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연기를 위한 연기훈련 방법연구 - 극단 동의 ‘행동연기기술’ 활용을 중심으로 -

        박상석,오진호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31 No.3

        디지털 영상기술의 발전으로 이전에는 구현하기 힘들었던 장소와 캐릭터가 영상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리고 촬영 시간과 제작비용의 절감이라는 편리성 때문에 영화나 드라마 등 영상매체에서 디지털 영상기술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제 크로마키나 모션캡처 촬영이 일반화되었으며 배우들 은 블루스크린 앞에서 가상의 대상과 교감해야 하는 생소한 환경에 놓이게 되었다. 이렇게 디지털 영상 기술을 사용하는 촬영방식이 일반화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디지털 연기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연기자 는 촬영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아직 우리나라에는 디지털 연기를 위 한 훈련법이나 교육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디지털 연기를 위한 실질적 훈련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본 연구자가 말하는 디지털 연기란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이용하여 배우들이 상상의 공간을 가상해서 마치 그 공간이나 물체가 존재하는 것처럼 표현하는 것을 뜻 한다. 몇몇 연구자를 통해 디지털 연기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긴 했지만, 디지털 연기훈련의 필요성을 주장할 뿐 실질적인 방법에 관한 연구가 심도 있게 다루어지지는 않았다. 이제 디지털 연기훈련 방법에 대한 실질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극단 동의 ‘행동연기기술’과 강량원의 ‘뇌를 속이는 연기 기술’을 기반으로 디지털 연기를 위한 연기훈련 방법을 모색하고 그 가능성을 제시했 다. ‘행동연기기술’과 ‘뇌를 속이는 연기 기술’은 가상의 대상을 상상하고 교감해야 하는 디지털 연기에 효과적인 연기 기술이다. 본 연구는 디지털 연기를 위한 연기 훈련법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실질적 인 훈련 방법을 모색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imaging technology, it has become possible to realize places and characters that were previously difficult to realize into images. In addition, because of the convenience of reducing shooting time and production cost, digital imaging technology is frequently used in video media such as movies and dramas. Chroma key and motion capture are now common, and actors are placed in an unfamiliar environment where they have to interact with virtual objects in front of a blue screen. In a situation where filming methods using digital imaging technology are becoming more common, actors who are not familiar with digital acting techniques have no choice but to experience difficulties at the filming site. Unfortunately, however, there is no training method or education system for digital acting in Korea yet. Therefore, this researcher thinks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practical training methods for digital acting. Here, the researcher's digital acting means that actors use computer graphic technology to simulate an imaginary space and express it as if the space or object exists. Although studies on digital acting have been conducted by some researchers, studies on practical methods have not been dealt with in depth, only arguing the necessity of digital acting training. Now, practical and in-depth research on digital acting training methods is needed. Accordingly, this researcher sought an acting training method for digital acting based on ‘behavioral acting technique’ of Theater Compay Dong and ‘acting technique of tricking the brain’ of Kang, Lyang-won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Behavioral acting technique’ and ‘acting technique that tricks the brain’ are effective acting techniques for digital acting that requires imagining and interacting with virtual objec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acting training methods for digital acting and providing an opportunity to seek practical training methods.

      • KCI등재

        이바나 처벅(Ivana Chubbck)의 연기방법론에 관한 연구 - 공포, 섹슈얼 케미스트리에 대한 훈련 방법을 중심으로 -

        손보민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1 No.1

        미국의 이바나 처벅(Ivana Chubbuck)은 현재 헐리우드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연기 교육자 이자 이바나 처벅 스튜디오의 감독이다. 그녀는 샤를리즈 테론, 브레드 피트, 할리 베리, 짐 캐리 등 헐리우 드의 명실상부한 스타 배우들의 연기를 지도하면서 ‘헐리우드의 비밀병기’로 불리고 있는 인물이다. 그녀 는 스타니슬랍스키와 스트라스버그의 연기이론의 영향 아래 놓이면서도 다른 연기 교육자들이 제시하지 않았던 자신만의 독자적이고 독특한 연기이론을 주장하게 되는데, 공포, 약물 중독, 섹슈얼 케미스트리, 연 쇄 살인범, 임신, 죽음 등의 특정 장면의 존재를 연기하기 위한 세부적인 연기 방법론들을 제시한다. 본 논 문에서는 현대적인 연기이론을 대표하고 있는 ‘처벅 테크닉(Chubbuck Technique)’의 특징적인 부분과 그녀 의 이론이 전통적인 연기이론과 어떻게 차별화되는지를 비교를 통해 논하며, 그녀의 연기술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녀가 제시한 연기 방법론 중 공포, 섹슈얼 케미스트리에 대한 연기 방법론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처벅은 매체의 성질의 차이에 따른 영화에서의 연기와 연극에서의 연기의 차이를 명확하기 구분하지는 않 았지만, 오늘날 영상매체에서 주를 이루는 극단적인 내용들, 파편화되고 조각되며 분산되는 연기의 내용들 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조건들 안에서는 보다 세밀하고 섬세한 연기가 요구되며, 처벅의 독 창적이고 세분화된 연기술은 현대의 이러한 구체적인 서사의 특징들이 반영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내에 아직 소개되지 않은 이바나 처벅의 연기 방법론을 소개하고 전통적인 연기이론과 의 비교를 통해 그녀가 어떻게 자신의 이론을 개진하고 발전시키고 있는지, 더불어 현대의 영상매체에서 요구하고 있는 연기의 특징들과 그녀의 연기 방법론이 지니는 의미를 논하고자 한다. America's Ivana Chubbuck is a highly influential acting coach in Hollywood and director of Ivana Chubbuck Studio. Having coached Hollywood stars such as Charlize Theron, Brad Pitt, Halle Berry, Jim Carrey. she is being called Hollywood's ‘celebrity whisperer.’ Building on the acting theories of Stanislavski and Strasberg, she developed her own distinctive, unique, and unprecedented acting theory, which presents detailed acting methodologies that teach actors how to create organic fear, portray substance abusers, create sexual chemistry, play a serial killer, experience feeling pregnant, create death and dying, etc. so that they can act out such scenes.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ubbuck Technique,' the prevailing modern acting technique, and compares how her theory differentiates from the traditional acting theory. Out of all the acting methodologies she proposes, those that relate to fear, sexual chemistry with examples to help better understand her acting technique. Although Chubbuck does not clearly distinguish between screen acting and stage acting, she actively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extreme content that dominates today's video media and how fragmented, sculpted, and dispersed the acting becomes. Chubbuck's segmentalized, distinct acting techniques interpret and reflect today's trends. In other words, one could say that her acting technique is an outcome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pecific contemporary narratives. Thus, this paper introduces Ivana Chubbuck's acting technique, which has not yet been introduced in Korea, as well as explores how she is expressing and developing her theory by comparing it with traditional acting theories. The paper will als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acting required by modern video media and the meaning behind this.

      • KCI등재

        디지털 VFX 촬영에서 연기 환경과 연기법에 대한 고찰

        박상석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32 No.4

        우리나라는 디지털 혁명과 함께 이미 아날로그 시대에서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TV 지상파는 이미 아날로그 송출 방식을 중단하고 디지털 송출 방식으로 바꿨다. 영화제작에서 필름과 아날로 그 장비의 사용은 디지털 장비들로 대체되었으며 VFX 또한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이 이루어져 제작비와 제작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었다. 디지털 VFX는 모션캡쳐, 크로마키 등이 주로 사 용되고 있으며 현재는 실사 이미지와 가상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결합하는 Virtual Production이 도입되고 있다. 디지털 VFX의 사용은 점점 빈번히 사용되고 있어 영상 연기의 환경에 많은 변화가 생기게 했다. 이제 영상 연기자는 변화되는 연기환경 속에서 새로운 기술을 이해하고 적응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연 기자들은 아날로그적인 습성이 있어 새로운 환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며 바쁘게 돌아가는 촬영 현장에 서 디지털 VFX 기술을 충분히 이해하고 연기하기가 어려운 형편이다. 따라서 디지털 VFX 기술의 발전 으로 변화되는 연기환경을 살펴보고 이를 위한 디지털 연기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디지 털 VFX 기술의 발전에 따른 연기환경의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를 위한 디지털 연기 방법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디지털 VFX 기술을 사용하여 제작되는 영화와 OTT 드라마의 제작 환경을 연구하고 제작에 참여한 배우들의 인터뷰를 통해 연기환경의 변화와 어려움에 대해서 알아본다.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환경에 필요한 연기 기술과 방법을 고찰한다. 현재 비용이나 시간의 절약이라는 측면에서 디지털 VFX 기술의 사용은 더욱 빈번해지고 있으며 연기자들은 새로운 환경에서 어려움을 느 끼고 있다. 따라서 이제 배우들도 디지털 기술에 대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디지털 연기를 위한 새로 운 연기 방법이 필요하다는 결론이다. 이에 대한 방법으로 ‘영상을 만드는 내면의 눈’과 ‘행동 연기 기술’, ‘동물 연기훈련’ 등을 제시했다. 이 연구가 디지털 VFX 기술을 사용하는 촬영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는 배우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With the digital revolution, our country has already transitioned from the analog era to the digital era. Terrestrial TV has already discontinued the analog transmission method and switched to a digital transmission method. In film production, the use of film and analog equipment was replaced by digital equipment, and VFX was also converted from analog to digital, making it possible to shorten production costs and production periods. Digital VFX mainly uses motion capture and chroma-key, and currently, Virtual Production, which combines real-time images and virtual images in real time, is being introduced. The use of digital VFX is becoming more frequent and has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the video acting environment. Now, video actors need to understand and adapt to new technologies in a changing acting environment. However, actors have analog habits, so they lack understanding of new environments, and it is difficult to fully understand and act in digital VFX technology in busy filming loc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acting environment that is changing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VFX technology and study digital acting methods for th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earn about changes in the acting environment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VFX technology and to consider digital acting methods for this. First, we study the production environment of movies and OTT dramas produced using digital VFX technology and learn about changes and difficulties in the acting environment through interviews with a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Based on this, we examine the acting techniques and methods needed for the new environment. Currently, the use of digital VFX technology is becoming more frequent in terms of cost and time savings, and actor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he new environment. Therefore, the conclusion is that actors now need to understand digital technology and new acting methods for digital acting are needed. As a method for this, ‘inner eyes for making videos’, ‘Behavioral Acting Technique’, and ‘animal acting training’ were suggest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help actors who have difficulties on set using digital VFX technology.

      • KCI등재

        가상의 중심을 활용한 배우의 인물 구축 및 연기 테크닉 연구

        김영래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31 No.3

        미하일 체홉의 가상의 중심은 배우의 모든 동작을 위한 인물의 충동이 시작되는 가상의 영역이다. 배 우가 신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특정한 지점을 가상의 중심으로 선택하고 그 중심으로부터 나오는 인물의 심리 충동에 의한 대사와 동작을 통해 연기를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가상의 중심은 연 극 전체를 관통하는 인물의 일관된 정체성이 될 수도 있고, 특정한 장면이나 동작을 위한 인물의 충동이 나 감정이 될 수도 있다. 본 연구자는 체홉이 가상의 중심의 개념을 도입하여 배우의 인물 구축과 연기 테크닉에 새로운 전환점을 제시했다고 본다. 그러나 가상의 중심이 체홉의 저서에서 연기훈련 위주로 서 술되거나 가상의 신체의 부수적인 연기 방법으로 다루어져 이론적 접근이 미진하다는 주장도 있고, 학자 들에 의한 연구도 체홉의 다른 연기 방법에 비해 부족하다. 따라서 가상의 중심을 보편적인 인물 구축 및 연기 테크닉으로 정립하기 위해 이론과 내용을 체계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체홉 의 가상의 중심의 개념, 인물의 충동, 이상적 중심, 인물 구축 과정, 연기 방법, 종류와 효과를 고찰하고 이론을 체계화하여, 배우들의 창조적 연기에 적용할 수 있게 하고자 했다. 특히 인물의 충동의 근원, 인 물 구축과 연기의 3단계 과정, 가상의 중심의 종류 및 연기 효과 분석 등 체홉과 학자들이 언급하지 않은 문제들에 대해서도 독자적인 이론으로 상세히 고찰했다. 가상의 중심을 활용한 인물 구축 및 연기 과정 은 인물 분석, 중심의 결정, 연기 및 중심의 강화과정으로 구분했다. 가상의 중심의 종류는 다수 중심, 반 전 중심, 움직이는 중심, 성질 중심, 외부 중심, 이미지 중심으로 분류했다. 가상의 중심을 활용한 연기의 효과는 인물의 전체적인 성격 구축, 인물의 신체 구조 파악, 배우의 시간과 에너지 절약, 심리와 신체의 통합으로 분석했다. 본 연구자는 가상의 중심이 연극, 영화, 드라마 등 연기 예술의 분야에서 실제 적용 되어 배우의 새로운 연기 스타일 개발과 창조적인 연기 구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Michael Chekhov's Imaginary Center is the imaginary area inside or outside the body where the character’s impulses for all movements originate. It refers to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an actor chooses a specific point as the imaginary center and performs creative acting through words and movements caused by the character’s psychological impulses that originates from it. The imaginary center can be a character's consistent identity that runs through the entire play, or it can be a character's impulse or feeling for a specific scene or movements. This researcher believes that Chekhov introduced the concept of imaginary center and presented a new turning point in the actor's character building and acting techniques. But some argue that the imaginary center is described mainly in Chekhov's book as an acting exercise or as an incidental acting method of the imaginary body, so the theoretical approach and content are somewhat insufficient, and research by scholars is also insufficient compared to Chekhov's other acting technique.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the imaginary center as a universal character building and acting technique, research is needed to systematize its theory and content. In this study, Chekhov's definition of the imaginary center, character's impulse, ideal center, character building process, acting method, and its types and effects were theoretically examined and organized in detail so that it could be applied to actors' creative acting. The problems were also considered deeply on the source of the character's impulse, the three-step process of character building and acting, the types of imaginary center, and the analysis of acting effects that Chekhov and scholars did not mention. The process of character building and acting using the imaginary center is analyzed in terms of character analysis, center determination, and reinforcement of the center and acting. This researcher expects that the imaginary center will help the actor develop new acting style and implement creative acting, applied practically in the field of acting art such as theater, film, and drama.

      • KCI등재

        (인공) 정서 시대의 과학적 정서 이론과 연기 테크닉의 문제 -알바 이모팅 테크닉을 중심으로-

        이강임 ( Lee Gang-im ) 한국드라마학회 2022 드라마연구 Vol.- No.68

        본 논문은 (인공) 정서 시대에, 다양한 사회적 영역에서 수렴적 이슈가 되고 있는 정서와 연기 테크닉을 연구한다. 필자는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가 우리의 실제 삶과 지배적 ‘젠더’ 개념의 틈에서 발생하는 ‘젠더 문제(gender trouble)’를 심층적으로 다루었듯이, 연기 창조 과정과 연기 테크닉 개발에 있어서, 기존 정서 개념과 현상학적으로 우리가 마주하는 정서 ‘사이’에서 발생하는 ‘정서 문제(emotion trouble)’를 다룬다; ‘정서의 소환,’ ‘정서 재현,’ ‘정서 동일화,’ ‘연기자의 감정선,’ ‘정서적 몰입,’ ‘진정성 있는 연기,’ ‘진짜 정서.’ 과학적 정서 이론의 계보를 살펴보면, 정서 개념은 크게, 본질주의적 정서 개념과 구성주의적 정서 개념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에는 내용적 차이가 존재하지만, 폴 에크만(Paul Ekman)과 수잔나 블로흐(Susana Bloch) 등이 속하는데, ‘보편적 기본 정서,’ ‘내재적 신경 다발,’ ‘순수 정서’와 같은 본질주의적 아이디어를 옹호한다. 본질주의적 접근의 특징은 ‘줄무늬 무지개’로 표현되는 확실하고 명확한 구분과 경계로서의 정서 개념이다. 한편, 정서의 구성주의적 입장을 지지하는 리사 펠드먼 배럿(Lisa Feldman Barret)과 마크 브라켓(Marc Brackett) 같은 인지심리 학자들은, 정서를 ‘스펙트럼으로 나타나는 무지개’처럼, 경계가 모호한 다양한 차이로 정의한다. 필자는 정서 문제에 과학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본질주의적 정서 개념을 비판하며, ‘구성’으로서의 정서 개념을 도출하는 배럿의 ‘구성된 정서 이론’을 살펴본다. ‘구성된 정서 이론’에서, 정서는 우리 몸마음의 신경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되며, 감각, 이미지, 사고, 언어 수행과 동시적으로 발생하는 과정이며, 우리 몸마음의 ‘행위’이다. 살아 숨 쉬는 연기자의 몸이, ‘제2의 몸,’ 즉 ‘가상의 몸’을 구성해서 가상 세계를 살아가는 연기 창조 과정에서, 정서는 언제든지 소환해서 불러낼 수 있고, 필요 없으면, 도로 갖다 놓을 수 있는 재현 가능한 그 어떤 것이 아니다. 뇌과학자이자 인지심리학자인 수잔나 블로흐는 본질주의적 정서 개념을 바탕으로, 연기자가 언제든지, 의지하는 대로, 정서를 유도하고, 관객에게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는, 비법 같은 알바 이모팅 테크닉(Alba Emoting Technique)을 제시한다. 필자는 드니 디드로(Denis Diderot)의 역설을 풀 황금 열쇠를 가질 수 있다고 약속하는 것처럼 들리는, 이 알바 이모팅 테크닉을 ‘구성된 정서 이론’의 전망에서 조명한다. 연기자의 가상의 몸에 숨을 불어 넣고 맥박을 뛰게 할 수 있을 만한 강력한 알바 메소드의 정서 효과기 패턴(Emotional Effector Pattern) 훈련은 그 매력만큼이나, 리스크 또한 적지 않다. 그러나, 무엇보다, 알바 이모팅 테크닉은 연기자가 상징적인 기호로서의 얼굴 표정이나, 제스처에 의존할 것이 아니라, 온전히 집중된 몸마음의 생리신체적 접근을 강조한다. 배럿의 구성된 정서 이론의 신경 메카니즘에서 바라보면, 테크닉의 체화는 신체적 근육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우리 세포와, 신경계, 내장을 변화시키는 재체화(reembodiment)이며, 우리 몸마음의 재구성(reconstruction)이다. 필자는 구성된 정서 이론의 입장에서, 알바 이모팅 테크닉의 본질주의적 태도를 비판하면서도, 알바 이모팅 테크닉의 생리신체적 접근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필자는 알바 이모팅 테크닉과 다른 체화 테크닉들, 즉 이미지 체화법, 신체적 행동법, 가상의 몸, 조형술, 뷰포인트 등의 다양한 테크닉들이, 어떠한 기초적 바탕과 원리에서 상호보완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논의한다. In this paper, I deal with ‘emotion trouble,’ in a manner Judith Butler looks at the matter of gender. According to Burtler, we do not inherit gender, but we do perform our gender. Likewise, our emotions are not based on a bunch of neuronal bundles with which we react to our environment. Rather, our emotions are the active simulations of our bodymind from which we can predict our present and future against the harsh environment surrounding us. Truly, the matter of emotion is a converging issue throughout many disciplines and fields. We are witnessing the production of a human-like robot and an autonomous agent in terms of having a human-like artificial emotion. Even for the machines, compassion and empathy are the most valuable ethical grounds. As an acting teacher and a director, I face ‘emotion trouble,’ both in a class and in the theatre. What is an emotion? Or, in the way William James questions, where is an emotion? Why do we so care about our emotions? Why do the actors try hard to get right emotions during the course of storytelling? As a practitioner, how can I approach emotions being described as a spectrum of a rainbow? How can we control our emotions even though we do not know much about our emotions? In this paper, I examine ‘emotion trouble,’ especially, regarding an acting technique, focused on a specific acting technique called Alba Emoting Technique(AET) conceived by Susana Bloch. Against the theory of the constructed emotion, I look into the core system of ATE, Emotional Effector Patterns, which are constituted as triad of breathing, facial-expression, and posture.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new emotion paradigm, I examine the promises and hopes of ATE to unlock the Diderot’s paradoxes, not to reject ATE, but to reconsider the matter of embodiment of emotions from the ground.

      • KCI등재

        배우 박중훈의 연기 패턴 분석 및 인물 표현 방식 연구

        어일선(Il-Seon Eo),정민영(Min-Young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2

        박중훈은 중앙대학교 연극영화과에 진학 후 바로 영화 현장에 뛰어들어 현재까지 영화계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명실상부한 국민 배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그의 연기를 이쯤에서 재조명해볼 필요가 있다고 여겼다. 본고에서는 그의 연기에서 독특한 몇 가지 패턴을 찾아내고, 내면적 연기가 가장 잘 되었다고 평가되는 영화 <내 깡패 같은 애인>에서 동철 역을 중심으로 인물 표현 방식의 개략적인 경향을 분석해보았다. 그의 연기 패턴은 크게 박중훈식 코믹연기, 마초적 남성성의 표현연기, 잘 드러내지 않는 내면의 연기로 구분하였고, 영화 <내 깡패 같은 애인>에서 동철 역의 인물 표현 방식은 엉터리 삼류 깡패 역할부터 착한 내면을 지닌 남성으로 변화되는 캐릭터를 완벽하게 소화해 내는 그의 연기 기술을 분석해보았다. 아울러 불가능한 거리감을 가능하게 만드는 그만의 연기 기술도 찾아내 보고자 했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많은 영화배우들의 다양한 인물 표현 방식 연구와 그들의 훈련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하고 싶으며, 이를 통해 많은 배우들의 연기 훈련에 있어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Park Jung-hoon started his acting career in movie since undergraduate year at Chungang University, Drama and Cinema school, and till now he is a very active and nationally beloved actor in Korea. However, to this day there isnt any study about him, so this study might be the right time to take a look at his acting style again..This report will find and review his distinctive patterns in acting, and roughly assess the character expression from character, Dong-chul, in the movie, My Dear Desperado; which has been evaluated as the best movie to show the inner side of character. His acting pattern is segmented by 3 parts; Park Jung-hoon style comical acting, expression of macho side of masculinity, and subtle inner emotion expression acting. Then his acting technique is analyzed from character Dong-chul in the movie, My Dear Desperado, which he acted out change in character from low-class nonsense gangster to a good-hearted man flawlessly. In addition this report will try to find his acting technique that made impossible distance between the characters possible.This study hopes to start and continue other studies that discuss many movie actors and actresses different character expression method and their training technique, also wish many actors and actresses could find helpful in their acting training.

      • KCI등재

        『나띠야 샤스뜨라』의 현대적 활용에 대한 방향성 고찰 -표정연기술을 중심으로-

        안재범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2

        This researcher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Nātya śāstra』 acting techniques focused on body expressions and sought to utilize it as training method for modern actors. 'Body postponement as a symbol' is a key characteristic of 『Nātya śāstra』 acting techniques, and each facial expression, gesture, and movement performed by an actor has a specific meaning. Therefore, the study on『Nātya śāstra』 has been treated as a major study mainly in the non-realistic expression style or the body-centered acting theory. Therefore, a study on 『Nātya śāstra』 acting techniques was mainly dealt with as a major research subject in the nonrealistic expression style or body-centered acting theory.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the utilization plan of actor training, which can be usually used in realistic plays as well as non-realistic plays. According to psychologists such as Damasio and Eckman, internal impulses can also be triggered through expressions and actions associated with emotions. In addition, not only acting through the actor's inner impulse, but also expression of the actor's faithful external emotion can trigger the emotion of the audience. Such a case can be a psychological basis that 『Nātya śāstra』 acting techniques, which defines rasa and expresses it physically, can be used as a methodology to enhance inner truth. Therefore, the study on the actor training utilizing ing 『Nātya śāstra』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approach in the study of contemporary acting theory which intends to integrate inner impulse and external expression. 본 연구자는 신체 표현 중심의 『나띠야 샤스뜨라』 연기술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현대 배우의 훈련방법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기호로서의 신체 연기’는 『나띠야 샤스뜨라』 연기술의 주요한 특성으로써 배우가 행하는 각각의 표정, 제스처, 움직임은 특정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그동안 『나띠야 샤스뜨라』 연기술에 관한 연구는 주로 비사실주의적인 표현 양식 혹은 신체 중심의 연기론 분야의 주요한 연구대상으로 다루어졌다. 반면 본문은 비사실주의 연극뿐만 아니라 사실주의 연극에서도 통용될 수 있는 배우훈련의 활용방안에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다마지오나 에크만 등의 심리학자에 따르면 정서와 결부된 표정 및 행위를 통해서도 내적 충동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배우의 내적 충동을 통한 연기뿐만 아니라 배우의 충실한 외적 정서 표현 역시 관객들의 정서를 촉발할 수 있다. 이러한 사례는 라사를 규정하고 신체적으로 표현하는 『나띠야 샤스뜨라』 연기술을 내적 진실을 고양하는 방법론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심리학적 근거가 될 수 있다. 따라서『나띠야 샤스뜨라』를 활용한 배우훈련에 관한 연구는 내적 충동과 외적 표현을 통합적으로 지향하는 현대 연기론 연구에서 효과적인 하나의 접근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에이젠슈테인의 영화연기론

        조성덕(Chough, Song-Duk),김종국(Kim, Jong-Guk)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6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5

        이 글은 러시아 몽타주로 유명한 에이젠슈테인(Sergei Eisenstein)의 영화연기론을 분석한다. 기존의 논의에 의하면, 그는 컷 액팅(cut acting)과 같은 개념을 통해 심리적 사실주의 연기를 지양한다. 에이젠슈테인은 컷 액팅의 의미를 숏으로 분절된다는 것으로 설명함으로써, 몽타주와 같은 방식으로 이해한다. 연결 몽타주의 푸도프킨이 스타니슬라프스키의 연기론과 연관된다면, 충돌 몽타주의 에이젠슈테인은 마이어홀드의 연기론과 관계된다. 이 글은 에이젠슈테인이 자신의 몽타주론을 설명하는 곳곳에서 제기한 연기 및 배우에 관한 관점을 추적한다. 에이젠슈테인이 저술한 글들을 모은 『영화감각Film Sense』(1942)과 『영화형식Film Form』(1949)을 중점적으로 고찰한다. 국문과 영문 중심의 국내외 문헌을 검토한 결과, 에이젠슈테인의 영화연기론을 분석한 논의가 매우 적다. 거의 대부분이 몽타주론에 집중되어 있고, 그 가운데 연기에 관한 언급이 극히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에이젠슈테인이 제시한 컷 액팅과 전형화의 개념, 있는 그대로의 생생한 감정을 표현하고 유발하는 배우의 내적 기법과 과정, 내적 언어의 하나로서 다양성 속의 총합을 이루는 연기 등은 현대영화의 창작과 사례 분석에 유용한 개념들이다. 특히 에이젠슈테인의 몽타주 기법을 가장 직접적이고 인상적으로 만날 수 있는 만화, 웹툰, 애니메이션의 창작 과정에 그의 매체 연기론을 적용할 수 있으며, 분석을 위한 수많은 관련 사례들을 찾아볼 수 있다. 이것이 지난 에이젠슈테인의 영화연기론을 되짚어보는 이유이며, 논의의 결과물들은 관련 연구의 파생을 위한 충분한 토대가 될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Sergei Eisenstein"s acting theory, which is famous for his Russian montage. According to the existing discussions, he avoids the psychological realism through the concept of cut acting. It is a method like montage from the viewpoint that the practice of the cut action is segmented into shots. While Vsevolod Pudovkin, who asserts a connection montage, is looking for performance to portray a gradual change of emotion adopted by Konstantin Stanislavsky"s psychological realism, Eisenstein prefers the acting of Vsevolod Meyerhold"s masks in the same manner as the collision montage. This article traces the viewpoints on acting and actor that Eisenstein posed throughout his montage theory. It focuses on Film Sense(1942) and Film Form(1949), which are a collection of articles written by Eisenstei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s centering on Korean and English, it is hard to find the discussions on the analysis of Eisenstein"s acting theory. Almost all of them are concentrated in his montage, among which the mention of acting is extremely limited. The cut acting, the typage, the inner techniques and processes of actor that express and induce the living emotions, and the acting of the integrating into diversity as one of the inner language are useful concepts in the creation and case analysis of contemporary films. Especially, his acting theory can be applied in the creation process of cartoons, webtoons, and animations which can meet the most decisive and impressive montage technique of Eisenstein. It is also possible to find many related cases for the analysis. This is why I look back on Eisenstein"s film acting theory, and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will be a sufficient foundation for the derivation of related research.

      • KCI등재

        Tissue-Clearing Technique and Cutaneous Nerve Biopsies: Quantifcation of the Intraepidermal Nerve-Fiber Density Using Active Clarity Technique-Pressure Related Efcient and Stable Transfer of Macromolecules Into Organs

        김대현,이세정,이은수,홍지혁,서수홍,안효현,김병조,선웅,유임주 대한신경과학회 2019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Vol.15 No.4

        Background and Purpose Cutaneous nerve biopsies based on two-dimensional analysis have been regarded as a creditable assessment tool for diagnosing peripheral neuropathies. However, advancements in methodological imaging are required for the analysis of intact structures of peripheral nerve fbers. A tissue-clearing and labeling technique facilitates three-dimensional imaging of internal structures in unsectioned, whole biological tissues without excessive time or labor costs. We sought to establish whether a tissue-clearing and labeling technique could be used for the diagnostic evaluation of peripheral neuropathies. Methods Five healthy individuals and four patients with small-fber neuropathy (SFN) and postherpetic neuralgia (PHN) were prospectively enrolled. Te conventional methods of indirect immunofuorescence (IF) and bright-feld immunohistochemistry (IHC) were adopted in addition to the tissue-clearing and labeling method called active clarity technique-pressure related efcient and stable transfer of macromolecules into organs (ACT-PRESTO) to quantify the intraepidermal nerve-fber density (IENFD). Results Te mean IENFD values obtained by IF, bright-feld IHC, and ACT-PRESTO in the healthy control group were 6.54, 6.44, and 90.19 fbers/mm 2 , respectively; the corresponding values in the patients with SFN were 1.99, 2.32, and 48.12 fbers/mm 2 , respectively, and 3.06, 2.87, and 47.21 fbers/mm 2 , respectively, in the patients with PHN. Conclusions Tis study has shown that a tissue-clearing method provided not only rapid and highly reproducible three-dimensional images of cutaneous nerve fbers but also yielded reliable quantitative IENFD data. Quantifcation of the IENFD using a tissue-clearing and labeling technique is a promising way to improve conventional cutaneous nerve biopsies.

      • KCI등재

        민속기술의 인지적 양상과 의례적 성격 -조선후기 한글 음식방문⋅주방문 연구-

        홍서연 국립민속박물관 2011 민속학연구 Vol.0 No.28

        The recipe collections written in han’gul during the late Choson period in Korea provide rich informations on a certain type of knowledge obtained from the sensory experiences of the actors who practice folk techniques. These details are rarely found in other source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the principal written language of the Choson society. The folk techniques related to preparing food and rice wine have to be approached as a material culture including not only artifacts but also systems of knowledge and action involved in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se artifacts. Based on the philological work on ten manuscripts and one xylograph, this study analyze processes involving fermentation, which leads to the analysis of the “logic of observation”, base of the “tacit knowledge” combined with culinary processes. Instead of explicit knowledge of the principle, it is the observation that has allowed actors to proceed between different stages of culinary processes. On the other hand, the observation as a cognitive process has been structured by “logic of resemblance” and “logic of discovery”, both found in identifying and classifying material objects by means of naming. In many cases, the act of folk techniques is not separated from the knowledge obtained concurrently with this act. The investigation on the purification practices shows that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its material function and its symbolic function in the act of folk techniques. The act of magic in purification practices is located on the connection of ritual and technical processes. As Marcel Mauss mentioned, the act of techniques does not follow the “judicial precedent” provided by experiences and, in this point, is a creative process. Thus, it differs from conventions and is not kept distinct with ritual acts which are also creative. This research reveals that “natural reason” and “ritual reason” are integrated in the act of folk techniques, and proposes to approach the material culture by way of explicit knowledges,social representations and internalized co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