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체제에 의한 주체의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김인숙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6

        A visual system regulates 'way of seeing' of humans by relating to a social cultural context and constantly takes part in the contents and images of the subject consisted by the visual system. The following manuscript is purposed to study about the meaning structure of the image and the subject which is carried and consisted by recent post modern visual system going after from a command of perspective visual system. The configuration of a discussion will firstly propose starting from the visual system to subject and analysis of image. Visual system is consisted of Perspective visual system. Modern visual system. Post modern visual system, and after going through. Transcendental subject decentering subject. decentralized subject regarding the subject, analysis of image is consisted of works of Velàzquez, Manet, Cindy Sherman. This study will let you know that our visual experience is not intuitive but the output of our system of society or negotiations with people. If you understand meaning structure of perspective visual system, I think that it will be also possible for you to understand that the routine life is managed under an absolute influence of drastically increasing perspective visual medium. This understanding will soon be followed by our self examination as main people of this era. 시각체제는 사회문화적인 맥락과 연계하며 인간의 ‘보는 방식(way of seeing)’을 규정 하면서 그 시각체제에 의해 구성되는 주체의 내용과 이미지에도 지속적으로 관여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원근법으로부터 최근의 포스트모던적 시각체제를 매개로 하여 구성되는 주체와 그 이미지의 의미구조에 관하여 연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논의의 구성은 우선 시각체제로부터 시작하여 주체 그리고 이미지 분석의 순으로 나아갈 것이다. 시각체제는, 원근법적 시각체제, 모더니즘적 시각체제, 포스트모던적 시각체제로 구성하며 이어서 주체에 관하여, 초월적 주체, 탈중심적 주체, 탈주체에 관하여 살핀 후 이미지는 벨라스케스, 마네, 신디 셔먼의 작품에 표상된 주체분석으로 구성된다. 이상의 연구는 우리의 시각적 경험이 선험적인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체제 혹은 타자들과의 교섭의 결과임을 알게 할 것이다. 예컨대 본고에서 분석하는 지속적인 중심축으로써 원근법적 시각체제의 의미구조에 관해 이해한다면 폭증하는 원근법적 시각매체의 절대적 영향 아래 일상생활이 영위되고 정체성이 형성되는 우리의 문화적 환경에 대한 이해 역시 가능할 것으로 생각하며 이와 같은 이해는 곧 이 시대의 주체로서 우리 자신에 대한 성찰로 이어질 것이다.

      • KCI우수등재

        난독증 연구를 통해서 본 시각 시스템과 읽기 처리 과정의 관계

        주성준 한국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40 No.3

        읽기는 인간만이 향유하는 상위 인지 기능 중 하나이다. 시각 시스템은 읽기 학습 동안 발생하는 뇌의 학습과 가소성을 연구하기 위해 적합한 뇌의 영역이다. 특히, 상위 시각 영역은 읽기 학습 이전에는 단어에 대해 선택적으로 반응하지 않지만, 성공적인 읽기 학습을 통해 기존의 다른 기능을 담당하는 영역들 사이에서 단어에 대한 선택적 반응을 하는 단어 영역을 형성한다. 또한 시각 시스템은 읽기를 수행하는 동안 읽기 회로 중 가장 먼저 정보처리를 하는 뇌의 영역이다. 하지만 읽기 처리 과정을 위한 시각 시스템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언어 영역 등 상위 인지 영역의 연구에 비해 주목을 받지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읽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시각 시스템의 기능에 대해 개관하고, 읽기 학습 장애인 난독증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읽기 처리 과정에 대한 시각 시스템의 기능에 대해 논할 것이다. 끝으로 임의의 시각자극인 문자 언어와 이에 대응하는 음성 언어를 연합하는 다중 감각 정보처리 과정으로서의 읽기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 개관하는 선행 연구들은 시각 시스템이 읽기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과 시각 시스템의 문제로 인한 난독증 발생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읽기에 대한 시각 시스템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은 성공적인 읽기 학습을 위한 신경 기제를 규명할 뿐만 아니라 읽기 학습 장애인 난독증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Only humans possess the high-level cognitive function of reading. The visual system is the best platform to study learning and plasticity of the brain during learning to read. For example, the high-level visual areas of the illiterate brain do not selectively respond to words, and only after successful reading acquisition, the visual word form area emerges from the already established areas that selectively respond to various object categories. Furthermore, in the reading circuitry, the visual system is at the front end of reading process. However, compared to research on language and high-level cognitive areas, the role of the visual system in reading has attracted little attention. In this review paper, we summarize the reading-related function of the visual system and discuss how deficits in the visual system relate to developmental dyslexia, learning disability in reading based on dyslexia research. Finally, we discuss reading as multi-sensory processing, in which one should associate arbitrary visual symbols with speech sounds.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e important role of the visual system in reading development and suggested deficits in the visual system might cause dyslexia. Our research suggests that intervention programs for dyslexia as well as research on reading development should include the results from research on the visual system.

      • KCI등재

        중국 해남성 중요촌(中廖村) 지역의 시지각적측면에서 바라본 사인시스템에 관한 연구

        부용 ( Fu Rong ),정원준 ( Chung Won-j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8 No.-

        본 논문은 시지각의 전경-배경 관계(Figure-ground Relationship) 이론을 활용하여 ‘중요촌(中廖村, Zhongliao Village) 사인시스템 디자인의 시각 구성 형식을 분석함으로써 전경-배경 관계 관련 법칙이 중요촌 사인시스템 디자인에 활용된 방식을 정리한다. 먼저 마을 사인시스템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 목표를 확정하고 시지각 이론의 관점에서 사인시스템 디자인에 참고적 의의를 지닌 내용을 정리함으로써 전경-배경 관계 이론관련 개념을 분석한다. 시지각 전경-배경 관계 이론 및 관련 법칙을 중요촌 사인시스템 디자인에 활용하여 그 형태와 색채, 재질, 형체 요소에 대한 통합성, 연속성, 식별 가능한 시지각 분석을 실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시지각 전경-배경 관계 이론의 ‘도형과 배경’ 법칙과 게슈탈트 법칙을 활용하여 사인시스템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를 포괄적으로 분석하고 파악함으로써 마을의 전체적인 모습을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시지각 이론은 마을 사인시스템 디자인을 위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서 시각적 측면의 통합성, 연속성, 식별 가능성 문제해결을 위한 효과적이고 타당한 분석 도구와 디자인 개선 방법을 제공하고 마을 사인시스템 디자인을 위한 새로운 시사점이 제공할 수 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visual composition of Zhong Liao Village’s sign design using the theory of visual perception of the Figure-ground relationship, and summarizes the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the relevant rules of the Figure-ground relationship in Zhong Liao Village’s sign design. First, conduct a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the rural sign system, determine the research objectives, and then sort out the guiding content of the sign system design from the theory of visual knowledge, and analyze the related concep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gure and the ground. Then apply the theory of visual perception Figure-ground relationship and its related laws to the design case of Zhongliao Village's sign system, and analyze its shape, color, material, and body elements with integrity, continuity and recognizable visual perception. The study found that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Figure-ground" rule and the Gestalt organization rule of the visual perception Figure-ground relationship theory, the visual elements of the sign system design can be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designed to control, which is beneficial to improve the overall style of the countryside. Therefore, the visual knowledge theory is a relatively scientific and objective method in the design of rural sign systems. It provides effective and feasible analysis tools and transformation design method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visual integrity, continuity and recognizability. The design of rural sign system puts forward a new idea.

      • KCI등재

        로봇의 시각시스템을 위한 물체의 거리 및 크기측정 알고리즘 개발

        김회인(Hoi In Kim),김갑순(Gab Soon Kim)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1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7 No.2

        This paper looks at the development of the visual system of robots, and the development of image processing algorism to measure the size of an object and the distance from robot to an object for the visual system. Robots usually get the visual systems with a camera for measuring the size of an object and the distance to an object. The visual systems are accurately impossible the size and distance in case of that the locations of the systems is changed and the objects are not on the ground. Thus, in this paper, we developed robot’s visual system to measure the size of an object and the distance to an object using two cameras and two-degree robot mechanism. And, we developed the image processing algorism to measure the size of an object and the distance from robot to an object for the visual system, and finally, carried out the characteristics test of the developed visual system. As a result, it is thought that the developed system could accurately measure the size of an object and the distance to an object.

      • KCI등재후보

        비주얼 마이크로 콤포 디자인 개발

        홍경민,홍성수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1 산업디자인학연구 Vol.5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and develop the using of a new environment and free style with ‘New Display UI’ and suggestion of the new concept of ‘Total Entertainment Audio System’ by the high quality sound system. In addition, the main function is very important visual sound and variety motion & video with listening to music. Therefore, the visual micro compo system was developed by the customer want to get and buy this charming product design with existing competitors have the basic design icons strategically. This design was developed by using the minimal design and simple design for a showing of the having a competitive price and luxurious design form. This design is value innovated product, so it is made of the interactive UI and touch sound by unique design. In other words, this study of design is making new concept visual audio system for the young generation with the ‘Video+Audio’ system. For this study, this design shape was applied by the searching a differentiated idea shape and model. After the analysis, the design was highlighted easy to use for the customer by the competitor’s new UI system. For this analysis of the customer prefer the Multi-Audio system, this ‘Private Display Entertainer’ design was made with new life style for the easy to use in personal space. In addition, this design can feel fun to use and listening to music with the control two fingers of the multi-touch UI function After the variety design study of the element analysis, as a result, visual micro compo system was designed by the new convenient UI function and structure. As the features of the results, this products were extracted the visual micro compo system of the new format home audio through emotional elements and consumer confid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환경 활용과 자유로운 스타일을 New Display UI와 고가의 음질을 가진 오디오가 결합된 신개념의 통합 Entertainment 기기를 제안하여 개발하는 것이다. 그리고 기능으로는 가장 중요한 비주얼 사운드가 메인을 이루고 다양한 영상을 즐기면서 음악도 들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비주얼 마이크로 시스템은 전략적으로 기존의 경쟁사들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디자인 아이콘을 접목하여 갖고 싶고 사고 싶은 디자인의 매력을 한층 더 발전시킨 것이다. 가격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고급스러운 디자인 형상을 보여주기 위해서 미니멀하면서 심플한 디자인을 적용하여 발전하였다. Value Innovated된 제품으로 Interactive UI와 Touch Sound로 차별화를 이끌어 개발하였다. 즉, ‘Video+Audio’라는 제품의 제안으로 인하여 신개념의 오디오 디자인을 젊은 계층에 맞추어 혁신적으로 디자인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조형과 구조적으로 차별화되는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디자인 형상에 적용을 하였다. 이러한 분석에 의하여 경쟁사들의 새로운 UI의 시도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Multi-Audio를 선호한다는 분석을 통하여 New Life Style에 맞는 나만의 공간에서 간단한 설치로 사용할 수 있는 Private Display Entertainer를 디자인 개발하였다. 또한 Soud with Multi-Touch UI 기능을 만들어서 두 개의 손가락만으로도 쉽게 화면을 컨트롤할 수 있게 하였으며 만지만서 듣는 즐거움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디자인적 요소와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새롭고 편리한 UI 기능과 구조를 디자인 제시 하였다. 이 조사와 연구를 통하여, Home Audio의 New Format을 제시하고 소비자들에게 감성적인 요소와 소비심리를 자극하는 새로운 UI 디자인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시각지능(Visual Intelligence)과 미술교육과의 관계 연구

        이현아(Lee Hyun-A) 한국미술교육학회 2008 美術敎育論叢 Vol.22 No.1

          우리는 시각체제를 통해 외부의 정보를 받아들여 개념과 지식을 형성한다. 시각체제는 정보처리. 기억, 심상 및 주의 등의 인지(認知)와 깊은 관련을 가지며 지능적인 속성을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체제를 인간의 중요한 능력 중 하나의 지능으로 상정하며 미술교육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체제와 인지와의 관련성을 고찰한다. 둘째. 시각체제를 지능으로 상정하며 시각지능의 개념과 의미를 알아본다. 셋째, 시각지능과 미술교육과의 관계를 알아본다. 이와 같은 내용은 인지심리학, 지각심리학. 생리심리학, 신경심리학, 시각심리학의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시각체제를 인지와 깊은 관련을 가지는 지능으로 상정하며 ‘시각지능은 대상의 형태, 색채, 공간, 운동의 특정을 지각하고 인지하는 능력과 표현하는 능력이다.’라고 개념화 한다. 또한 시각지능은 미술교육과 깊은 관련을 가지며 미술교육을 인지적 활동으로 이끄는 의의를 제공한다.   We make outer information into knowledge and notion through a visual system. A visual system makes a deep relation with memory, a image: a mental image, cognition and has a intellectual attribute.<B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system which is suggested one of the most important human abilities and art education.<BR>  The contents and proces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o think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system and cognition.<BR>  Second, to suggest visual system as intelligence and to look over the notion & meaning of visual intelligence.<BR>  Third, t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intelligence and art education. Especially I refer to documents about cognitive psychology, perception psychology, physiological psychology, nerval psychology, visual psychology.<BR>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visual system as an intelligence which relate to cognition deeply and makes notion that "visual intelligence is an ability to express and recognize the characteristic of object"s form, color, space, movement.<BR>  Also visual intelligence has a deep relationship with art education and provides a significance to convert art education into cognitive movements.

      • The Mobile Visual Search Guiding System Based on SIFT

        Gongwen Xu,Xiaomei Li,Honglan Zhou,Jian Lei,Zhijun Zhang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Future Generation Communi Vol.9 No.6

        In order to provide personal guiding service to visitors in the Picture Gallery, a mobile visual search guiding system based on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visitors can achieve the paintings’ information using the camera function of the mobile phones when they enjoy the famous paintings in the Picture Gallery. The mobile search visual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can identify the paintings in the server side so there are no extra performance requirements for the mobile phones. Firstly, the mobile visual search system was introduced. Then the system was designed and realized. The classification training was based on SVM (Support Vector Machine). The SIFT feature extraction algorithm was used to enhance the recognition rate. After the image retrieval, the geometric consistency check was employed to choose the best matching image. Finally, the experimental results verified the feasibility and practicability of this system. Compared with the present guiding systems, this system can communicate with the visitors conveniently and offer abundant and all-around information to the visitors. In addition, using this guiding system, any auxiliary devices are not needed to be installed in the Picture Gallery.

      • KCI등재

        창의적 시각발상을 위한 웹 지원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Morton Garchik의 시각발상법을 중심으로 -

        허윤정,임창영 한국기초조형학회 2008 기초조형학연구 Vol.9 No.4

        The value of creativity is important for the age of knowledge -based industry, and idea and creativity are becoming the resources of intellectual capital. Digital contents are presented by multi-media and especially in the area of culture contents which are based on image and symbol needs creativity. It means that systemic visual thinking for converting the concept to visual language becomes important. In this thesis I will propose the development of web based system of creative visual thinking. 1) The creative visual thinking process is essential for visualization. 2) The existing thinking tools are not specialized for visual thinking. 3) Morton Garchik proposed systematic visual thinking processes but they are focused on intuition and they missed the evaluating and selecting ideas of the process. 4)The existing EBS have good points because of their character of media, but they are based on text and they are not proper for visualization. 5) KJ, MDS, checklist should be added to strengthen the evaluating and selecting ideas of the process and tools should be offerd for visual web based system of creative visual thinking. The value of creativity is important for the age of knowledge -based industry, and idea and creativity are becoming the resources of intellectual capital. Digital contents are presented by multi-media and especially in the area of culture contents which are based on image and symbol needs creativity. It means that systemic visual thinking for converting the concept to visual language becomes important. In this thesis I will propose the development of web based system of creative visual thinking. 1) The creative visual thinking process is essential for visualization. 2) The existing thinking tools are not specialized for visual thinking. 3) Morton Garchik proposed systematic visual thinking processes but they are focused on intuition and they missed the evaluating and selecting ideas of the process. 4)The existing EBS have good points because of their character of media, but they are based on text and they are not proper for visualization. 5) KJ, MDS, checklist should be added to strengthen the evaluating and selecting ideas of the process and tools should be offerd for visual web based system of creative visual thinking.

      • KCI등재

        사인(SIGN)시스템에 따른 소비자 방문 유도 및 시각인지 향상에 관한 연구

        신재욱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3

        Getting into the 21st century, technologies and media have been developed rapidly. In this process, much information has been shared and technologies have been standardized. With cutthroat competition, corporations have strategically developed a sign system as their media crucial to forming customers' favorable emotion or stimulating them. A sign system has contributed increase of commercial sale and revenue and has been used as an exemplary means for expressing a corporation. Thus, it is necessary to secure competitiveness through analysis on efficient sign system, form differentiated good feeling from consumers and increase the number of visit to stores.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which elements induce visit of consumers and have many influence on visual cognition in consumers' seeing and feeling a sing system. As a methodology of study, this study composes of case study, literature study and precedent study as its theoretical background. Next, this study analyzed which process of visual cognition will be conducted by a consumer seeing a sign system.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marketing activities of corporations by identifying the element for improving visual cognition and identifying the elements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consumer visits through an analysis on a sign system. 21세기로 접어들면서 빠른 속도로 기술과 미디어가 발달 하였다. 그러한 과정 속에서 많은 정보가 공유되고 기술의 평준화가 이루어졌다. 경쟁이 치열해지고 기업은 소비자들에게 호의적 감정을 형성하거나 자극하는데 중요한 매개체로 사인(SIGN)시스템을 전략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사인(SIGN)시스템은 상업적 매출, 수익 증가에 기여하며, 기업을 표현하는데, 가장 대표적 수단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따라서 효율적인 사인(SIGN)시스템 분석을 통한 경쟁력 확보 및 차별화된 소비자의 호감도 형성, 그로 인한 매장 방문 횟수를 높일 필요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가 사인(SIGN)시스템을 보고 느끼는데, 어떠한 요소가 방문을 유도하고, 시각적으로 인지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사례연구와 문헌연구, 선행연구로 이론적 배경을 구성하였다. 그 다음 사인(SIGN)시스템을 바라보는 소비자가 어떠한 시각인지과정을 거치는지 SPSS18.0프로그램을 통하여 설문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시각언어적 소구유형의 사인이 문자 언어적 소구유형의 사인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소비자들의 방문유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사인(SIGN)시스템 분석으로 시각인지 향상 요인을 찾아내고 소비자 방문 횟수가 증가되는 요소를 살펴봄으로써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도움이 되는데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