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시 물환경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물발자국 도입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 자치구 물환경관리 정책 및 제도, 관리체계 분석을 중심으로-

        전동준 ( Dong Jun Chun ),김진오 ( Jin-oh Kim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6 환경영향평가 Vol.25 No.3

        물발자국은 인간의 활동을 통해 소비되는 직접수와 간접수의 총사용량을 산정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물이용을 유도하기 위한 효과적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의 물이용 관리와 관련한 계획들의 문제점 분석을 통해 물발자국의 도입가능성을 분석하고 장단기적인 측면에서 도입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서울시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청색 및 회색 물발자국을 산정하고, 지역별 물발자국의 차이점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물발자국을 줄이기 위한 대안들을 모색하였다. 물발자국 측면에서의 서울시 물환경시스템에 대한 분석은 크게 청색물발자국과 회색물발자국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개인이나 공동체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소비하기 위해 필요한 지표수와 지하수의 양을 의미하는 청색물발자국을 분석하기 위해서 서울시의 각 행정구역별 지하수의 사용량과 생활용수의 사용량을 합산하여 추정하였다. 각 행정구역별 청색물발자국을 인구수와 세대수 비율로 확인해 본 결과 중구, 종로구 강남구, 용산구, 서초구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회색물발자국은 각 행정구역별 BOD기준의 오·폐수발생부하량을 배출기준 수질(BOD기준 3.5ppm)로 정화하여 배출할 때 사용되는 물의 양을 추론하여 산출하였다. 각 행정구역별 회색물발자국을 인구수와 세대수 비율로 확인해 본 결과 중구, 종로구 강남구, 용산구, 서초구, 영등포구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물관리 있어 공급중심의 양적 관리 정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일환으로 물발자국의 개념 및 방법의 도입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환경적·경제적·사회적으로 보다 탄력적이고 지속가능한 물관리 정책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것으로 기대된다. Water Footprint is utilized to analyze direct and indirect water consumption for sustainable water resource managemen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potential applicability of water footprint concept by analyzing the status of water consumption and related water policies in Seoul. We analyzed a direct gray water footprint and the blue water footprint in Seoul affected by the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ers in the city. In particular, in order to analyze the blue water footprint represented by both surface and underground water for the provision and consumption of products, we calculated the actual water consumptions of surface and underground water for 25 districts in Seoul. Our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population and households indicates that Jung-gu has the highest blue water footprint followed by Jongro-gu, Gangnam-gu, Yongsangu, and Seocho-gu. Gray water footprint was calculated by estimating the amount of water for purifying wastewater to meet the water quality standard (above BOD 3.5ppm) for each district. As a result, Jung-gu has the highest gray water footprint, followed by Jongro-gu, Gangnam-gu, Yongsan-gu, Seocho-gu, and Youngdeungpo-gu. Our study suggests the potential value of using water footprint concept to complement the current limitations of water use management focusing on water supply control. We expect that our analysis will provide an important basis for considering water use management which is economically and socially more resilient and sustainable.

      • KCI등재

        국내 가상수 및 물발자국 산정 연구의 인용관계 동향 분석

        박성제,이민현,주예나,박계영 한국습지학회 2019 한국습지학회지 Vol.21 No.5

        우리나라는 가상수의 수입 의존도가 높은 국가에 속하여 국가 차원에서 물위기와 식량위기가 우려되고 있다. 이에 따라최근에 국내에서는 자연환경 및 사회경제 요인을 고려한 가상수 및 물발자국 산정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국내의 연구실적이 부족하여 산정방법 및 비교분석은 국외의 선행연구 결과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2014년 이후에는 국내 농·축산물의 산정결과가 본격적으로 발표되어 국내의 가상수 및 물발자국의 결과를 국내 선행연구와 상호 비교하는연구가 많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물발자국 산정 연구의 인용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 농·축산물 물발자국 산정연구의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연구자들이 최근 10년 동안 국내·외에서 발표한 물발자국 산정 관련 문헌을중심으로 국외 및 국내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 물발자국 산정 연구의 문헌 간 인용관계를 파악하여 인용관계도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부록에 수록한 가상수 및 물발자국 관련 국내 연구자의 연구실적 모음은 향후 국내에서 가상수 및 물발자국 산정에 관련되는 연구를 수행하려는 연구자에게 국내·의 연구동향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국가 차원에서 효과적인 수자원관리를 위한 국가전략의 수립에 방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South Korea is a nation highly reliant on virtual water imports, which raises concerns of water crisis and food crisis at the national level. Virtual water and water footprint studies that consider the environment, social, and economic issues have been consistently addressed. However, there is a lack of Korean research, so the calculation method and comparison analysis are greatly dependent on foreign research results. The calculation results for Korean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have been released in earnest since 2014. Thu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comparison studies using domestic virtual water and water footprint results. This study identified the Korean agricultural and livestock water footprint research direction to determine the citation relationship trends.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results were analyzed from Korean water footprint related literature from the past 10 years. Therefore, a citation relationship diagram was formed from the literature analysis results. Virtual water and water footprint related research performance are provided in the appendix so researchers can utilize th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is field in the future. In addition, national strategy policy making is expected to be presented for effective water resources management.

      • KCI등재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한 물발자국 인벤토리 개발

        김영득,이상현,Ono, Yuya,이성희 한국수자원학회 2013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6 No.4

        물발자국은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는데 전과정 혹은 전체 공급망에서 사용된 담수의 양을 나타낸다. 물발자국 평가는 인간의 활동과 관련된 물의 희소성 및 오염과 관련된 정보를 파악하는데 보다 많은 정보를 주기 때문에 물소비관점에서 지속가능한 물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물발자국 제도의 도입을 위해서 물발자국 데이터베이스/물계정이 필수적인데 국내에서 전 산업부분에 적용할 수 있는 DB가 전무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산업연관분석법을 이용해 국내의 403개 산업분야에 대한 물발자국 인벤토리를 개발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농업분야의 물사용량이 전체 직접수의 79%를 차지하며, 공업분야는 간접수의 사용량이 82%로 주를 이루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물사용량은 벼가 가장 많지만, 다음은 수산양식과 과일 생산으로 조사되었고, 가장 물사용강도(m3/원)가 높은 것은 비식용작물(103,263m3/백만원)로 분석되었고, 이와 같은 결과는 비식용작물(초지생산 등)의 직접수는 많지만 경제적 가치가 매우 낮아 높은 물사용강도를 보여주고 있다. 다음은 육림, 철광석, 원목, 수산양식, 상수도, 잡곡 등의 순으로 물사용 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 관점에서 총 물사용량 중 56%가 간접수가 차지하기 때문에 간접수를 고려한 산업분야의 수자원관리, 즉 공급망에서 전과정을 고려한 관리가 물사용 효율성을 높이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과정 개념과 산업연관분석법을 이용한 물사용강도 자료는 물발자국 도입시 제품단위 물발자국 산정의 기초 인벤토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ater footprint of a product and service is the volume of freshwater used to produce the product, measured in the life cycle or over the full supply chain. Since water footprint assessment helps us to understand how human activities and products relate to water scarcity and pollution, it can contribute to seek a sustainable way of water use in the consumption perspective. For the introduction of WFP scheme, it is indispensable to construct water inventory/accounting for the assessment, but there is no database in Korea to cover all industry sectors. Therefore, the aim of the study is to develop water footprint inventory within a nation at 403 industrial sectors using Input-Output Analysis. Water uses in the agricultural sector account for 79% of total water, and industrial sector have higher indirect water at most sectors, which is accounting for 82%. Most of the crop water is consumptive and direct water except rice. The greatest water use in the agricultural sectors is in rice paddy followed by aquaculture and fruit production, but the greatest water use intensity was not in the rice. The greatest water use intensity was 103,263m3/million KRW for other inedible crop production, which was attributed to the low economic value of the product with great water consumption in the cultivation. The next was timber tract followed by iron ores, raw timber, aquaculture, water supply and miscellaneous cereals like corn and other edible crops in terms of total water use intensity. In holistic view, water management considering indirect water in the industrial sector, i.e. supply chain management in the whole life cycle, is important to increase water use efficiency, since more than 56% of total water was indirect water by humanity. It is expected that the water use intensity data can be used for a water inventory to estimate water footprint of a product for the introduction of water footprint scheme in Korea.

      • KCI등재

        인프라시설의 물발자국 산정방법론 개발 및 적용: 고속국도를 중심으로

        김영운,황용우,이성유 국토연구원 2021 국토연구 Vol.109 No.-

        In this study, a water footprint methodology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water resources, was developed and calculated the water footprint for expressway system as an infrastructure. Water footprint characterization factors were developed for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in six representative watersheds which are Han River Basin, Nakdong River Basin, Geum River Basin, Seomjin River Basin, Youngsan River Basin, and Jejudo. Three different water footprint methodologies, Boulay’s methodology,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methodology, this study methodology were compared in an actual construction case of expressway. As the results, the water footprint of 1 km and 4 lane expressway with Boulay and MOE methodology showed 58,804 ㎥ H2Oeq, 42,036 ㎥ H2Oeq, respectively throughout whole life cycle. However, 9,478 ㎥ H2Oeq. of water footprint was calculated by using this study methodology. This difference is mainly due to a developed regional characterization factor, and its related water consumption coefficient of the construction materials.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자원의 특성을 반영한 물발자국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주요 결과로, 물발자국 특성화인자를 지하수와 지표수에 대해 한강유역, 낙동강유역, 금강유역, 섬진강유역, 영산강유역, 제주도의6개 유역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그리고 Boulay 방법론, 환경부 방법론,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방법론을인프라시설의 하나인 고속국도에 적용하여 물발자국결과를 비교 분석 하였다. 그 결과, 4차선 고속국도1km 기준으로 Boulay 방법론과 환경부 방법론은 전과정에 걸쳐 58,804㎥H2Oeq., 42,036㎥H2Oeq.으로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방법론에 의한 물발자국은9,478㎥H2Oeq.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역의 특성화인자와 이와 관련된 건설자재의 물소비계수로 인하여 발생하였다. 본 연구의결과는 고속국도의 물소비량을 저감하기 위한 정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고속국도 이외에 철도, 항만 등 인프라시설에 적용하여 정량화된 물소비량을파악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우수등재

        배수공 각 작업 단계별 물발자국 영향평가

        천디,김준수,바타갈래 위누리,김병수 대한토목학회 202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0 No.2

        Fresh water that can be used by a person of the total amount of water on the planet is increased because it is less than 0.01 % exceptunderground water, ice and snow, etc. water management response need. In order to protect and efficiently utilize water resources, major countries are conducting water footprint studies that can quantitatively estimate the amount of water put into the operating phase of the resource harvesting phase, mainly agriculture. Korea has also recently developed a number of policies in order to cope with water shortages, an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well as the need for basic research to support it has been emphasized. This study was constructed DB up to the raw material harvesting step, the transport step, the production stage in order to estimate the water consumption of resources to be put into the work process to target the drainage of the road. Water usage estimation method was utilizedthe method presented in the Water Footprint Manual and the environmental score card certification guide, unit water usage each drainage main method was calculated after estimating the water footprint considering the water character factor, indirect water and the direct water, the water consumption factor of material input to each process. Brown asphalt, rebar, remicon of the drainage material as a result of the water footprint calculation accounted for 97 % of the total. Drainage method is a culvert, a side channel, a culvert wingwall, reinforced concrete open channel accounted for 92.2 % of the total. Drainage total step-by-step calculated water consumption and water footprint was found in order of raw material harvesting step, transport stage, production stage. Water footprint each drainage method or total drainage material calcula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e data in the agricultural and construction sectors. In order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it is believed that further overseas databases will be needed for continuous review and research. 지구상 물의 총량 중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담수는 지하수, 빙설 등을 제외하면 0.01 % 이하이기 때문에 물 관리 대응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주요 국가들은 수자원을 보호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자원의 채취단계에서 운영단계에 투입되는 물의 양을 정량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물 발자국 연구를 주로 농업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최근 물 부족에 대응하기 위하여 여러 정책을 진행 중에 있으며 건설산업에서도 정책개발은 물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기초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로의 배수공을 대상으로 공종에 투입되는 자원의 물 소모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원료채취단계, 운반단계, 제작단계까지 분석 및 DB를 구축하였다. 물 사용량을 추정방법은 Water Footprint Manual과 환경성적표지 인증안내서에서 제시한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각 공정에 투입된 자재의 물소모계수, 취수원 수역에 따른 물 특성화 인자, 간접수 및 직접수를 고려한 물 발자국을 산정 후 배수공 주요 공법별 원단위 물 사용량을 산정하였다. 물발자국 산정 결과 배수공 자재 중 브라운 아스팔트, 철근, 레미콘이 전체 97 %를 차지하였다. 배수공법별은 암거공, 측구공, 암거날개벽, 철근콘크리트 개거가 전체 92.2 %를 차지하였다. 배수공 전체 단계별 산정된 물 소모량과 물발자국은 원료채취단계, 운반단계, 제작단계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산정된 배수공 전체 자재나 배수공법별의 물발자국은 농업 분야와 건설업 분야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 분석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추후 국외의 데이터베이스를 더 찾아서 지속적인 검토 및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초등 교과교육 : 물발자국 개념에 기반을 둔 초등학교 고학년용물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김유라 ( You Ra Kim ),이지은 ( Ji Eun Lee ),이상원 ( Sang Wo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1

        본 연구는 인간이 사용하는 물의 양의 나타내는 지표인 물발자국 개념에 기반을 둔 초등학교고학년용 물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에서 물의 소중함, 물 오염과 부족, 물의 보존과 같은 물 환경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는데 목표가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의 학습자 발달단계뿐만 아니라 복잡한 시스템이나 인과관계에 대한 이해보다는 일상생활과 연계된 내용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물 환경교육과 물발자국에 대한 이론적 고찰, 물 환경교육 모형 설정, 교육프로그램 목표 및 주제 선정, 교육프로그램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전문가 검토, 수정·보완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한 개 학급(30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재량활동시간에 적용하고, 물 환경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물 환경교육에 활용할 8개 주제 16차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교수·학습 과정안, 활동지, 읽기 자료, 평가 자료로 구성된 교사용 교수자료와 활동이 포함된 활동지, 읽기 자료, 학습자용 자료로 구성하여 실제 수업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개발된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물 환경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향상시키는 교육적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최근 국제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물 오염과 부족, 물의 보존 등과 관련한 물 환경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사례로서, 우리 사회가 지속가능한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 교사들이 물 환경교육을 효율적으로 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water footprint concept-based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the water environmental awareness and attitude of 5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To achieve the effectiveness of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containing precious water, pollution and shortages of water, the program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 following 4 stages of preparation, development, verification, field test and evaluation. The experiment made progress as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nd the program was applied to a class in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y hour for 8 weeks. A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the effects of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 on water environment. The i-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ed program follows the three regions which are contents process of water conservation, practical part on water conservation based on water footprint concept and expanding environments principle in accordance with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stages. Second, the developed program is made up of eight parts: our life and precious water, water pollution and shortages, understanding of water footprints, closing & textiles life to reduce the water footprints, dietary life to reduce the water footprints, housing life to reduce the water footprints, reducing water footprints of school and local community life, and reducing water footprints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society life. Third, the developed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 on water environment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In conclusion, the developed program was an applicable example on water-related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study provide to teaching material to proceed with effective class on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by field teacher toward sustainable society. Therefore, more intensive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more intensively and systematicall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lated to a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국제 물거래 대비 가상수 거래량 산정 : 국내 물발자국 적용값 도출

        박성제,이민현,박계영,안요셉 한국수자원학회 2020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3 No.S-1

        수자원 수급계획은 보통 물수지분석에서 파악된 수자원의 양에 따라 수립한다. 그러나 그것은 상품의 이동과 같은 국제교역을 고려하지 않은 폐쇄적인 수급계획이다. 물수지분석에 가상수 개념을 도입하면 상품의 수출량과 수입량을 고려한 수자원 수급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기존에 활용하는 직접적인 물 사용(지역 내에서 가용한 각종 수자원)과 가상수를 고려한 간접적인 물 사용(지역 외에서 수입한 상품생산에 소요된 타 지역의 수자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아직 가상수의 개념이 국가 수자원계획 수립에 본격적으로 반영되고 않고 있다. 국내외에서 발표된 가상수 산정연구 논문에서는 가상수 산정과정이 생략되거나 일부만 제시된 사례가 많다. 따라서 가상수의 산정과정 및 거래량의 적절성을 파악하여 실무에 활용하는데 큰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수출입하는 가상수량 산정을 위한 물발자국 적용값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농축산물의 국제 이동량, 물발자국 적용값, 가상수 거래량을 파악하는 과정을 기술하고, 이를 기존연구와 비교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산정과정과 산정기준은 물발자국 및 가상수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e amount of water resources identified by water balance analysis are usually used to formulate water resources plans. However, this does not consider the trade in goods between countries. It is possible to use virtual water to come up with a supply and demand plan by looking at the export and import of products. This is because it looks comprehensively at the direct water use (water resources within the region) and indirect water use (water resources of other regions from imported products). Yet South Korea does not actively use the concept of virtual water in the national water resources plan. There is difficulty with calculating and identifying the appropriate virtual water amount as many of the research papers present only few of the cases or omit the calculation process. This paper introduces detailed water footprint values for calculating the virtual water trade for South Korea. The international movement, water footprint, and virtual water trade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are presented and compared to existing research. The water footprint and virtual water research in this paper can be utilized as baseline data for future researchers.

      • 우유 1리터 생산을 위한 공급체인의 물발자국계산과 물 리스크 대응

        박석하 ( Seog Ha Park ),박정섭 ( Jung Sub Park ),송인호 ( In Ho Song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4 유통정보학회지 Vol.17 No.1

        2012년 OECD의 ‘2050 환경전망’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OECD국가 중에서 물 스트레스가 가장 심한 국가로 발표되었다. 2020년 우리나라는 물 부족국가에 진입한다고 알려져 있다. 녹색성장의 키워드를 물 정책으로 제시하고 있다. 21세기 후반 평양의 기온이 현재 서귀포의 기온(16.6℃)과 유사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응하는 수자원의 양과 리스크를 살펴본다. 물발자국은 원재료조달에서 부터 생산, 폐기, 리사이클까지 상품의 라이프사이클의 물 사용량을 산출하고 물 자원의 부하를 정량화하는 수법이다. 물발자국 계산에는 물 소비원단위가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유 1리터 생산하는 과정인 “사료~송아지~어미소~착유장”까지 물소비량을 살펴보고, 젖소에 적정한 생육조건, 환경조건을 살펴보고, 사료에서 착유장까지 발생한 직ㆍ간접 물발자국을 계산하였다. 이를 통하여 대응분야별 물 리스크에 대응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According to ‘OECD Environmental Outlook to 2050’ in 2012, Korea is the most severe water stress country among OECD nations. It is said that Korea will become water-shortage country in 2020. Green Growth choices for water resources in Korea. In end-21st century, temperature of Pyongyang in North Korea reaches to current level(16.6℃) of Seogwipo in South Korea. Water Footprint is the amount of water using in and around home, school or office throughout the day. So, Water Footprint is calculate the amount of water from raw materials procurement, final disposal to recycling of the product life cycle. Also it is a technique to quantify the load of the water source. Water Footprint can be calculated average water consumption as the basic unit.This study examined the water consumption of the process of producing one liter of milk (from feedstuff, calves, mother cows to a dairy), appropriate growth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raising cows and calculated Water Footprint caused from feedstuff to a dairy directly and indirectly.Through the study, we proposed how to preparing against water risk by sectors.

      • KCI등재

        그린워터 및 블루워터를 이용한 물부족 평가

        김성은 ( Sung Eun Kim ),이동근 ( Dong Kun Lee ),양병선 ( Byung Sun Yang ),김예화 ( Yihua Jin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8 환경영향평가 Vol.27 No.3

        기후변화 및 인구 증가 등으로 인하여 물 공급량이 수요량을 충족하지 못하는 물부족 현상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물부족 현상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에 대한 대비를 위해 수자원 및 물부족 평가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대부분 지상수와 지하수만을 공급량으로 보았으며 실제 식물의 생장 및 유지에 이용되는 토양수 등에 대한 고려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상수 및 지하수를 의미하는 블루워터와 식물생장 및 유지에 이용되는 그린워터 개념을 도입한 물부족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보령 지역을 대상으로 물부족 평가를 실시하였다.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여 대상유역의 월별 유출량, 지하수량, 토양수량, 증발산량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월별 그린워터와 블루워터 부족량을 각각 도출하였다. 그린워터와 블루워터의 물부족 평가 결과 이 둘의 양상이 매우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에 수자원 관리에서 용수 공급에 특히 주의해야 하는 시기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물부족 평가 방법은 식물 및 작물 생장, 유지에 사용되는 그린워터를 평가에 고려함으로써 기존 평가 방법들에 비해 더욱 상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수자원 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With climate change and population growth, there are significant increases in water scarcity. There have been water security assessments to abate the gap between water demand and availability to support water resource management. However, most of the assessments are focusing on the water that flows through either on or below the land surface, failing to consider water that infiltrates and can be used by vegetation. This study presents water scarcity assessment accounting for Blue and Green water concept, and applied the method to Boryung region. Monthly streamflow, evapotranspiration, and soil moisture were estimated by SWAT modeling, and each of them was used to analyze Blue and Green water scarcity. Blue and Green water scarcity had different aspect, and the result indicated the time when water scarcity is more likely to happen. The water scarcity assessment framework presented in this paper provides novel assessment method integrating hydrologic and ecosystem aspects, thereby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how water resources should be manag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