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학골남씨와 수락산 玉流洞의 주인 남용익-한문학 자료가 지닌 인문 유산 콘텐츠로써의활용 방안을 겸하여-

        신영미 한국한문학회 2022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traces left by Hogok(壺谷) Nam-Yong-Ik(南龍翼, 1628∼1692 and his extended family(世系) in the area of Cheong-Hak-ri, Byeol-Nae-Myeon, Nam-Yang-Ju-Si and to use them as a humanities heritage. Nam-Yong-Ik and Dong-Hak-Gol-Nam’s are examples of people and families who left distinct traces in a region. The focus of this article is not on raising a specific individual and a specific family. In the past, Byeol-Nae-Myeon belonged to Song Mountain(松山), and the area of Cheong-Hak-ri, was called Dong-Hak-Gol(東鶴골), Dong-Hae- Gok(東海谷), and Do-Gok(陶谷). The relationship between Ui-Ryeong- Nam-Ga(宜寧南氏) and Song Mountain in Yang-Ju dates from Nam-Jae(南在), the founding contributor of the Joseon(朝鮮) Dynasty. But it was from Nam-Hyo-Ui(南孝義) in the 16th century when they revealed their presence as Dong-Hak-Gol-Nam-Ga(東鶴골南氏) based in Cheong-Hak-Ri. Nam-Hyo-Ui's sixth-generation descendant, Nam-Yong-Ik, changed from Seo-In(西人) to No-Ron(老論), and with the closing of the 17th century, his descendants rose to the ranks of the Gyeong-Hwa-Se-Jok(京華世族) and maintained the reputation of a prestigious family. Cheong-Hak-ri, Byeol-Nae-Myeon, served as their manor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 reason why there are still many Nam's inhabitants here is that the heritage of their ancestors, including family grave(先塋) and land, remains. While searching for its traces, I discovered that the grave of Nam- Yong-Ik’s Great-grandfather was being misinformed as grave of Nam- Yong-Ik and correct it. In addition, I found the head of Moon-In-Seok(文人石), a grave in Nam-Bok-Si(南復始), which was presumed to be stolen, and described the related information. Also I mentioned the last traces of Nam-Yong-Ik’s descendant at Cheong-Hak-Neighborhood Park in Cheong-Hak-ri. Ok-Ryu-Dong(玉流洞) of Su-Rak Mountain(水落山), a famous place in Dong-Hak-Gol is a place where Nam-Yong-Ik visited for life. Furthermore, the letters of “Ok-Ryu-Dong” engraved on the rock wall were recently discovered, allowing the specific tourist attractions of Nam-Yong-Ik to be specified. This area is still visited by many due to its beautiful natural landscape. Seeing that Korean literary materials need to be used here, I have introduced the poems and related records left behind by Nam- Yong-Ik. Ok-Ryu-Dong of Su-Rak Mountain is scenic spot. Accordingly, several opinions were presented, including the installation of a cultural heritage sign and the use of QR. In addition, I proposed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Notify Application" modeled after the "Safety Notify Application" and presented ideas on a platform for various subjects such as government offices, citizens, researchers, and cultural property owners to cooperate. 이 글의 목적은 壺谷 南龍翼(1628∼1692)과 그의 世系가 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리 일대에 남긴 자취를 탐구하고 그것을 인문 유산 콘텐츠로 활용하는 데 있다. 남용익과 의령남씨는 한 지역에 뚜렷한 종적을 남긴 인물과 가문의 예시로, 특정 개인과 특정 가문을 드높이는 데 이 글의 취지가 있는 것은 아니다. 과거 남양주시 별내면은 楊州 松山에 속했고 청학리 일대는 東鶴골, 東海谷, 陶谷 등으로 불렸다. 의령남씨와 양주 송산의 인연은 조선조 개국공신인 南在 때부터지만, 이들이 청학리를 근거지로 둔 ‘동학골남씨’로 존재감을 드러냈을 때는 16세기 南孝義 때부터이다. 남효의의 6세손인 남용익은 근기 서인에서 노론이 되었고, 그 후손들은 18세기부터 구한말까지 경화세족으로 명성을 유지하였다. 별내면 청학리 일대는 구한말까지 田莊으로 기능했다. 이곳에 거주하는 남씨가 아직도 많은 이유는 先塋과 땅을 비롯한 선조들의 유산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그 자취를 찾아 답사하던 중 茂朱公 南復始 묘소가 남용익의 묘소로 誤認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그간 도난이라 추정된 남복시 묘소의 문인석 머리를 발굴하고, 별내면 청학리 청학근린공원에 남용익의 世系가 마지막으로 남긴 흔적에 관해서도 조사하였다. 수락산 玉流洞은 동학골의 명소로 남용익이 자주 방문했던 곳이다. 이는 호곡집 내 숱한 시로 증명된다. 더욱이 남용익과 그곳을 찾았던 李喜朝가 훗날 옥류동 암벽에 玉流洞 글자를 새겼는데, 최근 이 글자가 발견됨에 따라 구체적인 위치를 특정할 수 있게 되었다. 그곳은 현재 옥류폭포가 있는 곳으로 여전히 수려한 자연경관으로 인해 많은 이들이 찾는 장소다. 한문학 자료를 매개로 시민들에게 향유될 필요가 있다고 보아 관련된 시와 기록을 소개하였다. 자연경관과 역사 경관으로서의 가치를 지닌 수락산 옥류동은 명승이라 불려도 손색이 없다. 이에 인문 유산의 콘텐츠화 방안으로 표석 설치와 QR 활용 등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묘소 고증과 유물 발견과정을 거치며 체감한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전 신문고 Application”을 모델로 한 “문화재 신문고 Application”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약소한 아이디어가 관, 시민, 연구자, 문화재 소유주 등 다양한 주체가 협조할 수 있는 유연한 형태의 플랫폼 구축에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

      • KCI등재

        장용학 후기 소설에 나타난 문제의식과 형식의 양상

        홍원경(Hong, Won-kyung)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4 No.-

        필자는 한국 문학사적으로 평가 받고 있는 장용학 전기 소설에 비해 최근까지도 조명 받지 못하고 있는 후기 소설에 나타난 문제의식과 형식의 양상을 천착함으로써, 장용학 연구의 문제점과 미진한 부분을 기워내는 온전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장용학 후기 소설에서는 근대화와 독재체제에 대한 비판의식을 보여준다. 우선 후기 소설에 드러난 근대화에 대한 비판은 소외현상과 물질주의 병폐를 지적하고 있다. 다시 말해 이는 소외의 제거에 대한 희망과 경험적 사물화의 극복에 대한 희망인 동시에, 경제적으로 기초된 정의와 평등의 관철에 대한 요구에 근거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독재체제를 신랄하게 비판한 후기 소설을 통해 장용학은 당시 자신과 같은 피해자에게 모진 고통을 초래한 독재체제의 행방을 주시하며, 그것을 헤쳐나가는 인간 본연의 자세를 모색한 것이다. 더 나아가서 현실의 특수한 성격을 드러내고 있는 이러한 후기 소설을 통해 장용학은 비판적 현실참여를 지향하는 지식인들과 국민의 출현을 기대했을런지도 모른다. 한편 장용학 후기 소설에 나타난 형식 가운데 상징 기법은 관찰되었거나 관찰 가능한 것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작가가 독재정권의 실체를 보여주기 위해 관찰 가능한 현실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기법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이상으로 장용학 후기 소설에 대한 고찰은 전기 소설 중심의 분절적 연구방법으로 이어져온 기존의 장용학 소설연구에서 벗어나 장용학의 소설 세계에 대한 총체적/포괄적 연구의 새로운 기틀을 마련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Yong-hak Jang’s novel, which occupi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until recently, is regarded as part of one of the author’s first works instead of later ones. This thesis reviews a study on criticality and form in the later works of Yong-hak Jang. The thesis aim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discovering new meanings that existing studies on the works of Yong-hak Jang have not addressed. Two aspects of the critical mind in the later works of Yong-hak Jang are explored: the critical mind during modernization and the system of Jeong-hee, Park’s dictatorship. In other words, it is based on the hope that a sense of alienation with the government and the state will cease and empirical individual purpose will be conquered, along with the demand for justice and equality in economic foundation. Through the later novel, which is harshly critical of the horrors of the dictatorship, Yong-hak Jang articulated how the dictatorship was causing suffering and tried to understand human nature. By extension, it is possible that he thought of a future where intellectuals and citizens participate critically in political affairs. Meanwhile, the circularity of type revealed in the form in the later works of Yong-hak Jang is not so much observation as much as a description of the observed; it uses a technique close to symbolically representing reality for revealing how a writer essentially feels about the essence of the dictatorship. In its final analysis, a study on the later works of Yong-hak Jang, digressing from the dominant research on Yong-hak Jang’s novels,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a general/comprehensive study of the novel world created by Yong-hak Jang.

      • KCI등재

        茶山學團의 『주역』 해석 방법론 연구 -丁若鏞의 아들들과 舫山 尹廷琦의 『易傳翼』을 중심으로-

        서근식 한국고전번역원 2020 民族文化 Vol.55 No.-

        This thesis examined how Jeong Yak-Yong(丁若鏞)’s sons, Jeong Hak-Yon(丁學淵) and Jeong Hak-Yoo(丁學游), and Jeong Yak-Yong(丁若鏞)’s grandchild, Yoon Jeong-Kee(尹廷琦), accepted Jeong Yak-Yong(丁若鏞)’s Yixue(易學). Jeong Hak-Yon(丁學淵) and Jeong Hak-Yoo(丁學游) showed their presence in Zhouyisijian(周易四箋) and “Chashanwenda(「茶山問答」)” of Yixuexuyan(易學緖言). Jeong Hak-Yon(丁學淵) and Jeong Hak-Yoo(丁學游) followed Jeong Yak-Yong(丁若鏞)’s ideas well. In fact, Chashanxuetuan(茶山學團) became better known to the world owing to Yoon Jeong-Kee(尹廷琦) who led his whole life following Dasan’s ideology(茶山學). In Yoon Jeong-Kee(尹廷琦)’s Yizhuanyi(易傳翼), only the core of Jeong Yak-Yong(丁若鏞)’s Zhouyisijian(周易四箋) was accepted and developed properly. Yilisifa(易理四法), consideration of “Wenyanzhuan(「文言傳」)” as an ancient book, and Shierpigua(十二辟卦) are some examples. However, they believed the hypothesis that Confucius authored Shiyi(十翼), did not accept “Shiguazhuan(「蓍卦傳」)” in which Jeong Yak-Yong(丁若鏞) had borrowed some lines from “Xicizhuan(「繫辭傳」)”, and returned to ZhuXi(朱熹)’s divination. Jeong Yak-Yong(丁若鏞)’s sons lived in their father's shadow and did not get enough recognition. After Jeong Yak-Yong(丁若鏞)’s death, Yoon Jeong-Kee(尹廷琦) adequately fulfilled his role as a successor of Dasan’s ideology(茶山學). Yet, in his efforts to establish his own theory distinct from Jeong Yak-Yong(丁若鏞)’s, he seems to have rather gone backward compared to Jeong Yak-Yong(丁若鏞). 이 논문은 丁若鏞의 아들인 丁學淵․丁學游와 외손인 尹廷琦가 정약용의 역학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정학연․정학유는 周易四箋과 易學緖言 「茶山問答」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윤정기도 평생을 다산학의 계승자로서 살았기 때문에 다산학단이 좀 더 빛을 보게 된 것이다. 윤정기의 易傳翼은 정약용의 주역사전의 핵심적인 부분만을 받아 들여서 잘 전개하고 있다. 易理四法이라든지 「文言傳」을 고대의 字書로 본 점이라든지 十二辟卦라든지가 그렇다. 그러나 공자가 十翼을 지었다는 설을 믿거나 정약용이 「繫辭傳」에서 독립시킨 「蓍卦傳」을 받아들이지 않고 朱熹의 占法으로 되돌아갔으며, 주희는 인정하였지만 정약용은 부정한 <文王八卦方位>도 실어 놓고 있는 점 등은 다산학의 발전과정에서 오히려 퇴보된 느낌이다. 정약용의 아들들은 정약용의 그늘에 가려져서 빛을 보지 못하였다. 윤정기는 정약용이 죽은 후에 다산학의 계승자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하였다. 그러나 일부 정약용과는 다른 학설을 내세우다 보니 오히려 정약용보다 퇴보된 느낌이 든다.

      • KCI등재

        1894년 갑오개혁 이후 주한 일본공사 이노우에의 개입과 대원군의 정치적 몰락— 이준용역모사건과 김학우암살사건을 중심으로 —

        김영수 수선사학회 2022 史林 Vol.- No.81

        At that time, diplomatic and personal records mainly focused on Dae-Won-Gun and Lee Jun-Yong, who were behind the assassination of Kim Hak-Woo in 1894. Most of the records of people who served as bureaucrats after the Gabo Reform(Kim Hong-Jib Cabinet) and diplomatic records of foreign missions in Korea were initially recorded as being the planners of Lee Jun-Yong and the masterminds of Dae-Won-Gun. However, as time passed, both the planners and the masterminds behind the Kim Hak-Woo assassination were identified as Dae-Won-Gun. In the end, Dae-Won-Gun planned the assassination of Deputy Minister of Justice Kim Hak-Woo in order to cover up Lee Jun-Yong's rebellion. In the course of a special court trial in April 1895, Minister of Justice Seo Gwang-Beom attempted to remove Lee Jun-Yong with extreme punishment. The Japanese minister in Seoul Inoue suspected the Ministry of Interior Park Young-Hyo and Queen Min. This means that Queen Min intervened behind her and instigated Lee Jun-Yong to be punished with extreme punishment. There is something peculiar about the judgment of the special court in April 1895. The first is the fact that no relationship can be found between Lee Jun-Yong and Dae-Won-Gun. The special court substantiated the charges against Lee Jun-Yong, but made no mention of any connection with Dae-Won-Gun. Second, Lee Jun-Yong did not intend to assassinate Queen Min. In the end, the special court deliberately concealed Lee Jun-Yong's assassination of Queen Min and Dae-Won-Gun's indirect intervention. Before and after the Gabo Reform, Dae-Won-Gun chose Lee Jun-Yong as the successor of King Gojong and tried to make his grandson the heir to the throne. The cases that prove this were the assassination of Kim Hak-Woo and the rebellion of Lee Jun-Yong. In this situation, King Gojong judged that Lee Jun-Yong was a threat to his throne and continued to check it. After that, Dae-Won-Gun planned Lee Jun-Yong's trip to Japan under the pretext of studying abroad. As a result, Lee Jun-Yong left Seoul on December 25, 1895 and fled to Japan. .

      • KCI등재

        장용학 소설의 신체 담론 연구

        이청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人文硏究 Vol.- No.58

        This study analyzed about the meaning of the body in Jang, Yong-Hak's novel. Jang, Yong-Hak is known as the post-war writers. But in his novels and stories related to the ideality or difficult, or existentialist philosophy was done only with respect. Recently, Reads is attempting newly Jang, Yong-Hak. This writing is studied the discourse as the body of Jang, Yong-Hak's novel. The human body from the negative discourse Jang, Yong-Hak's novel metaphor for the modern era and can be used as indicators. Details of the negative human could be found ‘the negation of vision', ‘the negation of time', ‘the negation of name'. More than anything Jang, Yong-Hak placed in a situation the Korean war was the highlight. He found evidence of more specific criticisms that place. Regarding the war and the body of a soldier, a prisoner of the body, the body was covered. Attaches, Tried to observe Incest and child to eat there father, sick mother and cave. It leads, the war situation, the moral and ethical battle with his decision to destroy the human has always said. When the human beings which awake department went and the place made clear the fact that is a prehistoric world. 이 논문은 장용학 소설에 나타나는 신체의 의미를 되짚어 보려는 목적에서 쓰였다. 장용학은 전후 작가로 잘 알려져 있지만 그의 소설에 대한 논의는 관념성이나 난해성과 관련하여 또는 실존주의 철학과 결부지어 편향된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최근 들어 장용학 소설을 새롭게 읽으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본고는 장용학 소설의 신체 담론을 고찰해 그러한 시도에 부응하고자 한다. 장용학 소설에서 신체는 인간 부정의 메타포로 그리고 근대를 넘어서려는 지표로 사용된다. 무엇보다 장용학은 전쟁 상황에 놓인 인간의 신체를 부각시킴으로써 보다 명확한 인간 비판의 근거를 마련하였는데, 본고는 전쟁과 관련해 군인의 신체, 포로의 신체, 시체들의 모습을 다루고, 거기에 근친상간과 자식을 먹는 아버지, 앓는 어머니와 동굴이라는 공간에 대한 의미를 함께 살펴보았다. 그를 통해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이 인간의 윤리적 도덕적 판단을 불구화시킨다는 것을 밝히고, 장용학이 근본적인 터부마저 깬 인간들이 가야할 곳을 문명 이전, 원시로의 회귀로 설정하고 있음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경세가 정약용에서 시인 정학연으로- 다산가 시학의 변화와 19세기 문인사회-

        이철희 ( Lee,Chul Hee ) 한국한문학회 2012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0

        According to the poetic characteristics found in HakYen-Jung`s poems up until now, they are quite different from Yak-Yong Jung`s instructions which were based on “statecraft” and recommended his descendants to form Bo Tu as the role model in writing poems. It is obvious that Hak-Yeon Jung also pursued the sprit of “statecraft” and “history” in Yak-Yong Jung`s instruction. However, excluding Yak-Yong Jung`s another instruction, Hak-Yeon Jung formed other poets as his role model instead of Bo Tu, such Yu Wang and he aimed the aesthetic sprit in his poems. This paper attempted to shed light on how the sprit and philosophy in Yak-Yong Jung`s poems was succeed and was changed in the next generation`s poems by means of elucidating the relationship and the discrepancy between Yak-Yong Jung`s poems and Hak-Yeon Jung`s poems. Then, this paper found three relevant points in this research. Firstly, even though their role models (Bo Tu vs. Yu Wang) seems to purse the different world in their poems, Bo Tu and Yu Wang`s goals in their poems may be identical. Ultimately, Yak-Yong Jung and Hak-Yeon Jung respected the sprit of “the Book of Odes” and tried to express humans` personalities faithfully in their poems. Secondly, Yak-Yong Jung and Hak-Yeon Jung showed the positive attitude in their adverse circumstances, so their poems sincerely expressed the sense of sorrow based on their lives. Thirdly, the poems including the sense of sorrow was created in building the friendship with poems or in working at the poetry clubs and so their poems reflect the political realities and the atmosphere of intellects of their time. The succession and change of the sprit of Dasan`s poems show us an change aspect in the intellects` society when the politics and the society of Chosen Dynasty were infringed by the maternal relatives of the kings. In addition, the sprit of sorrow found in the poems written by Jung`s family members has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hange of the political atmosphere and the literary circle.

      • KCI등재

        장용학 후기소설 주제의식에 연계된 에세이 고찰

        홍상언(Hong Sangeon)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0 No.-

        필자는 장용학 전기소설에 비해 연구가 미미한 실정인 후기소설에 대한 주제의식과 후기소설 연구와 같은 상황인 에세이를 천착함으로써, 장용학이 교육자이면서 한때 언론인으로서 비평적 태도를 보여준 지성적인 작가임을 다시 한 번 인식할 수 있었다. 후기소설 주제의식에 연계된 장용학 에세이 가운데 본고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 것만 간추려보면 다음과 같다. 근대화로 인한 소외양상을 보여준 에세이에서는 善, 自由, 그리고 現代人에 대한 장용학의 소견과 자본주의 사회와 근대화의 병폐를 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의 주제의식에 연계된 또다른 에세이로는 도시계획을 강행하는 서울시장을 비판하고 있다. 독재정권의 고발을 보여준 장용학의 에세이로는 박정희의 장기집권을 위한 대통령선거 여부에 대한국민투표 자체를 비판하고 있다. 왜곡된 일본사를 비판한 장용학의 에세이로는 일본인의 통념을 비판하고 있는 글이 있다. 이상으로 장용학 후기소설에 나타난 주제의식에 연계된 에세이 고찰은 장용학 전기소설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장용학 연구에 있어 총체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Until recently, studying the later works of Yong-hak Jang was considered immaterial when compared to studying his earlier ones. A study of the author’s essay was also considered immaterial . This thesis is a review of a study on subject consciousness in the later works of Yong-hak Jang and its affiliated essay. This study, however, helped us re-identify Yong-hak Jang for his intelligence and critical temper in his capacity as author, educator, and journalist. We closely examined a part of the affiliated essay on subject consciousness seen in the later works of Yong-hak Jang. These essays reveal his critical bent of mind toward modernization, especially his views regarding the alienation of people from one another caused by modernization. His essay looks at not only the positive aspect of freedom and of modernization, but also at his opinion of the twofold capitalist society that emerged as a result of the so-called modernization. His essay is a reflection of his opinion about the city planning enforcement of a Seoul mayor. The essay criticizes the dictatorship of the government. In the essay, he emphasizes the role of the plebiscite in long-term seizure of power from the Revitalizing Reforms system under the dictatorship of the government of Jeong-hee, Park. In the same critical fashion, his essay mentions the distortion of history introduced by Japan and his opinions about Japanese conventions . To conclude, the study on subject consciousness in the later works of Yong-hak Jang and its affiliated essay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a general study of the literature world created by Yong-hak Jang.

      • KCI등재

        鶴鳴의 禪農佛敎에 보이는 結社的 性格

        김호성 한국선학회 2010 한국선학 Vol.27 No.-

        학명은 근대 한국에서 선농불교를 주창하고 실천한 선구자이다. 용성 보다 시기적으로 빠르다는 점에서 ‘효시’로까지 볼 수 있다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선농불교를 단순히 禪家 전통의 普請과는 다른 차원에서 이해함으로써 가능하게 되었다. 물론 선농불교는 보청의 전통을 잇고 있지만, 보청과는 달리 뚜렷한 역사적 특수성을 반영한다. 그 시대 상황 속에서 교단의 존재양식에 대한 반성에서 출발하므로 개혁적 성격이 있다. 학명이나 용성의 선농불교가 선가 전통의 보청과는 다른 측면이다. 이 점을 주목할 때 ‘역사’는 형성된다. 또 한편으로 학명의 선농불교에서 주목할 점은, 학명 스스로가 ‘결사운동’이라고 自任하거나 표방한 일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결사’로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선농의 결사, 즉 선농결사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고 나는 본다. 이 논문은 바로 그 점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우선 학명의 선농불교를 하나의 결사로 볼 수 있으려면, 결사의 개념 정의에 있어서 스스로 ‘결사’라고 하는 의식이 있었는가 하는 점은 결정적인 기준이 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한 표방 여부와는 별도로, 결사를 구성하는 데 더욱 중요한 것은 그것이 避隱 속의 개혁인가, 또 脫권력/脫정치의 수행운동인가 하는 점에 있었던 것으로 보았다. 이런 나의 결사 개념에 비추어 볼 때, 학명의 선농불교는 손색이 없는 결사였던 것으로 평가하였다. 또 하나 그의 선농불교 현장에서 활용되었던 텍스트 속에서, 학명의 선농불교가 결사임을 증거하는 성격의 텍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결사는 공동체 운동이므로 참가한 대중들의 윤리적 실천강령이 필요하다. 그것은 역시 禪家의 전통을 이어서 ‘淸規’라는 형태로 나타난다. 내장사에서 행해진 학명의 선농불교에는 「內藏禪院 規則」이 제정되어 있었으며, 여기에는 선농불교를 행해야 할 이유나 목표 등이 간략하지만 분명하게 표방되어 있었다. 結社文에서 밝혀야 할 성격의 내용까지 포괄하고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결사의 논리적 이유와 방법을 밝히고 있는 結社文의 역할을 대신해 줄 텍스트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바로 「禪園曲」이라는 불교가사이다. 거기에는 선농불교의 반대자를 설득하는 논리와 農이 禪 안에서 차지하는 의미 등을 밝히고 있어서, 시기적으로 늦게 발표된 것이므로 結社文이라 보기는 어려울지 몰라도 결사의 이유를 적은 理由書라 해도 좋을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두 가지 접근방법을 통하여, 나는 학명의 선농불교는 그 자체가 결사적 성격을 갖는 것으로서, 보통명사적 의미에서 ‘선농결사’로 불러도 좋으리라 본다. Hak-Myung(鶴鳴) was a Sŏn master, a buddhist reformer, a performer of combinational practice of Sŏn and Agriculture, a poet, and a painter who drew the paintings of Bodhi-Dharma(達磨圖). Therefore overall studies should be done on his varied facets, but before that, deep researches on his individual aspects should be preceded. Previous studies on Hak-Myung as a reformer, as a performer of Sŏn-Agriculture Buddhism, and as a poet have been done a little. Especially the studies on his thought and conduct of combinational practice of Sŏn and Agriculture have been received lots of attention along with his reformative position on the history of modern Buddhist order in Korea. Considering small quantities of primary and secondary sources which remain now, I was not sure if there could be a new understanding. However researching more concretely, I realized that there are still some parts which need to be organized. One of them is the point that the first of the Sŏn-Agriculture Buddhism which had conducted combinative practice of Sŏn and Agriculture in modern Korean Buddhism was not Yong-Sung(龍城) but Hak-Myung unlike existing theory. I have already re-examined in my previous study.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it could be re-appraised that Hak-Myung's Sŏn-Agriculture Buddhism as a Gyŏl-sa(結社, Fraternitas). It is obvious to me who has been interested in the Gyŏl-sa(結社, Fraternitas) for a long time and evaluated it as a restoration of spirit of renunciation. First of all, there is one problem in my perspective that regards Hak-Myung's Sŏn-Agriculture Buddhism as a Gyŏl-sa. He has never said his Sŏn-Agriculture Buddhism as a 'Gyŏl-sa' in his own words. In regard of appraising a new Buddhist movement as a Gyŏl-sa, usually it is an important criterion that the advocate of the movement is aware of a previous Gyŏl-sa and willing to succeed it. However, I think it is not a decisive criterion that the advocate claims and regards his/her movement as the Gyŏl-sa. Because fulfilling those components which construct a 'Gyŏl-sa' is much more important. The first component is that if it is a reformation held on condition of seclusion. Hak-Myung's Sŏn-Agriculture Buddhism tried to practice within its power first--in a corner-- realizing properly the problems of Sŏn order and the entire Buddhist society. The second component is that if it is a movement of practice held for non-power/ non-political purpose, and it satisfies the condition. Hak-Myung practiced the Sŏn-Agriculture Buddhism under the banner of 'Half Farm and Half Sŏn-ism' at Naejangsa temple, but his purpose was not controlling the whole Buddhist order. Moreover, his position was only a chief monk of a branch temple. The third component is that even if Hak-Myung's Sŏn-Agriculture Buddhism was a small-scale moral community, it was definitely a Gyŏl-sa. In the light of the definition of the Gyŏl-sa, it is possible to regard Hak-Myung's Sŏn-Agriculture Buddhism as a Gyŏl-sa. Moreover if it is accepted, there should exist two elements : 'Pure Rules' which the participants follow and 'a statement of reason' which defines logical reasons or methods. On the 'Pure Rules', the previous researchers also --even if they didn't point out that it was not the 'Pure Rules of the Gyŏl-sa'-- have been agreed that <Rules of Naejang Sŏnwŏn> is the Pure Rules. There, the principle, the purpose, the method of the Gyŏl-sa and the concrete standards of daily life are enacted. In the sense that the <Rules of Naejang Sŏnwŏn> includes the principle and purpose of the Gyŏl-sa, it can be regarded that Hak-Myung's Sŏn-Agriculture Buddhism as a Gyŏl-sa of Sŏn-Agriculture. But it is no doubt that if there exist a proclamation, it could be regarded as a definite associational movement. Considering it is general that a proclamation is issued in the beginning of the Gyŏl-sa, it seems that there is no such a thing in hak-Myung's Sŏn-Agriculture Buddhism. But, even though the time of announcement was delayed a bit, there is a noteworthy buddhist poetry <Sŏnwŏngok> which gives the particulars of the reasons and the methods of Sŏn-Agriculture Buddhism. It is hard to be called exactly a proclamation, but I think it can be evaluated as the 'statement of reason of the Gyŏl-sa' because this text performs a role what a proclamation usually does. And it might be used as a textbook for the participants to understand the Gyŏl-sa. Thus, in respect of conceptual perspective and fulfillment of required texts, it is possible to say that Hak-Myung's Sŏn-Agriculture Buddhism is a kind of Gyŏl-sa. Hak-Myung's Sŏn-Agriculture Buddhism is also an Gyŏl-sa of Sŏn-Agriculture. It is noticeable that Hak-Myung's Sŏn-Agriculture Buddhism takes on a specific historicity which cannot be evaluated as a mere cooperation requesting of Sŏn society. As an attempt which tried to ultimately reform the malady of modern Korean Buddhism that had been turned away from labour and digressed from the spirit of renunciation, Hak-Myung's Sŏn-Agriculture Buddhism should be re-appraised its historical value. Now we are at a fork in the road : one that moves us away from Hak-Myung, and the other that goes together with him. Which road would the Korean Sŏn performer choose? The future of Korean Buddhism might depend on it.

      • KCI등재

        국민가요 <눈물 젖은 두만강>의 ‘그리운 내 님’과 작사가 연구

        허부문 대중서사학회 2023 대중서사연구 Vol.29 No.2

        In the 2000s, it was argued that my longing for the song of the “Tearful Duman River”, known as an unknown independence activist, was a big socialist Park Heon-young(2004) and a nationalist independence activist Moon Chang-Hak(2016). Even though Kim Yong-Ho wrote all three verses, two views that another person wrote the first verse appeared after the 198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position of the lyricist of the first verse and the lyricist of the first verse. The main point of Park Heon-young's theory is that the lyricist Kim Yong-ho is not a real person, and actor Kim Yong-hwan has heard the news of Park Heon-young's escape from the Duman River where he was filming. In addition, Kim Yongm-Ho was a real person, and Kim Yong-Hwan was not an actor but a singer and composer and had nothing to do with the “Tearful Duman River”. Moon Chang-Hak's theory refers to the composer Lee Shi-Woo as if he wrote not only the composition but also the lyrics. Even though Moon Chang-Hak's actions, arrest, trials, and executions were all carried out in the land of Joseon, he was linked to Domun(도문) of Manchuria(만주), which is known as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the song because he was from the Duman River. It is also not convincing that he has been searching for his husband without hearing the news of the arrest, trial, and firing of Moon Chang-Hak, which has been reported stadily through the newspaper. Lastly, this study examined Kim Yong-Ho's theory, Lee Shi-Woo and Kim Yong-Ho's theory, and Han Myung-Cheon and Kim Yong-Ho's theory in turn, and concluded that Han Myung-Cheon and Kim Yong-Ho's theory, in short, Han Myung-Cheon made the first verse and Kim Yong-Ho completed the second and third verses. As a background, I heard the situation that it was an unknown literary youth at the time of the announcement, and after the division, it was difficult to establish a North Korean poet Han Myung-Cheon, who became as a famous poet of North Korea. “Tearful Duman River” is a song that rises to the rank of a national song that the two Koreas love together. As a result, I think that my nostalgic nymph and the first lyricist have found my place. 무명의 독립운동가라고 알려져 온 <눈물 젖은 두만강> 속의 노랫말 ‘그리운 내 님’이 2000년대에 들어 거물 사회주의자 박헌영(2004), 민족주의 독립운동가 문창학(2016)이라는 주장이 잇따라 제기되었다. 노랫말을 두고도 1절을 다른 사람이 지었다는 두 가지 견해가 1980년대 이후 등장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리운 내 님’ 및 작사가의 자리매김이다. 박헌영설의 골자는 기왕의 작사가 김용호는 실재 인물이 아니며, 배우 김용환이 영화 촬영차 머물던 두만강변에서 박헌영의 탈출 소식을 접하고 작사했다는 것이다. 박헌영설의 가장 큰 문제점은 교차 검증의 부재이다. 김용호는 분명히 실재한 인물이었으며, 김용환은 배우가 아니라 가수 겸 작곡가로 <눈물 젖은 두만강>과는 무관한 존재였다. 문창학설은 작곡가 이시우가 작곡뿐만 아니라 작사까지 한 것처럼 언급한다. 문창학의 거사, 체포, 재판, 사형이 모두 조선 땅에서 이루어졌는데도, 두만강가 출신이라는 이유로 노래의 탄생 배경으로 알려진 만주의 도문과 연결했다. 신문 지면을 통해 꾸준히 보도된 문창학의 체포, 재판, 총살 소식을 풍문으로도 듣지 못한 채 부인이 남편을 찾아다녔다는 주장도 설득력이 약하다. 마지막으로 김용호 단독(작사)설, 이시우・김용호 합작설, 한명천・김용호 합작설을 차례대로 살펴보았다. 검토 끝에 한명천・김용호 합작설, 요컨대 한명천이 1절을 짓고 김용호가 2절과 3절을 완성했다는 결론을 이끌어내었다. 그 배경으로 발표 당시에는 무명의 문학청년이어서, 분단 이후에는 북한의 유명 시인으로 명성을 얻은 월북 시인 한명천을 내세우기 어려웠던 남북분단이라는 상황이 있었다. <눈물 젖은 두만강>은 남북한이 함께 사랑하는 민족가요의 반열에 올라선 가요이다. 필자는 두 개의 ‘그리운 내 님’ 주장과 1절 작사가를 둘러싼 세 가지 이설을 정리했다. 그 결과, ‘그리운 내 님’과 1절 작사가가 제 자리를 찾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한국 근·현대 불교개혁론의 전개와 유형

        이병욱(Lee Byung Wook)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4 한국종교 Vol.37 No.-

        이 논문은 한국근현대에 제기된 불교개혁론을 두 단계로 나누어서 접근하고 그 유형을 구분한 것이다. 불교개혁론의 1단계에는 권상로의 「조선불교개혁론」,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 이영재의 「조선불교혁신론」등이 포함된다. 1단계에 속하는 불교개혁론은 아직 구체적 대안으로 발전되지 못한 것이다. 예를 들면, 권상로의 「조선불교개혁론」에는 추상적 개념분석에 공을 들이는 부분이 있고,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에도 추상적 내용이 섞여 있고 또한 대안제시에서도 문제점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이영재의 「조선불교혁신론」에는 이상적 청사진을 제시하는 데에 치중하였고 아직 구체적 대안으로 발전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불교개혁론의 2단계에는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 백용성의 대각교 운동, 백학명의 불교개혁에 관한 견해, 손규상의 진각종 창종 등이 포함된다. 2단계의 불교개혁론은 1단계의 불교개혁론과 비교해 볼 때, 구체적 대안으로 발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은 3가지 내용으로 구분된다. 첫째, 31본산을 통괄하는 기구를 설치하자는 것이고, 둘째 대중 불교의 추구이며, 셋째 선수행의 지도 원리와 불교교학의 교육방법을 정비하는 것이다. 백용성의 대각교운동은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의 내용과 문제의식에서 거의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과 백용성의 대각교 운동을 한 가지로 보고, 그들은 ‘당시의 불교계를 개혁하자’고 주장하였다. 백학명의 불교개혁적 견해는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과 비교해 볼 때, 첫째 주장 곧 31본산을 통괄하는 기구를 설치하자는 것은 없지만, 둘째와 셋째 주장에서는 내용과 문제의식에서 상당히 일치한다. 이 점에서 백학명의 불교개혁적 견해는 온전한 불교개혁론이 아니고 ‘부분적인 불교개혁의 주장’이라고 분류한다. 손규상의 진각종 창종은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과 비교해볼 때, 대중불교를 추구한 점에서는 서로 일치한다. 차이점은 손규상이 새로운 종파를 세우고, 거기에 걸맞는 수행론을 제시한 점에 있다. 이 점에서 손규상의 진각종창종은 ‘새로운 종파를 창종하자는 주장’으로 분류한다. This article classified the patterns of the Buddhist reformation in Korea by approaching by two steps. The first step includes Kwon Sang-Ro’ "Joseon Buddhist reformer", Han Yong-Un’ "Joseon(Korea) Buddhist theism", and Lee Young-Jae"s “Joseon Buddhism hyeoksinron”. The first step of the Buddhism reformation was not yet developed as to offer the concrete alternatives for then current Buddhism. Kwon Sang-Ro’ "Joseon Buddhist reformer" was focused on analysis of abstract concepts of Buddhism, Han Yong-Un’ "Joseon Buddhist theism" also had limitations to present alternative solutions. Lee Young-Jae"s “Joseon Buddhism hyeoksinron” was also attached into the ideal blueprints, which was insufficient for concrete answers. The second step of the Buddhism reformation includes Han Yong-Un’ “Joseon Buddhist reform”, Baek Yong-Seong’ Daegakgyo Movement, Baek Hak-Myeong’s view of reform of buddhism, and Son Gyu-Sang’ view on Buddhism reform. The second step of the Buddhism reformation showed the detailed alternatives for Joseon Buddhism. Han Yong-Un’ “Joseon Buddhist reform” insisted the following three theme; to establish a organization for the 31 head temples, to pursue the public Buddhism and to organize guiding principles of zen practice and teaching methods of Buddhism’s doctrine. Baek Yong-Seong’ Daegakgyo movement coincides with Han Yong-Un’ “Joseon Buddhist reform”. Baek Hak-Myeong’s opinion was similar with Han Yong-Un for pubic Buddhism and the training of the Buddhism’s doctrine. In this regard, Baek Hak-Myeong’s opinions are classified as a partial Buddhism reformation. Son Gyu-Sang’ opinions consists with Han Yong-Un’ inrespect of persuing the pubic Buddhism. But Son Gyu-Sang’ Jingakjong with a new discipline theory could be regraded as to insist “new sector” for Buddhism re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