HSDPA시스템에서의 성능을 알아본다.

      • KCI등재

        HSDPA와 WiBro를 통한 인터넷 성능 실측 연구

        문현선(Hyunsun Moon),이경수(Kyungsoo Lee),민주홍(Juhong Min),조치호(Chiho Cho),서현덕(Hyundoc Seo),김효곤(Hyogon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08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6 No.6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first measurement study of the Internet access performance of real-life WiMax and HSDPA as the next generation Internet access method, both of which began to be commercially offered to public in Korea. We run three different types of traffic to shed light on various aspects of the two technologies. Since our study is based on the performance as observed at one particular locale, direct and fair comparison between these two competing technologies is not possible. In spite of the limitation, however, we could obtain a few interesting observations. First, the access delay from the wireless station to the first-hop router is high and accounts for the large part of the end-to-end delay for both HSDPA and WiMax. Second, the performance is highly variable, both in terms of delay and throughput. Third, HSDPA and WiMax are observed to suffer relatively frequent and elongated packet loss bursts and packet reorderings, respectively. Fourth, the asymmetry between the upload and download throughput performance of HSDPA could pose a problem for symmetric applications such as P2P. We expect the problem to go away with the advent of HSUPA. The asymmetry problem does not seem to exist for WiMax. In summary, the current HSDPA and WiMax commercial offerings seem to have room for improvement, still being in the initial deployment phase.

      • KCI등재

        Link budget을 이용한 HSDPA 시스템의 sector throughput 분식

        이요섭,김상범,홍대형,장병렬,문순주,Yi Yo-Serb,Kim Sang-Bum,Hong Dae-Hyung,Jang Byung-Lyerl,Moon Soon-Joo 한국통신학회 2006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1 No.5a

        본 논문에서는 High Speed Data Packet Access(HSDPA) 시스템의 평균 sector throughput 분석 방법을 개발하였다. 제안하는 성능 분석 방법은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AMC)와 scheduling 기법, multi-code 전송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으며, link budget을 응용한 간단한 계산 과정들을 통해, HSDPA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ink budget은 셀 coverage를 산출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나, 본 논문에서는 AMC가 적용되는 CDMA 시스템 환경에서 특정 위치에 있는 사용자의 C/I를 계산할 수 있도록 변형하였다. 또한, 개발된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scheduling 기법과 multi-code 전송이 HSDPA 시스템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In this paper, we develop a method that derive the average sector throughput of HSDPA system. This proposed method reflects the effects of AMC, scheduling and multi-code transmission, and is performed by simple calculation procedures such as link budget analysis. Link budget table is used to estimate a cell coverage in general. We modify the link budget table in order to calculate C/I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in CDMA packet system employing AMC. Furthermore, we utilize the proposed method to analyze the effects of scheduling and multi-code transmission.

      • KCI등재

        HSDPA 시스템에서 Frame-Bundling을 채용한 VoIP 서비스 용량 평가

        황종윤,김용석,황금찬,Hwang, Jong-Yoon,Kim, Yong-Seok,Whang, Keum-Chan 한국통신학회 2007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2 No.3b

        본 논문에서는 고속 하향 패킷 접속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시스템에서 상대적으로 큰 IP / UDP / RTP 계층의 오버헤더 (over-header) 효과를 줄일 수 있는 frame-bundling (FB) 기술을 채용한 IP기반 음성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서비스의 용량을 평가한다. 또한, Vo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수정된 비례 평등 (proportional fair: PF) scheduler를 소개한다. 본 연구의 주요한 관점은 FB가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허용 지연 기반의 시스템 outage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는 것이다. 시스템 레벨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로 부터 FB를 채용한 VoIP 서비스의 성능이 시스템의 허용 지연에 매우 민감함을 보인다. 또한, WCDMA (release'99)에 의해 사용되는 회선 교환 (circuit switching: CS) 방식의 음성서비스와 비교할 때 HSDPA에서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효율적임을 보인다.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capacity of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services over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in which frame-bundling (FB) is incorporated to reduce the effect of relatively large headers in the IP/UDP/RTP layers. Also, a modified proportional pair (PF) packet scheduler design supporting for VoIP service is provided. The main focus of this work is the effect of FB on system outage based on delay budget in radio access network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VoIP system performance with FB scheme is highly sensitive to delay budget. We also conclude that HSDPA is attractive for transmission of VoIP if compared to the circuit switched (CS) voice that is used in WCDMA (Release'99).

      • HSDPA를 이용한 무인항공기 Peer-to-Peer 통신 성능 실측 연구

        김호균,송준범,송우진,김정,강범수 한국항공우주학회 2011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1 No.11

        본 논문은 HSDPA 이동통신 모뎀을 이용하여 무인항공기 Peer-to-Peer 통신시스템 개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시스템은 상용 HSDPA 모뎀이 무인항공기의 탑재통신장치로 장착되고 지상에 서버와 다수의 모니터링 장치로 구성 된다. 이것은 무인항공기의 기본적인 비행정보를 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모니터링 장치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현상들을 관찰 하고자 다양한 실험을 통해 데이터를 확보 하였다. 실험 결과 탑재통신장치와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지연시간이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이로 인해 모니터링 장치의 자세계 반응속도가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지연시간이 확인되었다. 또한 탑재통신장치와 서버간의 연결 끊김 때문에 데이터의 체증이 발생 하였지만, 무인항공기의 비행정보를 단순히 모니터링 하는 경우에서는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of Peer-to-Peer communication UAV(Unmanned Aerial Vehicle) by using HSDPA mobile network. The outline system is as follows: the ADT(Air Data Terminal) of UAV is fitted with HSDPA modem and GDT(Ground Data Terminal) is configured several monitoring devices with the server on the ground. ADT transmit data of flight information to the multiple monitoring device through the server in real time. We obtained data through various experiments by observing phenomena what could happen in this system.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attitude of vehicle and artificial horizon graphics of monitoring device is little difference. This is because of the end-to-end delay. It is observed that there is frequently data congestion by packet loss burst between the ADT and the ser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