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무(東武) 이제마(李濟馬)의 태극심(太極心)에 대한 고찰(考察)

        강태곤,박성식,Kang, Tae-Gon,Park, Seong-Sik 사상체질의학회 2006 사상체질의학회지 Vol.18 No.1

        1. Objectives The purpose of study is to find Lee Je-Ma's thoughts about Great Absolute-Mind in his writings. 2. Methods the concept of Lee Je-Ma's Great Absolute-Mind versus preexisted Great Absolute-Mind is compared and analysed in this study. 3. Results and Conclusions (1) Lee Je-Ma composed his Great Absolute-Mind based on its concept of the science of divination, Confucianism and medicine. However his Great Absolute-Mind is rooted in preexisted meaning, it was disputed desides the controversy between the science of divination, Confucianism and medicine. For this reason, Lee Je-Ma's Great Absolute-Mind is such an originative concept unable to be explained with a simple substitution this concept for the preexisted one of the science of divination, Confucianism and medicine. (2) Lee Je-Ma's Great Absolute-Mind is the human being itself and it can include the humanity from human being itself. (3) There are not only physical meaning of heart but also abstract metaphysical concept of heart included in Lee Je-Ma's Great Absolute-Mind. (4) The talent for comprehending principles is organically connected with the ability to attain their will. And the talent and ability is devided into Two Modes(兩儀) like Mind & Body(心身), Perception & Action(知行) and Nature & Emotion(性情). (5) The supervision of Lee Je-Ma’s Great Absolute-Mind affects physical part of body as well as spiritual part and is not devided into two but one. (6) The source of the supervision is rooted on Lungs Spleen liver Kidney(肺脾肝腎), Sasang(四象), even though it exists in the Great Absolute-Mind. So Sasang(四象), which is Lungs Spleen Liver Kidney(肺脾肝腎), is organically related to the Great Absolute-Mind in its effect and origin.

      • KCI등재

        왕양명의 心에 보이는 神性과 聖性에 대한 이해

        김영건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6 No.-

        This thesis is focused on discovering the divinity and holiness out of Yangming Wang's spiritual mind. These two factors have been dealt separately in order to give comprehending that there exists the ultimate reality in his mind and this reality is very religious. Wang places the state of his mind to the same level as God's to justify the authority of his divinity. The mind leveled up to the state of God's transcends a human's physical body, limited human mind, and the earthly material world and it becomes the source of the ultimate truth and sageness as the metaphysical being. I divided this divinity of his mind into two. One is embracing all the principles of the universe, and the other is accepting the universe as it is and actualizing its principles. This point of view will give us the conception that there does exist the ultimate reality or truth in Wang's mind. I also split the holiness of his mind into two. The first one is having a pure mind which is just like holiness. The second is that Liangzie produces holiness. The former says that when he has a pure mind, the mind becomes like the universe and it actualizes the original mind which Heaven has bestowed human beings, and retrieves the holiness. The latter says that Liangzie becomes the same source producing holiness because the thoughts originated from Liangzie obeys all of the universal principles, so if we practice Liangzie the holiness is automatically followed. Therefore, the mind is the absolute being or the supreme judge to Wang. Wang is very positive of his noesis and belief in his mind. His assurance is like that of a man who did not believe in God at all, and one day suddenly changes his mind and confesses his strong belief in God after experiencing something extraordinary in his mind. Wang has an insight into the ultimate reality through his mind. From Wang's point of view, the ultimate reality is able to put the physical body and the spiritual mind together, make people love one another, and harmonize a human with the university. He realizes he has the ultimate reality or truth in his spiritual mind and he believes it strongly. This belief leads him to conclude that the mind can save both an individual and the world. In conclusion, Wang's firm belief in his spiritual mind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conviction of a theist who is sure about the existence of God and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with God. Although Wang does not believe in God as the religious being, he is very certain that there is the absolute being or ultimate reality in his mind. 본 논문은 명대 왕양명의 심에 보이는 심의 신성神性과 성성聖性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필자는 왕양명이 말하는 심에는 신성과 성성이 내재하고 있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먼저 그가 말하는 심에는 궁극적 실재가 내재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며. 다음으로 그 궁극적 실재가 왕양명의 심이 종교적인 의미를 지니게 한다는 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왕양명의 이러한 심을 신성과 성성으로 나눠서 검토함으로써, 심에 궁극적 실재가 내재하고 있고, 그러한 심이 종교적인 의미를 지닌다는 점을 살펴본다. 왕양명은 심의 신성에 대한 정당성을 보장받기 위하여 심의 권위를 하늘ㆍ상제ㆍ천명과 같은 위치에 둔다. 왕양명이 심과 하늘ㆍ상제ㆍ천명을 동일시함으로써, 심은 자연적으로 생리적ㆍ심리적ㆍ피동적ㆍ유한적인 차원을 뛰어넘는다. 그래서 심은 초월적인 궁극적 실재가 존재하는 형이상학적 본체로서 궁극적 진리와 지혜의 원천이 된다. 이러한 심의 신성은 주로 두 가지 측면에서 검토한다. 하나는 우주 자연의 모든 이치를 담고 있는 심이라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천지만물을 순리적으로 인식하고, 그들에 대해 천리天理의 지혜를 창출해내는 심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두 가지 측면에서의 심의 신성을 살펴봄으로써, 심에 궁극적 실재 혹은 궁극적 진리가 내재하고 있다는 점을 밝힌다. 심의 성성에 대해서는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다. 첫째 ‘마음이 순수한 천리의 상태에 있다[心純乎天理]’는 것이 곧 성스러움[聖]이라는 것이며, 둘째 ‘생각이 성스러움을 만든다[思曰睿, 睿作聖]’는 것이다. 첫째는 주체가 마음을 순수한 천리의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하늘이 부여한 궁극적 실재인 성性을 회복하고 실현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런 경지가 바로 성스러움[聖]을 얻은 경지라는 점을 밝힌다. 둘째는 양지에서 발하여 작용하는 생각[思]은 천리 아닌 것이 없으며, 이것은 곧 성스러움[聖]을 만들어 내는 동인이라는 것을 밝힌다. 따라서 하늘의 천명인 양지를 실현하게 되면, 성스러움[聖]은 자연히 나타나게 된다는 것을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왕양명에게 있어서 오로지 심이 절대자이고 삶의 최고의 심판관이다. 왕양명의 이런 심에 대한 인식과 믿음은, 초월적인 신이나 인격신을 믿는 자가 어느 날 별안간 종교적인 체험을 하고 나서 그의 삶과 인생관이 완전히 바뀌는, 그런 종교적인 고백과 같은 확신에 차 있는 것이었다. 왕양명은 심에 궁극적 실재[天理]가 내재하고 있음을 분명하게 통찰한 것이다. 왕양명이 볼 때, 그 궁극적 실재는 몸과 마음이 하나가 되게 하고, 인간과 인간이 서로 사랑할 수 있게 하고, 인간과 우주가 하나가 되게 하는 궁극적 진리와 같은 것이었다. 이러한 심 안의 궁극적 실재ㆍ궁극적 진리를 깨닫게 됨으로써, 그는 심의 완전한 진리와 지혜를 신앙하게 되었고, 그러한 심을 통해서 개인 구원과 사회 구원도 이룰 수 있다고 확신한 것이다. 따라서 왕양명의 심에 대한 확신은 유신론자가 신과 신의 계시를 확신하는 그런 신앙적인 믿음과 서로 유사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왕양명은 유신론적인 신의 타자성이나 영적 타계성을 목표하고 설정하지 않았을 뿐이지, 심 안의 절대자ㆍ심 안의 궁극적 실재를 확신하고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중국철학 : 왕양명의 심(心)에 보이는 신성(神性)과 성성(聖性)에 대한 이해

        금영건 ( Young Gun Kim )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6 No.-

        본 논문은 명대 왕양명의 심에 보이는 심의 신성神性과 성성聖性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필자는 왕양명이 말하는 심에는 신성과 성성이 내재하고 있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먼저 그가 말하는 심에는 궁극적 실재가 내재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며. 다음으로 그 궁극적 실재가 왕양명의 심이 종교적인 의미를 지니게 한다는 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왕양명의 이러한 심을 신성과 성성으로 나눠서 검토함으로써, 심에 궁극적 실재가 내재하고 있고, 그러한 심이 종교적인 의미를 지닌다는 점을 살펴본다. 왕양명은 심의 신성에 대한 정당성을 보장받기 위하여 심의 권위를 하늘·상제·천명과 같은 위치에 둔다. 왕양명이 심과 하늘·상제·천명을 동일시함으로써, 심은 자연적으로 생리적·심리적·피동적·유한적인 차원을 뛰어넘는다. 그래서 심은 초월적인 궁극적 실재가 존재하는 형이상학적 본체로서 궁극적 진리와 지혜의 원천이 된다. 이러한 심의 신성은 주로 두 가지 측면에서 검토한다. 하나는 우주 자연의 모든 이치를 담고 있는 심이라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천지만물을 순리적으로 인식하고, 그들에 대해 천리天理의 지혜를 창출해내는 심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두 가지 측면에서의 심의 신성을 살펴봄으로써, 심에 궁극적 실재 혹은 궁극적 진리가 내재하고 있다는 점을 밝힌다. 심의 성성에 대해서는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다. 첫째 ``마음이 순수한 천리의 상태에 있다[心純乎天理]``는 것이 곧 성스러움[聖]이라는 것이며, 둘째 ``생각이 성스러움을 만든다[思曰睿, 睿作聖]``는 것이다. 첫째는 주체가 마음을 순수한 천리의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하늘이 부여한 궁극적 실재인 성性을 회복하고 실현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런 경지가 바로 성스러움[聖]을 얻은 경지라는 점을 밝힌다. 둘째는 양지에서 발하여 작용하는 생각[思]은 천리 아닌 것이 없으며, 이것은 곧성스러움[聖]을 만들어 내는 동인이라는 것을 밝힌다. 따라서 하늘의 천명인 양지를 실현하게 되면, 성스러움[聖]은 자연히 나타나게 된다는 것을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왕양명에게 있어서 오로지 심이 절대자이고 삶의 최고의 심판관이다. 왕양명의 이런 심에 대한 인식과 믿음은, 초월적인 신이나 인격신을 믿는 자가 어느 날 별안간 종교적인 체험을 하고 나서 그의 삶과 인생관이 완전히 바뀌는, 그런 종교적인 고백과 같은 확신에 차 있는 것이었다. 왕양명은 심에 궁극적 실재[天理]가 내재하고 있음을 분명하게 통찰한 것이다. 왕양명이 볼 때, 그 궁극적 실재는 몸과 마음이 하나가 되게 하고, 인간과 인간이 서로 사랑할 수 있게 하고, 인간과 우주가 하나가 되게 하는 궁극적 진리와 같은 것이었다. 이러한 심 안의 궁극적실재·궁극적 진리를 깨닫게 됨으로써, 그는 심의 완전한 진리와 지혜를 신앙하게 되었고, 그러한 심을 통해서 개인 구원과 사회 구원도 이룰 수 있다고 확신한 것이다. 따라서 왕양명의 심에 대한 확신은 유신론자가 신과 신의 계시를 확신하는 그런 신앙적인 믿음과 서로 유사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왕양명은 유신론적인 신의 타자성이나 영적 타계성을 목표하고 설정하지 않았을 뿐이지, 심 안의 절대자·심 안의 궁극적 실재를 확신하고 있었던 것이다. This thesis is focused on discovering the divinity and holiness out of Yangming Wang`s spiritual mind. These two factors have been dealt separately in order to give comprehending that there exists the ultimate reality in his mind and this reality is very religious. Wang places the state of his mind to the same level as God`s to justify the authority of his divinity. The mind leveled up to the state of God`s transcends a human`s physical body, limited human mind, and the earthly material world and it becomes the source of the ultimate truth and sageness as the metaphysical being. I divided this divinity of his mind into two. One is embracing all the principles of the universe, and the other is accepting the universe as it is and actualizing its principles. This point of view will give us the conception that there does exist the ultimate reality or truth in Wang`s mind. I also split the holiness of his mind into two. The first one is having a pure mind which is just like holiness. The second is that Liangzie produces holiness. The former says that when he has a pure mind, the mind becomes like the universe and it actualizes the original mind which Heaven has bestowed human beings, and retrieves the holiness. The latter says that Liangzie becomes the same source producing holiness because the thoughts originated from Liangzie obeys all of the universal principles, so if we practice Liangzie the holiness is automatically followed. Therefore, the mind is the absolute being or the supreme judge to Wang. Wang is very positive of his noesis and belief in his mind. His assurance is like that of a man who did not believe in God at all, and one day suddenly changes his mind and confesses his strong belief in God after experiencing something extraordinary in his mind. Wang has an insight into the ultimate reality through his mind. From Wang`s point of view, the ultimate reality is able to put the physical body and the spiritual mind together, make people love one another, and harmonize a human with the university. He realizes he has the ultimate reality or truth in his spiritual mind and he believes it strongly. This belief leads him to conclude that the mind can save both an individual and the world. In conclusion, Wang`s firm belief in his spiritual mind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conviction of a theist who is sure about the existence of God and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with God. Although Wang does not believe in God as the religious being, he is very certain that there is the absolute being or ultimate reality in his mind.

      • KCI등재

        특집 : 다산의 경세학 ; 다산 정약용의 성기호설(性嗜好說)과 그 논거분석

        손흥철 ( Heung Chul Son ) 다산학술문화재단 2003 다산학 Vol.- No.4

        Tasan (Jeong Yak-yong, 1762-1836) establishes his theory of human nature based upon the doctrine that human nature has natural preferences, which is the criticism of the Neo-Confucianism central doctrine that human nature is identical with principle[理]. Tasan`s theory of human nature consists of the criticism of the above Neo-Confucian doctrine that human nature is identical with principle. Tasan`s criticis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eo-Confucian concept of principle refers to the laws of nature, not to the ultimate principle as the ultimate ontological source of beings. Therefore, to explain human mind and nature and heaven in terms of principle is a tautological contradiction. Second, since human nature is what human mind prefers, to explicate human nature in terms of principle, namely the laws of nature, does not provide any substantial understanding. Third,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asan`s philosophy and Neo-Confucainism. Neo-Confucians might be able to respond to Tasan as follows: first, since principle is a concept by which to explain the source of universe and the principle of the transformation of things in Neo-Confucianism, it is not unreasonable to explain the source of human morality and the principle of action through this concept. In Tasan`s philosophy the central conept is the "Supreme Being[上帝]." This "Supreme Being" is not a philosophical concept, rather a religious one. For Neo-Confucians, the status of humankind can be identical with that of heaven, and humans can be good by themselves without any aid from external sources. They emphasize the dignity and autonomy of each individual, not asking the intervention of Supreme being. Second, although principle is a conceptual notion, it does not follow that it is meaningless to explain human nature in terms of principle. That "loving who" is important does not mean that "loving how" is insignificant. Third, the fact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philosophy of Tasan and Neo-Confucianism does not imply that either one of them should be better than the other. While Neo-Confucians interpret the classical canons in terms of moral principle to overcome social disorder and moral hazard in the late Tang period, Tasan interprets them in terms of "Practical Learning" to overcome social disorder in the late Chosun period. Tasan`s interpretation is one among many hermeneutical methodologies, so is Neo-Confucians` interpretation. However, insofar as the possibility to realize human moral nature is discussed, we cannot expect a complete theoretical system without no metaphysical theory about moral principles. The difference between Neo-Confucianism and the philosophy of Tasan can be pointed out as follows: while the former encourages each individual to become a sage through suggesting the meta- physical essence of human beings, the latter asserts that, since it is meaningless to explicate the metaphysical essence of human beings, humans should try to realize practical, concrete sentiments through each individual and the society.

      • 도덕적 주체로서의 인간과 정언 명령

        허유선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06 철학·사상·문화 Vol.0 No.3

        This dissertation aims to show the meaning of the 'Formula of Humanity as End In Itself',which is the third formula of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Kant's ethics.The formula of Humanity as End In Itself is the third formula of Kant's categorical imperatives. It is as follows : "So act that you use Humanity, whether in your own person or that of another, always at the same time as an end, never merely as a means."Now the question is: what this formula means. Namely, what does it mean that you use a person as an end? Moreover, what does it mean further that you use a person 'always at the same time' as an end?If the idea and uniqueness of Kant's deontological-practical ethics can be well conceived, we must acknowledge the view of his moral philosophy that human being itself is not a relative end but an absolute-highest end, and is also a moral agent of practical reason as an 'thing-in-itself'.Since human beings should not be a means, but must be an end in itself, we should not treat a person and his act according to the mechanism of causation, but understand him and his act in the dignity of human beings. This means that a person is not only a means phenomenally but also an absolute end as a moral subject.But I don't think that Kant denied a person to be treated as a means in the real world. For example, when we go to a restaurant and want to order a dish, there is a waiter and we use him as a means in order to order and to be served. At this moment,he is a means of 'medium' to reach the common and same end which both of us have. In other words, it is an 'mediated' relationship through the common and same end. By this relationship, both of us as an absolute end itself take part in the absolute end autonomically in every action. 본 논문은 칸트의 정언 명령 중 세 번째 정식인 목적 자체의 정식이 어떻게 해석되어야 하는지를 밝힌다.칸트는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이며,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하며 행위한다는 것은 어떻게 가능한지를 정언 명령 중 세 번째 정식인 ‘목적 자체’의 정식을 통해 설명한다.모든 인간은 이성을 가졌기 때문에 스스로 자기 행위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한 자율적 존재이다. 인간은 스스로 자기 행위를 결정하기 때문에 자기의 행위에 책임을 지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인간은 어떤 상황 속에서도 자신의 내부에 도덕의 기준과 도덕적 존재로서의 소질을 지닌다. 이성적·자율적·도덕적 존재로서 인간은 최상의 가치인 존엄성을 지닌다. 인간은 사물에 가치를 부여하는, 사물의 가치에 대한 궁극적인 원천으로, 무조건적 가치를 갖는 존재이다. 이러한 이성적 존재가 인격이고, 인간성은 이성적 의지를 소유한 인간의 본질적 특성이다. 그래서 인격 안의 인간성은 목적 그 자체이다. 최상의 가치를 지니는 인간은 다른 가치 아래에 놓일 수 없으며, 최상의 목적인 목적 그 자체이다.이는 나뿐 아닌 모든 이성적 존재자 일반에게 적용되며 따라서 인격은 단순한 주관적인 목적이 아니라 객관적인 목적이다. 또한 수단은 경향성과 관련하여 이해해야 한다. 인간을 수단으로 삼는 것은 경향성의 만족을 위해서, 혹은 그에 기초한 결과를 산출하기 위한 도구로만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목적 자체의 정식은 이성적 존재자 일반을 경향성의 충족을 위한 수단으로 삼지 말 것을 명령한다. 인간은 자신을 비롯한 모든 인간을 언제나 상대적 목적인 수단으로만 대해서는 안 되며, 나아가 언제나 목적 자체인 목적으로 대우해야 한다. 인간을 목적 자체로 대한다는 것은 그의 가치를 존중하는 것으로, 모든 인간의 자율적 의지 결정을 존중하고, 그의 행위를 방해하지 않으며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장려하는 것이다.그러나 목적 자체의 정식이 현실적인 이용 관계, 임의적 목적을 위해 자신을 비롯한 타인과 맺는 관계들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절대적 목적인 인간이 자율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조건들을 촉진하는 한에서, 자신과 관계하는 다른 행위자와 공통된 목적을 공유하며 행위할 때, 인간은 절대적 존재자로서 타자와의 접점을 갖는다. 절대적 존재자들의 자율적 행위가 자신과, 자신과 관계한 타인의 임의적 목적의 성취를 돕는 것이다.

      • KCI등재

        실존론적 결단 행위의 무신론적 정향 문제 - 하이데거의 현존재 개념에 대한 본회퍼의 신학적-철학적 평가

        박욱주 한국대학선교학회 2019 대학과 선교 Vol.41 No.-

        In Akt und Sein, Bonhoeffer introduces Heidegger’s Sein und Zeit and examines the theological validity of the ontological thoughts articulated in the work.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hilosophical themes of ontic finitude and Dasein’s individuality and their theological implications, which Bonhoeffer elucidates in the process. And it also investigates his method of utilizing the core insights of Heideggerian existential ontology to advocate his own theistic anthropology. The former part of the study deals with Bonhoeffer’s critique of German epistemology and ontology. He delivers a sharp critique of the desire for self-deification and self-absolutization of human consciousness embedded in German Idealism and Husserlian phenomenology. In lieu of the argument that precedes it, the latter part of the study highlights his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Heideggerian existential ontology. Bonhoeffer acknowledges that Heidegger’s concept of the question of being matches his concept of the being-act dialectic. On the contrary, he firmly denies the attitude of self-absolutization shown in Heidegger’s concept of resolute temporality. This study has attempted to demonstrate that Bonhoeffer’s critical arguments on “secular” philosophy constitute a theological exemplar for studies aimed at articulating theistic-Christian transcendentalism and ontology. 본회퍼는 『행위와 존재』에서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을 소개하며 그 안에 포함된 존재사유의 신학적 적절성을 검토한다. 본 연구는 이런 검토 과정에서 본회퍼가 해명한 존재적 유한성과 현존재의 개별성이라는 철학적 테제를 중점 조명한다. 아울러 그가 어떤 방식으로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존재론이 전하는 핵심적인 통찰을 유신론적 인간학을 변론하는 데 활용하는지 살핀다. 논의의 전반부에서는 본회퍼가 수행한 독일 인식론과 존재론의 비판방식을 되짚어 본다. 그리고 이를 통해 그가 독일 관념론과 후설 현상학을 관통하는 인간 의식의 자기신격화 및 자기절대화 열망을 어떻게 폭로하고 비판하는지 알아본다. 후반부에서는 전반부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회퍼가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존재론에 함축된 신학적 함의들을 조명하는 방식들을 조사한다. 이로써 본회퍼의 존재-행위 변증법에 부합하는 하이데거 존재물음 논의의 긍정적 의의를 지목하는 한편, 결단의 시간성 개념에 내재되어 있는 자기절대화 경향의 부정적 의의 또한 조명해 본다. 이로써 본 연구는 본회퍼의 세속 철학에 대한 비판 작업이 유신론적-그리스도교적 선험론과 존재론 정립을 위한 모범을 보여주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려 한다.

      • KCI등재

        김종삼의 <라산스카> 시편 연구

        이병헌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3

        This aims for the detailed meaning of ‘Lashanska’ in the poetry of Kim Jongsam. Beyond our expectation, ‘Lashanska’ as a soprano was hard to be found in the ‘Lashanska’ poems. Instead ‘Lashanska’ was the images of ‘Sun’, ‘the light of life’, ‘the shouting for awakning’, ‘the mysterious absolute being’, ‘Saint’, ‘the unknown mysteriousobject’, ‘Paradise’, ‘the bridge between heaven and reality(or death)’ and all that sort of thing. Kwon Myeongok and Kam Hwasun gave ‘Lashanska’ the images of heaven or paradise and stuck to the images. While on the other hand Shin Cheolgyu and Hwang Hyeonsan opened wide the image of ‘Lashanska’. They separated ‘Lashanska’ from the singer or the song. And they said that ‘Lashanska’ might be the poetic transformation of the mood of her song and the raised state of soul listening to the song. Kim Inhwan said that ‘Lashanska’ was “the existing absence that confirms incessantly one’s sin”. Though in this way many scholars, poets and critics have stated that ‘Lashanska’ stay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inger and her song, they were conscious of ‘soprano Lashanska’ or ‘the song of Lashanska’ while analyzing the ‘Lashanska’ poems. Lee Seungwon also perceptively pointed out that “the meaning of ‘Lashanska’ is not so much the sound of a vocalist as the light. Because it shines on a streak of heart.” But soon after he took a reserved attitude by saying “Does it mean that the sound of Lashanska’s song is shining brightly on a gloomy heart?” It proved that he could not freed himself from the existing common view. It can not be denied that there is ‘soprano Lashanska’ in the source of the above images which we found out in the ‘Lashanska’ poems. But Kim Jongsam extremely did not call Lashanska and her song directly. It might be because she was a singer whom other people were not familiar with and he took pleasure in their curiosity. However, it can be supposed that because her name was attractive than her song, he always wanted to call her as if she were the goddess of relief. 김종삼의 시 가운데 <라산스카>라는 동일한 제목의 작품이 8편이나 된다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우리의 시선을 끌지만 그 시편들의 내용 또한 김종삼의 시세계에서 커다란 비중을 차지한다. 신철규 시인은 최근에 기존의 김종삼전집에 미수록된 두 편의 <라산스카>를 발굴하여 온전한 연구가 가능하게 하였다. <라산스카>라는 동명의 시들을 처음으로 주목한 것은 김인환이다. 그는 장석주가 펴낸 최초의 김종삼전집에 수록된 3편의 <라산스카>를 꼼꼼히 분석하는 한편 ‘라산스카’의 정체를 밝혔다. 이후 두 번째 전집을 펴낸 권명옥의 연구를 거쳐 신철규와 황현산에 의해 <라산스카>시편들이 본격적으로 조명을 받게 된다. 김종삼 시인은 30년 정도의 시작 기간 중 본격적으로 창작활동을 한 시기인 후반부 20여 년 동안 이 제목을 놓지 않고 있었기에 ‘라산스카’라는 명칭에는 시간이 갈수록 무게가 보태졌다. 본고에서는 <라산스카>시편 전체를 맨 처음 발표된 원문을 텍스트로 하여 발표순에 따라 살펴보았다. 각 시편들이 변용을 겪기 전의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김종삼의 최초의 창작 의도를 추적할 수 있었다. <라산스카>시편들에서 우리는 의외로 소프라노 가수로서의 ‘라산스카’를 찾아보기 힘들었다. ‘라산스카’는 그보다는 ‘해’, ‘생명의 빛’, ‘감동의 외침’, ‘신비로운 절대자’, ‘성자’, ‘미지의 신비한 대상’, ‘천국’, ‘천국과 현실(또는 죽음)과의 가교’, ‘불모의 현실’ 등의 이미지를 갖는 것이었다. 권명옥, 김화순 등이 ‘라산스카’를 천국, 또는 낙원 등의 이미지로 고착시켰다면, 신철규, 황현산 등은 성악가나 그의 노래로부터 분리시켜 “그녀의 노래가 주는 분위기와 그것을 들었을 때의 영혼의 고양 상태를 시적으로 변용시키려” 한 것이라 하여 ‘라산스카’의 이미지를 활짝 열어놓았다. 이처럼 그동안 많은 학자, 시인, 비평가들이 ‘라산스카’는 성악가나 그의 노래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지닌다고 언표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라산스카>시편들을 대상으로 ‘소프라노 라산스카’ 혹은 ‘라산스카의 노래’를 의식한 작품분석을 해왔다. 이숭원 또한 <라산스카>①의 끝에 등장한 ‘라산스카’를 “성악가의 소리가 아니라 빛의 의미에 가깝다. 마음 한 줄기를 비춘다고 했기 때문이다.”라고 날카롭게 지적했지만 바로 이어서 “라산스카의 노래 소리가 어두운 마음을 환히 비추어 준다는 뜻일까?”라는 식의 유보적인 태도를 보인 것은 그 또한 기존의 통설로부터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음을 반증한다. <라산스카>시편들에서 찾아낸 위와 같은 이미지들의 원천에 ‘소프라노 가수 라산스카’가 있다는 점을 결코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김종삼이 그의 시에 극구 그와 그의 노래를 직접 불러내지 않은 것은 그가 다른 사람들이 잘 알지 못하는 인물이었고 그래서 자신의 말처럼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것을 즐긴 때문일 수도 있다. 그러나 노래를 떠나 그의 이름 자체가 충분히 매력적이었기 때문에 자꾸 그 이름을 부르고 싶었던 것 또한 하나의 원인으로 추측된다.

      • KCI등재

        예이츠의 후기 시에 담긴 노자의 사상

        한학선 한국예이츠학회 2023 한국예이츠 저널 Vol.7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Yeats’s late poems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philosophy of Lao-tzu. The core of Lao-tzu’s philosophy is emptiness of mind and absolute nothing. First, this paper studies what Lao-tzu’s philosophy is and how it is related to Yeats’s late poems. Nex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aces of Lao-tzu’s philosophy revealed in Yeats’s late poems, focusing on “The Wild Swans at Coole,” “The Double Vision of Michael Robartes” and “Long-legged Fly” which best reveal Lao-tzu’s philosophy. Finally, this study examines Lao-tzu’s philosophy contained in the inscription on Yeats’s tombston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despite the fact that Yeats’s late poems were influenced by Eastern philosophy such as Zen, Yinyang, Lao-tzu and Chuang-tzu, Yeats sublimated such ideas into his own philosophy, using concepts such as Gyre and Unity of Being. 이 논문은 예이츠의 후기 시를 노자 철학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노자 철학의 핵심은 허심과 무위이다. 이 연구는 먼저, 노자의 철학과 예이츠 시와의 맥락을 찾은 후에 노자의 사상이 가장 잘 드러난 시 「쿨 호의 야생 백조」(“The wild Swans at Coole”), 「마이클 로버츠의 이중 비전」(“The Double Vision of Michael Robartes”)과 「소금쟁이」(“Long-legged Fly”)를 중심으로 이들 시에 나타난 노자의 사상을 상세하게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예이츠의 비문을 노자의 관점에서 해석해 보았다. 이 연구는 예이츠의 후기 시가 노장, 선, 음양과 같은 동양사상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지만, 그는 그 사상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보다 승화시켜 ‘존재의 통일’이라는 자신의 고유의 철학으로 집대성하였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 KCI등재

        북한소설의 김정일 ‘수령형상창조’ 연구 - 1990년대를 중심으로 -

        김윤영 동남어문학회 2007 동남어문논집 Vol.24 No.-

        A study on the Creation the Chieftain Shape in North-Korea novels -focused on 1990s-. Dongnam October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24. The novels of North-Korea creating the Chieftain shape only show the praises of the chieftain, neither criticism nor conflicts. Those novels for Kim Jong Il describe him as a human and the absolute. As a human, he is represented to be a speculative leader, a superior thinker and a bold strategist, with great humanism which Kim Il Sung used to have. As the Absolute, owing to the lack of material as a mythical hero compared to his father, he is consciously using the background of the nuclear-conflict with USA to be the incarnation of loyalty, filial piety and love, or the man from heaven.<BR>In addition, the novels tend to emphasize his features of humaneness, lofty fellowship and fidelity, and describe him as a chieftain who shares the agony of the people, a sentimental and warm-hearted leader who feel concern about his people and country or a merciful parent with filial piety and love, making him a even greater man than Kim Il Sung. <BR>In conclusion, those novels, schematized and composed for the subjects that the Labour Party requests, enumerate beautifications and praises of Kim Jong Il and don"t show any detailed conflicts. They are expected to be created and supplied continuously as long as Kim Jong Il-centered system of North Korea is maintained.

      • KCI등재

        황순원 단편소설 「늪」 연구

        이윤주(Lee, Yun-Ju) 한국비평문학회 2017 批評文學 Vol.- No.66

        이 글의 목적은 황순원 초기 단편소설 「늪」에 등장하는 ‘소녀’가 집단-내-이방인으로 어떻게 타자화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1930년대 식민지를 배경으로 삼은 이 작품은 시대의 우울을 자신만의 방법으로 벗어나고자 하는 소녀의 이야기로 전개된다. 역사적 현실에 대항하는 소녀는 국가와 가족 내에서 이중적으로 억압받는 존재로 당시 근대 신여성의 모습을 대표한 바 있다. 또한 그녀는 공동체의 일원으로 자기 주체성을 찾고, 자신의 성원권을 인정받고자 시도를 하는 인물이다. 그러나 소녀는 그러한 인정투쟁에도 불구하고, 토박이 공동체 내 절대적 주체인 태섭에게 결정적으로 자기 자리를 위협 당한다. 태섭에게 소녀는 매혹의 대상이었지만, 그의 육체적/정신적 한계가 그녀를 공포의 대상으로 치환하면서 집단-내-이방인으로 전락시킨 것이다. 왜냐하면 소녀, 타자의 위협으로부터 공동체내에서 자기의 절대적 위치를 보존하여 남성적 권위와 권력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소녀는 부재한 부성의 자리를 대신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인 태섭에게 자신의 성원권을 위임한다. 그러나 그는 그녀에 대한 그 어떤 책임도 지려하지 않는다. 단지 태섭 자신의 성원권에 대한 책임과 권리, 즉 국가/가족/남성의 권력을 상징하는 권위만 갖고자 할 뿐이다. 그 권위는 그녀가 자유를 찾아 공동체를 떠나겠다는 의지도 꺾고 떠남마저도 허락하지 않는다. 결국 토박이 공동체 내에서 타자로 전락할 수밖에 없는 소녀 자신을 발견하고는 탈출을 감행한다. 그 사회에서 성원권을 획득할 수 없는 개인이 할 수 있는 길은 탈출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소녀는 공동체의 기존 질서에 ‘다른 관점’의 질문을 던져 ‘균열’과 ‘틈’을 만드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반복적 배회’를 시도하며 ‘탈주’를 감행한다. 이때 그녀가 탈주를 실현시키기 위해 늪을 배회의 마지막 거점으로 삼는다. 그곳은 소녀에게 집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져 사람들의 시선에서 벗어날 수 있어 자유를 찾아 탈주하는데 합당한 공간이다. 결과적으로 소녀와 늪은 당시 낯선 근대를 바라보는 대표적인 기표로서 상징화된다. 늪도 소녀처럼 ‘낯선’ 이방성을 지닌 바, 토박이 공동체에게 ‘다른 관점’을 끌어들여 ‘다른 주체’의 가능성을 타진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늪은 ‘다른 주체’의 대안적 공간이며, 동시에 ‘다른 주체’로 추동되는 공간인 셈이다. 이와 같이 집단-내-이방인으로 위치된 소녀는 토박이 공동체인 절대적 주체들의 위협을 무릅쓰고 자신을 성원권을 찾기 위해 인정투쟁을 벌인다. 물론 절대적 주체인 태섭에게 소녀 자신의 성원권을 보장받지는 못했지만, 그 시도 자체가 중요하다. 이는 소녀가 주체적인 인간으로 거듭나는 계기를 마련하기 때문이다. 그녀는 자신의 자아실현을 위해 행동하는 여성으로 표상된다. 따라서 황순원 작품에 등장 하는 주체적인 여성의 원형으로 인지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how the ‘girl’ in Hwang, Sunwon’s short story 「Neup」 has become an other person as a stranger of the group. The background of this story is colonial period during 1930s, covering the story of a girl trying to escape the periodic depressions of the time with her own method. The girl resisting to the historical reality is oppressed by both country and family, representing the appearance of the modern women of the time. Also, she is an independent character making various efforts to find her own identity as a community member and to be recognized of her membership. However, her position is decisively threatened by an absolute being of the community, Taeseop. The girl was a charming subject to Taeseop but physical and emotional limitations of him have turned her into the subject of fear, which alienated her as a stranger of the group. That is because he has to maintain masculine authority and power by preserving his absolute position of the community from the threat of the girl and others. Eventually, she realized that she had to be a stranger of the local community and attempts to escape. In the society, an individual who cannot secure membership has nothing else to do but escape. Therefore, the girl attempts to ‘escape’ by trying ‘repetitive wandering’ to create an opportunity to make ‘crack’ and ‘gap’ by throwing questions with ‘different perspective’ to the existing orders of the community. This indicates to seek the possibility of ‘other subject’ by drawing ‘different perspective’ into the local community. In this sense, 「Neup」 is an alternative space of ‘other subject’ and also space driven into ‘other subject’ at the same time. The struggles for recognition by the girl, positioned as a stranger of the group, creates the opportunity for her to be an independent human being. This is the original form of an independent female appeared in the work of Hwang, Sunw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