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DB 프레임워크에 근거한 2015 개정 통합사회, 통합과학 과목의 성취기준 분석

        이광우(Kwang-Woo Le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9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통합사회, 통합과학 교과의 성취기준을 KDB 프레임워크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교과 교육과정 성취 기준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는 것이다. KDB 프레임워크는 교육과정 분석의 틀로, ‘학습자들이 알아야 하는 것’(Know, 지식), ‘수행할 수 있어야 하는 것’(Do, 기능),‘학습자들이 되었으면 하는 것’(Be, 태도·신념·행위)을 분석의 기준으로 삼는다. 분석 결과 KDB 관점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통합사회, 통합과학 교과의 성취기준은 ‘아는 것’과 ‘하는 것’으로 초점화 되어있고, ‘되는 것’과 관련된 성취기준은 상당히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통합사회의 경우, ‘하는 것’과 관련된 진술은 ‘파악하기’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조사하기’, ‘탐구(탐색)하기’, ‘제안(제시)하기’, ‘이해하기’, ‘설명하기’ 등으로 진술되고 있었다. 통합과학의 경우, ‘하는 것’에 대한 진술은 ‘추론하기’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이해하기’, ‘토의․발표하기’ ‘설명하기’, 분석하기, 평가하기, 해석하기 등으로 표현되고 있었다. ‘되는 것’에 대한 성취기준은 통합사회의 경우 성취기준 29개 중 3개의 성취기준에서 제시되고 있으며, ‘성찰하기’, ‘태도갖기’로 표현되고 있었다. 통합과학의 경우 32개의 성취기준에서‘되는 것’과 관련된 성취기준은 전혀 제시되지 않고 있었다. 분석 결과를 고려해볼 때, 향후 교과 교육과정 성취 기준 개선을 위해 성취기준 진술에서 ‘아는 것’, ‘하는 것’, ‘되는 것’ 간의 균형성에 대한 검토’, ‘성취기준에 표현된 ‘하는 것’의 진술 수준에 대한 검토’, ‘성취기준의 ‘하는 것’의 진술 구조에 대한 검토’, ‘학습자의 능동적인 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성취 기준의 진술’, ‘교과 교육과정 개발 시 성취기준 진술의 중요성 인식’등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a implication deduction for improvement of subject curriculum by analysis of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and Integrated Science in 2015 revised curriculum through KDB Frame Work. KDB Frame Work was curriculum analysis frame that consisted of Know(knowledge), Do(skill), Be(attitude·belief·action). Based on analysis result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and Integrated Science, achievement standard of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and Integrated Science was consisted of ‘know’ and ‘do’ generally, there is insufficiency of ‘be’ in achievement standard. In Integrated Social Studies, grasp was most often appeared in statement related ‘Do’ and investigation, inquiry, suggestion, understanding, explain was followed. In case Integrated Science, inference was most often appeared in statement related ‘Do’ and understanding, dicussion·report, explain, analysis, evaluation, interpretation was followed. In Integrated Social Studies, statement related ‘Be’ was appeared on 3 achievement standards of 29 achievement standards, its achievement standards was stated in reflection, having attitud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integrated science was consisted of 32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re is no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Be’ of 32.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to improve achievement standards of subject curriculum in future, this study proposed the need of the review of balance between ‘Know’, ‘Do’, ‘Be’ in statement of achievement standard, the review of statement level of ‘Do’ in achievement standard, the review of statement structure of ‘Do’ in achievement standard, the statement of achievement standard to induce student’s positive activity, the recognition of impotance on statement of achievement standard in curriculum development.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제시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황현미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on statement form of the achievement standard of the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order to analyze the achievement standard, the elements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principles of statement forms for achievement standard were extracted. The elements of achievement standards are composed of the core elements and the support elements. The principles of statement forms for achievement standard are composed of clarity, consistency and concretio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inciple of clarity is to clearly present the core elements and the support elements in achievement standard. The clarity of the statements was generally higher level. Because ‘learning elements’ of achievement standards are clearly presented in the 2015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curriculum. Second, the principle of consistency is to consistently present the core elements and the support elements in achievement standard. The consistency of the statements was generally lower level. The method of statement forms for the core elements and support elements was investigated in four categories. The various methods of statement forms can interfere with teacher’s curriculum reading. Third, the principle of concretion is to provide a educational contents of high-quality over the core elements and the support elements. The concretion of the statements was generally lower level. The achievement standards that have no description and the statement include only the core elements were investigated as 33%. It means that the lack of the information for the curriculum making. 이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제시 방식의 문제점과개선 방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사의 교육과정 구현에 필요한성취기준 요소 및 제시 원리를 추출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성취기준 진술의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구현에 필요한 성취기준 요소는 국어과 교육의 특징을 토대로 핵심요소와 지원 요소로 추출하였고 성취기준 제시 원리는 명료성, 일관성, 상세화로제시하였다. 성취기준 제시 원리를 기준으로 성취기준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명료성은 성취기준의 핵심 요소와 지원 요소를 명확히 제시하는 것으로분석 결과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5 개정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은 성취기준에 ‘학습 요소’를 별도로 제시하고 있다. 이것을 기준으로 핵심 요소와 지원 요소를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명료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 ‘학습 요소’를 진술하는 방식의 명확성과 통일성, 그리고 ‘학습 요소’ 내용의 타당성에 대한 검토가필요하다. 둘째, 일관성은 성취기준의 핵심 요소와 지원 요소를 하나의 방식으로 일관되게진술하는 것으로 분석 결과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5 개정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는 4가지 진술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교사의 가독성을 낮추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교사의 가독성을 위해서는 성취기준 제시 방식을 통일할필요가 있다. 셋째, 상세화는 성취기준의 핵심 요소와 지원 요소를 통해 양질의 교육 내용을제공하는 것으로 분석 결과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취기준 82개 중 33%는 해설이 없고 진술문에도 핵심 요소만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성취기준 제시 방식은교사의 교육과정 상세화를 어렵게 만든다. 향후 교육과정은 개별 성취기준의 핵심요소와 지원 요소가 성취기준 진술문이나 해설을 통해 확보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 회계원리 국가수준 성취기준과 평가문항의 적합도에 관한 연구

        이기형 한국상업교육학회 2008 상업교육연구 Vol.21 No.-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직업탐구영역이 신설 되어 처음 실시된 이래 올해로 5회째 실시를 맞이하게 된다. 탐구영역에 도입된 직업탐구영역은 동일계 특별전형 입시제도와 더불어 진국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4년제 대학진학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직업탐구영역의 역사에 비해 평가문항의 완성도는 급속하게 향상되어 여타 탐구영역의 평가문항과 완성도를 비교하여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질적으로 좋은 문항들이 출제되고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은 이원분류표상 행동영역 측면에서 피험자들의 종합적인 사고능력을 평가 ․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목적을 이룰 수 있는데 적절한 평가문항들이 출제되고 있다. 반면에 내용영역 측면에서 직업탐구영역의 평가문항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 적합하고 학교 현장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는 국가수준 성취기준에 얼마나 부합되는가를 검토해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회계원리의 국가수준 성취기준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의 회계원리 평가문항의 내용영역을 비교하여 양자 간의 부합정도를 분석할 수 있는 적합도를 분석한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직업탐구영역 회계원리 평가문항에 대한 출제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회계원리의 국가수준 성취기준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의 평가문항 내용영역 적합도는 91.7%로 비교적 높게 나타남으로써 국가수준 성취기준을 잘 반영하여 출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품과 관련된 성취기준을 평가 측정하는 평가문항은 20문항 이상인데 비하여, 결산과정을 포함한 총 12개의 성취기준은 한 개의 평가문항도 출제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회계원리 과목의 평가문항이 국가수준 성취기준을 좀 더 고려하여 출제가 이루어지도록 평가문항 출제지침이 수정․보완되어야 하며, 출제위원들에게 이러한 점을 주지하도록 사전교육을 실시하여 보다 질 높은 양질의 평가문항이 출제되도록 힘써야 한다. 이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가장 적합한 방법은 국가수준 성취기준과 평가문항 출제 내용영역간의 적합도를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나가는 것이다. 끝으로 적합도 분석의 시사점을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It is the 5th examination this year since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has been newly created at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xamination in 2005.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introduced in the research field is greatly helpful for the national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o go on to 4-year universities. Also, the completion of evaluation questions has been rapidly improved in comparison to the history of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so it stands comparison with other evaluation questions of other research fields.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of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xamination is to evaluate․measure the general thinking power of examinees in the aspect of behavior field on the dual classification table so proper evaluation questions are presented to accomplish this object.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uitability of the evaluation questions in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to the achievement standard at the national level to be proper on the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and to contribute to the normalization of school education. This study compares the national-level achievement standard of accounting principle with the content field of accounting principle question in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of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xamination and analyses the suitability to assay their coincidence for this object. Through this study course, I propose the plan to improve evaluation questions of accounting principle in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As a research result, the suitability of the national-level achievement standard of the accounting principle and the question content field of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in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xamination is relatively high to be 91.7%, which showed that the questions are properly presented by reflecting the national-level achievement standard. However, while the number of questions to evaluate the achievement standard related to products is 20 questions, no question on 12 achievement standards including accounts procedures. Therefore, the guide to give questions should be modified․complemented to consider more national-level achievement standard in the evaluation questions of accounting principle subject, and prior training should be carried out for examiners to understand it so they can make evaluation questions of higher quality. As a remedy, it is necessary to exert efforts to consistently improve the coincidence of the national-level achievement standard and the question content field. Terminology: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xamination, occupational research field, accounting principle, achievement standard, evaluation questions

      • KCI등재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 기준 분석

        이현숙(Hyeon-Suk Lee),강현석(Kang Hyeon-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국어과 성취 기준을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분석하는 데 있다. 2007 개정 국어 10학년 성취 기준은 29개, 2009 개정 국어Ⅰ과 국어Ⅱ의 성취 기준은 각각 15개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 교육과정은 ‘절차적 지식을 적용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개념적 지식을 이해하다’로 분류된 성취 기준의 수가 가장 많았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국어Ⅱ는 국어Ⅰ의 연계 과목으로서 위계성을 지녀야 하지만 국어Ⅱ가 국어Ⅰ에 비해 심화된 내용을 담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셋째, 국어과 내용 영역을 분석해보면 특정 영역에서의 편중 현상이 드러났다. 넷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하나의 성취 기준에 2개 이상의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요구하는 성취 기준이 증가하여 교육 내용의 감축, 성취 기준의 축소가 실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섯째, 성취 기준에 사용된 동사를 분석하였을 때 명사와 동사의 구분이 모호한 부분이 많았다. 여섯째, 성취 기준에서 일부 동사의 사용 비중이 높고 의미가 매우 모호하여 성취 기준을 정확하게 이해하기가 어려우며, 해설서로도 보완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학습자의 고른 발달을 위해 다양한 범주를 반영한 성취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며 교사는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타당한 수업목표로 재조직해야 한다. 또한 교사가 성취 기준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성취 기준의 진술이 보다 명확해야 하고 해설서를 통해 포괄성과 모호함을 보완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29 achievement standards in High School Korean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the 15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n I and the 15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n II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high school Korean subject based on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apply procedural knowledge’ in Korean for the 10thgrade accounts for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understand conceptual knowledge’ in Korean I and Korean II for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Second, Korean II should have hierarchical properties as an associate subject with Korean I. But it is difficult to admit that the latter has more profound contents than the former. Third, in the grammar section, most achievement standards are in the understand category. Fourth, the 2009 version has increased number of achievement standards that require more than one dimensions of knowledge and of cognitive course for each item, and no substantial re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are implem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the whole achievement standards. Fifth, the analysis of verbs used for the achievement standards reveals that there are a lot of parts in which the distinction between nouns and verbs is vague. Sixth, it is difficult to exactly underst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as they contain a high frequency of the occurrences of some verbs and have very vague meanings. In order to help learners acquire various pieces of knowledge and broadly develop a cognitive course, we are required to provide achievement standards reflecting diverse categories. Teachers also by themselves should not apply those achievement standards concentrated on only some categories, but need to make efforts to precisely understand the intention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consider learners’ levels to reorganize class goals.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의 정취 기준에 대한 비판적 연구 -2007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남호 ( Nam Ho Lee ),조혜숙 ( Hye Sook Jo ),남궁민 ( Koong Min Na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2 한국어문교육 Vol.11 No.-

        2007 개정 교육과정은 교육 내용으로 ``성취 기준`` 올 전면에 내세운 것이 가장 큰 변화였다. 이러한 성취 기준은 국정에서 검정으로 변환된 국어 교과서 개발에 있어서 절대적 기준이 되었다. 이 논문은 연구자들이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검정 교과서 개발에 함께 참여하면서 얻게 된 문제 의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성취 기준을 비판한 내용을 담고 있다. 성취 기준은 세 관점으로 나누어 비판할 수 있었다. 첫째, 성취 기준 전반 적으로 나타나는 문제, 둘째, 개별 성취 기준의 문제, 셋째, 성취 기준들의 상 관성 문제가 그것이다. 성취 기준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문제는 개수, 범위, 반복의 문제였다.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83개의 성취 기준아 설정되어 있는데, 이는 매 학년 27-28개의 성취 기준을 교과서에 구현하도록 되어있는 것으로 이는 과다하다고 보인다. 또한, 일부 성취 기준은 그것의 교육 내용이 지나치게 광범위하거나 소략햐여 대등하게 존중하며 교과서의 단원으로 구현하기에 적정하지 않았다. 그리고 비슷한 내용이 심화되어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 반복되는 문 제가 있었다. 개별 성취 기준은 때로 그 위계와 수준이 학령에 적절하지 않았으며, 교육 내용을 구체적으로 구현하는데 있어 적절하거나 타당성이 부족하다고 보이 는 것들이 있었다.2007 개정 교육과정은 ``통합`` 올 강조한 것이 또 다른 특징으로, 영역별로 통 합을 하여 단원을 구성하도록 하도록 하여, 억지스러운 단원 구성의 문제가 생기기도 하였다. 이는 성취 기준 설정에서 애초 나눌 필요가 없는 것을 나누어 놓았거나 지나치게 세분화하여 생기는 문제이기도 하였다. 무엇보다, 일부 성취 기준이 지엽적이거나 특수한 상황을 강조하여 보편적 언어 능력 신장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점은 큰 문제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이 2007 개정 교육과정 국어과 성취 기준의 문제점을 세 가지 관 점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일곱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그라나 보다 세 심한 반성적 검토가 필요한 것은 성취 기준의 내용들이나 그것들의 합이 국어교육의 목표에 실질적으로 부합하느냐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 지적한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에 대한 비판적 검토의 내용이 향후 교육과정과 국어 교육을 조감하는데 디딤돌이 되기를 바란다. It was the prominent change that ``achievement standards`` were presented in 3337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had taken an important role as a canon or norm in textbook writing because textbooks in which ``achievement standards`` art well embodied were successfully approved Writers who had taken pad in writing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2007-2010 had critical minds about 3X17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is basal on the criticism which arose among the textbook writers. Criticisms about 2007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are mainly focused on ``achievement standards`` of middle school grade. The problems on ``achievement standards`` can be analysed into three aspects, 1) Whole problems 2) Individual problems 3) Interrelational problems. This study also found out 7 problems in detail. 1) There are too irony ``achievement standards`` that should be accomplished in one grade 2) In some cases, ``achievement standards`` are so wide or narrow that they can`t be well implemental in the learning contents. 3) Some ``achievement standards`` are presented repeatedly. 4) Some ``achievement standards`` are not relevant to the target level or grade. 5) Some ``achievement standards`` aren`t appropriate because they am too simple to be learned as knowledge. 6) The enforcement of unification between spheres (speaking, listening, reading, writing, literature, grammar) led to unnatural textbook units. 7) The achievement standards` which aim to learn specific skills am riot helpful in improving general Korean language abilities. It was pointed as the most serious problem. The criticism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developers with guidelines for constructing better curriculums.

      • KCI등재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중학교 교육과정 성취기준별 성취 특성 분석

        이재봉,구자옥,최원호,심규철,신명경 한국과학교육학회 202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o generate implications for curriculum impro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2015-2018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we analyzed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y of 84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analysis, we used representative item information by achievement level and correct answer rate and checked the validity of the determination of master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15 of the 84 achievement standards could not determine the degree of achievement. In science, many achievement standards could be mastered only by above-average group students. By achievement level, there were six achievement standards that advanced achievement-level students did not achieve, 38 achievement standards judged to represent mastery by advanced achievement-level students, 23 achievement standards judged to represent mastery by proficient achievement-level students, and two achievement standards judged to represent mastery by basic achievement-level students. By content area, the number of achievement standards corresponding to advanced and proficient levels was similar in the areas of motion and energy and earth and space domains. In the material and life domains, there were more achievement standards corresponding to advanced level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customize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relation to achievement standards that were under-achieved.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학생들의 학업성취 특성을 분석하여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시행된 2015∼2018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 과학과 교육 과정 성취기준 84개에 대한 숙달여부를 성취수준별(우수학력, 보통학 력, 기초학력 등)로 분석하였다. 분석에서는 성취수준별 대표문항 정보, 정답률 등을 활용하고, 포커스 그룹을 이용하여 숙달여부 판정에 대한 타당성을 점검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84개의 성취기준 중에 숙달여부를 판정할 수 없는 성취기준은 15개였다. 성취수준별로 보면 우수학력도 숙달하지 못한 성취기준은 6개였으며, 우수학력 학생까지 숙달한 것으로 판단된 성취기준은 38개, 보통학력 학생까지 숙달한 것으로 판단된 성취기준은 23개, 기초학력 학생까지 숙달한 것으로 판단된 성취기준은 2개였다. 우수학력도 숙달하지 못하였거나 우수학력 학생들만 숙달한 성취기준이 전체 성취기준의 절반 이상이므로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이해도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 하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운동과 에너지,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는 우수학력과 보통학력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의 개수가 비슷하였으나, 물질과 생명 영역에서는 우수학력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이 가장 많았고 특히 생명 영역에서는 거의 대부분이 우수학력에 해당하였다. 우수학력 학생들도 성취하기 어려운 6개의 성취기준은 대부분의 학생이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수준까지 도달하기 어려운 내용이므로 교육과정에서 관련 내용을 조정하거나 학생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보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Hauenstein의 교육목표 분류학에 따른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중학교 정치영역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분석

        김태수(Kim Tae 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중학교 정치영역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Hauenstein의 교육목표 분류학’을 활용하여 중학교 정치영역의 성취기준 9개와 평가기준 27개에 포함된 60개의 문장을 분석하였다. 성취기준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영역 차원에서는 ‘인지적 영역’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정의적 영역’이 있다. 성취수준 차원에서는 ‘2.0 동화’가, 문장 진술에 사용된 동사에서는 ‘이해한다’가 가장 많다. 평가기준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영역 차원에서는 ‘인지적 영역’만 있다. 성취수준 차원에서는 ‘2.0 동화’가, 문장 진술에 사용된 동사에서는 ‘설명할 수 있다’가 가장 많다.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문장에 진술된 동사가 일정한 규칙 없이 한 개의 동사가 하나의 성취수준 또는 여러 수준으로 사용되고, 다른 동사와의 관계에도 위계가 없어서 문장 분석을 어렵게 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개발과 관련해서 다양한 영역(인지⋅정의⋅심동) 포함하기, 학교급별 학생 발달 정도와 교과별 특성을 반영하여 성취수준 정하기,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에 사용되는 동사의 기준 제시하기,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정합성 높이기를 제안한다. This study aimed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by analy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in middle school political domain. By using “Hauenstein 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60 sentences included in 9 achievement standards and 27 assessment standards in the middle school political domai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showed that ‘cognitive domain’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affective domain’ in the domain level. ‘2.0 assimilation’ was the most common in the achievement level, and ‘understand’ was the most common verb used in sentence statements. Nex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ssessment standards showed that there was only the ‘cognitive domain’ at the domain level. Also, ‘2.0 assimilation’ was the most common in the achievement level and ‘can explain’ was the most common verb used in sentence statements. The verbs in the sentences of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make sentence analysis difficult, because one verb is used at one achievement level or multiple levels without a certain rule and other verbs have no hierarchical relationship.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reflects the level of student development by school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including various areas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By doing so, this study proposes the determination of achievement level, the standards of verbs used in the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and increasing the consistency of the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 KCI등재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과와 가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능’과 ‘성취기준’ 비교 분석

        김은경(Kim, Eun Kyung),이영선(Lee, Young Sun),감경원(Gham, Kyoung Won),차지혜(Cha, Ji Hye),박미정(Park, Mi Jeong)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능’과 ‘성취기준’을 가정과 교육과정과 비교 분석하여 차기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5 개정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을포함한 14개 교과의 ‘기능’과 ‘성취기준’을 키워드 네트워크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의 ‘기능’에서는 ‘분석, 활용, 표현’이 연결 중심성과 위세 중심성이 모두 높은 핵심적인기능 키워드로 나타났다. 둘째,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서는 ‘이해, 설명, 표현, 분석, 활용’의 기능형키워드가 높은 빈도로 등장했고, 실천적 문제해결 능력과 연관이 있는 ‘실천, 문제해결, 탐색, 추론’ 등이 출현했다. 위세 중심성이상대적으로 높은 ‘감상, 해결, 실현’은 ‘성취기준’에서 사용된 핵심적인 기능형 키워드로 확인되었다. 셋째, 2015 개정 중학교가정과 교육과정의 ‘기능’과 ‘성취기준’의 연관성을 비교한 결과, 실과(기술·가정)의 기능 키워드 15개 중에서 7개가 가정과‘성취기준’의 기능형 키워드에 사용되지 않아 ‘기능’과 ‘성취기준’의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과 비교하였을 때 ‘성취기준’에 활용된 기능형 키워드의 다양성도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차기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기능’과 ‘성취기준’의 연계성 강화와 ‘분석, 표현, 비교, 이해, 해석, 탐구, 감상, 해결’ 등의다양한 기능(형) 키워드 활용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xt home economics curriculum by comparingthe ‘function’ and ‘achievement standard’ presented in the 14 subjects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common curriculum with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For this,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unction’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common curriculum, ‘analysis, use, and expression’ were found to becore function keyword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and the Eigenvector Centrality. Second, the functional keywords ‘understanding,explanation, expression, analysis, and use’ in the ‘achievement standard’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common curriculum appearedwith high frequency, and ‘practice, problem-solving, search and reasoning’ which are related to practical problem-solving ability appeared. It was confirmed that ‘appreciation, solution and realization’, which have relatively high Eigenvector Centrality, were core functionalkeywords us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 Third, when the ‘function’ and ‘achievement standard’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home economics curriculum were matched and compared, 7 out of 15 functions were not used in the statement of ‘achievement standard’,so the connection between ‘function’ and ‘achievement standard’ appeared to be insufficient. In addition, the diversity of functionalkeyword us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 was also found insufficient when compared to the middle school common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propose strengthening the connectivity of ‘function’ and ‘achievement standard’ in the next home economicscurriculum, using keywords such as ‘analyze’, ‘express’, ‘compare’, ‘understand’, ‘interpret’, ‘explore’, ‘appreciate’, and ‘solve’.

      • 역량의 총체성에 기반한 2022 개정 사회과와 과학과 성취기준 분석

        이동건 ( Lee Dong Geon ) 대경교육학회 2023 교육학논총 Vol.44 No.0

        역량의 총체성은 역량 함양 교육과정을 담보하는 요건 중 하나이다. 2022개정 교육과정은 역량 함양 교육과정을 표방하였기에 역량의 총체성을 구현하기에 타당하고 적합한 모습으로 개발되었는지 분석해 볼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량의 총체성이 지니는 의미를 규명하고, 이를 적용하여 2022 개정 초등 사회과와 과학과 성취기준을 분석하며, 분석 결과에 대한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의 총체성은 ‘역량이 구성 요소들의 총화 이상으로 작동하는 성질’로 규정될 수 있다. 역량의 총체성이 지니는 세 가지 측면은 망라성, 연결성, 맥락성으로 도출할 수 있다. 둘째, 사회과의 일반 사회영역을 제외한 타 영역과 과학과의 모든 영역은 역량의 총체성이 지니는 세 가지 측면이 모두 잘 투영되어 성취기준이 개발되었다고 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향후 역량의 총체성 구현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안 등 역량 함양 교육과정과 관련된 다양한 후속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totality of competency as a requirement of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to analyze social studies and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based on this criter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totality of competency can be defined as ‘the characteristic of competency operating beyond the aggregation of its constituent components’. The three aspects of the totality of competency are inclusiveness, connectedness, and contextualization. Concerning the implementation of totality of competency in the social studies and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the study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when analyzed based on inclusiveness, both subjects' achievement standards include most components related to knowledge/understanding and processes/skills, while the components related to values/attitudes have relatively lower representation. As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ims to cultivate holistic individuals by considering not only knowledge and skills but also in-depth factors such as values and attitudes, it is necessary to further incorporate the aspects of values and attitudes in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Secondly, when analyzed based on connectedness, it was found that only a portion of the overall achievement standards exhibited a closely interconnected structure, incorporating all three categories of competency. To achieve a high level of connectedness, it is necessary to balance the inclusion of categories of competency and to consider their interconnections. Furthermore, it was evident that the implementation of connectedness varied across sub-disciplines within the same subject. Considering that both social studies and science are broad-fields curriculum which requires the consistency among sub-disciplines, there is a need for consistency in the development of sub-disciplines in order to implement the totality of competency. Lastly, when analyzed based on contextualization, some achievement standards lacked practical guidelines to assist teachers in implementing contextualization based on these standards. Practical guidelines broaden teachers' discretion, support the diversity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enhance teachers' autonomy as designers of the curriculum. Therefore, improvement and supplementation are needed for som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s they do not provide guidelines for implementing contextualization. Summariz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totality of competency across subject areas, achievement standards of social studies were developed to a certain extent to achieve the totality of competency, with the exception of the ‘history’. Specifically,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general social studies’ fulfilled inclusiveness, connectedness, and contextualization to a high degree. In the case of science, while contextualization in the ‘science and society’ was achieved, inclusiveness and connectedness were not fulfilled to a high degree. Other areas, albeit not at a significantly low level, did not fully satisfy inclusiveness, connectedness, and contextualization. Consequently, It is difficult to claim that areas other than the ‘general social studies’ domain fully reflect and incorporate all three aspects of the totality of competency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redefining the aspects of the totality of competency and analyzing the degree and characteristic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totality of competency in the social studies and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various subsequent studies related to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such as analyzing other subjects based on the totality of competency and suggesting approaches for implementing the totality of competency in curriculum development.

      • KCI등재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변화의 특성 분석

        김현미,신항균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20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the cont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To this end,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revision period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s successive achievement standard, extinctive achievement standard, and additive achievement standard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Until now, the structure of the elementary mathematics achievement standards has been changed in various ways but, since the 7-th revision, it has been stabilized with the changes where the portion of the successive achievement standard has occupied the highest portion in all areas. Due to the nature of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he achievement standards will keep the current structure with the highest occupation ratio of the successive achievement standard. In addition, since it is time to develop a mathematics curriculum that can cope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uture elementary mathematics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be in the order of the successive, additive, and extinctive achievement standard in their occupation ratios. As presented in this study, identifying the distribution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areas makes it possible to infer what type of achievement standard will be consecutive, removed, or added in each area. We expect that our study will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predicting the future direction of mathematics cont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및 성취기준이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변화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본으로 한 분석틀을 통해 시기별 성취기준을 연속형, 소멸형, 추가형의 세 유형으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초등 수학과 성취기준의 유형별 구성 형태는 다양하게 변화되어왔으나, 제7차 이후부터는 모든 영역에서 연속형 성취기준의 비율이 가장 높은 형태로 변화되면서 안정화되고 있었다. 초등 수학의 특성상 수학과 성취기준의 유형별 구성 형태는 앞으로도 연속형 성취기준의 비율이 높은 형태로 유지될 것이다. 또한, 제4차 산업 시대를 준비할 수 있는 수학과 교육과정을 만들어야 할 시기이기 때문에 앞으로의 초등 수학과 성취기준은 연속형, 추가형, 소멸형의 순으로 구성된 형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처럼 영역별 성취기준 유형 분포의 구성 형태를 파악하는 것은 각 영역에서 어떠한 유형의 성취기준이 지속, 삭제, 추가될지 예상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가 향후 수학 내용의 흐름과 방향을 예측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