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율곡(栗谷)의 태극론(太極論) 연구(硏究)

        손흥철 ( Son Heung-chul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8 율곡학연구 Vol.36 No.-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는 「천도책(天道策)」과 「역수책(易數策)」을 지었고, 여기서 그의 태극론이 시작된다. 특히 율곡은 「역수책」에서 우주만물의 생성과 운행 법칙을 역수(易數)로 이해하고 그것을 태극과 음양으로 풀이하여 설명하였다. 율곡은 우계(牛溪) 성혼(成渾. 1535∼1598)과의 편지에서 리통기국(理通氣局)과 기발리승일도(氣發理乘一途)을 주장하고, 태극과 음양은 선후가 없으며, 따라서 ‘동정무단(動靜無端), 음양무시(陰陽無始)’의 원칙을 잘 이해해야 한다고 하였다. 『성학집요』에서 율곡은 ‘태극동이생양(太極動而生陽)’에서 ‘生陽’은 결코 ‘유생어무(有生於無)’ 의미가 아니라고 하였다. 그리고 ‘일동일정(一動一靜)’도 그렇게 시키는 어떤 존재가 있는 것이 아니라 동정(動靜)의 기기(氣機)가 본래 그러할 뿐이며, 리와 기도 선후가 없다고 보았다. 율곡은 사암(思菴) 박순(朴淳. 1523∼1589)과의 논변에서 자신의 태극론을 정립한다. 태극은 음양의 기가 아니며, 음양이 동정하는 기기(氣機)라고 하였다. 여기서 태극은 곧 리로 해석될 수 있다. 그리고 음양은 시작과 끝이 없으며, 음양의 동정에 태극은 항상 거기에 존재하며 결코 따로 떨어져 홀로 존재할 수 없다고 보았다. 그리고 무극(無極)의 개념을 시작과 끝이 없는 무궁함의 개념으로 이해한다. 율곡의 태극론은 주리(主理)도 아니고 주기(主氣)도 아니며, 리기일원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율곡의 태극론은 그의 리기론을 정립하는 기초이론이며, 이후 기호학파의 중심이론이 되었다. 이러한 율곡의 태극론은 그의 독창적 견해이며, 결코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 1491∼1553)의 주리적(主理的) 설명이나 화담(花潭) 서경덕(徐敬德. 1489∼1546)의 주기적(主氣的) 성향과는 다르다. 따라서 이언적과 서화담의 이론을 종합하였다거나 영향을 받았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그리고 이제는 태극론에 대한 형이상학적 연구와 함께 이것이 인간의 삶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살펴야 한다. 우주자연의 큰 흐름[敦化]과 작은 흐름[川流] 무궁하게 계속되는 그 ‘운행의 규율성과 자연의 기능’이 태극이며, 생명의 모든 근원이 태극이라는 의미이다. 태극은 율곡의 생명철학이기도 하다. YulGok Yi I(1536∼1584) wrote “A Questions and answers for the way of Heaven(天道策)” and “A Questions and answers the change and the number(易數策)”, and this is where his Taiji theory began to be formed. He especially understood the principle of creation and operation of the whole creation in the “A Questions and answers the change and the number(易數策)”as the change and the number, and explained it by describing it as Taiji and Yin Yang(陰陽). YulGok emphasized “all penetrating Li and defining Qi(理通氣局)” and “the only one way in li resting on top of the work of qi(氣發理乘一途)” in a letter with WuGye(牛溪) SeongHon(成渾. 1535∼1598),there is no order in Taiji and Yin yang(陰陽), accordingly he said that we need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having no clue in movement and quietness” and “having no beginning in Yin Yang. In ShengHakJibyo(聖學輯要), YulGok said that Shenyang(生陽) in “Taiji to move and Shenyang(太極動而生陽)” never mean “being comes from nothing(有生於無)”. And he thought that ‘YinYang’s one move, one rest(一動一靜)’ there is no such thing as a schedule for all of them, but the function of movement and quietness that's the way it is, there is no order in li(理) and qi(氣). YulGok establishes his own theory of Taiji in the argument with SaAm(思菴) Park Soon (1523-1589). The Taiji is not the qi of yin and yang, and is the function of movement and quietness of yin and yang. Here the Taiji can be interpreted as li(理). And the yin and yang has no beginning or ending, and the li(理) is always there in the movement and quietness of yin and yang, and it can never exist alone. And he understand the ideas of the Wuji(無極), endless concepts of beginning and ending. YulGok’s Taiji theory is neither li-centered(主理) nor qi-centered(主氣), it can be called a li qi monotheism. And YulGok’s Taiji theory was the basic theory that established his Li Qi theory, and later became the central theory of the GiHo school. It is his original view, and it is far different from that li-centered(主理) theory of Hoejae(晦齋) Yi Eon-jeok(1491∼1553) and the qi-centered(主氣) theory of HwaDam Seo GyengDuk(徐敬德. 1489∼1546). So it is difficult to be influenced or combined with their theory. And now, along with the Metaphysical study of the Taiji theory, it is necessary to look at how it relates to human life. The endless flow of “the rules of operation and functions of nature” is the Taiji, and all sources of life are Taiji. The Taiji theory is also the philosophy of the life of YulGok.

      • KCI등재

        율곡철학 연구의 융합적 지평과 그 외연

        손흥철 ( Son Heung Chul ),박용석 ( Park Yong Suk ) (사)율곡연구원 2021 율곡학연구 Vol.46 No.-

        이 글의 주제는 ‘율곡철학 연구의 융합적 지평과 그 외연(外延)’이다. 여기서 융합적 지평은 기존의 방법과 관점을 포함하되 우리가 외면하거나 소홀히 하였던 관점들을 살펴보고 이를 수용하는 종합적 지평을 의미한다.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율곡철학의 리기론에 대한 북한 학자들의 연구경향에 대한 분석과 검토이다. 여기서 필자는 북한의 입장은 유물변증법의 관점으로 일관하고 있음을 밝혔으며, 이러한 시각도 율곡철학 연구의 외연확대에 필요함을 설명하였다. 둘째, 북한도 다카하시 도루(高橋亨. 1878~1967)가 『朝鮮儒學史』에서 조선성리학을 주리(主理)□주기(主氣)로 나눈 이분법적 시각을 따르고 있음을 밝혔다. 나아가 율곡의 리기론을 주리□주기의 이분법적 관점으로 보는 시각이 여러 모순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셋째, 대동법(大同法)을 중심으로 율곡의 경세관을 살펴보았다. 북한 학자들은 율곡의 경세관을 그의 애민사상을 중심으로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결국은 봉건주의적 관념론으로 이해하는 내용을 정리하였다. 넷째, Adam Smith(1723~1790)의 『도덕감정론(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1759)』에 나타난 경세관과 율곡의 경세관을 비교하고, 이를 통하여 율곡 경세론에 관한 연구의 지평 확대와 그 외연의 확장 가능성을 검토하고 철학자의 시대적 역할을 논증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율곡의 철학이 철저하게 생활에서의 실천과 일치해야 한다는 “이사일치(理事一致)”의 정신으로 일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율곡의 철학이 또한 오늘날 인문학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실마리를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theme of this article is “Syncretic horizon and It’s Denotation In researching Yulgok’s philosophy”. Here, Syncretic horizon refers to a comprehensive horizon that includes existing methods and perspectives, but examines and accepts the perspectives that we have disregarded or neglected. The main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an analysis and review of the research trends of North Korea(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scholars on the theory of LiQi(理氣) in Yulgok (栗谷. 1536~1584) philosophy. Here, I revealed that North Korea's position is consistent with the perspective of the materialistic dialectic, and explained that this perspective is also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ing Yulgok philosophy. Second, I revealed that DPRK scholars also following a dichotomous view of ‘Li-centered theory(主理論’ and ‘Qi centered(主氣論)’ that Takahashi Doru(高橋亨. 1878~1967) divided Joseon Neo-Confucianism into two categories in a book called {Confucian History of Joseon}. Furthermore, it was argued that there are several contradictions in the view of Yulgok's theory of rigi from the dichotomous point of view of the theory of Li Qi. Third, we looked at Yulgok's the view of National Administration, focusing on the Daedong Law(大同法). North Korean scholars evaluated Yulgok's the view of National Administration relatively positively, focusing on his patriotism, but eventually summarized his understanding as a feudalist notion. Fourth, Adam Smith (1723-1790)'s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1759) compared the landscape view of Yulgok, and through this, the horizon of research on Yulgok and its extension were reviewed, and the role of philosophers was argued.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t was confirmed that Yulgok's philosophy was thoroughly consistent with ‘the spirit of theory and practice(理事一致)’ in lif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Yulgok's philosophy could also serve as a clue to overcoming the crisis of humanities today. The theme of this article is “Syncretic horizon and It’s Denotation In researching Yulgok’s philosophy”. Here, Syncretic horizon refers to a comprehensive horizon that includes existing methods and perspectives, but examines and accepts the perspectives that we have disregarded or neglected. The main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an analysis and review of the research trends of North Korea(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scholars on the theory of Li Qi(理氣) in Yulgok(栗谷. 1536~1584) philosophy. Here, I revealed that North Korea's position is consistent with the perspective of the materialistic dialectic, and explained that this perspective is also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ing Yulgok philosophy. Second, I revealed that DPRK scholars also following a dichotomous view of ‘Li-centered theory(主理論’ and ‘Qi centered theory(主氣論)’ that Takahashi Doru (高橋亨. 1878~1967) divided Joseon Neo-Confucianism into two categories in a book called {Confucian History of Joseon}. Furthermore, it was argued that there are several contradictions in the view of Yulgok's theory of rigi from the dichotomous point of view of the theory of Li Qi. Third, we looked at Yulgok's the view of National Administration, focusing on the Daedong Law(大同法). North Korean scholars evaluated Yulgok's the view of National Administration relatively positively, focusing on his patriotism, but eventually summarized his understanding as a feudalist notion. Fourth, Adam Smith (1723-1790)'s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1759) compared the landscape view of Yulgok, and through this, the horizon of research on Yulgok and its extension were reviewed, and the role of philosophers was argued.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t was confirmed that Yulgok's philosophy was thoroughly consistent with ‘the spirit of theory and practice(理事一致)’ in lif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Yulgok's philosophy could also serve as a clue to overcoming the crisis of humanities today.

      • KCI등재후보

        다산학의 재조명을 위한 시론

        손흥철 ( Heung Chul Son ) 다산학술문화재단 2009 다산학 Vol.- No.15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학문적 성격을 탈성리학과 근대성이라고 본다. 그리고 다산의 철학을 실학實學이라고 부른다. 이 글은 다산의 철학에서 탈성리학의 중요 내용과 사상의 근대성을 요약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다산학의 학문의 특성에 대한 명칭을 재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다산의 탈성리학적 성격으로 이기론理氣論의 부정, 천인관天人觀, 수사학洙泗學의 경학방법론 등을 중심으로 그 개요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다산의 철학에서 근대성의 특징을 그의 인간관, 격물론, 경세론經世論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산의 학문과 조선후기의 학문사조를 실학으로 지칭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음을 논증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조선시대 후기의 새로운 학문 사조를 `한국근대사상`으로 통칭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다산의 학문을 실학이라고 찬양하는 이유가 `탈성리학`과 사상적 근대성이며, 탈성리학적 성격에 나타난 우주관이나 인성론이 `본래의 공자학`인 `수사학`을 표방하지만 그 자체로도 사상적 근대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경세론에 나타난 근대성과도 일치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산을 실학자로 분류하지 말고, 한국근대사상가로 분류하며, 그의 철학을 `주자학`이나 `양명학`과 같이 `다산학`으로 부르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과거의 철학과 사상을 현대에서 연구하는 목적은 과거사상의 재현再現을 통하여 현대적 재발견과 재창조를 위함이다. 그러므로 현대의 관점도 시대상화에 따라 변할 수 있다. 1950-80년대와 오늘날의 상황은 다르다. 실용과 경제발전이 최우선과제였던 시대에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실용학이 절실했다면, 새로운 도약과 경제적 발전의 대중화와 고급화를 위해서는 이러한 기조 외에 또 다른 가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조선후기의 새로운 학문사조와 다산의 철학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도 그 정확한 재현과 아울러 보는 관점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 Tasan(茶山) Cheong Yagyong(丁若鏞, 1762-1836)`s academical character can be defined as Post-neoconfucianism and modernity. At the same time, we call his philosophy as Silhak(實學). This article aims to make clear the main contents and its modernity of Tasan`s philosophy, and to reconsider the title of scholaric character of Tasan studies(茶山學) on the bases of these process. In this review, I arranged the outline focusing the denial of the theory of Lichi(理氣論), the view of heaven and men(天人觀),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n Susahak(洙泗學) as an Post-neoconfucianism(脫朱子學) of Tasan. And I studied the characteristic of his modernity on the viewpoint of men(人間觀), the study of things and nature(格物論), the theory of statecraft(經世論), Finally, I prooved it is not profit to call Tasan studies with the academical trend as Silhak. I thought it is appropriate to call the new tendency of the latter period of Chosun as Korean modern thought. Because the reason why commandate Tasan studies as Silhak is Post-neoconfucianism and ideological modernity, the universal viewpoints and treatise of human nature stands for Susahak, but it include ideological modernity in itself. Therefore, it accords with modernity in the theory of statecraft. I suggest that Tasan cannot be classified as Silhak scholar, it is desirable to be grouping as Korean modern philosopher. At the same time, his thougt should be called as Tasan studies as like as Neo-confucianism or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陽明學). The aim for research past philosophy and thought is to recover and recreate by representing past thought. So the recent viewpoint also can be changed according to era circumstance. It is quite different 1950`s-1980`s with nowadays. New value will be required for vivid leap and popularization of economical development. Therefore, it also be needed change of view with punctual representation in the new academical trend in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and the understanding view point of Tasan`s philosophy.

      • KCI등재

        마하가섭(摩訶迦葉)과 혜능(慧能)의 “큰 깨달음[대각(大覺)]”의 방법과 의미 비교

        손흥철 ( Heung Chul Son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8 No.-

        이 글에서 불교선종의 창시자인 마하가섭(摩訶迦葉)의 수행방법과 그 깨들음의 의미와 중국에서 중국식의 선종을 개창한 혜능(慧能)의 수행방법과 그 특징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하여 상호간의 차이를 알아보고 나아가 선종의 깨달음이 가지는 현대적 의미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마하가섭의 수행법을 통하여 석가모니의 큰 깨달음의 의미와 그 내용이 무엇인가를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중국 선을 개창한 달마(達摩)의 선법을 간단하게 정리하였다. 그리고 중국선이 발생하는 가정과 그 특징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달마의 선법을 계승하여 새롭게 중국 선을 개창한 혜능의 수행에서 “정혜(定慧)”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가섭(迦葉)의 맥을 이은 달마(達摩)는 중국 선종(禪宗)의 개창자(開倉者)가 되었으며, 달마의 선맥(禪脈)을 이은 혜능은 중국선종의 이론과 수행방법을 새롭게 정립하였다. 혜능은 당시 번잡한 여러 불교 종파의 이론을 정리하고 견성성불(見性成佛)이 ‘큰 깨달음[大覺]’의 목적임을 천명하였다. ‘견성성불’은 곧 마음의 자유자재(自由自在)로부터 가능하다. 그러므로 혜능의 선종은 대중적이며, 사회의 갈등과 반목을 조화시키는 역할을 하였으며,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 그리고 자유사상을 심어주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혜능은 선사상을 중국의 전통사상인 노장사상(老莊思想)도 융합시킴으로써 중국적 불교사상으로 발전시켰다. 그리고 혜능(慧能)의 정(定) ·혜(慧)는 후일 성리학(性理學)의 미발(未發)·이발(已發)의 이론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혜능의 선종은 동아시아의 불교이론과 문화를 형성하는 기초가 되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인도선(印度禪)과 중국선(中國禪)의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선종(禪宗)의 자각의 수행(修行)이 물질만능의 현대인들이 추구해야 할 정신적 가치임을 확인하였다. 불교의 선사상(禪思想)은 자신의 존재이유가 무엇인지 깨닫지 못하고, 예의(禮儀)와 염치(廉恥)를 잃어버리고, 물질적 풍요만 추구하며, 억지논리와 힘으로 역사적 죄를 감추려는 사람과 사리사욕에만 눈이 먼 정치지도자들을 참회하게 하고 계도하는데 훌륭한 길잡이가 될 수 있다. In this article, I will study the method of find enlightenment of Mahakassapa(摩訶迦葉)`s asceticism and it`s meaning. And compare the Hui-neng(慧能. 638~713)`s Chinese Zen Buddhism. Furthermore, I will pursue Zen Buddhism`s modern meaning. For this purpose, first, I studied the Buddha`s enlightenment and it`s meaning. second, put into shape Dharma(達磨. ?~528)` Zen Buddhism and the history of it`s formation and character. Last, I researched Hui-neng originated Chinese Zen Buddhism and mind concentration(定慧). Dharma came after Mahakassapa, and became creator of Chinese Zen Buddhism. Hui-neng came after Dharma`s range of Zen Buddhism, and developed the theory of Chinese Zen Buddhism and its training method. Hui-neng synthesized the split of Buddhism into sects with including complex multistage, and clarified attaining Buddhahood is the purpose of divine enlightenment. Attaining Buddhahood is practicable from the perfect freedom of mind. Because Hui-neng`s Zen Buddhism is exoteric, so was able to harmonized the social conflict and enmity, and inculcated the thought of the dignity of man, the ideology of equality, and the liberal idea. Especially, Hui-neng developed chinese Buddhism by assimilating his Zen Buddhism with chinese traditional Taoism. At a later, Hui-neng`s mind concentration influenced on Neo-confucianism`s the theory of the aroused state of the mind(已發心體) and the unaroused state of the mind. And to conclude, Hui-neng`s Zen Buddhism formed the foundation of east asian`s Buddhism theory and Buddhist culture. I confirmed the difference between India and Chinese Zen Buddhism. But Zen Buddhism is very valuable spiritual worth in the an age of materialism. Zen Buddhism can be a great guide for the contemporary man modern man who can`t realize his reason for existence, lose politeness and sense of shame, enjoy material affluence, only insist on having his own way, and it can let those a professional politician with unbounded greed for profit do repentance.

      • KCI등재

        순자(荀子)와 왕충(王充)의 자연천(自然天) 사상의 특징 고찰

        손흥철 ( Son Heung-chul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0 퇴계학논총 Vol.35 No.-

        이 논문은 荀子(BC.313~BC.238)와 王充(27~104) 두 학자의 천 개념을 연구하고 그 사상적 특성과 상관관계를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순자는 도가의 영향을 받았지만, 天을 초월적 · 지배적인 존재로 보지는 않았다. 그는 자연의 운행에 인격적 의지나 감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天을 도덕적 가치의 근거로 여기지 않았다. 天은 단지 자연의 법칙에 따라 운행하며 인간의 원리와는 밀접한 관련이 없다. 순자에게 천지와 만물은 도덕의 원천은 아니며 찬양이나 숭배의 대상도 아니다. 다만 그는 인간이 자연의 법칙에 순응하면서 자연의 방식을 이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왕충은 매우 체계적인 氣論에 토대를 둔 자연과학적 천관을 가지고 있다. 그는 天을 과학적 대상으로 이해했으며, 이로써 인간에 집중하여 인간 존중과 평등 의식을 고취하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그는 사람은 성인과 범인의 차이가 없고, 精氣로 이루어진 존재자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상의 고찰로서 자연과 공존해야 하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단서를 발견할 수 있다. 즉 인간이 의인화된 자연에 예속되어도 안 되지만 인간이 자연을 독점적으로 지배해서도 안 된다는 뜻이다. 순자의 能參과 왕충의 반미신적 자연 이해의 상관성은 자연재해로 인한 인류생존의 위기의 원인과 그 해결방법을 모색에 이바지할 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concept of “the Heaven(天)” of Xunzi(荀子) and WangChung(王充) and to examine its id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Xunzi was influenced by Daoist, but he did not see the Heaven as a transcendent or dominant being. He judged that nature's operation did not include any personal will or emotion, and did not regard cloth as the basis for moral values. In his view, the Heaven operates only according to the laws of nature and is not closely related to human principles. For Xunzi, heaven and earth are not sources of morality, nor are they objects of praise or worship. However, he argued that humans should adapt to the laws of nature and use the methods of nature. Wang Chong has a natural science ceiling based on a very systematic theory. He understood the Heaven as a scientific object, and thus sought to promote human respect and equality by focusing on human beings. Because he saw that man is not different between a saint and an ordinary person, and he have seen the human was made by Essence Qi(氣). As the above consideration, one can find clues to a new path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that must coexist with nature. This means that humans should not be subjugated to anthropomorphic nature, but humans should not be exclusively in control of nature. The correlation between Xunzi's “the Energy reference(能參) and Wangchung's anti-Superstition spiritual understanding of nature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cause of the crisis of human survival caused by natural disasters and how to solve it.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발달과정으로 본 아동의 도덕의식함양 -콜버그의 이론과 ≪小學≫을 중심으로-

        손흥철 ( Heung Chul Son ),손영수 ( Young Soo Son )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4

        현대의 해석학(解釋學. Hermeneutics)에 근거한 교육론은 아동의 발달과정에 따라 교육자와 피교육자의 상호소통을 강조한다. 이 글은 현대 아동교육의 이론적 토대를 확립한 로렌스 콜버그(Lawrence Kohlberg, 1927∼1987)의 아동발달론을 ≪소학(小學)≫의 아동교육론과 비교·연구하였다. 특히 아동교육에서 아동의 도덕의식 함양의 내용과 습득과정을 해석학적 방법으로 재구성하였다. 콜버그의 교육론은 발달단계에 따른 실천적 도덕교육, 보살핌과 치료의 교육, 평생교육을 통한 지속적인 도덕성 발달을 중시하고 있음을 보았다. 그리고 ≪소학≫에서는 아동의 발달단계에 맞추어 매우 세밀하고 종합적인 전인교육을 지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교육의 중심으로 도덕성 함양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도 설명하였다. 현대의 교육은 일상생활의 예절과 공공질서의 준수를 기본으로 하여 숭고한 인류애를 구현하기 위한 높은 정신을 함양하도록 해야 한다. ≪소학≫은 다민족·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보편적 가치를 창조하는데 꼭 필요한 교육철학을 갖추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현대의 다문화시대의 가치와 의사소통의 방법 및 과거와 현재의 소통가능성도 검토해 보았다. The modern pedagogy that based on the Hermeneutics emphasize between the educator and an educatee mutual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 of child development. Early Lawrence Kohlberg(1927∼1987) established a basis of modern child education. This article made a comparative study about the Lawrence Kohlberg`s child development and the theory of child education of The Elementary learning ≪小學≫. Especially, in the education of children, We restructured the cultivation and learning process of morality with the method of Hermeneutics. In the result, Kohlberg`s education theory regard practical moral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child development, the education of attention and healing, and continuous developing of morality through the lifelong education as important, In The Elementary learning, They aim the very detailed and overall whole-rounded education by the process of child development. Particularly, The Elementary learning lay stress on the cultivation of morality by Pedagogy. In modern Pedagogy, we must pursuit the cultivating of high spirit for the sublime of love for humanity by obeying the proprieties of daily life and the public order. So, The Elementary learning have the must-have philosophy of education for the creating the universal values witch suitable in the a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society. Synthesizing the foregoing research, We examined the value and the method of communication in modern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probability between the passed and the present.

      • KCI등재

        안향(安珦)의 성리학(性理學) 전파(傳播)와 조선성리학(朝鮮性理學)의 정향(定向)

        손흥철 ( Son Heung Chul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8 퇴계학논총 Vol.31 No.-

        이 논문에서 필자는 성리학을 고려에 전파한 회헌(晦軒) 안향(安珦. 1243∼1306)의 업적과 조선성리학에 끼친 학문적 영향을 연구하였다. 안향은 원(元)의 연경(燕京)에 갔을 때 성리학(性理學)에 심취하였고, 직접 주자서(朱子書)를 가지고 돌아와 성리학 연구와 교육에 열중하였다. 그 후 주자 성리학은 조선의 건국이념이 될 정도로 학문적, 역사적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이에 회헌은 “동방주자(東方朱子)”로 칭송된다. 그러나 현재 그가 남긴 학문적 자료가 매우 적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그동안의 연구를 토대로 회헌의 시대인식과 성리학의 도입 과정을 비교 검토하고, 현재 전하는 자료를 통하여 회헌의 학문정신을 재조명하였다. 그리고 중국에서 성리학의 확산과정과 원나라에서의 성리학연구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회헌의 학문정신과 교육관을 연구하였다. 회헌은 교육이 국가를 바로세우는 가장 중요한 사업이라고 강조하였다. 끝으로 회헌이 전파한 성리학이 조선의 건국이념이 되었고, 회헌의 성리학으로부터 조선성리학의 발전과정이 이미 준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회헌으로부터 서원(書院)의 문화가 시작되었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회헌의 시대정신과 그의 학문 진흥의 정신이 21세기 오늘의 시대에도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안향의 교육관을 통하여 국가와 백성의 정신적 문화적 발전을 위해 학자와 교육자의 헌신적 자세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I studied the works of Hoeheon(晦軒) Anhyang(安珦. 1943-1306), who spread the study of Neo-confucianism to Goryeo(高麗), and the academic effects on Joseon‘s Neo-confucianism. When he went to the Yanjing(燕京) of Won(元) Dynasty, he became absorbed in Neo-confucianism and returned to Goryeo Dynasty with a book written by Zhuxi(朱熹), and he was absorbed in the study and education of Neo-confucianism. After that Neo-confucianism was then given academic and historical significance to the extent that it became the founding ideology of Joseon. Hoerheon is praised as “The eastern Zhuzi(朱子)”. But now, he has very little academic data. Accordingly, this paper reviews the introduction of Hoeheon's era perception and Neo-confucianism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reinvents Hoeheon's academic spirit through the current materials. In China, we studied the spread of Neo-confucianism stud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eo-confucianism studies in the Won(元) Dynasty. Next, I studied the academic spirit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of Hoeheon. Hoerheon stressed that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project to establish a country correctly. Lastly, it was confirmed that Neo-confucianism, which was introduced by Hoeheon, became the founding ideology of Joseon, and th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Joseon Neo-confucianism was already prepared from Hoeheon's Neo-confucianism. It also confirmed that the culture of Seowon(書院) started from Hoeheon. Through the abov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spirit of the era and the spirit of his academic advancement were also necessary in today's 21st century. Through Anhyang's educational office, it was confirmed that the dedicated attitude of scholars and educators was necessary to develop the spiritual and cultural development of the nation and its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