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온라인 여행사의 정보시스템 품질이 신뢰, 이용의도, 실제 이용에 미치는 영향

        이진희(Lee, Jinhee),채혜정(Chae, Haejung),김남조(Kim, Namjo) 대한관광경영학회 2020 觀光硏究 Vol.35 No.6

        기술발달에 따라 많은 이용자는 국내 OTA로 여행상품을 예약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OTA는 글로벌 OTA의 국내 여행시장 잠식으로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국내 OTA의 재도약과 성공을 위해서는 품질 향상이 필요하다. 특히, 이러한 비대면 상황에서는 신뢰가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그러나 관광학계에서는 국내 OTA의 이러한 면을 간과한 채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OTA의 정보시스템 품질이 신뢰, 이용의도, 실제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설문조사는 최근 6개월 내 국내 OTA를 이용한 내국인을 대상으로 2차례 진행하였으며, 313부의 유효 표본으로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인터페이스 디자인 품질은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정보시스템 품질과 이용의도, 실제 이용 간 관계에서 시스템 품질, 인터페이스 디자인 품질은 이용의도와 실제 이용에 영향을 미쳤지만, 정보 품질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이용자가 OTA에서 제공하는 목적지나 상품에 관한 정보보다는 개인의 체험에 의한 정보를 선호하므로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실제 행동의 측정 어려움으로 이용의도만을 연구한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실제 이용까지 측정하였다는 점과 국내 OTA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연구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이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many users are using travel products through domestic OTA. However, the domestic OTA faces various problems due to the global OTA s encroachment on the domestic travel market. Quality improvement is necessary for Korea s OTA to leap forward and succeed. In particular, trust is essential in this non-face-to-face situation. However, in the field of tourism, this aspect of domestic OTA has been overlook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quality of the information system of domestic OTA affects trust, intention to use, and actual use. To this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Korean tourists who had used the domestic OTA within the last six months based on 313 valid questionnaires. As a result,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interface design quality significantly affected trust. In relationships with information system quality and intention to use, actual use, system quality, and interface design quality affected the intention to use and actual use, but information quality did not. These results are judged to result from the user s preference for personal experience-based information rather than information about OTA s destinations or products. This study can be used as primary data for future research in that it has been measured even in actual use compared to the previous studies that studied only the intention to use due to the difficulty of measuring actual use. Also, i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domestic OTA.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등록상표에 대한 불사용취소심판에 있어서 등록상표의 동일성 판단에 관한 고찰

        김남영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4 Law & technology Vol.10 No.2

        상표법 제73조 제1항 제3호에서 규정하는 불사 용으로 인한 취소심판이 청구된 때에는 상표권자 가 그 취소심판청구일로부터 3년 이내에 등록상표 를 지정상품에 사용한 사실을 입증하여야 하는데, 불사용으로 인한 취소심판에 있어서 등록상표와 실사용상표 간의 동일성 판단이 쟁점이 된다. 판례 에서는 동일성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등록상표 그 자체뿐만 아니라 거래사회통념상 등록상표와 동일하게 볼 수 있는 형태의 상표를 포함한다고 분 명히 밝히고 있다. 이러한 원칙에 입각하여, 등록상표가 결합상표 이고 결합상표를 이루는 기호나 문자 또는 도형들 이 각기 상표의 요부를 구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중 어느 한부분만을 상표로 사용하였다 하더라도 이를 두고 등록상표를 정당하게 사용한 것이라고 는 할 수 없다고 한다. 따라서, 등록상표를 구성하 는 도형의 경우에는 그 식별력의 정도가 높고 낮음 에 크게 상관없이 이를 누락, 생략 또는 삭제하여 사용한 때에는 등록상표의 동일성 범위 내의 사용 으로 보기 어렵다는 것이 원칙이나, 등록상표를 구 성하는 문자의 경우에는 해당 문자가 식별력이 극 히 약한 정도에 그친다면 이를 누락, 생략 또는 삭 제하여 사용한 때에는 등록상표의 동일성 범주 내 의 사용으로 인정하고, 식별력이 상표등록을 허여 받을 수 있는 정도의 높은 경우라면 이를 누락, 생 략 또는 삭제하여 사용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 다고 한다. 그런데, 등록상표를 구성하는 문자부분 간에 동 일한 칭호 또는 관념을 지니지만 이를 한글, 영문 자, 한문 또는 일본어 등 다양한 문자로 표기하여 병기한 등록상표를 어느 한 문자만으로 사용한 때 또는 이들 문자 중 하나의 문자만으로 구성된 등록 상표를 각기 다른 다양한 문자로 표기하여 사용한 때에, 거래사회통념상 등록상표와 동일하게 볼 수 있는 형태의 상표의 사용이 아니라는 취지로 일관 되게 판시하여 왔으나, 최근 2013년 대법원 전원합 의체 판결을 통해 문자만으로 결합된 등록상표의 동일성 범위에 대한 판단 기준을 변경하였다. 그러 나, 영문자 외에 제2 외국문자로의 다양한 문자를 병기하거나 상호 변형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거 명지특허법률사무소변리사 래사회통념상등록상표와동일하게볼수있는형태의 사용인지 등에 관하여 여전히 의문이 남는다. 등록상표와 실사용상표 간의 동일성에 관한 판단 기준은 대법원 판례를 통하여 오랫동안 정립되어 그 기준이 명확히 하고 있긴 하나, 한국상표법에도 외국의 입법례 특히 일본의 입법례와 마찬가지로 상표의 변형사용을 어느 정도 인정해주는 입법적 보완이 필요하다. According to Article 73(1)(ⅲ) of the Korean Trademark Act, if a cancellation action based on non-use is filed, the registrant will have the burden of proving that it used the mark in question as registered sometime during the three-year period immediately preceding the filing date of the cancellation action. Thus, the question is whether a form of the mark actually used is identical to its registered form. The Korean courts allow the trademark registrant to use a slightly modified trademark and if the mark used is considered identical by the consumer, this would be deemed as genuine use. Considering hundreds of cases regarding the acceptable range of identicality of the mark, the Korean courts has tended to be rather strict. The use of a slightly modified trademark is regarded as genuine use, and addition or omission of other elements in the actual market may be permitted, as long as such a element is considered as not being the main part of the trademark. In general, if an element of a trademark is a device, addition or omission of the element based on the actual usage is not deemed to be identical to the registered mark, regardless of the degree of the distinctiveness of the element. However, if an element of a trademark is a word and the element lacks distinctiveness, addition or omission of the element based on the actual usage is deemed to be identical to the registered mark If a registered mark is composed of foreign letters and its Korean transliteration, the Korean Court has denied that addition or omission of the element or alteration to another foreign letters could be deemed as genuine use of the registered mark, even if the pronunciation and meaning are identical to each other. However, the Supreme Court has recently issued a rulings on the genuine use of the combined trademarks consisting of foreign letters and its Korean transliteration based on its merits that now supercedes older precedents. Even if there are consistent decisions rendered by the courts, regulations or guidelines by the administrative or legislative body on the extent of genuine use of the registered trademark would be required.

      • KCI등재

        소셜 미디어 마케팅 특성과 지각된 혜택이 지각된 가치, 이용의도, 실제이용에 미치는 영향: 국내 OTA를 중심으로

        이진희(Lee, Jinhee),김남조(Kim, Namjo) 대한관광경영학회 2020 觀光硏究 Vol.35 No.8

        Recently, the domestic OTA(Online Travel Agency) market collapsed due to the global OTA turmoil. It is necessary to discuss users behavior only for domestic OTA consumers to establish domestic OTA s successful market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attributes of Social Media Marketing and the perceived benefits of domestic OTA affects perceived value, intention to use. Moreover, it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intention to use, and actual use. To this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Korean tourists who had used the domestic OTA within the last six months based on 304 valid questionnaires. As a result, trend and interactivity, the social marketing attributes of domestic OTA,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value and intention to use. Price and time benefits, the perceived benefi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value, but not on the intention to use. Perceived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and the intention to us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tual use. These results show that domestic OTA consumers value benefits like price or time and products that reflect the latest trends in companies or continuous communication.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in that it measured actual use through two surveys, unlike the initial study, which only studied the intention to us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ave practical implications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domestic OTA marketing, and, based up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were suggested. 최근 국내 OTA(Online Travel Agency) 시장은 글로벌 OTA의 난립으로 붕괴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OTA의 성공적인 마케팅 수립을 위해서는 국내 OTA 이용자만을 대상으로 지속 이용에 대하여 논의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OTA 이용에서 소셜 미디어 마케팅 특성과 지각된 혜택의 어떠한 요인이 지각된 가치와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지각된 가치와 이용의도 그리고 실제이용 간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문조사는 최근 6개월 내 국내 OTA를 이용한 내국인을 대상으로 2차례 진행하였으며, 304부의 유효 표본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OTA의 소셜미디어 마케팅 특성인 ‘유행성’과 ‘상호작용성’은 ‘지각된 가치’와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각된 혜택인 ‘금전적 혜택’과 ‘시간적 혜택’은 ‘지각된 가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이용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지각된 가치’는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용의도’는 ‘실제이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국내 OTA 이용자들은 금전이나 시간과 같은 단순한 혜택이 아니라 기업의 최근의 트렌드를 반영한 상품이나 지속적인 의사소통을 중요시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용의도만을 연구한 선행연구와 달리 2차례의 설문조사를 통해 실제이용을 측정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선행연구와 차별점을 가진다. 또한, 국내 OTA의 마케팅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으로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되며, 이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수용에 관한 연구

        Zekun Zheng(鄭澤坤) 한국정책과학학회 2015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9 No.3

        현대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증가하면서, 스마트 애플리케이션도 우리 삶과 밀접한 수단이 되고 있다. 인구 고령화에 따른 건강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여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수용에 관한 연구로서 건강신념모형(HBM)과 통합기술수용모형(UTAUT) 이론을 기반으로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건강행위와 기술적인 특성에 맞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요인들의 수용에 관련 사용자의 이용의도와 실제사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이용의도를 매개변수로써 실제 이용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검증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기존 UTAUT모델에서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변수로 검증된 4개의 변수인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에 건강신념모형에서 정의된 ‘질병에 대한 심각성 인식’, ‘질병에 대한 민감성 인식’ 그리고 ‘지각된 장애요인’을 추가하였다. 이를 토대로 스마트폰 사용자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모형분석(SEM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가설 검증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SPSS를 이용하여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정규성 검증, 상관관계분석, 신뢰도와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다음 ‘2단계 접근법(two-step approach)’에 따라 AMOS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측정모형의 타당성은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으로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모든 측정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모형에 부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수정지수를 이용해서 제안모델의 적합도를 향상시키고 수용이 가능한 수준에서 구조적 관계가 성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으로 기본 가설들을 검증하였고, 이용의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AMOS에서 Bootstrap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사회적 영향’과 ‘질병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이용의도에 대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촉진조건’, ‘질병에 대한 민감성 인식’ 그리고 ‘지각된 장애요인’이 실제이용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영향’과 ‘질병에 대한 심각성 인식’은 매개변수인 이용의도를 통해 실제 이용에 대한 간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함의는 선행연구와 달리 UTAUT모델을 기반으로 건강신념모형의 핵심변수가 외부변수로 결합된 새로운 연구모형을 만들어서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수용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탐색함에 있다.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 증대와 시장의 높은 성장 가능성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의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 방안과 고도화 추진 정책, 헬스케어 개발 기업의 지원 정책 등 실시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기업의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영업전략, 지원 전략 그리고 개발전략 등 기업 활동전략 수립에 대한 학문적,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With the growth in smartphone users, mobile application is increasingly closely linked to our life. As the aging population is on the rise, people are attaching more and more importance to health. This also enlarges the demand for health care application. Focusing on health care application and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and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fforts were made in the paper, by literature review, to study the health behavior and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of health care application. Targeted analysis was made of relevant factors, in an attempt to ascertain whether these factors exert any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and actual using behavior of users,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Besides, with the intention to use serving as medium variables in the paper, efforts were made to study whether there was any factor indirectly influential to actual us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paper: the addition of HBM’s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Severity’ and ‘Perceived Barriers’ while testing the UTAUT model core variables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which were influential to the intention to use. The research hypothesis was based on smartphone user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served as the primary research approach.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hypothesis testing, technical statistics and analysis, relevant factor analysis, test of normality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mong all variables with SPSS. Then deterministic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MOS based on two-step approach.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model adequacy inspection, the model-inspection adequacy was classified into centralized adequacy and discriminant adequacy. The inspection results showed that all the inspection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model met the essential requirements. With the adoption of practice index, the model fitness improved. Besides, assumptions presented in the paper were analyzed with SEM, and tested with the Bootstrap approach of AMOS by using the media effect of inten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shown as follows: ‘Social Influence’ and ‘Perceived Severity’ had an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Facilitating Conditions’,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Perceived Barriers’ affected the actual use. ‘Social Influence’ and ‘Perceived Severity’ exerted an indirect influence on actual using behavior through the medium variable ? the intention to use. The paper is of referential significance,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HBM core variables were introduced into the paper, based on UTAUT model, as exogenous variables for the first time, and used as a completely-new integrated model to ascertain which factors would affect the use of health care application. Besides, with the rise in people’s concern about health care application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market, the research results of the paper can be used by enterprises to collect marketing and development strategies. Also they can be used by governments as reference for the promotion and policy-making of health care application.

      • KCI등재후보

        The Use of Actually in English Non-native Speakers' Converstion

        김유경 한국영어학회 2006 영어학 Vol.6 No.1

        Kim, Yu-Kyung. 2006. The Use of Actually in English Non-native Speakers' Converstion.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6-1, 23-42. This study investigates English non-native speakers' interactional use of discourse marker actually. The data for the study is drawn from approximately 170 minutes of spontaneous conversation between Korean non-native speakers. The framework of this study is Conversation Analysis (Schegloff, Sacks and Jefferson, 1974). Each of the tokens of actually has been coded and analyzed, according to its placement in Turn Constructional Units (TCUs), i.e., TCU-initial and TCU-final. The results reveal that the non-native speakers' detailed functions of actually are different from those of native speakers'. Non-native speakers do not demonstrate different interactional use of actually at different TCU positions as native speakers do.

      • KCI등재

        용도에 기초한 품목분류와 용도세율 적용에 관한연구

        김재식 한국관세학회 2018 관세학회지 Vol.19 No.1

        Due to adopting both merchandise names and use as classification criteria in the HS nomenclature, disputes often arise as to whether the classification for a product should be determined by name or by u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lternatives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tariff classification and usage tax rate through analyzing cases of disputes related to tariff classification by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ase of a tariff classification on an item that is subject to the specific ‘use’ specified either explicitly or implicitly in the text of the relevant heading or subheading,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the ‘principal use’ as a ‘single use’ and determine the classification of the item. It is also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actual use’ of the article in case of special circumstances. Regarding the usage tax rate on goods (A-type) that have no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ods even though they have different uses, the upper level classification (mainly up to 6 digits) is determined by the general principles of tariff classification, however, the final sub-level classification (mainly in digits of 7-10) may be affected by the importer’s application for the usage tax rate. On the other hand, if goods (B-type) are subject to the particular ‘use’ specified either expressly or implicitly in the text of the relevant heading or subheading, in judging whether such an article is suitable for a particular use described in the tariff, it should be resiliently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the usage tax rate, the nature and use of the article, and the distribution process. Finally, in the Post-management Notice on the usage tax rate, some items specified expressly particular ‘use’ may rather be a factor causing confusion in tariff classification, so institutional improvement is needed. 이 연구는 용도에 의한 품목분류에 관한 분쟁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용도에 의한 품목분류와 용도세율 적용과 관련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의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관련된 호 또는 소호 등의 본문에서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물품 자체의 특성상 특정한 ‘용도’에 적합한 것임을 전제조건으로 하는 물품에 대한 품목분류의 경우, 해당 물품의 여러 가지 용도 중에서 다른 용도보다 우세한위치에 있는 ‘주 용도’가 일단 확인된다면, 그 인정된 주 용도를 ‘단일한 용도’로 간주하고 품목분류를 결정하는 것이 타당하며,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 한해서는 해당 물품의 실제적 용도(actual use)에 대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무엇이 당해 물품에 대한 보편적인 ’주 용도‘인가를 판단함에서는 미국의 카보런덤 요소(Carborundum factors)가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용도세율 적용과 관련해서, 특정 물품이특정 용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함에서는, 용도세율의 목적 및 취지와 함께 당해 물품의 성질과 용도 및 유통과정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관련된 호 또는 소호 등의 본문에서 명시적으로 물품의 특성 자체가 특정한 ’용도‘에 적합한 것임을 전제조건으로 하는 물품의 경우, 사후관리 고시에서 용도세율 대상 물품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오히려 관련된 물품의 품목분류에 혼란을 초래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으므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따른 남성색조화장의 이용실태에 대한 연구

        박장순(Jang-Soon Park),이재숙(Jae-Sook Lee)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13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actual use of make-up among men in the 10-40 age group of four big cities (Seoul, Incheon, Kyonggi-Do, and Kwangju). In this study, 240 reliable surveys were analyzed from questionnaires distributed from March 15 to April 10, 2013 and by using frequency and an x²-test. Final grade completed was listed as highest among those who responded "high school" (36.7%), listing their job as "college student" (27.5%). 59.2% of the respondents lived in a city, and 68 people (28.3%) replied that outward appearance has a 10-30% effect on success. The highest percentage, 26.7% people among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d "no skin condition." In skin symptoms, "pimples" rated highest (35.5%), followed by blackheads at 29.2%. To improve troubled skin conditions, the majority of respondents (60.8%) answered "buying of cosmetics." Respondents age 20 solved troubled skin conditions by treatment at a "medical clinic"; those with higher than a college education solved their condition in "a skin shop" (54.5%). In an analysis whether or not respondents, 50.8% of the subjects did not, and 49.2% of them did. Use of "color lotion or BB-cream" among the subjects using cosmetics for color tone occupied was the highest percentage at 47.5%, and only a small number of the subjects used "lip gloss, etc." 57.4% of the subjects answered "no intention to use" regarding possibility of future use among subjects who were not already using cosmetics for color tone. Among subjects showing a possibility for future use among subjects who were not already using cosmetics for color tone, 69.2% listed the highest possibility of using "lip gloss," and 53.8% answered "color lotion or BB-cream."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urvey can be applied as basic information for male make-up.

      • KCI등재

        O4O 서비스의 지속 사용의도 및 실제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정찬욱,이원준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2 e-비즈니스 연구 Vol.23 No.2

        Research Purpose: The main purpose is to identify the behavior of O4O service users. To identify behaviors, intending to reveal the antecedent factors of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actual use as final variables. Research Methods: The data were analyzed crosswise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To collect high-quality sample, data collection was requested from the largest professional research institute in Korea, and PLS-SEM was used as the methodology. Results in Research: It was found that all variables like Convenience, Accessibility, Synchronization except Personaliz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all variables except Accessibilit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user satisfaction. In addition, Perceived useful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ser satisfaction,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actual use. Continuous use intention had a significant level of relationship with actual use. Research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analyzed O4O users, who have not been actively analyzed so far. Suggestions in Research: In future research, it would be beneficial to obtain more in-depth results by reflecting demographic information as a control variable. Also this study proposes to conduct a longitudinal study to observe and explain the dynamic behavior of O4O users.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비대면 방식으로 소비를 유도하는 ‘언택트’ 마케팅이 확대· 진행되고 있으며 기업들은 O2O(Online to Offline)를 넘어 O4O(Online for Offline) 마케팅에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O4O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사용 및 실제사용 하려는 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연구는상당히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형과 기대일치모형 및 이론적 배경에서 도출된 4개의 온-오프라인 통합채널의서비스 특성인 편이성, 접근성, 개인화, 동시성을 독립변수로 제시하였다. 통계 분석을 위해서 실제로 O4O 서비스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개인화를 제외한 모든 변수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접근성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사용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유용성은 사용자 만족도, 지속 사용의도 및 실제사용 모두에서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사용자 만족도는 지속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실제사용에는 유의한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지속적 사용의도는 실제 사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활발히 분석되지 못했던 O4O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의의가 있다. 분석 결과, 제안한 선행 요인 중에서 접근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자 만족을 모두 촉진하는역할을 하기 때문에 경영진과 개발자들은 특히 우선적으로 감안해야 할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인구 통계학적 정보를 통제 변수로 반영하여 더 심도 있는 결과를 얻으면 유익할 것이다. 또한, O4O 사용자들을 동적인행위를 관찰하고 설명하기 위해서 향후 종단적인 연구를 수행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3-5세 영유아의 스마트폰 이용실태와 영향변인

        최대훈(Dea-Hun Choi)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2

        As the tendency of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phones increased, it was obligatory to carry out preventive education more than once a year in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but there is no specific guidance on contents and method of preventive education. This is due to the lack of prior studies on the actual use of smartphones and the influence variable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e time, frequency of use, and sociological background variables on the actual situation of smartphone usage and overdependency on smartphone among 3-5 year old children nationwide. For the analysis, the frequency of the use of smartphone for 3-5 year old children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the influence variables were correlat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earch shows that smartphone overdependence of 3-5 year old children have an influence on the use time and frequency of use. The results should include content that restricts the use time and frequency of use of smartphones and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for 3-5 year olds and young children. Suggesting a need for a transition to the educational method used.

      • KCI등재

        장애근로자의 보조공학기기 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염희영 한국직업재활학회 2013 職業再活硏究 Vol.23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a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assistive technology device support service and system for the future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use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by employees with disabilities. From January 1, 2009 to December 31, 2012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aimed at 635 employees with disabilities who were supported with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by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Th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The use rate of assistive engineering devices by employees with disabilities was 83.6%. It was discovered that on average they used those devices for 6.08 hours a day for 5.14 days a week. Although the subjects used many more assistive engineering devices compared with their needs, in comparison with their expectations during application for support, they used fewer devices than expected. Also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use according to occupation type and the number of full-time employees. Also the main reason they did not use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was that they did not need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or felt uncomfortable in their use. Regarding the starting period of non-use, it was mostly within one month after support. Consequently, in order for employees with disabilities to use effectively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offer accurate and diverse types of information to users during early support. Also it is necessary to enable them to be supported with appropriate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or each individual through a more thorough and professional counseling and assessment service. Also there is a need for additional warranty services such as the repair and re-assessment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the change of devices through consistent monitoring of the conditions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use situations after support. 본 연구는 장애근로자의 보조공학기기 사용 실태를 조사 및 분석하여 향후 보조공학기기 지원 서비스 및 제도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09년 1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받은 근로 장애인 6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근로자의 보조공학기기 사용률은 83.6 %이며, 1일 평균 6.08시간, 1주일 평균 5.14일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은 보조공학기기를 필요 대비 많이 사용 하고 있으나 지원 신청 시의 기대와 비교할 때 예상보다 적게 사용하고 있었으며, 직종과 상시 근로자수에 따라서 사용 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보조공학기기를 비사용하는 주요 이유는 보조공학기기가 필요 없거나 사용이 불편하기 때문이며, 비사용 시작 시기는 대부분 지원 후 1달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장애근로자들이 보조공학기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초기 지원 시, 사용자에게 정확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보다 면밀하고 전문적인 상담 및 평가 서비스를 통해 개인별로 적합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원 후, 보조공학기기의 상태와 사용자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보조공학기기 수리, 재평가 및 기기 교체 등의 사후 서비스가 추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