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NTENTS : ARTICLES ; The Royal English Academy: Korea`s First Instance of American-Style Education and the Making of Modern Korean Officials, 1886-1894

        ( Leighanne Kimberly Yuh )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015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Vol.15 No.1

        Amidst the turbulent circumstances following the forced “opening” of Korea in 1876, the Korean government launched a variety of reform program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the Royal English Academy (Yugyo˘ng Kongwo˘n) in 1886, the first modern government school, which lasted only eight years. This paper argues that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or its closure was the incompatibility of American educational ideology and pedagogical objectives with the Korean socio-political context. The prospective students who would have been most receptive to a US-style education were the progressive reformers (the Enlightenment Party) since they advocated Western practical learning and technology. Unfortunately their staging of the 1884 Kapsin coup and its subsequent suppression resulted in their systematic elimination and destroyed any possibility of the Royal English Academy finding an enthusiastic student body among the aristocratic yangban who survived the fallout. Unable to attract students, it eventually lapsed under mismanagement, shutting down in 1894.

      • KCI등재

        해방정국의 좌익 유교단체 ‘전국유교연맹’ 연구

        이황직(Hwang-Jik Yi)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6 현상과 인식 Vol.40 No.1,2

        이 연구의 1차적 목적은 그동안 그 전모가 밝혀지지 않았던 해방정국의 좌익 단체 ‘전국유교연맹’의 활동과 성격을 분석하는 것이다.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해방후 유교계의 건국운동과 통일국가수립운동을 복원하고 나아가 유교와 근대 정치 이념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전국유교연맹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전국유교연맹은 해방정국에서 민주주의민족전선의 통일국가수립운동을 위한 세력 확대라는 좌파의 조직적 목적과 유교계 내부에서 김 창숙 중심의 유도회총본부가 우익화되는 것에 불만을 가진 좌파 성향의 유교 민족운동 세력의 의도가 결합하여 결성되었다. 전국유교연맹결성에는 크게 세 개의 세력이 협력했는데, 하나는 위원장 김 응섭을 중심으로 하는 영남 지역의 유림 원로 세력이었고 나머지 둘은 좌파 청년 세력으로서 김 태준 영향하의 명륜학교 졸업생 그룹과 홍 기문 · 이 원조 영향하의 사서연역회 출신들이었다. 전국유교연맹이 유교 혁신과 평등사회 구현을 위해 세 확산에 나서면서 우파인 유도회가 장악하고 있던 서울과 향촌 유림 사회에 긴장을 야기했다. 전국유교연맹의 실패는 유교계의 진보적 대안 제시 가능성을 차단시켰고 결과적으로 유교계 전반의 근대 혁신 시도를 약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전국유교연맹 연구는 전통 유교가 근대 정치이념인 공산주의와 갖는 친화성을 설명하면서 동시에 유교를 둘러싼 좌우 정치세력사이의 대결과 현대 유교사의 양상을 분석하는 데 출발점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This study attempts to restore the activities of ‘Jŏn-guk Yugyo Yŏnmaeng’(registered name: All Korea Confucians’ Alliance), the leftist confucian organization during 1947~1949. At that time, confucian activities was very active and its’ influence was strong. After unity movement, confucians’ hegemony fell into rightist force. Feeling a sense of crisis, communist political leaders supported the organization of leftist confucian groups, and consequently Yugyo Yŏnmaeng came into existence. Participants of Yugyo Yŏnmaeng were grouped into ‘National Front for Democracy’ and fought against confucian main stream represented by Kim Chang Suk. Confucians who participated in Yugyo Yŏnmaeng were mostly prominent fighters for independence and talented youth scholars of chinese classics. Unfortunately, Their activities produced an effect opposite to what was intended. After the failure of communist uprising against U.S. military rule, the power group in Yugyo Yŏnmaeng turned gradually into the pro-communists and gave activities for North Korea. After the frustration of Yugyo Yŏnmaeng, confucian experiments for progressive democratic polity continued up until the second republic. That teaches following implication: confucian democracy thesis could be acceptable on the socialist ways as well as liberalist.

      • KCI등재

        『유교(遺敎)』의 서술방식 연구

        조수미 ( Cho Su-mi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2 국제어문 Vol.55 No.-

        유배에 처하게 되면 `정치적 소외`에 따른 정신적 고통 외에도 `사사(賜死)`에 대한 두려움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없다. 따라서 유배실기 속에 유언(遺言)의 성격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본고의 논의대상이 되는 「기사유사」, 「임인유교」, 「선고유교」는 모두 유배(流配)와 사사(賜死)의 기록이다.1) 『遺敎』에 합철되어 있는데 차례대로 문곡(文谷) 김수항(金壽恒)(1626~1689), 몽와(夢窩) 김창집(金昌集)(1648~1722), 죽취(竹醉) 김제겸(金濟謙)(1680~1772)의 조 · 부 · 손 3대가 유배되었다가 사사될 때까지의 급박한 며칠간의 기록이다.2) 이 『遺敎』를 통해 유배실기가 가지고 있는 유언문학적인 서술 특징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遺敎』의 글들이 일반적인 유언문학(특히 `유교(遺敎)`)과 다른 점은 유언을 남기는 사람과 그것을 서술하는 사람이 다르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그런데 서술자는 유배당사자와 혈연적 · 정서적으로 매우 가까운 관계이므로 그러한 관계적 특성에서 기인한 서술자의 욕망이 글 속에 반영되었다. 서술자(와 서술자가 대변하는 후손 및 남겨진 사람들)의 욕망이 개입된 결과 글 속에는 유언의 당사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 외에도, 서술자가 알고자 하는 것, 기억하고자 하는것, 듣고자 하는 것이 적극적으로 포함되었다. 요컨대 『遺敎』의 유언문학적 특징은 유언을 남기고자 하는 자의 목소리에 유언을 듣는 자들의 목소리가 적극적으로 개입되어 있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Exile was a kind of punishment in traditional societ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Narrative features of non-fiction Exile Litreature 『yugyo』 「Gisayusa (기사유사)」, 「Iminyugyo (임인유교)」, 「Seongoyugyo (선고유교)」 are recorded in 『yugyo』. These are representative record of Exile and capital punishment. These are different with another Testament literature. Because Testament ones are not The narrative. As the result of The narrative(and descendants)`s desire, not only Testament ones`s want to tell but also narrative`s want to know, want to remember are recorded.

      • KCI등재

        한국 현대 사상사의 재조망과 ‘모더니티’ : 20세기 전반 유학사 저술을 중심으로

        이병태(Lee Byeong Tae)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통일인문학 Vol.85 No.-

        유학사는 그 자체로 우리 역사에서 가장 중대한 지적 전통을 담는 지성사이자, 사상사, 나아가 철학사다. 따라서 유학사에 관한 저술에 사상사적으로 접근함은 사상사의 사상사적 독해라는 점에서 메타-이론적 성격을 함축한다. ‘근(현)대성’이라는 범주의 단순 적용을 넘어서서, 특히 20세기 전반의 유학사 저술을 이같은 방법으로 조망할 때, 그리고 그 이후의 유학사와 대조할 때, 한국 현대 사상사의 내적 특징이 새롭게 드러난다. 20세기 전반, 가장 대표적인 유학사 저술은 장지연의 『조선유교연원』과 하겸진의 『동유학안』인데, ‘근(현)대성’을 기준으로 장지연의 『조선유교연원』이 좀 더 진보된 유학사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근(현)대성’을 비켜 이 저술들을 분석하면, 양자 간 차이는 있지만 ① 조선의 유학적 전통에 대한 비판적 성찰, ② 성리학적 중심성의 탈피와 다양성의 포용, ③ 국한문 혼용체 및 근대 매체의 활용, ④ 중국 유학에 대한 차별성과 조선 유학의 독자성 인식 등과 같은 특징이 나타난다. 유구한 지적 전통에 대한 재해석과 보전을 통해 위기의 시대를 넘어서려는 사유의 운동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에 비해, 강점기 이후 유학사 저술은 훨씬 더 세련된 ‘근(현)대적’ 면모와 더불어 풍부하며 흥미로운 논의를 보여주긴 하지만, 정작 서술 대상이 되는 전통에 대해 타자화된 관점을 전제한다. 이는 새롭고 자유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개방할지 몰라도 지적 전통의 내적 운동을 면밀하게 포착하기 어려운 한계를 지닌다. 20세기 전·후반의 유학사 서술에 대한 메타 이론적 접근, 그리고 ‘근(현)대성’이란 범주에 대한 경계는 이처럼 한국 지성사 및 사상사에서 나타난 지적 정체성의 대전환까지 명백하게 포착하도록 이끌어주는 단초를 제공한다. The writings of Korean Confucian history constitute in themselves intellectual history, thought history, and even philosophical history that contains the most important intellectual tradition in our history. The thought-historical approach to the writings of Korean Confucian history reveals a meta-theoretic character because it is a thought-historical reading of a certain thought history. Beyond the simple application of the category of "modernity," the inner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ern thought history are newly revealed. They are especially uncovered when considering the writings of Korean Confucian history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s described above, and contrasting them with those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most representative writings of Korean Confucian history were Jang Ji-yeon"s Chosun yugyo yonwon and Ha Gyeom-jin"s Dong-yu hak an. Jang Ji-yeon"s Chosun yugyo yonwon would have been evaluated as a more advanced writing of Korean Confucian history, based on "modernity." However, when analyzing these writings beyond "modernity," despit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ey manifest characteristics such as the following. First, they exhibit a critical reflection on Chosun"s Confucian tradition. Second, they constitute a break from the Neo Confucianism-centrism and embracement of the diverse doctrines. Third, the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Korean letters mixed with Chinese letters and the use of modern media. Fourth, they exhibit a recognition of the uniqueness of Chosun"s Confucianism. This means that through reinterpretation and preservation of the long intellectual tradition, a movement of thought to overcome the times of crisis emerges. Conversely, the writings of Korean Confucian history after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while showing a much more refined "modern" aspect and plentiful interesting discussions, presuppose an extraneous view of the tradition that is the object of description. Although this may open the possibility of a new and free interpretation, it has a limitation in that it hinders the close capture of the inner movement of intellectual tradition. The meta-theoretic approach to the writings of Korean Confucian history in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provides a clue to clearly capture the great transformation of intellectual identity that emerged in the Korean intellectual and thought history. Further, the caution against the category of "modernism" evokes this transformation.

      • KCI등재
      • KCI등재

        김태준 조선학의 구상과 한계

        이황직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015 한국인물사연구 Vol.23 No.-

        Kim Tae-Jun(金台俊, 1905~1949) was the most prominent leftist cultural activist in late Colonial period and post-liberation period. His contributions, e.g. the first full-scale writing on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and other compilations of that filed, were often accepted as the effect of his socialistic value and anti-Japanese attitude. But all things of his life considered, It is such a controversial issue. This thesis regarded his works o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s an outcome of the competition with other distinguished scholars in chosun-hak area. At that time, old nationalistic scholars, such as Chŏng Inbo(鄭寅普), took the initiative in forming anti-colonialism against Japanese scholars. After studying at Keijo Imperial University[京城帝國大學], the stronghold of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Kim Tae-Jun became a faithful follower of positivist approach involving anti-traditionalism as well as a longhaired socialist. Kim’s Works and his competitors’ ones were in intertextuality. Kim’s priority of taking achievement in chosun-hak area made the Korean nationalistic scholars press on their way. Kim Tae-Jun’s self-contradiction between progressive belief and obedient life were resolved in 1940’s. Kim Tae-Jun joined an secret ultra-leftist organization, Gyeongseong Communist Group led by Park Heon-Yeong. After that, as we know, He was the prominent leftist cultural activist during 10 years. Especially, this thesis investigated his leftist confucian organization, Jeon-guk Yugyo Yeonmaeng(全國儒敎聯盟). Kim’s attitude on confucianism was originally hostile. After becoming leftist organizer, he matured enough to think strategically. Kim Tae-Jun knew that confucian value and practices would be an important resource in order to mobilize the younger generation in a revolutionary protests against traditional rightist confucianists supporting Kim Goo. After considering all the facts above-mentioned, this thesis reached this conclusion: Although his academic legacy on chosun-hak remains controversial issues, the latter part of his life should be considered to be a great consistency in his Marxist ideology.

      • KCI등재

        김태준 조선학의 구상과 한계

        이황직(Yi, Hwang-Jik) 한국인물사연구회 2015 한국인물사연구 Vol.23 No.-

        Kim Tae-Jun(金台俊, 1905~1949) was the most prominent leftist cultural activist in late Colonial period and post-liberation period. His contributions, e.g. the first full-scale writing on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and other compilations of that filed, were often accepted as the effect of his socialistic value and anti-Japanese attitude. But all things of his life considered, It is such a controversial issue. This thesis regarded his works o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s an outcome of the competition with other distinguished scholars in chosun-hak area. At that time, old nationalistic scholars, such as Ch?ng Inbo(鄭寅普), took the initiative in forming anti-colonialism against Japanese scholars. After studying at Keijo Imperial University[京城帝國大學], the stronghold of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Kim Tae-Jun became a faithful follower of positivist approach involving anti-traditionalism as well as a longhaired socialist. Kim’s Works and his competitors’ ones were in intertextuality. Kim’s priority of taking achievement in chosun-hak area made the Korean nationalistic scholars press on their way. Kim Tae-Jun’s self-contradiction between progressive belief and obedient life were resolved in 1940’s. Kim Tae-Jun joined an secret ultra-leftist organization, Gyeongseong Communist Group led by Park Heon-Yeong. After that, as we know, He was the prominent leftist cultural activist during 10 years. Especially, this thesis investigated his leftist confucian organization, Jeon-guk Yugyo Yeonmaeng(全國儒敎聯盟). Kim’s attitude on confucianism was originally hostile. After becoming leftist organizer, he matured enough to think strategically. Kim Tae-Jun knew that confucian value and practices would be an important resource in order to mobilize the younger generation in a revolutionary protests against traditional rightist confucianists supporting Kim Goo. After considering all the facts above-mentioned, this thesis reached this conclusion: Although his academic legacy on chosun-hak remains controversial issues, the latter part of his life should be considered to be a great consistency in his Marxist ideology.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해방 전후 유교계의 이념 분립에 대한 연구

        이황직(Hwang Jik Yi) 한국사회이론학회 2016 사회이론 Vol.- No.49

        이 글은 유교와 근대 정치와의 결합 가능성을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특히 해방정국의 유교계의 좌우 분열의 과정과 이념적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그 시기 유교계 우파와 좌파를 각각 대표하는 정 인보와 김 태준의 갈등 양상을 해방 이전의 학문상의 갈등부터 해방 이후 유도회총본부와 전국유교연맹의 조직화과정을 조사하여 정리했고, 그 과정에서 이들의 유교 이상이 각각 아나키즘과 사회주의라는 정치 관념과 관련을 맺고 있었다는 것을 논증했다. 그 가운데 정 인보와 김 태준의 유교에 대한 인식을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 인보는 조선의 유교 전통을 강하게 비판했지만 동시에 실심(實心)과 개혁의 유교 전통을 찾아내 이를 통해 근대의 과제에 유교가 대응하는 논리를 찾고자 했다. 반면에 김 태준은 유교 전통의 부정적 측면에만 주목하여 반유교적 태도를 견지했다. 이러한 대립은 해방 이전 조선학 및한문학사 연구 분야에서의 갈등을 낳았다. 해방 이후 정 인보는 김 창숙과 함께 유교 혁신 및 부흥 운동을 전개하면서 이를 통해완전 독립을 향한 국민운동에 나섰다. 김 태준은 1940년 이후의 성숙을 통해 유교 전통의 긍정성을 일부 확인했고 좌파 유교 운동을 조직화하여 유교 정치의 좌파적 이상을 실현하려 했다. 이처럼 정 인보와 김 태준의 유교에 대한 인식 차이와 변화는 해방정국에서 이들의 정치 이상 실현 시도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이 논문의 결론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