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종 원년(1399) 등시라로(藤時羅老) 왜구 집단의 투항과 오에이(応永)의 난 -왜구 투항에 관한 ‘조선 조정의 회유책’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송종호 한일관계사학회 2024 한일관계사연구 Vol.0 No.84

        1399년(정종1) 11월 등시라로(藤時羅老) 왜구 집단이 갑자기 조선 조정에 투항해 왔다. 그 배경에 관하여, 정종실록 은 이를 명확하게 ‘오우치 요시히로(大内義弘)의 삼도지적(三島之賊) 토벌로 인한 화를 두려워해서’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 사료 해석에 관하여 1960년대 강상운과 다무라 히로유키(田村幸洋)의 선구적 연구들이 있었지만, ‘조선 조정의 회유책’론을 중심으로 한 기존 통설에서는 그 이후 아무런 반향이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14세기 말 조선, 오우치씨, 대마도 간 상호 관계를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정종실록 에서 말하는 ‘오우치 요시히로의 삼도지적 토벌’은 1399년 10월~12월에 있었던 오에이(応永)의 난, 즉 오우치 요시히로가 일본 막부에 대항하여 일으킨 전국적인 모반 사건과 관련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등시라로 왜구가 두려워했던 ‘화’란 우선, 오우치씨가 북규슈에서 진행 중이던 쇼니씨(少弐氏)・소씨(宗氏)에 대한 공세를 강화함으로써, 대마도 세력이 이에 크게 패할 것이라는 위기감을 의미한 것이었다고 보았다. 이러한 해석에 더하여, 대마도 세력 및 등시라로 왜구는, 오우치 요시히로가 조선 조정에게 대마도를 협공하자고 제안해 올 개연성을 크게 보고 그 경우 본거지 대마도에 초래될 극심한 위기를 우려했다는 취지의 시론(試論)도 제시했다. 등시라로 왜구의 근거지였던 대마도에서는 1399년 당시, ① 불과 10년 전인 1389년(창왕1) 조선의 대마도 정벌에 관한 괴로운 기억이 남아 있었고, ② 조선-오우치씨 간 돈독한 관계 속에서 지리적으로 사이에 낀 지정학적 상황에 있었으며, ③ 오우치씨와의 격렬한 전쟁 상태가 지속되고 있었다. 대마도 측은 이러한 상황 인식을 바탕으로, 오에이의 난을 일으킨 오우치씨와 조선이 협공해올 가능성을 두려워했다. 그리고 이러한 두려움이 등시라로 왜구의 투항 배경이 되었다고 추측한다. 그 시기는 다르지만 실제로, 대마도가 이와 유사한 여건 속에 있었던 1430년대에, 오우치씨 당주 오우치 모치요(大内持世)가 조선에게 대마도 협공을 제안하려 했었다는 세종실록 기록이 이러한 필자의 시론을 뒷받침해 준다. 조선초 한반도에 침구했다가 투항한 왜구 집단 중 그 규모 면에서 여타 왜구보다 월등히 컸던 대표적 집단은 나가온(羅可溫) 및 등시라로 집단 등 두 개였다. 이 두 왜구 집단은 모두 조선 조정의 대마도 정벌로 초래될 위기에서 벗어나고자 조선 조정에 투항해 왔다. 즉 조선초 대규모 항왜 발생의 배경에는 왜구 근거지인 대마도를 토벌하려는 조선 조정의 강력한 의지 및 실행력, 그리고 왜구의 근거 세력인 쇼니씨・소씨 토벌에 열중했던 일본 오우치씨와 조선 조정이 유지해 온 돈독한 통교 관계가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여기에 기존 통설에서 말하는 ‘조선 조정의 회유책’은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기존 통설인 ‘조선 조정의 회유책’론, 그리고 이에 근거한 조선초 항왜・향화왜인에 관한 연구는 근본적으로 재검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In November 1399, ‘Deung Siraro (藤時羅老)’ group of Waegu (倭寇, Wakou, Japanese Pirates) suddenly surrendered to the Joseon government. The Veritable Records of King Jeongjong explicitly attributes this event to the Waegu’s “fear of a disaster instigated by the punitive expedition led by Ouchi Yoshihiro (大内義弘) against the ‘Samdojijeok (三島之賊 ; pirates of the three islands)’”. While the two pioneering studies by Kang Sang-woon and Tamura Hiroyuki, respectively, in the 1960s addressed this historical record, the prevailing view for the ‘appeasement policy of the Joseon government’ has made no notable reaction upon it. This study begins by elucidating the inter-relations among Joseon, the Ouchi clan and Tsushima in the late 14th century. Based on this analysis, it highlights the connection between the punitive expedition against ‘Samdojijeok’ by Ouchi Yoshihiro and the Ouei War that occurred from October to December 1399. Additionally, it suggests that “the disaster feared by the ‘Deung Siraro’ Waegu group” meant their sense of crisis for a big defeat of Tsushima power from the Ouchi clan's intensified attacks against the Shouni and So clans (少弐氏・宗氏) in northern Kyushu.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s a hypothesis suggesting that the Tsushima power and ‘Deung Siraro’ Waegu feared the Ouchi Yoshihiro‘s probable proposal to the Joseon government for a pincer attack on Tsushima, which would result in severe repercussions for their home territory. The understanding of this context is supported by (i) Tsushima’s traumatic memories of Joseon's campaign against it in 1389, (ii) the unfavorable geopolitical situation of Tsushima exposed to the close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the Ouchi clan, and (iii) the ongoing conflict between Tsuchima and the Ouchi clan. This paper conjectured that such fear by the ‘Deung Siraro’ Waegu group led them to the surrender. While the time period differs, records from the Veritable Records of King Sejong support the above hypothesis by noting that, during the 1430s, Ouchi Mochiyo (大内持世), the lord of the Ouchi clan, attempted to propose the Joseon government for a pincer attack on Tsushima. Among the Waegu groups who invaded the Korean Peninsula and surrenderd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two prominent groups stood out in terms of their size: the Nakaon (羅可溫) group and the ‘Deung Siraro’ group. Both groups surrendered to the Joseon government to escape the imminent threat posed by Joseon's campaign to subdue Tsushima. Hence, it can be said that the large-scale surrenders by the Waegu groups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were driven by Joseon's strong determination and capability to subdue Tsushima, as well as the enduring friendly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the Ouchi clan who endeavored for subduing Shouni and So clans which were the main base of Waegu. In the event of such Waegu’s surrenders, the notion of ‘Joseon government's appeasement policy’ as posited in the prevailing view, is not evident. In light of these considerations, the prevailing view for the Joseon government's appeasement policy, as well as the study on the surrendered Waegu and the naturalized Japanese in the early Joseon period, should be fundamentally reassessed.

      • KCI등재

        고려 말 왜구와 남조-경신년(1380)의 왜구를 중심으로

        이영(Yi Young) 한일관계사학회 2008 한일관계사연구 Vol.31 No.-

        〈경신년 왜구〉는 경인년(1350)이후 31년 동안 침구해온 왜구 중 최대규모였다. 진포구에서 고려군의 화포 공격을 받아 타고 돌아갈 배가 불타버리자, 왜구들은 이후 수 개 월 동안 고려 내륙을 전전하면서 고려 사회에 막대한 인적·물적 피해와 엄청난 충격을 안겨 주었다. 기존의 일본 측 연구는 이 〈경신년 왜구〉에 관한 고려사 의 기록을 신뢰하지 않았기 때문에 구체적인 고찰을 시도하기는커녕 오히려 소위 〈고려 말 왜구=고려·조선인 주체〉설 내지는 〈고려 말 왜구=고려·일본인 연합〉설의 근거로 삼기도 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신년 왜구〉와 관련해, 최초로 일본 측 문헌 사료에 입각해, 그 실체와 침구 배경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 〈경신년 왜구〉는 규슈탄다이 이마가와 료슌의, 예상되는 공격에 대하여 규슈의 남조 세력이, 다카기·아마쿠사 일대의 선박을 대피시키기 위해, 그리고 남조의 본거지 기쿠치 일대가 포위당한 상황 속에서 병량미를 얻기 위해 침구했던 것임을 밝혔다. 그러한 〈경신년 왜구〉 중에는, 다카기·아마쿠사 지역의 수군 세력은 물론, 규슈 최남단의 오오스미 지역의 호족 네지메씨 주변의 남조 세력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상과 같은 고찰을 통해서,〈경신년 왜구〉를 근거로 하여 제기된 소위 〈왜구=고려·조선인 주체〉설 내지 〈왜구=고려·일본인 연합〉설은 입론(立論)부터 잘못되었음을 입증했다. 그리고 〈경신년 왜구〉 역시, 고려 말의 왜구가 규슈 지역의 무장 세력이 병량미의 확보와 일시적인 도피를 목적으로 침구해간 것이라는 필자의 일관된 견해를 입증하는 또 하나의 좋은 사례임을 밝혔다. 〈The Waegu of 1380 years〉 was the largest scale among the others invaded for 31 years after Gyeong-in(A.D. 1350). Waegu with its burned vessel from Jinpo distinct wandered around Korea inland for several months. It committed an act of brutality leaving Korea massive loss of manpower, material resources, and great shock. The existing studies of Japan did not trust records about 『The History of Goryeo dynasty』 in〈The Waegu of 1380 years〉 so that they never tried concrete examination, but put foundation on the theories of〈Waegu=the korean people〉 or〈Waegu=the korean·Japanese union〉. This study examines these documentary records relating to〈The Waegu of 1380 years〉 for the first time, considering its entity and backgrounds of invasion. That is, 〈The Waegu of 1380 years〉 happened for kyushu’s nancho(南朝) sway to take shelter vessels of Takagi and Amakusa from the attack of Imagawa ryousyun(=the commander of the muromachi bakuhu at kyushyu region). Also, to gain rices(兵糧米) in the situation of nancho(南朝)’s headquarter-kikuchi(菊池) soldiers got surrounded by enemies. Among〈The Waegu of 1380 years〉, not only naval forces of Takagi Amakusa distinct but also, kyusyu’s furthest southern extremity-the clan of Osumi distinct nancho(南朝) sway of Nejime was involved. Through examination mentioned above, theories such like〈Waegu=Korean people〉 or〈Waegu=Korean·Japanese union〉 based on〈The Waegu of 1380 years〉 was not only wrong from the build up, but also prove my opinion about the fact that Waegu-military power invaded for the gain of rices(兵糧米) and temporary escape in the end of Goryeo dynasty.

      • KCI등재

        '왜구=다민족, 복합적 해적'설의 허구와 문제점 - 식민사관과 관련하여 -

        이영 동북아역사재단 201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8

        The theory of "waegu=multi-nations and complex pirates," which is insisted by japanese historians, is deprived from the unknown and misunderstanding about the history of Korea. The keyword to know the true face of the Waegu of 14th century, is 'podo.' It means "the group of escape from Japan." And the situation of escape is caused by the internal war of Japanese(so-called, Nanbokucho-period). The japanese historians did not have idea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outbreak of waegu(wakou), in the big category of "the change of an international order of eastern asian society," in other words "the agitation and collapse of Pax mongolica."Because of the misunderstanding of Korean history and ethnic prejudice, the japanese historians could not understand the historical phenomenon, waegu in a causal relationship, but characterized it as a wague being, like the theory of waegu = multi-nations and complex pirates" or the theory of "waegu=alliance of Korean and Japanese."As a results, they cut the way of understanding the japanese history of that time, in the big category of history of Eastern Asia. 일본 학계의 소위 <전기왜구>의 구성원에 관한, 현금(現今) 학계의 주요 논쟁점은, <왜구=쇼니씨 배후>설과 이에 대한 비판적 견해인 <왜구=다민족, 복합적 해적> 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 학설의 타당성에 관하여 검토해보았다. <왜구=다민족, 복합적 해석>설운 주로 후지타 아키요시(藤田明良)의 연구에 근거를 두고 있는 것으로, 가이즈 이치로(海津一郞), 하시모토 유(橋本雄)등은 그의 학설에 근거해 <왜구=쇼니씨 배후>설에 대하여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그러나 후지타의 논문은 도처에서 한국 측 사료에 대한 곡해와 논리의 비약이 발견되어 하나의 학설로 입론(立論)되기 어려움이 입증되었다. 그리고 사에키 씨가 <왜구=쇼니씨 배후>설 근거로 제시한, 남북조 시대의 대표적 연구자 중 한 사람인 모리 시게아키(森茂曉)의 <왜구=쇼니씨 배후>설 비판에 대해서도 검토해보았다. 그러나 모리의 지적은 고려시대사(高麗時代史)는 물론 해당 시기의 대외관계사(對外關係史)에 관해 문외한(門外漢)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었다. <왜구=쇼니씨 배후>설의 일본 측 비판에 대하여, 필자는 그동안 새로운 사료를 발굴하거나 기존의 알려진 사료의 재해석을 통하여, 그리고 일본 소재 고려의 불교 문화재를 물적 증거로 삼아 반론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이 시대 <왜구의 주체>와 <발생의 메카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키워드가, ‘포도(逋逃)’ 즉 ‘일본에서 도주한 무리’라는 사실을 밝혔다. 즉, 당시 왜구의 주체 및 발생의 큰 원인은, 일본 규슈 지역에서의 군사적 분쟁이 초래한 상황 때문이었다. 즉 전투를 앞둔 시점에서의 ‘병량미 확보’와 전투에서 패배한 뒤 ‘일시적 도피’가 왜구 발생의 가장 핵심적인 이유 때문이었는데, 이러한 사정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해주는 사료 용어가 바로, ‘포도(逋逃)’였던 것이다. 왜구를 핵심 주제로 하는, 일본 중세의 대외관계사 연구는 일본의 역사학계에서 주요한 위치를 점하지 못하고 있다. 거기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지만,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바로 동 시기의 대오관계사와 일본 중세사의 연구 성과를 상호 밀접한 관련 속에서 고찰해오지 못한 데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즉, 왜구의 주체나 발생의 시대적 배경을, <팍스 몽골리카의 동요와 붕괴>라고 하는 당시 동 아시아 국제질서의 변화라고 하는 큰 틀 속에서, 고려와 일본 사회 내부의 사회 변동을 이해하려고 한 시도가 없었다는 점이다. 즉, <팍스 몽골리카의 동요와 붕괴>가, 당시 일본 사회의 대외긴장을 완화시켰고 그로 인해 그동안 억눌려 있던 사회 내부의 다양한 모순이 일시에 폭발해 결국 남북조 동란으로 표출되었으며 그것은 십 수 년 뒤, 국경을 넘어서 왜구로 전개되어 갔던 것이다. 그런데 일본의 왜구 연구는, 이웃나라의 역사에 대한 편견과 몰이해(沒理解) 때문에, ‘왜구’라는 역사 현상을 인과관계(因果關係)속에서 파악하지 못하고 한, 중, 일 세 나라 사람들로 구성된 <다민족, 복합적 해적>이라고 하는, 사료에 근거도 없는 애매모호한 존재로 규정짓고 말았다. 그 결과, 해당 시기의 일본 역사를 동 아시아 역사라는 큰 틀 속에서 상호 유기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길을 스스로 차단하고 말았으며, 그것이 바로 중세 대외관계사 연구가 아직까지 일본사 연구의 주요 연구 테마가 되지 못한 원인을 제공하였던 것이다. 남북조 시대의 대표적인 연구자 중 한 사람인 모리 ...

      • KCI우수등재

        전환기의 동아시아 사회와 왜구

        이영(Yi Young) 한국사연구회 2003 한국사연구 Vol.123 No.-

        The researchers in Japan have recognized the wake after the year of 1350 as "the normal people (soldiers, retailers, fishermen) in the border area plundered the villages in the disorganized period of the war between Southern and Northern government in Japan". They even insist, "Japanese pirates and Goryeo, Joseon people joined together in this plunder". The historical view from Korea about Waegu is also followed by these recognitions. Therefore, the historical role of Waegu after the year of 1350 was underestimated. However, the Waegu after the year of 1350 paralyzed the government system of Goryeo through the plunder of goods, kidnapping innocent people, and setting the fire to government offices. The Waegu also brought the change of tax transfer system in Goryeo since they plundered the commercial place and the merchant ships. Goryeo government migrated people to the inland areas where is located far from the seashore because they could not consider the efficient counter plan to Waegu. This meant that Goryeo government abandoned the fertile agricultural land. This policy also caused the wandering and a famine of people. There was another negative effect on this policy. The Goryeo government tried to make people (called Hwachuk and Jaein) soldiers for the attack of Waegu. The policy caused complication between the people and the government, and it resulted in antigovernment action, which was named false Waegu. Waegu issue also raised a diplomatic friction between Goryeo and Ming Dynasty. In fact, Goryeo government assumed Ming Dynasty could attack Korea peninsular because of Waegu problems. Under these serious conditions of Goryeo, the government considered transference of the capital city profoundly. But, the core of Waegu group was the expertise partisan group who had much experience over the wartime of a couple of decades between Southern and Northern government in Japan. Thus, the Waegu were never defeated in the war with Kayo national army on Korea peninsular. The Goryeo government had sent envoys several times to Japan, and they realized the prohibition of the Waegu could be succeed only by the strong establishment of public power in Japan. Due to this reason, Goryeo government cooperated with the Northern government of Japan (shogunate), and they accelerated the aggressive action to the Waegu. Shogunate also aggressively intervened to the Waegu because of the diplomatic pressure from Goryeo and Ming Dynasty. Furthermore, Shogunate sent Imagawa Ryoshun to Kyushu area and took military intervention in the area. The critical factor to forbid the Waegu's activities was the existence of strong public power, which had the strong will and ability to control the Waegu's influence. In other words, the Waegu after the year of 1350 was the social state from the absence of strong public power. Contrary to the theory that Japanese researchers have insisted, the Waegu was suppressed by not the polic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t the Muromachi shougunate's aggressive military intervention under the diplomatic pressure from Goryeo and Ming dynasty, also the attack to the fleets of Waegu by the Goryeo's navy. The civil war continuing for 60 years was end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public power was recovered due to the military intervention from the Muromachi shogununates in Kyushu area and the Goryeo governments in Korea peninsular. In addition to that, the Goryeo dynasty fell and was substituted for Joseon dynasty by Seong-Gye Lee, who had gained military and political power in the suppression process of Waegu. We have to interpret that the union of Southern and Northern government of Japan and the change of Dynasty in Korea peninsula happened by chance. However, we should consider these two incidents were related together through the medium "Waegu". In this perspective, Waegu was not only the historical phenomenon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East Asian society but also the common reason to intermediate the

      • KCI등재

        16세기 동아시아해역의 군수물자 유통-일본열도와 왜구-

        이수열(Lee, Soo-Yeol) 한일관계사학회 2021 한일관계사연구 Vol.71 No.-

        오늘날 일본 학계에서는 16세기 동아시아해역에서 활동하던 왜구를 ‘상업의 시대’의 한 주체로서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왜구상의 변화를 초래한 배경에는 민족과 국가에서 벗어나 동아시아해역의 역사를 새로이 서술하려는 해양사관의 대두가 있다. 왜구는 ‘바다의 시좌’를 거치는 과정 속에서 종래의 폭력적인 침략자에서 동아시아해역의 교역자로 변모해갔다. 왜구를 국제상업의 교역자로 묘사하는 일본 학계의 평가는 중국이나 한국 사회의 일반적인 역사 인식과 커다란 괴리를 보이고 있다. 과연 16세기 동아시아해역은 일본 학계의 연구 성과가 밝히고 있는 것처럼 국가나 민족적 귀속이 애매한 ‘경계인’들의 활동 무대였을까? 16세기 왜구는 중국인이 다수였고, 일본은 단지 ‘근거지와 구성원을 제공하는’ 수동적인 위치에 머물렀을까? 이 논문은 왜구의 군수물자 유통, 그 중에서도 화기와 염초무역을 통해 16세기 왜구의 한 단면에 접근하고자 하는 것이다. 16세기 중엽에 시작된 지구적 차원의 은 순환은 동아시아해역의 물자와 사람의 흐름을 크게 바꿔놓았다. 상황 속에서 포르투갈이 들여온 신식 화기는 동아시아의 전통 화기를 대신하며 아시아사회에 군사혁명을 초래하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내전 하에 있었던 일본은 포르투갈 상인을 통해 전래된 조총을 자체 생산하는 데 성공했지만, 화약 원료인 염초는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일본열도가 왜구 물자가 대량으로 거래되고 소비되는 일대 시장이 된 것은 그러한 이유에서였다. 논문에서는 동아시아해역의 군수물자 유통을 통해 16세기 왜구와 일본열도와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한다. Today, Japanese academia generally regards Waegu and Wako, who were active in the East Asian seas in the 16th century, as among the main traders in the "age of commerce." The background to such a change in the image of the Waegu is the rise of maritime history, which attempts to describe the history of the East Asian seas beyond ethnic groups and nations. In the process of going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 sea," Waegu changed from violent invaders to traders in East Asian seas. The evaluation of Japanese academia describing Waegu as traders of international commerce is very different from the general perception of history in Chinese society and Korean society. Were the East Asian seas in the 16th century the stage for the activities of "marginal men" whose national and ethnic attributes were ambiguous, as recent research by Japanese scholars revealed? The majority of Waegu in the 16th century were Chinese, and Japan was simply passive in providing bases and members. This paper focuses on the distribution of munitions by Waegu, especially in the trade of firearms and saltpeter. The global silver circulation, which began in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greatly changed the flow of goods and people in the East Asian seas. Under these circumstances, Portugal"s new firearms replaced traditional East Asian firearms and triggered a military revolution in local communities. In the case of Japan, which was in a state of civil war at that time, they succeeded in domestically producing guns introduced through Portuguese merchants, though they had no choice but to import saltpeter, a raw material for gunpowder. This is why the Japanese archipelago became a large market where a large amount of Waegu goods were traded and consumed. This paper cla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16th century Waegu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 KCI등재

        왜구론의 행방 : ‘바다의 역사’와 일본 중세 대외관계사

        이수열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9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21

        The Maritime History of East Asia is a methodology submitted to correct the conventional perception of history. The reason for its attention to the sea was to reflect on the nation-centered view of history so far and pursue a new history beyond the borders and ethnic frameworks. Today, however, researches by Japanese academia is ironically being reintroduced by the country it is trying to overcome. One example is that we can no longer find Waegu/Wakou as an aggressor in the Japanese history textbook, or that Waegu/Wakou is evaluated as a ‘merchant’ in the Asian regional market. The footprints of the Waegu/Wakou image in modern and contemporary Japan have been in line with the Japanese nation's foreign policy. There is a sense of conflict in East Asia today. In order to prevent history from pandering to the state again and to revive itself with critical reason, we must confront the nation more thoroughly and go beyond it. In this regard, Waegu/Wakou is the subject of the present progressive academic thema, which still offers many implications when taking history as a mirror. 1945년 이후 일본의 왜구 연구는 몇 차례의 과정을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먼저 중국사 연구자와 일본 대외관계사 연구자에 의해 ‘16-17세기 왜구 중국인 주체설’과 삼도 해민설이 제기되었다. 이후 논의는 확대되어 14-15세기 왜구에 대해서도 일본인 주체설을 부정하고 일본인과 고려인·조선인 연합설이 출현했다. 왜구가 동원한 대규모 병력의 현실적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다민족 연합설을 주창했던 것이다. 연합설의 근거로 제시된 것은 한반도 출신의 천민 계급이나 농민층이 왜구로 위장해 침구한 사례였는데, 일본의 왜구 연구는 그 요인을 고려왕조의 정치적 무능에서 찾았다. 그 뒤 왜구 다민족 연합설을 비판적으로 계승한 경계인설이 출현했다. 그것에 의하면 ‘왜’는 결코 ‘일본’과 등치할 수 있는 말이 아니며, 당시 동아시아해역은 국가적, 민족적 귀속이 애매한 경계인들의 활동 무대였다. 최근 한국에도 널리 소개되고 있는 일본 학계의 ‘바다의 역사’나 동아시아 해역사 연구의 왜구 서술은 일본 대외관계사 연구 성과를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다. ‘바다의 역사’는 본래 육지 중심의 역사관을 바로잡기 위해 제출된 방법론이었다. 바다에 주목하는 이유는 종래의 역사학에 보이는 국가중심사관을 반성하고 국경과 민족의 틀을 넘어 새로운 역사를 지향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오늘날 일본 학계의 동아시아 해역사 연구는 역설적이게도 그것이 비판・극복하려는 국가에 의해 다시 포섭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현행 역사교과서에 묘사된 왜구에서 더 이상 침략자의 모습을 발견할 수 없다거나, 왜구를 아시아 역내 시장의 ‘교역자’로 평가하는 것 등은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근현대 일본에서 왜구 이미지가 걸어온 발자취는 그대로 일본 국가의 대외정책과 궤를 같이해 왔다. 이러한 점에서 왜구는 역사를 거울삼을 때 여전히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는 현재진행형의 주제이다.

      • KCI등재후보

        고려말 왜구토벌의 전략과 전술 - 사근내역전투와 황산전투를 중심으로 -

        이상훈 육군군사연구소 2012 군사연구 Vol.- No.134

        The Waegu(倭寇) rode 500 ships and it invaded Koyro(高麗) in 1380. The Waegu moved to Sagunnae station(沙斤乃驛), after attacking Kyoungsang-do(慶尙道). The Koryo army attacked the Waegu continuously. The Koryo army moved the Waegu to west one. 20,000people of an army participated in the Hwangsan battle(荒山戰鬪) of Jeolla-do(全羅道). Previously, the Koryo army detoured greatly the defense line of the Waegu and marched away. Next, the Koryo army deceived the Waegu by the full-scale battle. After all the Koryo army annihilated the Waegu by the Hwangsan battle. The strategy of the Koryo army was a success. Invasion of the Waegu decreased after that. 황산전투는 고려말 극심했던 왜구의 침입을 결정적으로 멈추게 한 전투였다. 그러나 당시 고려군의 전략과 전술의 관점에서는 연구가 미흡한 점이 남아 있다. 따라서 황산전투가 고려말 왜구토벌에 있어 어떠한 위상을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황산전투는 그 이전부터 진행되어 오던 왜구토벌과정 속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황산전투 직전에 발생한 사근내역전투를 통해 살펴본 결과, 고려군은 왜구를 지속적으로 압박하여 왜구를 황산전투의 전장으로 몰아넣었음을 알 수 있다. 황산전투에는 왜구 수천 명과 고려군 2만 명 내외가 참가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군은 적의 매복과 방어가 예상되는 지점을 크게 우회하여, 왜구의 방어력을 분산시키고 전장의 주도권을 장악할 수 있었다. 본격적인 전투에서 이성계는 왜구를 기만하는 작전을 구사하여 왜구를 토벌하였다. 이렇듯 고려는 사근내역전투와 황산전투를 비롯한 일련의 토벌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여기에는 고려군의 지속적이고 능동적인 작전이 그 밑바탕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이영(李領)의 왜구 주체 논쟁과 현재적 과제

        박경남(Park, Kyeong-nam) 역사비평사 2018 역사비평 Vol.- No.122

        This paper is to research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of Korean Waegu(倭寇) study focusing on the study of professor Yi Young(李領) represented Waegu Studies in Korea. With a group of Japanese scholars, Yi have long disputed over the subject of Waegu in the late Koryo Dynasty in 14th Century. Such Japanese scholars as Tanaga Takeo(田中健夫) continued to assert that the subject of Waegu was not Japanese alone but Koryo people in alliance with Japanese. Yi proved that their assertion was ill founded with reasons through more resources, and suggested that the subject of Waegu in the late Koryo Dynasty, especially since 1350 was Japanese naval forces controled by the local government and regional powerful family of Tsushima(對馬島) and Matsuuratou(松浦黨) as group of warriors of Kyushu(九州). Because Waegu since 1350 is more frequent and enormous like never before, more organised and powerful that it beat Koryo government army. In his recent study, Yi started perceiving Waegu as being analogous to Corsair in the western history in that pirates hired by state or government, and he was associating Waegu with formation and collapse of Pax Mongolica. That is to say, Yi understands Waegu in the change of the East Asia international political order, and goes further and looks for a way to research Waegu and Corsair together. Through this way, Yi was beginning to get over national historic view and secure the global-marine historic view of understanding Waegu.

      • KCI등재

        진포구(鎭浦口)·남해 관음포(觀音浦) 해전과 고려 말 왜구 침구 양상의 변화

        이영 ( Yi Young ) 한국중세사학회 2021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64

        This paper studies how the use of gunpowder and cannon by the Goryeo navy had affected the Waegu’s invasion to Korean peninsular, focusing on the naval battles of Jinpogu(鎭浦口) in the year of 1380 and Guaneompo(觀音浦) in the year of 1383. As specific measures to this study, the data of Waegu’s first invasion in 1350 to the last in 1392, their landing coast, and the frequency of Waegu’s invasion with cavalry troop are used. According to the literature and historical data, the 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was the main landing place for Waegu’s invasion, followed by the Southern Coast and the Eastern Coast. There were also other interesting findings. From 1381, Waegu started to choose the Eastern Coast for their landing spot when invading Goryeo. During 1381 to 1383, Waegu invaded frequently through the Eastern Coast and in the same period, Waegu’s use of cavalry troop in their invasion has also increased. The increase in frequency of Waegu bringing their cavalry troop to the Ea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during 1381 to 1383 was due to Waegu’s crushing defeat in the battle of Jinpogu(鎭浦口) and Guaneompo(觀音浦). In the year of 1381, Waegu anchored five hundred ships in Jinpogu, the 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which entirely burnt down by Goryeo’s cannon attack. Also in 1383, Waegu suffered a devastating loss to Goryeo’s cannon attack in Guaneompo, the South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Goryeo’s victory in the two naval battles using gunpowder and cannon impacted greatly on the patterns of Waegu invasion. Furthermore, the victories made it difficult for Nanco(南朝) in Kyusyu(九州) area to secure war supplies, which resulted the weakness of Waegu’s military strength. For lack of space, this study does not cover other subjects such as the role of Waegu cavalry troop and the interpretation of ‘ironware(鐵騎)’ in Waegu related article in 1380. Mentioned subjects will be followed after.

      • KCI등재

        조선초 왜구의 퇴조와 조선 조정의 ‘회유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 1396년(태조 5년) 나가온 왜구 집단의 투항과김사형의 이키・대마도 정벌군 출진 간의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송종호 한일관계사학회 2022 한일관계사연구 Vol.78 No.-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초 왜구 투항에 관한 최초・최대 규모 사례인 1396년(태조5) 12월 9일 나가온 왜구 집단 투항의 배경 및 양상을 고찰하면서, 이에 관한 기존의 통설적 견해를 재검토하는 것이다. 기존의 통설적 견해는 왜구 투항의 주된 배경을 ‘조선 조정의 회유책’에서 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견해에는, 사료상 근거가 없고 오히려 기존 사료의 문언과 모순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396년 12월 김사형 정벌군 출진이 나가온 왜구 집단 투항의 배경이었다는 견해를 다음 4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첫째, 나가온 왜구는 1396년 11월 하순부터 12월 초까지의 기간 중에 있었던 조선군과의 전투 과정에서 김사형 정벌군에 관한 첩보를 입수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나가온 왜구 집단은 조선 조정의 적극적 군사 조치에 위협을 느껴 급히 투항했던 것이다. 둘째, 김사형 정벌군은 이키・대마도 정벌 및 한반도 내에서의 왜구 토벌이라는 두 가지 과업을 갖고 결성되었다. 즉 조선 조정은 당시 왜구 근절 목적을 위하여 조선의 국방력을 김사형 정벌군의 명령 체계 하에 통합시켰다고 보인다. 셋째, 나가온 왜구 집단이 투항함으로써 김사형 정벌군은 실제 이키・대마도 정벌 없이도 출진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이키・대마도에서의 실제 전투가 없었음에도 조선 조정은 김사형 정벌군의 귀경을 크게 환영하였다. 넷째, 나가온 왜구 집단의 투항은, 자신들의 병선 및 병력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면서 조선에 대한 적대행위만을 중지하는 정도의 제한적인 투항이었다. 조선 조정은 항왜들을 경계했으므로, 항왜 집단 중 구륙, 나가온 등 지도자들을 서로 분리한 후 10명 정도의 소수 인원만 붙여서 순차적으로 한양으로 상경시켰다. 또한 조선 측은 경상도에 남은 나머지 항왜 세력을 섬멸하고자 하는 시도를 최소 2차례 이상 계획 또는 실행하였다. 조선초 왜구 투항에 관하여 확인된 위와 같은 사실들은 ‘조선 조정의 회유책’을 위주로 하는 기존의 통설적 견해로는 설명될 수 없다. 기존의 통설적 견해 및 이에 근거한 조선초 향화왜인에 대한 연구는 근본적으로 재검토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