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징기호에 함의된 지시의미 연구

        이견실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2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3 No.30

        시각적 상징은 무엇인가를 대신하고 의미한다는 점에서 언어이고, 그 활동의 특징은 기호적이다. 상징기호에는 기하학적 형상, 도상, 문자, 색이 존재한다. 이때 명시적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것은 언어뿐이다. 연구목적은 첫째, 시각적 상징이 어떻게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사용되는가? 둘째, 상징의 어떤 특성이 특정의 생각이나 사물을 지시하는가? 셋째, 상징이 지시하는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한 규명이다. 연구대상은, 경제전문지 포브스가 선정한 세계프로축구팀에 선정된 20개 팀의 상징(Symbol)이다. 연구방법은, 기호학적 방법론으로 퍼스의 삼원론과 롤랑바르트(Roland Barthes)의 신화론을 기반으로, 20개의 상징물을 7개 차원에서 중복분류하고 분석하였다. 상징에 적용된 시각적 소재들은 신화적이고 보편적이고 긍정적 의미가 충만한 기호들이었다. 상징은 대상(해당축구구단)과 색상을 통해 도상적으로 연결되어 있었으며, 문자를 삽입하여 연고지를 지시하고 있었다. 규명된 지시의미는 ‘신화적이고, 권위와 전통이 있는, 연고지와 밀착된, 약동하는 프로축구구단’이었다. Visual symbols can be regarded as a language since they represent something. The feature of such an action is considered to be symbolic. In regard to symbolic symbols, there are geometric shapes, diagrams, letters and colors. Among such things, the thing which contains explicit contents is only the language.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specify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ly, how are the visual symbols used as the tools for communication? Secondly, which features of the subject symbols indicate specific thoughts or objects? Thirdly, what are the meanings indicated by the subject symbol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the symbols of 20 teams selected by the world professional soccer teams chosen by the economic magazine of Forbes. The research method is based on the three primary theory suggested by Charles Sanders Peirce, which can be regarded as a symbolic methodology, and the mythology suggested Roland Barthes. 20 symbols have been repeatedly classified and analyzed in seven dimensions. The visual materials applied to symbols are mythologic and typical. They can be regarded as symbols filled with positive meanings. The symbols are connected to diagrams through the subject (the subject professional soccer team) and colors. By inserting characters, it is possible to indicate the subject professional soccer team and its hometown. The specified indicative meaning is related to 'the mythologic, traditional, authoritative and traditional professional soccer team connected to its hometown'.

      • KCI등재

        A Study on Chinese Consumer Preference for the Tea Packaging Design –Focusing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hina, Korea, and Japan Tea Packaging Designs

        왕가려,장경풍 국제차문화학회 2024 차문화ㆍ산업학 Vol.63 No.-

        Tea packaging reflect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ountries from all the following aspects: design concept, color, pattern elements, layout, and choice of materials. This study aims to propose means of improving Chinese tea packaging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formation processes of the tea culture concepts of Korea, China, and Japan. The study is based on comparative research and analysis of tea packaging in the three countries influenced by tea culture. The audience perspective was adopted to select three well-known tea brands in Korea, China, and Japan for comparative analysis. We combin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to compare tea culture elements, color elements, patterns, fonts, and image layouts of the visual language symbols. A total of 556 reliable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the 600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o varied age groups in China, and SPSS statistical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which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colors and picture layouts of Korean tea packaging are more popular than those of China and Japan. Second, the pattern designs of Chinese tea packaging are more popular than those of Korea and Japan. Third, the font designs of the Japanese tea packaging are more popular than those of China and Korea. Fourth, the intention to buy tea is more predominant in Korea than in China and Japa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ea cultures and tea packaging designs are related to each other, and the visual language symbols of tea packaging design absorb the relevant tea culture heritage. It is also hoped that the visual language symbols of the tea packaging designs of the three countries can learn from each other through the present study and new and innovative ideas can emerge in tea packaging designs in tandem with the domestic tea culture inheritance. The comparison and discussion of the differences, problems, supplementary scheme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Chinese tea packaging design enabled us to posit modern and systematic fundamental information about Chinese tea packaging.

      • KCI등재

        백화점심벌(symbol) 마크의 시각적 이미지에 대한 연구

        구환영,정유진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06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4 No.2

        기업고유의 이미지를 통해 고객에게 보다 쉽게 인식되고 친근하게 다가서려는 노력으로 아이덴티티에 많은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기업은 최고의 이미지를 갖기 위해 노력하며 이것은 단순한 미적 차원을 넘어서 기업과 고객간의 커뮤니케이션 역할을 하고 있다. 무한경쟁 시장에서 디자인과 커뮤니케이션의 상호작용은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특별한 차별성을 적절한 상황에서 명확하게 드러나도록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고 이것이 곧 커뮤니케이션의 근본 목적 가운데 하나인 것이다. 그리하여 각 기업은 시각 아이덴티티의 핵심인 심벌마크를 통하여 최종적 이미지를 구축하고 다른 기업과의 차별화를 시도함으로서 고객에게 접근하고 있다. 1930년대 처음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80년대 고도성장을 한 대형 유통 시장인 백화점은 오늘날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우리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패턴을 바꾸어 놓았다. 과거의 백화점은 현재와 같이 각각의 백화점 고유의 브랜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기보다는 여러 물건을 한곳에서 쇼핑하는 곳 이라는 고유명사로만 인식되어 차별성을 갖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현대의 백화점은 쇼핑을 여유롭게 즐길 수 있고 문화 공간과 같은 이미지 변화를 꽤하고 있으며 또한 각 기업마다 지향하는 컨셉에 따라 새롭고 창조적인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 있다. 이에 소비자들 역시 각 백화점의 기업 브랜드 이미지를 인지하게 되었고 그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백화점을 선택하기에 나섰다. 90년대 말부터 현재까지 국내 대형 백화점들은 그들만의 컨셉에 맞추어 기업의 심벌마크를 리뉴얼 하고 고객에게 각기 다른 의미를 전달함으로서 무언의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설문조사와 더불어 연구, 진행한 결과 국내 백화점들은 그 컨셉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그 의미전달을 쉽게 해줄 수 있는 워드마크의 사용과 고급스러움을 지향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백화점 심벌마크의 형태, 컬러는 각기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대부분 심벌마크의 역할이 그 브랜드가 지향하는 문화와 개성을 소비자에게 인지시키는 것과 더불어 각 기업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이미지를 관리하는 것이 주된 핵심 역할인 점을 볼 때, 심벌마크는 기업의 개성과 차별을 반영해야 한다는 것에 그 의미를 두어야 하며 향후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어 심벌마크라는 디자인 요소 역할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Companies try to make changes in their identities as an attempt to approach to their customers and to be easily recognized by their customers with their own images. Each company makes efforts to have their best images. The image of a company is beyond of simple beauty. It acts as a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pany and customers. In the market with endless competition, the importance of the interaction between design and communication has been more emphasized than before. It is more important to concretely display the special differentiation in proper situations, which is the fundamental purpose of communication. Therefore, each company establishes their final image with a symbol mark, a core of visual identity, and uses the symbol mark to represent the company. This way, they approach their customers by making them feel the differentiation of the company from others. First introduced to our country in 1930’s and highly developed in 1980’s, department stores, large scale distributional market, have changed our life style and consumption pattern in today’s rapidly changing generation. Unlike today’s department stores, the department stores in the past did not have their own brand images. They were recognized as a place to shop many things and did not have particular differentiation. However, department stores in the modern society try to change their images to be a cultural space where shopping can be casually enjoyed. Also new and creative identify has been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concept that each company pursues. Accordingly, customers also have come to recognize the company brand image of each department store and to select department stores according to their life style. From the late 1990’s to the present time, large scale department stores in the country have renewed their symbol marks according to their own concepts and attempted to communicate with customers by conveying different meanings.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studies of cases as well as a survey, there was similarity among the department stores in the country in using word marks to easily convey meanings, trying to appeal to women, their major customers, and aiming at luxuries although their concepts were somewhat different. Despite all the similarities, however, there was apparent differences in color and shape of symbol mark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essential functions of symbol marks are to enhance the value of company brand and to manage the images as well as to have customers recognize the culture and the individuality that a certain brand is pursuing, symbol marks should certainly reflect the individuality and the differentiation. In the future, various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reconsider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design factor called symbol mark.

      • KCI등재

        그림책의 시각적 경험과 예술화 -백희나, 이수지 그림책을 중심으로-

        정영숙 한국아동문학학회 2023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47

        This is an era in which aspects of literature and art are digitized and connected by a network. Baek Hee-na and Lee Su-ji, who are currently active in Korea, are creating picture books that are developing into art paintings by maximizing visual experience. This paper investigated the picture books of the two writers dealing with the changed literary and social images by satisfying children's emotions and helping imagination. The two authors are creating, first, picture books that express visual experiences by connecting them with language, and second, picture books that contain emotional and philosophical content and are recognized as artistic activities beyond narrative understanding. Baek Hee-na's picture book created a three-dimensional background by applying three-dimensional characters and animation techniques. Her picture book expresses each scene with a lively texture, as if watching a video, through the activity of taking pictures. The contents of the picture book point out the current situation of reality using traditional narrative as well as the life history that connects Korea's modern and modern times. Picture books are a multi-structure that allows you to experience reality and fantasy at the same time, doubling your imagination and drawing interest and fun from both adults and children. Baek has established herself as an artist who expands her visual experience by combining text in language symbols with pictures, which are visual images. Lee Soo-ji writes a wordless picurebooks that require creative imagination. Her picture book is loved for creating artistic pictures that enhance visual understanding using watercolor, crayon, oil painting, and collage in a two-dimensional flat space. The screen space of picture books is developing into an artistic state using abstract and conceptual aspects. This brings about mental maturity, aesthetic enjoyment, and emotional growth.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Suji Lee's picture books develop not only children's literary qualities but also their artistic aesthetics. This paper looking at the picture books of Baek Hee-na and Lee Soo-ji in the post-human era, found that traditional ideas about what constitutes human existence are now undergoing significant changes. The fact is that the thinking of people who read picture books is expanding beyond visual experiences and verbal perception activities to artistic paintings. The task of picture books in the post-human era will be to overcome their limitations and seek new possibilities in the face of a new paradigm of transition.

      • KCI등재

        汉字图形化的视觉表现

        何磊 ( Kim Kyonghee Ju ),张宰旭 ( Juhyun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作为文化传承的重要载体, 汉字不仅是一种完整的语言体系, 它更是一种视觉符号系统. 图形与汉字有着不同的符号属性, 作为记录与传播信息媒介, 它具有独特的组织结构, 还有丰厚的文化内涵和构成美感, 汉字独有的视觉魅力为现代设计提供了新的设计思路和方法. 本文以现代设计为视角, 从汉字图形化角度出发, 以图形为切入点, 针对文化语境下汉字图形化的特点及其所蕴含的意义与价值加以阐释, 以及在视觉设计语境中字、形、意三者之间转换的逻辑关系进行探讨, 并为设计实践提供新的设计方法和构思理念. As an important carrier of cultural heritage, Chinese characters are not only a complete language system, but also a visual symbol system. Graphics and Chinese characters have different symbolic attributes. As a medium of recording and disseminating information, they have unique organizational structure, rich cultural connotation and aesthetic feeling. The unique visual charm of Chinese characters provides new design ideas and methods for modern design. In this paper,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character graphics, graphics as the starting point, in view of the cultural context of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 graphics and its implication of meaning and value to be explained, as well as in the context of visual design, the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nversion of word, shape, meaning, and provide new design methods and ideas for design practic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카카오톡 이모티콘의 기호체계 및 상징에 관한 연구

        윤민희(Yun, Min Hi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2

        정보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한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의 확산으로 전통적인 면대면(面對面) 소통에서 가상공간에서의 쌍방향과 다중소통(多衆疏通)이 확산되고 있다. 비언어적 기호인 이모티콘의 사용이 확산되면서 시⋅공간의 한계를 넘어 이모티콘은 그림으로 표현된 메시지로 감정을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PC통신과 인터넷이 상용화되기 시작한 1980년대는 웃는 모습의 이모티콘이 주류를 이루었다면 디지털시대의 이모티콘은 새로운 의사소통을 위한 기호로 만국 공통어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이모티콘의 상징 및 기호체계에 관한 연구는 사회문화 현상연구 및 기호학⋅형태심리학 등의 다양한 학문에 근거한 다각적인 연구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심도 깊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대표적 디지털 메신저로 급부상한 카카오톡의 캐릭터 기반의 이모티콘의 유형연구 및 기호체계를 분석한다. 카톡 이모티콘의 시각적 상징 및 기호체계 연구는 1) 이모티콘의 개념과 유형, 2) 카카오톡 이모티콘의 유형연구 및 기호체계 분석, 3) 카카오톡 이모티콘의 문화 콘텐츠 활용 현황 및 가능성 제안 등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세부적으로 이모티콘의 개념 연구에서는 이모티콘의 정의 및 간략한 역사적 연구, 이모티콘과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되는 픽토그램, 캘리그램, 이모지 등을 연구하였다. 이모티콘의 유형 연구에서는 문자 이모티콘, 이미지 이모티콘, 플래시 이모티콘 등을 연구⋅분석하였다. 이모티콘의 유형연구 및 기호체계 연구에서는 카카오 프렌즈의 7개의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기호(sign)를 기표(signifier)와 기의(signified)의 결합이라 정의한 소쉬르의 기호체계에 기반하여 카카오 프렌즈(Kakako Friends)의 이모티콘을 분석하였다. 카카오톡 이모티콘의 문화 콘텐츠 활용 현황 및 가능성 제안에서는 세계인이 공유하는 시각적 상징의 문화적 보편성이 중요성을 제안하였다. 동일한 상징형태도 사용되는 사회적 맥락에 따라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문화적 특성의 양면성(글로벌과 로컬)에 관한 연구가 동시에 행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글로벌과 로컬의 특성을 상호 비교한 크로스 컬츄럴 시각에서 이모티콘의 상징체계에 관한 연구를 제안하다. 연구의 방법은 카톡 이모티콘에 관한 문헌 연구 및 인터넷상의 활용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카카오톡 이모티콘의 유형연구 및 기호체계 분석에 관한 본 연구는 이모티콘의 심미성, 기능성의 측면뿐만 아니라 세대와 계층, 문화권을 뛰어넘어 글로벌 콘텐츠로서 K-메시저의 역할을 담당하며 ‘원소스 멀티유즈(One Source Multi Use)’⋅‘멀티소스 멀티유즈(Multi Source Multi Use)’로서 다양한 영역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With the proliferation of internet and mobile devices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re has been a widespread multimodal communication in the virtual space from the traditional face-to-face communication. As the use of emoticons, which are nonverbal symbols, emoticons are responsible for conveying emotions to the messages represented by pictures beyond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In the 1980s, when PC communication and the Internet began to be commercialized, smiley emoticons had become mainstream, and emoticons in the digital era played a role in the common language of all over the world as a symbol for new communication. However, studies on the symbols and sign systems of emoticons are based on diverse studies such as socio-cultural phenomenon research and semiotics, gestalt psychology, etc., it is realistic that research on this subject has not progressed comparatively. This study analyzes character based emoticons and sign system of Kakao Talk which emerged as Korea "s representative digital messenger. The study of visual symbol and sign system of Kakako Talk emoticon are as follows: 1) concept and type of emoticons, 2) analysis of type and sign system of Kakao Talk emoticons, 3) present situation and possibility of the use of cultural contexts of Kakao Talk emoticons. In detail, we studied the definition and the brief historical research of emoticons, and pictograms, calligrams, emoji, etc., which are used in similar concepts to emoticons. In the study of emoticons types, we studied and analyzed character emoticons, image emoticons, and flash emoticons. This research analyzed the type of emoticons and the symbol systems, based on F. de Saussure’s sign system, which defines ‘sign’ as a combination of ‘signifier’ and ‘signified’ around 7 emoticon of Kakao Friends. The present status and potential proposals of cultural contents of Kakao Talk emoticons suggested the importance of cultural universality of visual symbols shared by the world. Because the same symbolic form can perform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the social context in which it is used, research on both aspects of cultural characteristics(global and local) should be done at the same time. In this respect, we propose a study on the sign system of emoticons in cross-cultural perspective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global and local view.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references and case analysis on the interne of Kakao Talk emoticons. This study is based on the type of Kakao Talk emoticons and the analysis of the sign system. It is not only the aesthetic and functional aspects of the emoticon but also plays the role of K-messenger for one source multi use and multi source multi use.

      • KCI등재

        정성적 접근방법에 따른 도시 커뮤니티 시설 특성의 상세설계 언어 형상에 관한 연구 - 콩코드(Concord), 렉싱톤(Lexington), 알링톤(Arlington) 타운을 사례로 -

        권상준,Kwon, Sang-Zoon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07 韓國造景學會誌 Vol.35 No.5

        본 연구는 커뮤니티 시설 상세 설계의 대상물에 대한 질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그 대상물의 이미지를 상징화하는 단계적 발전 과정을 거쳐 그 시설의 상세 설계적 언어를 형상화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사례로 역사적, 문화적, 전이적 특성을 지닌 세 커뮤니티를 조사하여 디자인 언어와 상징화되는 이미지를 구명해 보면서 디자인 언어의 구성과 설계요소와의 관계 커뮤니티의 목표 등과 연관시켜 커뮤니티의 본질성을 추구하는 수단을 평가 분석하는 방법을 강구하고 커뮤니티 시설의 상세 설계 언어의 형상을 검토하는 방법을 통섭적으로 제시하였다. 설계 언어의 형상 분석의 수단을 구체화 하는 데는 시각적 형태, 설계 주제의 상황, 설계요소의 관계성, 설계요소의 위치와 구성 등과 연관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상세설계 언어의 형상을 개발하는 시도로 네 가지 기본 전제를 세우고 그를 설명해 보았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 시설 특성의 상징화를 위한 설계언어연구 대상의 사례로 미국의 전통성이 강한 메사츄세츠주에서 역사적, 문화적, 전이적 특성을 각기 다르게 지니고 있는 콩코드(Concord), 렉싱톤(Lexington), 알링톤(Arlington) 등의 세 커뮤니티를 택하였다. 사례 커뮤니티 시설 특성의 상세 설계 언어의 형상을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시각적 노트와 디자인 의미와 그 상징성을 바탕으로 상징과 시각적 언어를 찾으면서 상세 요소의 디자인 언어를 비교하였다. 그를 바탕으로 디자인 언어와 의미 및 그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편익을 기초로 사회, 건강, 환경, 경제 등 네 가지로 세부 분류된 커뮤니티 시설을 검토하였다. 커뮤니티 시설 특성을 파악하는 기법 발굴 과정에서 시작된 시각적 형상으로부터 상징과 그 의미 등을 구명하면서 그를 정성화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설계 언어, 상징적 언어, 커뮤니티, 자연적 심미성 등의 네 가지로 대표되는 평가 요소에 의하여 분석 평가 검토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이 그 상세설계언어의 형상에 관하여 통섭적 접근이 이루어 졌다.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