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관에 의한 사법행정의 식민지화 : 사법행정의 거버넌스 모델과 관련하여

        김도현 법과사회이론학회 2018 법과 사회 Vol.0 No.59

        Governance of judicial administration can be classified as court model, executive model, and independent organization model, the last one being also known as partnership model. Judicial administration in pre-modern ancien regime was managed on the basis of court model, which the people’s revolution eventually overthrew and was followed by executive model in modern state. After the experience of dictatorship, however, many European countries now cognizant of danger of infringement by the executive on judicial independence have substituted independent organization model with executive model. This trend toward the third way of judicial administration is now rapidly expanding beyond Europe to all over the world. Judicial administration in Korea under Japanese colonialism was governed by the executive like other Western countries at that time. After the Independence, Korea adopted court model of judicial administration as a reaction to the colonialism and as a result of judges’ desire to seek power. During the military dictatorship in the 1960s and 1970s, moreover, Korean judicial administration gradually became to be exercised on an excessive and distorted court model, the peculiarity being one-man rule of Chief Justice and concurrent office held by judges of both adjudication post and administration post. This trend of judges’ colonization of judicial administration has strengthened even after the democratization of Korean society, producing increased danger of court-internal infringement on judicial independence. Koreans are now faced with the task of rebuilding judicial administration independent from the court as well as from the executive. Admittedly, Korean Constitution does not seem to prevent them from depriving judges of judicial administration power and recasting it on the basis of independent organization model, or partnership model. Above all, judicial administration in its nature is the administrative rather than the adjudicative. 사법행정의 거버넌스 모델은 이념형적으로 법원형, 행정부형, 독립기구형(협치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근대 구체제 시대 유럽의 사법행정은 법원형에 가까운 것이었지만, 근대국가가 성립하면서 행정부형으로 전환되어 오랫동안 유지되었다. 그러나 독재체제를 겪으면서 행정부형의 사법독립 침해 위험성을 인식한 유럽 나라들은 사법행정권을 행정부에서 몰수하여 제3의 독립기구에게 맡기기 시작했고 이러한 경향은 최근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일제강점기 한국의 사법행정은 행정부형이었으나, 해방 후 식민체제에 대한 반동과 법관들의 권력욕이 결합하여 법원형으로 전환되었다. 더욱이 군부독재체제를 거치면서 대법원장 일인지배체제와 법관들의 행정직 겸직을 특징으로 하는 과잉의 기형적인 법원형으로 변질되었다. 이러한 법관에 의한 사법행정의 식민지화는 정치적 민주화 이후에도 계속 강화되어 결과적으로 법원 내부적인 사법독립 침해의 위험성을 증가시켰다. 이제 한국은 서구와는 달리 행정부가 아니라 법원으로부터 사법행정을 독립시켜야 한다는 요청에 직면하고 있다. 현행헌법은 사법행정에 관하여 침묵하고 있으므로 굳이 개헌을 통하지 않더라도 현재 법원행정처가 수행하고 있는 사법행정을 법원에서 떼어내 독립기구에게 맡길 수 있으며, 그러더라도 위헌이라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무엇보다 사법행정은 본질적으로 사법작용이 아니라 행정작용인 것이다.

      • KCI등재

        공정거래 행정사건의 심급 전환에 관한 입법적 고찰

        김봉철 한국입법학회 2023 입법학연구 Vol.20 No.1

        The Fair Trade Commission, as a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oversees the implementation of the Fair Trade Act and major matters stipulated in the Fair Trade Act, the basic law of competition policy. The Fair Trade Commission takes corrective measures, imposition of fines, and warnings as administrative measures for violations of the Fair Trade Act. According to Article 100 of the Fair Trade Act, in case of filing a lawsuit against the disposition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it must be filed with the Seoul High Court, and in case of dissatisfaction, it must be appealed to the Supreme Court. Therefore, the current instance court system of administrative cases concerning fair trade is the three instance court system. Regarding the two instance court system for administrative cases concerning fair trade, some legal and academic circles point out various problems and argue that the system should be changed to the three instance court system like general administrative cases, and amendments to the Fair Trade Act have been submitted several time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views that recognize the need to maintain the two instance court system for administrative cases concerning fair trade. The rationale for maintaining the two instance court system of administrative cases concerning fair trade includes the need for high level of expertise in determining violations of the Fair Trade Act and the harm caused by prolonged litigation, and the rationale for switching to the three instance court system includes the expansion of the people's right to appeal to trial and the protection of the people's rights and interests. the issue of independence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the issue of non-guarantee of due process and the right to assist an attorney in the case handling procedure, the issue of fairness due to the non-separation of the authority to review and adjudication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and the issue of equity with dispositions of other administrative agencies. The problem of the instance system of administrative cases concerning fair trade is, after all, a matter of legislative policy based on mutual balancing of various strengths and weaknesses through the maintenance of the two instance court system and the conversion to the three instance court system. Nevertheless, study on the instance system and conversion of instance system of the administrative cases concerning fair trade is concerned with the expansion of the people's right to appeal for trial, the strengthening of the protection of the people's rights and interests, the prompt dispute resolution to prevent harm caused by prolonged legal proceedings. It is also related to the legal status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respect for the Fair Trade Commission's highly professional judgment, and issues of fairness with dispositions from other administrative agencies. Therefore, it will be said that there is a need to study the problem of the conversion of the instance system in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way from various perspectives. For this study, first of all, the legal status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the significance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the role of the court were examined in the preliminary discussion related to the conversion of the class structure(II). And in the main argument of the two instance court system for administrative cases concerning fair trade, the need for a high level of expertise in determining violations of the Fair Trade Act and the harm caused by prolonged litigation as the main arguments for maintaining the two instance court system were reviewed(Ⅲ). And in the main arguments and preconditions for the conversion to the three instance court system in administrative cases concerning fair trade, the main arguments for the conversion to the three instance court system include the expansion of the people's right to appeal for trial and the protection of the people's rights and interests, the independe... 공정거래위원회는 중앙행정기관으로서 경쟁정책의 기본법인 공정거래법에 규정된 주요 사항과 공정거래법의 집행을 총괄하며, 공정거래법 위반사항에 대한 행정처분으로서 시정조치, 과징금 부과, 경고 조치 등을 하고 있다. 공정거래법 제100조에 의하면 공정거래위원회의 처분에 대하여 소송을 제기하는 경우, 서울고등법원에 이를 제기하여야 하고 이에 대하여 불복할 경우 대법원에 상고하여야 한다. 따라서 현행 공정거래 행정사건의 심급은 2심제이다. 공정거래 행정사건의 2심제와 관련하여 일부 법조계와 학계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일반적인 행정사건과 같이 3심제로 전환하여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고, 이와 관련한 법률개정안도 수차례 제출되었다. 물론 공정거래 행정사건의 2심제 유지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견해들도 있다. 공정거래 행정사건의 2심제 유지를 위한 논거에는 공정거래법 위반 판단에서의 공정거래위원회의 전문성 존중, 소송의 장기화로 인한 폐해 등이 있고, 3심제 전환을 위한 논거에는 국민 재판청구권의 확대 및 국민의 권익 보호, 공정거래위원회의 독립성 문제, 사건처리절차에서의 적법절차 및 변호인 조력권의 미보장 문제, 공정거래위원회의 심사권과 심결권의 미분리로 인한 공정성 문제, 다른 행정청의 처분과의 형평성 문제 등이 있다. 공정거래 행정사건의 심급 확정에 관한 문제는 결국 2심제 유지와 3심제 전환 간의 여러 장단점 간의 상호형량을 바탕으로 하는 입법정책의 문제로 귀결된다고 할 것이다. 그럼에도 공정거래 행정사건의 심급 전환에 관한 연구는 국민의 재판청구권의 확대 및 국민의 권익 보호의 강화, 법적 소송의 장기화로 인한 폐해 방지를 위한 신속한 분쟁해결, 독립규제위원회이자 준사법기관으로서의 공정거래위원회의 법적 지위, 공정거래위원회의 전문적 판단 존중, 다른 행정청 처분과의 형평성 문제 등과도 관련된 사항이기 때문에 심급 전환에 관한 문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무엇보다도 우선 심급 전환과 관련한 사전적 논의(Ⅱ)에서 공정거래위원회의 법적 성격, 공정거래 행정소송의 의의와 법원의 역할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공정거래 행정사건 2심제 유지에 관한 주요 논거(Ⅲ)에서는 2심제 유지를 위한 주요 논거로서 공정거래법 위반 판단에서의 공정거래위원회의 전문성 존중, 소송의 장기화로 인한 폐해 방지 외에도 기타 논거들을 알아보았다. 이후 공정거래 행정사건 3심제 전환을 위한 주요 논거와 전제조건(Ⅳ)에서는 3심제 전환을 위한 주요 논거로서 국민 재판청구권의 확대 및 국민의 권익 보호, 공정거래위원회의 독립성 문제, 사건처리절차에서의 적법절차 및 변호인 조력권의 미보장 문제, 공정거래위원회의 심사권과 심결권의 미분리로 인한 공정성 문제, 다른 행정청의 처분과의 형평성 문제 등에 관하여 면밀히 검토하였다. 또한 이와 함께 3심제 전환을 위한 여러 전제조건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국의 파산절차상 관리인제도 소개

        황정수 법무부 2011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53

        In 2006, China enacted the new Enterprise Bankruptcy Law based on its past experience of handling bankruptcy cases for state-owned enterprises as well as the results of studying the laws of different countries. One of the significant aspects of the new Enterprise Bankruptcy Law was the introduction of a bankruptcy administrator policy upon which an expert in the bankruptcy field was authorized to perform bankruptcy affairs as an administrator and be supervised by the Court. The Peoples' Supreme Court was in charge of the appointment of bankruptcy administrator who was select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person to handle the bankruptcy affairs out of several candidates including the intermediary organization such as law firms, accounting firms and bankruptcy litigation offices as well as individual attorneys or CPAs who were members of such intermediary organization. After selecting the administrator, the Court prepared the roster of bankruptcy administrators and organized the Evaluation Committee of the Court to guarantee fairness in the selection process. Once a detailed selection guideline was set up, the Evaluation Committee of the Court performed assessment on the candidates in accordance with the given selection criteria and picked the ones who were then included in the roster. As soon as the bankruptcy petition is filed at the Peoples' Supreme Court, the Court appoints an administrator from the roster of the existing administrators including the intermediary organization or individual attorneys and CPAs. The Court uses three alternatives such as random, competition and recommendation methods in the selection process and chooses one out of the three opt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specific bankruptcy case. It is an obligation of a bankruptcy administrator to perform his/her duties prescribed under the new Enterprise Bankruptcy Law independently with diligence and faithfulness. The new law authorizes the Peoples' Supreme Court to issue an opinion on the details of the nomination, exemption, compensation and permission of the administrator whereas the Creditors' Meeting and the Creditors' Committee to supervise the activities of the administrator through the application for administrator exemption, the deliberation on administrator compensation and the requestion for further explanation or documents, and grant obligations on the administrator to report or give presentation before the Peoples' Supreme Court, the Creditors' Meeting and the Creditors' Committee in an effort to exercise its rights of supervision. The administrator compensation is determined at the time the bankruptcy case is settled by the Peoples' Supreme Court and can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real work situation. The payment of the administrator is determined by the certain ratio to the size of the bankruptcy asset used to pay back the debts. The application for a specific compensation payment filed by the administrator is approved afterwards by the Peoples' Supreme Court. The administrator's compensation decided by the Peoples' Supreme Court can be subject to review and objection by creditors through the Creditors' Meeting. The new bankruptcy administrator policy signals that the Chinese government no longer plays a leading role in a bankruptcy case and such role is handed over to the Peoples' Supreme Cour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fate of the new Chinese bankruptcy administrator policy is left in the hands of the capability of the Peoples' Supreme Court. The new Chinese bankruptcy administrator policy suggests that an ideal model for a government policy is determined not by its own but by the nation's society and culture. 중국은 과거 국유기업 파산사건 처리경험과 각국의 입법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2006년에 기업파산법을 제정하였는데, 기업파산법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파산업무를 전문가인 관리인으로 하여금 수행하게 하고, 법원이 관리인을 실질적으로 감독하는 관리인제도를 도입한 것이다. 인민법원은 법률사무소, 회계사무소, 파산청산사무소 등 사회중개기구와 위 사회중개기구 구성원인 개인의 신청을 받아서 파산업무 수행에 적합한 자를 선정한 후 관리인명부를 작성하는데, 공정성 보장을 위하여 평가선정위원회를 구성하고 구체적인 선정기준을 정하면 평가선정위원회가 위 선정기준에 따라 신청자들을 평가하여 관리인명부에 편입할 자를 정한다. 인민법원은 파산사건 수리결정과 동시에 위 관리인명부에 편입된 사회중개기구 또는 개인 중에서 관리인을 선임한다. 관리인 선임방식은 무작위방식, 경쟁방식, 추천방식이 있고, 구체적인 파산사건의 종류에 따라 위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한다. 관리인은 기업파산법에 규정된 직무를 독립적으로 수행하고, 직무수행에 관하여 근면의무 및 충실의무를 부담한다. 인민법원은 관리인 선임 및 해임권, 관리인보수 결정권, 허가권 등으로, 채권자회의와 채권자위원회는 관리인 해임신청권, 관리인보수 심사권, 설명 또는 자료제출 요구권 등으로 관리인의 직무를 감독하고, 위 감독권 행사를 보장하기 위하여 관리인에게 인민법원, 채권자회의, 채권자위원회에 대한 보고의무, 설명의무 등을 부과하고 있다. 관리인의 보수방안은 인민법원이 파산사건을 수리할 때 확정하고 이후 직무수행의 실제 상황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관리인보수방안은 채무변제에 제공된 파산재산의 가액을 기준으로 그 가액의 일정한 비율을 보수로 하는 방식으로 정하여지고, 이에 따라 구체적으로 지급하는 금액은 후에 관리인의 신청에 따라 인민법원이 이를 정한다. 채권자회의는 인민 법원이 정한 관리인보수방안에 대하여 이의를 제기할 권리를 가진다. 관리인제도 도입은 중국의 파산절차 진행이 과거의 행정부 주도에서 법원 주도로 변경 되는 것을 의미하고, 향후 중국 관리인제도의 성패는 중국 인민법원의 역량에 달려 있다.

      • KCI우수등재

        사법행정제도 개혁의 성과와 과제

        공두현 법조협회 2023 法曹 Vol.72 No.6

        우리나라의 사법행정제도는 대법원장과 법원행정처를 중심으로 하는 수직적, 중앙집중적, 폐쇄적 구조를 가지고 있었고, 이러한 구조의 문제점은 2017년을 기점으로 극명하게 드러났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재판의 독립을 위협할 수 있는 제도적 요소들을 변화시키기 위한 움직임이 진행되었고, 법원에서는 전국법관대표회의, 국민과 함께하는 사법발전위원회를 중심으로 사법행정제도의 개혁이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의사결정, 집행, 연구 기능이 결합된 법원행정처를 의사결정 중심의 수평적 회의체, 집행 중심의 법원사무처, 연구 중심의 사법정책연구원 및 사법연수원으로 기능적, 조직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하나의 대안이 되었고, 사법행정절차를 투명하게 진행하는 것, 사법행정에 법원 외부의 인사가 참여하여 견제와 균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 등이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었다. 또한 각급 법원에서도 수직적인 사법행정을 개혁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기본적인 방향을 수평화, 분권화, 개방화라고 말할 수 있는데, 법원의 자체 개혁을 통해 여러 구상들이 실제로 제도화되기도 하였으나, 대법원의 내부 규칙 등에 의존한 것으로서 아직 제도가 완비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 입법을 통한 제도화도 사실상 중단된 상태이다. 이에 사법의 독립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중립적이고 공정한 재판을 보장할 수 있는 사법행정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남겨진 과제들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 한다. The judicial administration system of Korea was based on a vertical, centralized, and closed structure centering around the Chief Justice and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and such structural problems were starkly brought to light in 2017. Since then, the movement towards reform of the judicial administration system jeopardizing the independence of judges and trials has been made while the measures to reform the judicial administration, on the basis of the National Conference of Judiciary Representatives and the Committee on Judicial System Development involving citizens, have been under active discussion in the court. A functional, structural division of the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serving multiple functions of decision-making, execution, and research into a horizontal meeting group mainly responsible for decision-making, the Administrative Office of the Courts for execution, and the Judicial Policy Research Institute and Training Institute for Court Officials for research has been agreed as an effective alternative. In addition, achieving greater transparency for judicial administration procedures and strengthening checks and balances by appointing outsiders for judicial administration have been pointed out as major tasks. The courts of each level have also endeavored to reform the judicial administration system through measures such as the Judge Conference. Such internal reform efforts, made in the fundamental direction of horizontality, decentralization, and openness, have come into fruition as a number of the reform proposals have been institutionalized. However, the institutionalization has its limitations due to its dependency on the internal rules set out by the Supreme Court. The reform of the judicial administration system, therefore, should be brought to completion in tandem with legislation for the fulfillment of the core judicial values of independce, impartiality, and fairness.

      • KCI등재후보

        형사사건의 선결문제에서 수소법원(受訴法院)의 심사범위와 그 한계

        정남철(Nam-Chul Chung) 한국행정법학회 2023 행정법학 Vol.24 No.1

        형사사건의 선결문제에서 수소법원(형사법원)이 범죄구성요건과 관련된 행정처분의 위법이나 효력을 심사할 수 있는지는 여전히 어려운 문제다. 형사사건에서 수소법원은 선결문제가 된 행정처분의 위법을 제한적으로 심리·판단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형사법원은 선결문제가 된 행정처분의 위법이 객관적으로 명백하여 형사소추된 피고인 등을 처벌해서는 아니 될 경우에 그 행정처분의 위법을 인정할 수 있다. 관할 행정청이 법령에서 규정한 중대한 절차적 요건을 명백하게 위반하거나 그 행정처분의 위법에 대한 선례가 확고한 경우 등이 그러하다. 그러나 행정절차법의 위반 여부나 행정처분의 절차상 하자가 해석상 다투어질 때 관할 행정법원이 아닌 형사법원이 그 행정처분의 위법을 적극적으로 심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형사법원이 선결문제인 행정처분의 실체적 위법성을 심사할 때는 더욱더 신중할 필요가 있다. 재량하자론이나 형량하자론, 행정법의 일반원칙 등을 통해 행정처분의 실체적 위법성을 심사하는 것은 전문법원인 행정법원의 관할 사항이다. 수사절차의 단계에서 검사가 범죄구성요건인 행정처분의 실체적・절차적 위법성을 면밀히 심사할 수는 없다. 헌법재판소가 기소유예처분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에서 절차적 하자를 이유로 행정처분을 직접 취소하는 것은 전문법원의 관할권을 침해할 수 있다. 행정처분의 절차적 하자는 헌법소원의 심판대상이 아니며, 그 위법에 관한 판단은 행정법원의 권한에 속한다. 이는 헌법해석의 문제가 아니라 법률해석의 문제이다. In the preliminaries of criminal cases, it is still a difficult question whether the criminal court can examine the illegality or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ve dispositions related to the elements of the crime. In a criminal case,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court of a lawsuit can examine and judge the violation of the administrative disposition, which has become a matter for a prior decision, in a limited way. If the illegality of the administrative disposition, which became a matter of pre-determined, is objectively clear and it is not necessary to punish the accused, etc. the criminal court may recognize the illegality of the administrative disposition. This is the case when the competent administrative agency clearly violates an essential procedural requirement stipulated by the statute or when the precedent for the illegality of the administrative dispositions is firm. However, when the violation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or procedural error in administrative dispositions is disputed in interpretation, it is not desirable for the criminal court, not the administrative court, to actively review the illegality of the administrative disposition. In addition, the criminal court needs to be more careful when examining the substantive illegality of the administrative disposition, which is a preliminary question. It is the jurisdiction of the administrative court as a specialized court to examine the substantive illegality of an administrative disposition through the discretionary or balancing theory, the general principles of administrative law. In an investigation process, the prosecutor cannot closely examine the substantive and procedural illegality of the administrative disposition, which is a component of the crime.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directly should not cancel an administrative act on the ground of procedural illegality in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adjudication on suspension of the indictment. It may violate the jurisdiction of the specialized court. Procedural errors in administrative dispositions are not subject to adjudication in constitutional complaints, and judgments on their violations fall within the competence of the administrative court. This is not a question of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but statutory interpretation.

      • KCI등재

        행정소송에서 사실상 조정ㆍ화해의 법적 근거와 관련된 재논의

        김세규(Kim, Se Kyu) 한국토지공법학회 2014 土地公法硏究 Vol.64 No.-

        근년 민사법분야에서는 물론, 행정법분야에서도 “소송에 의한 판결 이외의 방법으로 분쟁을 해결하는 방식(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other than Court Adjudication)”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는 행정소송에 있어 법원 주도의 판결 이외의 분쟁해결제도에 해당하는 조정권고에 의한 소송상 화해에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행정기관에 설치된 대체적 분쟁해결제도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않기로 한다. 법원형 조정에 대해서는 현재 법원이 실무적으로 행하고 있는 ‘사실상 조정ㆍ화해’의 법적 근거에 대해서 논의가 있다. 현행 행정소송법은 조정에 관한 직접적인 명문의 근거를 두고 있지 않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소송의 진행과정에서 조정을 통해 분쟁이 해결되고 있다. 2012년 법무부 행정소송법개정시안 제35조에서 소송상 화해에 관한 근거규정을 두었으나, 2013년 3월 20일 입법예고된 행정소송법개정안에서는 법원의 권고결정에 의한 소송상 화해제도(직권에 의한 화해권고결정)가 전적으로 제외되었다. 따라서 행정소송의 경우에도 민사소송법상의 소송상 화해가 준용될 것인가가 다시금 논의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그와 같이 입법화가 되지 못한 상황하에 있다면, 다시 재정리의 시각에서 행정소송에서 민사소송법상의 화해의 허용가능성에 관한 국내 학설의 면밀한 파악과 그에 따른 화해결정의 법적 성질, 그리고 그 한계에 따른 구체적인 법문의 표현 등을 서술함으로써 실무관행으로 정착되고 있는 사실상 조정ㆍ화해의 명확한 법적 근거 마련을 행정소송법개정에 명문화할 것을 개진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민사소송법상 소송상 화해의 행정소송에서의 허용가능성 여부에 대한 학설의 면밀한 검토와 함께, 긍정설의 견해에 따라 특히 항고소송에서의 사실상 조정ㆍ화해의 법적 근거에 관련된 논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 이러한 사실상 조정ㆍ화해의 법적 성질과 한계하에서 행정소송법 개정시 명확한 근거 규정의 도입을 촉구하고자 한다. 법원의 권고결정에 기한 행정소송상 화해에 관한 규정이 도입됨으로써 명확한 법적 근거 하에서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행정소송법 개정에서 재차 화해권고결정제도를 입법화함으로써, 이러한 규정이 행정사안에 있어서 조정제도를 도입하는 근거로서도 원용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왜냐하면 조정은 행정소송에 있어서 분쟁당사자간에 화해를 할 수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그와 같은 맥락에서 다시 실무관행에 의한 사실상의 조정ㆍ화해의 명확한 법적 근거 마련을 위해서, 행정소송법상 화해권고결정의 신설 도입을 촉구하고 관련하는 바를 요약ㆍ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송상의 화해는 소송행위인 동시에 공법상의 계약으로서의 이중적 성격을 갖는다는 점을 수긍한다. 이는 또한 독일에서의 통설이기도 하다. 따라서 절차상의 이유로 화해계약이 효력이 없을 경우에도 화해계약의 실체적인 내용은 유효할 수 있다. 둘째, 사실관계나 법적 상태가 명확할 때 또는 기속행위인 경우에는 소송상 화해가 원칙적으로 제외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당사자가 소송물에 관하여 처분권을 갖고 있어야 하므로 관할권이 없는 행정청등을 당사자로 한 화해는 무효이다. 또한 화해의 내용이 강행법규에 위반되어서는 아니된다. 일본의 경우, 아직 행정사건소송법에 화해규정이 입법화되지 아니하였지만, 일본변호사연합회가 2003. 3. 13. 성안한 일본 「行政訴訟法案」 제52조(화해)에 따르면 “당사자는 행정결정에 대해서 청구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해결하기 위하여, 법령에 위반되지 아니하는 한, 소송상의 화해를 할 수 있다.”고 규정하기도 하였다. 넷째, 화해권고결정의 대상과 내용에 관한 것이다. 행정소송의 권리구제 및 행정의 적법성 통제기능을 감안하여, 화해권고결정의 대상은 행정청의 처분이 재량권을 일탈 남용하는 경우 및 예외적으로 치유가능한 절차하자의 경우에 한정하여야 할 것이고 그 권고안의 내용 역시 법적 한계를 벗어나서는 안 될 것이다는 견해제시에 공감하는 바이다. 또한 다양한 선택가능한 화해권고안을 제시하거나, 재량권 일탈 남용의 경우에 일탈 남용된 부분을 화해권고의 이유부분에서 적시하여 행정청으로 하여금 주체적인 화해안을 내어 원고측과 교섭함으로써 의사의 합치를 이룰 수 있도록 함이 보다 좋을 것이다. 끝으로 선행연구에 힘입은 바에 따라, 법원의 조정권고에 의한 소송상 화해의 행정소송법상 법적 근거 마련의 재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서술할 수 있다. 1) 먼저, 현행 행정소송법 제8조제2항을 구법에서 표현한 바와 같이 “이 법에서 특별한 규정이 없는 사항은 법원조직법과 민사소송법의 정하는 바에 따른다.”로. 2) 아울러 최근 2012년 법무부 개정시안 제35조에 신설된, 법원 In recent years, as remarkably seen, there has been more and more interest in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ußergerichtliche Streitbeilegung) in the administrative law as well as in the civil law. It is the means by which to settle the dispute without resorting to lawsuit. In this paper, I will focus only on the settlement in court by the recommendation for media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court-led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system without a lawsuit. Hence, I will not discuss the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system arranged in the administrative organs. In terms of the court-led mediation, there has already been a discussion on the legal grounds for ‘de facto Mediation and Settlement’, which has actually been put into practice in courts. The present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includes no clear written provision about mediation; nevertheless, in practical terms, mediation brings a dispute into resolution in the process of a lawsuit or the legal proceedings. Although there was a provision for settlement in court in Article 35 of the tentative draft for the revised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proposed by Ministry of Justice in 2012, the proposed draft of the revised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in the pre-announcement of legislation on 20th Mar 2013 excluded the system of settlement in court by the court decision of recommendation (the recommendation for settlement by virtue of the authority of court). Therefore, it is required to revisit the matter of whether the settlement in court in the code of civil procedure(the Civil Procedure Code; CPC) may be applied even in the case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the system has yet to be legalized as mentioned above, I will scrutinize the theories in Korea as to the acceptability in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of the settlement in court, stipulated in the Civil Proceedings Act, with a view to rearranging them. Also, I will describe the relevant legal characteristics of court decision for settlement and the specified terms according to their limitations, etc. By doing so, I insist that the clear legal grounds about de facto mediation and settlement, which have already been settled as the customary practice, should be written in the revised version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Henceforth, first of all, I will carefully review the theories on the acceptability of settlement in court, stipulated in the Civil Proceedings Act, in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In addition, I will examine the discussion as to the legal grounds for de facto mediation and settlement especially in appeal litigation, from the point of view in the theories that admit the acceptability. Also, I will demand that the clear applicable provisions should be established in case of the revision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there are such legal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in de facto mediation and settlement. As the relevant provisions for settlement by the court decision of recommendation are introduced in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mediation based on the clear legal grounds can be expected. I stress that the legalization of the system of recommendation for settlement by the court decision even in the revision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may function as the ground that the mediation system can be introduced in the administrative cases. For mediation is based on a premise that in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there may be a settlement between the parties in dispute. In this respect, in order to confirm and prepare the clear legal grounds for de facto mediation and settlement in actual practice, I will demand that the recommendation for settlement by the court decision should be newly introduced in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s, and I can summarize the relevant issues as follows: First, I admit that settlement in court is a legal action as well as a contract in public law, which has dual characteri

      • KCI우수등재

        미국 연방사법부와 연방행정부의 관계에 대한 헌법 및 법제적 고찰 ― 사법부의 독립성과 민주성 확보를 위한 시사점 ―

        이상경 한국공법학회 2018 공법연구 Vol.47 No.1

        The Federal Judiciary was first established in 1789, but at that time it was just a collection of individual courts, as there were no administrative bodies, not to mention independent government offices throughout the judiciary. The judicial administration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Justice, and the budget was also set up as part of the Ministry's budget. In short, there was no such thing as the judiciary in response to the legislature and the administration. Then William Taft, who served as the 27th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persuaded Congress to form a national Supreme Court by winning the post of the 10th Chief Justice in 1921 and built an independent Supreme Court building to become the current judiciary. The Administrative Office of the U.S. courts was created by the 11th Chief Justice Evans Hughes, who felt the need to fill the Supreme Court's parliament in 1931 after the Supreme Court tried to persuade President Roosevelt's New Deal.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court administration officially ended the Justice Ministry's involvement in judicial administration. Founded by the Administrative Office Act of 1939,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were created and which have been in charge of court administration in the United States along with the Federal Judicial Center, which was established in 1967. The authority of the Federal Court of Appeals was then extended, and in the steps of the Federal Appeals Court, an administrative body called Judicial Circuit Council was established. It was nearly 200 yea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federal constitution that it began to establish its current judiciary status. A comparative constitutional study of the U.S. federal judicial administration can gi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of all, to guarantee judicial independence, the judiciary should have the authority to exercise independent judicial power such as independent budgeting and rule-making, such as the Federal Judicial Conference. Historically,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e creation of the Federal Judicial Conference and the Administrative Office of the U.S. came from a fierce fight against the administration and Congress for judicial independence, and democratic legitimacy and credibility. Next, the executive powers of the U.S. judiciary are divided by stages. The Federal Judicial Conference decides major policies and budgets related to the judiciary as a whole, but without directly engaging in specific implementation, the chief of each level of court has the authority to appoint employees and conduct budgets on his own. More specifically, the federal court administration distributes only the total amount of each court's budget, while the chief justice carries out budget items within his or her allotted scope, and has the right to select employees and personnel. In addition, the U.S. federal jurisdiction is based on a U.S.-specific federal system, and it should be noted that all federal judges are appointed by the president through long-term experience, and once appointed, by one court for life. 1787년 제정된 미국 연방헌법에 따라 1789년 미국 연방사법부가 처음 만들어졌지만, 당시는 독립적인 청사는 물론 사법부 전체를 아우르는 행정조직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그저 개별적인 법원의 집합체에 불과하였다. 사법행정은 법무부의 지원을 받고 있었고, 예산도 법무부 예산의 일부로 편성되었다. 한마디로 입법부, 행정부에 대응하여 사법부라고 부를만한 실체가 없었다. 그러다가 미국의 제27대 대통령을 역임한 윌리엄 태프트가 1921년 제10대 대법원장으로 취임 후 의회를 설득하여 전국적인 연방사법회의를 창설하고, 독립적인 대법원 청사를 건축함으로써 비로소 현재의 사법부 위상을 갖추기 시작했다. 미국 연방대법원이 루즈벨트 대통령의 뉴딜 정책에 반대하는 판결들을 연이어 내놓다가 대통령으로부터 연방대법원 충원계획의 대상이 될 위기를 경험한 제11대 대법원장 휴즈가 행정부의 사법행정에 대한 영향력을 배제할 필요성을 느끼고 의회를 설득함으로써 1939년 연방법원행정처는 비로소 만들어졌다. 독립적인 연방법원행정처의 설립으로 비로소 법무부의 사법행정에 대한 관여가 공식적으로나마 끝나게 된 것이다. 1939년 연방법원행정처법에 의해 설립된 기구 및 조직은 1967년에 설립된 연방사법센터와 함께 미국 연방법원의 법원행정을 담당하고 있다. 이후 연방사법회의의 권한이 확대되었고, 연방항소법원의 단계에서도 각 연방항소법원마다 순회항소구 법원회의라는 행정처가 설립되었다. 연방헌법 제정 후 200년 가까이 지나서야 현재의 사법부 위상을 갖추기 시작하였다. 미국 연방사법행정권에 대한 비교 헌법적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는 있다. 우선 재판의 독립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연방사법회의와 같이 사법부 스스로 독립적인 예산편성, 규칙제정 등 독립적인 사법행정권을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이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역사적으로는 미국 연방사법회의와 연방법원행정처의 창설이 사법권 독립을 위한 행정부와 의회에 대한 치열한 투쟁을 통해 얻어진 것임을 기억해야 한다. 다음으로, 미국 사법부의 행정 권한은 단계별로 분산되어 있다는 점이다. 연방사법회의는 사법부 전체에 관련된 주요 정책 및 예산안을 결정하나, 직접 구체적 집행에 관여하지 않고 각급 법원장이 자체적으로 직원 인사, 예산집행의 권한을 갖는다. 즉, 연방법원행정처에서 법원별 예산총액만을 분배하고 법원장은 배정된 범위 내에서 예산항목을 스스로 집행하며, 법원별로 직원 선발 및 인사권을 갖고 있다. 더불어 미국의 연방사법권은 미국 특유의 연방제도에 근거하고 있고, 모든 연방판사가 오랜 경험을 통해 검증된 법조인 중에서 상원의 인준을 거쳐 대통령에 의해 임명된다는 점에서 민주적 정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한번 임명되면 한 법원에서 종신으로 근무한다는 점에서 인적 독립성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 KCI우수등재

        抗告訴訟과 憲法訴願의 對象 - 公法訴訟 對象의 再構成을 위한 試論을 중심으로 -

        정남철 법조협회 2019 法曹 Vol.68 No.2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and the Administrative Court have contributed greatly to the control of the exercise of public authority and the relief of the rights of the people and they have played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public law suits. However, the object of the appeal litigation can be competed with that of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The cases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sees the factual act as an administrative disposition, and the Supreme Court extends the object of appeal litigation. However, it is doubtful whether the specific effect of administrative act can be applied to factual acts (Realakt) without powerful character. There are cases where the object of an appeal litigation is exceptionally recognized even with regard to regulations and ordinances. However, in the absence of primary norm control (prinzipale Normenkontrolle), the court examines indirectly the illegality of regulations and rules through ancillary norm control (inzidente Normenkontrolle). Some scholars that claims to expand the objects of the appeal litigation were influenced by Japanese doctrines and judgments of courts. However, it is prudent to incorporate the doctrines and cases of Japanese judicial system without Constitutional Court and Constitutional complaint into the structure of Korean public law suits. It is noteworthy that criticism against excessive expanding of objects of the appeal litigation has been raised in Japan. It is required to recognize the types of lawsuits that are appropriate to the nature and character of administrative acts. The omission of delegated legislation is not object of a constitutional litigation, but a jurisdiction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There is a controversy about the proper form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but it cannot be filed by an appeal litigation. This is a matter related to the legal relation of a public law suit and requires a proactive judgment of the court. Constitutional complaint against illegal administrative legislation like regulations and rules is allowed, but it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form of norm control. The argume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based on the principle of self-binding of the administration among the requirements to recognize the object of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for the administrative rule, is inaccurate and wrong. There is a precedent in general administrative rules that recognizes the object of constitutional complaint, but this is a mis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public authority. External binding force is a core element of the concept of public authority. Therefore, in principle,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cannot be filed for administrative rules without external binding force. German doctrines and judgments of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Bundesverfassungsgericht) are such a position. The so-called 'Supplementary Administrative Rules of the Statute' should be allowed only to a limited extent and induce them to define essential matte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ule of law at the level of statute or regulation. In addition, when delegating legal matters to regulations and rules, it is also necessary to strictly check whether the principle of clarity or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comprehensive delegation is violated. If the norm like statute and regulation violates the autonomy of the local government, the means of relief in the public law is deficient in Korea, and the German constitutional complaint of local government is worth referring for legislation in relation to this. 헌법재판소와 행정법원은 공권력 행사에 대한 통제와 국민의 권리구제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공법소송의 발전에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헌법소원과 항고소송의 대상은 경합될 수 있다. 대법원 판례는 사실행위에 대해서도 행정처분으로 보고, 항고소송의 대상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행정행위의 특수한 효력이 (권력적) 사실행위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법규명령이나 조례 등에 대해서도 예외적으로 항고소송의 대상을 인정한 사례가 있다. 그러나 주위적 규범통제가 도입되지 않은 상황에서 부수적 규범통제를 통해 간접적으로 법률하위규범의 위법성을 심사할 수밖에 없다. 항고소송의 확대를 주장하는 항고소송 중심주의는 일본의 학설 및 판례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다. 그러나 헌법재판소와 헌법소원 제도가 없는 일본의 사례를 우리나라 공법소송의 구조에 그대로 접목하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 일본에서도 항고소송 중심주의에 대한 비판론이 제기되고 있음은 주목할 사실이다. 행정작용의 본질과 특성에 적합한 소송형식을 인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행정입법의 부작위는 헌법소송이 아니라 행정소송의 관할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에 적합한 소송형식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이러한 소송을 항고소송으로 해결할 수는 없다. 이는 공법소송의 법률관계에 관한 문제이며, 법원의 전향적(轉向的)인 판단이 요구된다. 위법한 법률하위규범에 대한 헌법소원은 허용되지만, 규범통제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행정규칙에 대한 헌법소원을 인정하는 요건 중 행정의 자기구속의 법리에 근거한 헌법재판소의 논증은 타당하지 않다. 일반적인 행정규칙에 대해서도 헌법소원의 대상을 인정하는 판례가 있으나, 이는 공권력 개념에 대한 오해이다. 대외적 구속력은 공권력 개념의 핵심적 요소이다. 따라서 대외적 구속력이 없는 행정규칙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헌법소원을 제기할 수 없다. 독일의 학설 및 판례도 그러한 입장이다. 향후 이른바 ‘법령보충적 행정규칙’은 제한적으로 허용되어야 하며, 법률유보의 원칙의 관점에서 본질적인 사항을 법률 또는 법규명령의 차원에서 규정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또한 법규적 사항을 법규명령에 위임하는 경우에도 명확성원칙이나 포괄위임금지원칙에 위배되는지 여부를 엄격히 심사해야 한다. 법규범이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을 침해하는 경우에 공법상 권리구제수단이 흠결되어 있는데, 독일의 지방자치단체 헌법소원제도를 입법적으로 참고할 만하다.

      • 법원에서의 헌법판단

        김예영(Kim, Ye Young) 한국헌법판례연구학회 2014 헌법판례연구 Vol.15 No.-

        이 글은 법원에서 헌법판단이 이루어지는 사례를 공법영역과 사법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먼저, 행정법 등 공법영역에서는 헌법이 직접 적용되는데, 근래 행정법상의 일반원칙 중 평등원칙, 비례원칙, 신뢰보호원칙 등이 헌법에 근거를 둔 헌법상 원칙으로 인정되고, 이러한 원칙들이 당해 재판의 결론을 좌우하는 주된 판단기준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즉, 법원은 종래 행정법 영역에서 심사기준으로 작용하던 행정법상의 일반원칙인 평등원칙, 비례원칙, 신뢰보호원칙의 근거가 헌법에 있음을 분명하게 밝히면서 헌법재판소의 결정례를 인용하는 등으로 헌법에 관한 법리들을 수용하고 있다. 더 나아가 헌법에 근거하여 적극적으로 적법절차의 원칙과 같은 새로운 행정법상의 일반원칙을 인정하고 이를 심사기준으로 적용하기도 하였다. 민법 등 사법영역에 있어서는 원칙적으로 일반조항을 매개로 헌법이 간접 적용된다. 즉, 법원에서는 연명치료 중단 사건에서처럼 민법 제103조의 반사회적 법률행위 조항, 종립 사립고등학교 종교교육 사건에서처럼 민법 제750조의 위법행위조항 등 일반조항을 매개로 헌법판단을 하여 왔다. 그러나 법원은 성전환자의 행복추구권 등을 근거로 구 호적법상 호적정정절차에 따라 성전환자의 성별정정을 허가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한 것과 같이 일반적인 법률해석에 있어서 헌법의 영향을 고려하기도 하였다. 또한, 헌법상 양성평등 조항 등을 근거로 종원(宗員)의 자격을 성년 남자만으로 제한하던 종래의 관습법을 폐기한 것처럼 관습법에 대한 사실상의 위헌심사를 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헌법상 경영권을 근거로 정리해고시 노동조합과 ‘합의’한다는 단체협약을 ‘협의’의 의미로 해석한 것처럼 사인간의 법률행위를 해석함에 있어서도 헌법의 영향을 고려하기도 하였다. The Constitution was directly applied to the public law including sub-disciplines such as the administrative law. First of all, recently, the principles of equality, proportionality and protection of reliability, which were general principles of the administrative law, were accepted as the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al law based on the Constitution. These principles are increasingly becoming the critical standard of judgement in ruling relevant cases. In other words, the courts are decidedly enunciating that the general principles of the administrative law, including the principles of equality, proportionality and protection of reliability which once served as judgment standards in the field of the administrative law, were grounded in the constitution. Courts are accepting constitution theory and citing case rulings made in the counstitutional court. Furthermore, courts actively accepted new general principles of the administrative law such as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based on the constitution, and applied these new principles as ruling standards. The general clause was indirectly applied in civil law which includes the Civil Act. Courts have been making constitutional decisions through the general clause. A decision on the termination of life prolonging treatment on the basis of Civil Act Article 103 regarding antisocial legal actions, and a case ruling on religious education taught in private high schools founded by religious groups on the basis of Civil Act Article 750 are examples of the constitutional influence. The court considered the implications of the constitutions when making a general legal interpretation. This is illustrated in a court"s ruling to authorize the change of legal gender according to the currently defunct Family Register Act following the family register correction for sexual transgenders based on the court"s interpretation of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for sexual transgenders. The court also ruled, in practice, a common law unconstitutional by deciding that limiting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 to register in the family registry to adult males was against the constitution citing the constitutional provision on gender equality, which brought an end to the existing customary law. The court also considered the implications of the constitution when interpreting legal actions between corporations and individuals. The court’s decision on layoffs made on the basis of constitutional management rights interpreted collective agreement’s term “agreement” with labor unions as “discussion”.

      • 각국 법원모욕의 제재 방식에 관한 연구

        하민경(Ha, Minkyung),양시훈,계인국,안문희 사법정책연구원 2015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총서 Vol.2015 No.-

        본 연구는 사법질서의 보호 및 법치주의의 확립을 위해 각국 법원모욕의 제재 방식을 비교법적으로 살펴보고 각 제도들이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해 본 결과물이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착수 배경이 되는 사례들을 포함하여 우리 법제도의 현황을 다룬다. 또한, 본문과 같이 법원모욕의 유형을 나눈 기준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장은 재판진행을 방해하거나 법정질서를 침해하는 법원모욕행위를 규제하는 외국의 입법례와 사례들을 소개한다. 판사가 법원모욕행위를 직접 목격한 경우 간이한 절차로 형사제재를 가할 수 있는 영미법상 제재방식과 형법상 범죄로도 취급하지 않는 독일법을 비롯하여 다양한 제재방식을 국가별로 살펴본다. 제3장은 법원의 명령을 위반한 행위를 법원모욕으로 보는 영미법계 국가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특히 법원 명령의 이행 또는 불이행을 강제하기 위해 부과되는 법원모욕 제재는, 법원의 가처분 결정 등을 위반한 행위자에게 간접강제 외에 별다른 제재를 가하지 않음으로써 가처분 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우리의 상황에 해결방향을 제시 한다. 제4장에서는 소제기의 남용행위와 사법부에 대한 근거 없는 비판행위를 법원모욕으로 다루는 외국의 법제도를 알아보고, 사법 기능을 침해하는 행위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도 아울러 논한다. 제5장의 결론은 본문에서 살펴 본 영국, 미국, 싱가포르, 독일, 프랑스, 국제재판소의 순서대로 각 제도의 특색을 요약한다. 이를 통해 국가별 법원모욕 제재의 특성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다. 각국의 법원모욕제도를 소개하고 분석한 본 연구가, 우리의 사법 집행을 방해하는 행위를 규제하여 사법 기능을 원활하게 작동시키고 국민의 재판받을 권리를 보장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로서 널리 활용되기를 바란다. The present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law of contempt of court by using a comparative law analysis for the purposes of protecting judicial order and establishing rule of law. As an introductory part, Part I examines the current legal system and recent cases in Korea that served as premises for undertaking this research. It also identifies the standard for classification of types of contempt of court. Part II studies the contempt sanctions of various states on actions that pose a threat to orderly judicial proceedings. For example, under Anglo-American law, it is allowed for a judge to punish summarily an individual who committed direct contempt while the same act does not constitute a crime under German Law. Part III focuses on the legal systems where defiance of court orders is treated as contempt of court. Since it is axiomatic that continued disobedience or insubordination against court decisions undermine the very foundation of the law, this research suggests that contempt of court can be an efficacious solution for enforcing court orders. Part IV addresses the necessity of regulating actions that impede the judicial system, such as filing frivolous lawsuits and scandalizing the court by maliciously criticizing it. Pursuing a frivolous lawsuit and scandalizing the court call for contempt sanctions because they prevent the adequate administration of trials. In conclusion, Part V summarizes the contempt sanctions of UK, US, Singapore, Germany, France, and International Courts thereby providing each system’s characteristics at a glance. By introducing and analyzing the law of contempt of court in overseas jurisdictions, this research proposes a way to rebuild the rule of law that would guarantee the citizens a fair trial as a constitutional mandate: imposing various types of contempt sanctions on recalcitrant individuals who are regarded as to obstruct the administration of jus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