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찰 수사단계에서 성폭력범죄 피해자 보호방안

        김용근 한국피해자학회 2008 被害者學硏究 Vol.16 No.2

        Through the establishment and revisions of laws about sexual violence crimes, the measures for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crimes have started to be arranged in Korea. However, still more in-depth discussions and researches on the application and effect of devices and system for saving and protecting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crimes are required. Especially, the second damage for the victim of sexual crimes occurring during the administration of criminal justice is leading to duplicate pain and scar for them. Although recently the investigation of sexual violence crimes are being carried out by exclusively assigned female police officers as the center, and the efforts to protect the victims are seen through methods such as the video statement for child sexual violence, still the current state is difficult for the victims to visit the investigation institution to report being the victim of sexual violence. This can be thought of as the general perception about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crimes which are still prevalent in our society. It can be found in the tendency where the sexual violence in our society is thought to be the problem of purity or chastity for the victim or believed to be an interest stimulating incident rather than regarded as a crime where sexual right to choose was violated or other person's human right was viola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Sexual Violence Special Laws, the attention for the victims which has been ignored and the development in the study of victims have been achieved by making issues out of sexual violence crimes which had been hidden without being publicized socially. However, although 1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Sexual Violence Special Laws, still the need for reinforcing inadequate aspects of protecting the victims is being raised. Therefore, in this paper, in regards to the protection system for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crimes during the police investigation process from criminal justice institutions,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for our country are examined, and the effective and realistic ways of improvement are sought.

      • KCI등재

        스포츠계 성폭력과 시효에 관한 법적 관점에서의 제언

        김은경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20 스포츠와 법 Vol.23 No.1

        Sexual crime in sports originates from sexual violence. Sexual violence is directly related to the human rights of athletes. Sexual violence in sports is defined by the Korean Sport & Olympic Committee as the violation of sexual self-determination right without the consent of the other party, such as physical contact, verbal sexual harassment, obscene message, sexual act coercion by participants in sports – an athlete, a leader or related parties – who abuse their power, authority, and status to others.Korean Sport & Olympic Committee, Sport and Human Rights Guidance(3types), 2019.9.2., Definition of Sexual Violence, p. 18. Since athletes strive to concentrate on sports by means of camp training under the leadership of a leader or a senior, the risk is greater if they are exposed to sexual crime. This problem can be more severe for athletes under age. Legislation on victims of sexual crime in sports requires sponsored protection. In that sense, special laws, such as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Sexual Crimes」 and 「Sexual Violence Prevention and Victims Protection Act」, need to include the criminal and civil prescription system which can protect minor athletes who are victims of sexual violence or adult athletes who are under the influence of the authority of a leader, so that the purpose of the protection of grooming sexual violence victims can be fulfilled. Prescription as a protection method of sexual violence victims actually acknowledges the existence of deviation in illegality, but since the protection of minors or of the party in a worse position in a particular relation cannot be ignored in the notion of justice, it needs to be regarded as public interest that can be achieved and as social necessity or understanding. In this respect, even minors or even adult athletes who are victims of sexual violence in a particular relationship in the field of sports, the systematic improvement of prescription of public prosecution in criminal cases is necessary. In particular,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f claim for damage in civil cases should be postponed until adulthood and taking the damage occurrence fact′s point of recognition as the extinctive prescription’s starting point of reckoning should be implemented. 스포츠계 성범죄는 성폭력에서 비롯된다. 성폭력은 스포츠 선수의 인권과 직결한다. 스포츠계 성폭력이란 선수, 지도자 또는 관련당사자 등 스포츠에 참가하는 자들이 자신의 힘과 권력, 지위를 이용하여 타인에게 신체적 접촉, 언어적 성희롱, 강제추행, 음란성 메시지, 성적 행위 강요와 같이 상대방의 동의 없이 성적 자기결정권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대한체육회에서는 정의하고 있다. 운동에 매진해야하는 선수의 입장에서는 지도자나 선배와 같은 특정인의 지도하에 합숙훈련이 전제되는 경우가 많아서 성범죄에 노출되면 그 위험성은 더 클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은 미성년자의 선수에게는 더욱 클 수 있다. 스포츠계 성범죄 피해자에 대한 법률의 후견적인 보호가 필요하다고 본다. 그러한 측면에서 성폭력처벌법과 성폭력방지법과 같은 특별법에서 민형사상 시효제도를 스포츠 성범죄 피해자인 미성년의 운동선수나 선수에게 영향력을 미치는 지도자의 위계내지 지배력 하에 있는 성년선수에 이르기까지 그루밍 성범죄 피해자 보호의 목적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성폭력범죄 피해자의 보호방안으로서 시효에 관한 것은 사실상 불법성에 대한 편차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인정하지만 미성년자의 보호문제나 특수관계에서 열위에 있는 자의 보호문제는 정의관념상 간과될 수 없는 것이어서 이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공익과 사회적인 필요성 내지 이해 정도 안에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스포츠분야에서 미성년 선수 및 성년일지라도 특수관계 하에 있는 자의 성폭력피해자에 대해서는 형사상 공소시효의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민사상 손해배상청구권의 행사와 관련해서 그 소멸시효를 피해자인 미성년 선수가 성인이 될 때까지 유예하고 손해사실의 인지시점을 소멸시효의 기산점으로 하는 방안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가해자와의 관계가 피해자의 성폭력후유증에 미치는 영향

        추지현(Choo Ji hyun),권인숙(Kwon In sook) 한국교정복지학회 2017 교정복지연구 Vol.- No.48

        본 연구는 가해자와의 관계가 피해자의 성폭력후유증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 과정에서 성폭력 통념 경험의 매개효과를 설명하고자 했다. 성폭력 피해 여성 235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보다 친밀하고 신뢰하는 관계에서 성폭력 피해가 발생할수록 성폭력후유증이 심각했으며, 피해 사실을 부정 혹은 의심하고 피해자를 비난하는 등의 성폭력 통념 역시 더욱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성폭력 통념 경험은 가해자와의 관계가 성폭력후유증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했다. 즉, 성폭력의 전형과 달리 낯선 외부인보다는 가까운 관계에서 발생한 성폭력 피해의 후유증이 더욱 심각하게 나타난 것은 성폭력 통념의 효과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피해 당시의 연령이나 성기삽입 여부 등 사건 특성보다는 피해 이후의 사회적 반응이 성폭력후유증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크다는 점, 때문에 그 핵심적 기제가 되고 있는 왜곡된 성폭력 통념을 극복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 By using survey dataset with 235 sexual violence victims, this study examins 1)how intimacy of sexual violence victim-assailant relationship effects victim’s traumatic impact and 2)how the experience of societal myth of sexual violence mediates this effect. The results shows that, the more intimate the victim’s relationship with the assailant, victims experiences more societal myth of sexual violence such as refusal or reproach of victim. And the experience of societal myth of sexual violence mediate the influence of the intimacy completely. This means that 1)the negative psychological impact of sexual violence which occurred in acquaintance is more serious in contrast to popular belief which regards unknown attackers and forceful assaults as more traumatic event and 2)due to the inconsistence of this stereotype, victims of known assailant experiences the myth of sexual violence much more, so that the severity of traumatic symptom is aggravated. From this analysis, we can understand importance of social factors such as myth of sexual violence on the negative psychological impact of sexual violence victim, not the event factors such as penetration, age, and the necessity of overcoming the myth of sexual violence to protecting and supporting the victims.

      • KCI등재

        성폭력 범죄에 대한 지역경찰 현장 출동의 긴급성에 관한 연구: 여성·청소년 대상 범죄의 교차분석을 통해

        이창용,박정선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0 치안정책연구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s of laws mandating emergency disptach of locial police for sexual violence crimes. As the main purpose of emergency dispatch of local police to the crime scene for sexual violence is to protect the victims, it is doubtful whether best action is the best way to protect the victims. The purpose of prompt dispatch is to identify the perpetrator by arresting the perpetrator and securing evidence scattered around on the scene, and in this process, the victim may inevitably be exposed to secondary victimization, such as leakage of damage facts.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victim, when the victim and the criminal are together and the victim's life and body are urgently threatened by the criminal, prompt dispatch may be the best solution for protecting the victim. However, if the criminal has already escaped the scene and the victim is isolated from culprit, the best way to protect the victim is preventing the neighbors from recognizing the victim-related fact such that police are dispatched and assault is sexual by not taking emergency car and police uniform for the emotional stability of victim. As such, the type of dispatch in a sexual violence case is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the degree of secondary victimization a victim would suffer would be devastating when the damage caused by emergency dispatch is too conspicuous to hide. It would also be applicable to such crimes as domestic violence, child abuse and school violence. As the nature and extent of the damage in sexual violence are a lot larger and more serious compared to other crimes, we need to pay attention to whether the mandatory clarification of the law on emergency dispatch in the current sexual violence case is helpful or not for the protection of victims, and if not, what can be improved. This study used a research method utilizing the analysis of 112 data from the police headquarters. Out of the 112 data reported as sexual violence for the year of 2019, the police checked the number of emergency and non-emergency dispatch cases for crimes related with women and adolescents. We used that data to compare the proportion of emergency dispatch among 4 types of crimes such as sexual violence, domestic violence, child abuse and school violence. Chi-square analysis was used to check the homogeneity and independence of 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show that local police are already issuing non-emergency dispatch orders at the discretion of police officers who get the sexual crime reports from the victims and the extent of non-emergency dispatch for sexual violence was similar to that of child abuse non-emergency dispatch. This study confirmed the need for improvement in related laws and behavioral manuals as the law may cause non-emergency activities to become illegal or even subject to inspection, even if the victim sympathizes with and fully understands the police non-emergency activities with discretion. It would be beneficial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secondary data by the full utilization of original data for the future study. 본 연구는 성폭력 범죄에 있어 경찰에게 신속한 출동을 의무화한 법령의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성폭력 범죄가 발생한 때 경찰이 현장에 출동하는 목적 중 하나가 피해자 보호인데 과연 신속한 출동이 피해자 보호를 위한 적절한 방법인지 의구심이 들기 때문이다. 신속한 출동의 목적은 범인 검거 혹은 현장에 유류된 증거 확보를 통해 범인을 특정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피해자는 불가피하게 피해 사실의 누설 등 2차 피해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피해자 보호라는 본연의 목적을 위해서는 범인과 피해자가 함께 있어 범인으로부터 피해자의 생명과 신체가 위협받는 상태일 때는 신속한 출동이 피해자 보호 목적에 부합할 수 있겠으나, 범인이 현장에서 도주하여 피해자와 격리된 상황일 때는 피해자의 정서 안정을 위해 사복차림에 일반 차량을 이용하여 현장 출동하는 등 경찰 출동 사실을 이웃 등이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는 신중한 출동이 피해자 보호 목적에 부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성폭력 사건에 대한 출동 유형이 특히 중요한 이유는 경찰 출동으로 인해 성폭력 피해 사실이 인근에 알려졌을 때 피해자가 받을 수 있는 2차 피해의 성격과 정도가 가정폭력, 아동학대 및 학교폭력 등과 같은 여성·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타 범죄의 2차 피해와 비교 불가할 정도로 크고 심각하기 때문이다. 이에 현행 법령을 통한 성폭력 사건의 신속한 출동 의무화 명시가 피해자 보호에 도움이 되는지 만일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개선 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2019년 1년간 성폭력으로 112 신고된 자료 중 경찰의 비긴급 출동 여부 및 그 건수를 확인하여 해당 법령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여성·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여타 범죄와 긴급·비긴급 출동 건수에 대한 교차분석을 통하여 성범죄에 대한 긴급도를 유사 범죄군과 비교하는데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일선 경찰서에서는 성폭력범죄 신고 시 현행 법령과 무관하게 접수 경찰의 자체 판단에 따라 비긴급 출동지령을 하는 경우가 많았고 그 출동 정도는 아동학대의 긴급도와 유사한 정도로 확인되었다. 이는 많은 성폭력 사건에 대하여 일선 경찰들의 합리적 판단에 의해 신중한 비긴급 출동이 진행되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신중한 출동에 대한 피해자들의 공감과 납득에도 불구하고 일선 현장의 실태와 괴리된 법령으로 인해 비긴급출동이 위법 행위가 되거나 감찰 대상이 될 개연성이 크다는 점에서 관련 법령의 개정이나 매뉴얼의 정비 등 개선의 필요성이 긴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2차 자료를 통한 질적 분석 및 제한된 양적 분석만이 진행되어, 향후 112 원자료를 통한 충분한 양적 분석 등의 후속 연구가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수사절차상 성폭력피해자의 인권보호 방안

        申朱浩(Shin, Joo-Ho) 中央大學校 法學硏究所 2010 法學論文集 Vol.34 No.3

        The Constitution prescribes the nation's duty of the maximal respect and protection of overall basic freedom and rights based on human rights by clarifying the protection of the unlisted freedom and rights in Article 37, the human dignity in Article 10 and sveral regulations on basic rights. In fact, the guarantee of the victim's human rights and the consideration of a female sexual violence victim have been really neglected so far, because It is concentrated on the constitutional assignment that the guarantee of the suspect's human rights should be realized in the investigation procedure. However, in addition to the guarantee of the suspect's human rights, It should be also emphasized to respect the victim's human rights during the investigation. From this respect, the most important issue is the protection of the sexual violence crime's victim. In spite of a serious crime differently from a regular crime, even though a sexual violence victim dares to report it to an investigation agency, it is very common that victims get more damaged rather than alleviated the pain due to the common notion of not understand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a sexual violence crime damage. Because sexual violence occurs when the victim is alone, the suspicion of the crime mostly depends on the statement. Therefore, the victim has the burden of making a detailed statement just like reenacting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sexual violence damage in the process of the investigation and trial to verify the damage. Accordingly, the victim is damaged again during the criminal procedure. However, the investigation agents or court officers involved in the criminal justice procedure need to enhance much of the recognition or practice. Especially, as for criminally handling the corresponding sexual violence cases, the investigation should be finished with the 1st summons if possible to secure the human rights of the crime victims. The officers in charge of investigation and trials should be reminded of the seriousness of the infringement of the human rights caused by sexual violences through the education of the gender equality. In order to reduce harmful effect caused by prejudice on a victim, duplicate probes and the way of investigation neglecting the characteristics, It is imminent to observe the arranged guideline or manual, besides the investigation agencies should cultivate the specialists and develop the investigation techniqu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 victim. Moreover, not only the fact that sexual violence crime victims don't have the information on the progress of the investigation but the fact that victims are treated unduly during the investigation due to the investigation agency's negligence of the protection of victims lead to distrust in the criminal justice. So, The investigation agencie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investigation process ; assigning female investigation officers to have female victims fairly considered and not damaged again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sexual violence crime victims are mainly female ; permitting a reliable person sit together during the interrogation ; carefully modifying the detail description of questions. If victims continue to be disregarded during the crime investigation, the investigation agencies fail to win the national trust. therefore investigation agencies should try to maximally protect the crime victim's rights within the range of not infringing the suspect's rights.

      • 성폭력 형사사건에서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과 경험칙에 관한 연구

        이선미 ( Lee Sunmi ),박용철 ( Park Yong Chul ),서용성 사법정책연구원 2020 연구보고서 Vol.2020 No.2

        본 연구는 성폭력 형사사건에서 유죄 입증의 중요 증거 중 하나인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 판단을 위한 기준으로서의 경험칙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및 국내 판례와 하급심 판결문 분석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제1부는 비교법적 연구에, 제2부는 국내 판례 및 하급심 판결문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박용철 초빙연구위원 집필)는 성폭력 사건에서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 평가 중 ‘특히 진술 내용이 경험칙에 부합하는지 여부’에 기반한 평가에 대하여 보통법계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 비교법적 연구이다. 여타의 형사사건과 비교할 때 목격자와 같은 직접증거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성폭력 형사사건에서 유죄 입증의 중요 증거 중 하나인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 판단을 위한 법관의 기준으로 우리 판례상 제시되고 있는 경험칙에 대한 일반적 논의 내용을 확인하고 비교법적 연구를 통하여 주로 보통법계 국가에서 직업 법관 또는 배심원이 사용하고 있는 경험 및 경험칙의 내용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살펴본다. 성폭력 형사사건에서의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을 판단하기 위한 법관의 경험칙은 실체를 알 수 없는 일반인의 ‘통념’의 수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고도의 개연성이 있거나 과학법칙에 준할 정도의 확실성을 갖춘 것이어야 한다. 성폭력 형사사건에서의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 판단에 있어 경험칙은 진술의 합리성 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용되는데 이 판단 기준이 자의적이거나 불확실할 수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경험칙이라는 용어를 이해하기 위해서 성폭력 형사사건의 피해자 진술 신빙성 판단에 있어 배심원의 역할을 강조하는 동시에 제한하고 있는 보통법계 국가의 상황은 여러 가지로 시사하는 점이 많다. 배심원이 사실관계 확인을 위해서 활용하는 경험은 법관의 경험칙에 비하여 자의적이거나 주관이 개입되었을 여지가 많다. 따라서 성폭력 형사사건에 있어 보통법 국가들의 법원은 배심원 설명의 형태로 배심원들의 자의적인 경험의 적용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편견 배제의 요청을 하고 있는데 이는 성인지 감수성을 설시한 최근 법원의 입장과 공통되는 측면이 있다. 법원이 성폭력 피해자 진술 판단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는 법관의 경험칙은 법관이 주관적인 사고 형성 과정을 통해 습득한 내용과 수많은 동종 사건을 판단함에 있어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된 사건 내용에 기반한 내용의 집합체이다. 그러한 기준은 모든 성폭력 범죄사건에다 유용한 잣대로 기능할 수는 없다. 절대적으로 자연과학법칙에 달하는 정도의 엄격한 확실성을 가질 것을 요구하나 필연적으로 그렇지 않은 경험칙을 갖고 피고인과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을 판단하는 것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성폭력 범죄사건에서 제시할 수 있는 경험칙은 편견을 갖지 않는 신중한 판단을 요구하게 된다. 그러한 측면에서 성폭력 형사사건에 있어 성인지 감수성의 요구는 법관이 사실 관계를 판단함에 있어 가능한 모든 편견을 배제하고 피해자의 상황을 이해하여 그러한 진술의 근원을 찾으려는 노력의 일환이라 할 것이다. 제2부(이선미 연구위원 집필)는 성폭력 사건에서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 평가 중 ‘진술 내용이 경험칙에 부합하는지 여부’에 관한 평가의 현재 상황을 되돌아보고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을 판단하는 것은 증거로서의 증명력 유무를 판단하는 문제일 뿐만 아니라 그 진술을 내용으로 하는 서류의 증거능력을 예외적으로 인정하기 위한 요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을 판단하기 위한 요건에 관하여는 판례를 통해 법리가 형성·발전되어 왔다. 특히 진술의 내적 요소, 즉 내용의 측면에서는 그것이 경험칙에 부합하여야 한다는 요건이 제시되고 있다. 경험칙의 의미나 내용에 관하여는 판례가 특별히 제시하고 있지 않으나, 적어도 경험칙은 단순한 개연성을 넘어서 고도의 개연성을 가지는 명제의 수준에까지 도달하여야 한다. 2016년까지 판결이 선고된 성폭력 사건들 중에서 사건명 및 검색어를 이용하여 선별한 판결문 474건을 대상으로 하여, 현재 법원이 성폭력 사건에 있어서 선언하고 있는 경험칙의 내용 등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볼 때, 판결문에서 경험칙이라는 이름으로 제시되는 명제는 크게 몇 가지의 범주로 나누어 볼 수는 있으나, 그 내용이 매우 다양하고도 구체적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법원이 어느 사건에서 경험칙이라고 제시하는 명제가 다른 사건 에서 내지는 동일 사건의 다른 심급에서도 반드시 그대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법원이 현재 성폭력 사건에 있어서 인식하고 있는 경험칙이 과연 진정한 경험칙에 해당하는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성폭력 사건에서의 경험칙으로 여겨지는 몇 가지 명제를 대상으로 하여 보건대, 그 명제를 구성하는 사실관계에 따라 분석 대상 판결들에서 유·무죄 결론이 유의미하게 달라지는 정도까지 이른다고 보기 어렵다. 성폭력 사건에서의 경험칙은 관념적으로 제시되어서는 안 되고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방법으로 발견되고 검증되어야 한다. 특히 피해자의 인식과 의지가 개입되는 사정을 경험칙의 내용으로 하는 경우, 일반적인 피해자라는 개념을 상정하여 선언하는 경험칙으로는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을 제대로 판단하기 어렵다. 성폭력 사건마다 서로 다른 개별적인 상황과 사람에 대한 이해의 폭과 깊이를 확대하기 위한 노력이야말로 우리 대법원이 성폭력 사건의 재판에 있어서 갖추기를 요구하는 ‘성인지 감수성’이다.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experience rules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credibility of victim statements, which is one of the main evidences of criminal cases in sexual violence. This study is consisted of two independent parts; the first part focuses on comparative legal studies in regards to the experience rules, and the second part focuses on the analysis of Korean Supreme Court’s precedents and lower court judgments of criminal cases in sexual violence. Part 1 by Yong Chul Park is a comparative legal study mainly focusing on common law countries in the assessment of the credibility of victim statements in sexual violence cases, in particular on whether the statement is consistent with the experience rules. This study confirms the general discussion of experience rule presented in criminal cases as the basis of judges for determining the reliability of the victim’s statement, one of the important evidence of guilt in a sexual assault criminal case, which is absolutely lacking in direct evidence such as witnesses, and examines the details of the experiences or the experiences rule used by professional judges or jurors, mainly in common law countrie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The judge’s experience rule in order to screen the credibility of the victim’s statements in a criminal case of sexual violence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ventional wisdom of the general public, but should be the thing of high probability or of same degree of certainty as the science law. In determining the credibility of victim statements in sexual violence and criminal cases, the experience rule is used as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validity of statements, which cannot be arbitrary or uncertain. Therefore, the term, experience rule suggests many things in common law countries that emphasize the role of jurors in determining the credibility of victim statements in sexual violence and criminal cases. The experience that a jury uses to ascertain facts is more likely to be arbitrary than the judge's experience rule. Thus, courts in the common law countries in criminal cases of sexual violence are requesting the exclusion of various prejudices in advance to prevent arbitrary application of jurors’ experiences in the form of jury instruction. Such contents of jury instruction has some common ground compared with recent court cases noting gender sensitivity. Part 2 by Sunmi Lee focuses on critical reviewing the courts’ current practice of victims’ statements assessment based on the experience rules in sexual violence cases. Judging the credibility of a victim’s statement is not only a matter of evidential value but also a matter of exceptional admissibility of evidence. As regards the requirements for judging the credibility of a victim's statement, Supreme Court’s case law has been formed and developed. The case law in this aspect holds that the content of a statement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experience rules. Although the Supreme Court does not specifically suggest the meaning or content of the experience rules applied in criminal cases of sexual violence, the experience rules in this context must go beyond the simple probability to reach the level of proposition with high probability. Among the judgments of sexual violence rendered in lower courts across the country until the year of 2016, 474 judgments were carefully selected by browsing the case title ‘rape’ and the core keywords ‘credibility’ & ‘the experience rules’. Through these judgments, judges present propositions with very diverse and specific contents as so-called experience rules. In addition, the propositions that the court suggests as the experience rules in one case are not necessarily accepted in other cases or at different levels of the same case. An analysis has been made to find out whether some propositions that are currently considered as the experience rules in sexual violence criminal cases have reached to the extent of high probability, though it turned out not to be successful. The experience rules in criminal cases of sexual violence should not be presented anecdotally, but it should be found and tested using a scientific and empirical manner. Especially, in terms of discussing the experience rules with regard to the victim’s intentions and awareness of his/her surroundings, the judgment that the ‘average victim’ would have acted in a certain way should be ruled out because it is not appropriate to make a judgment how the victim would have behaved in general in determining the credibility of victims’ statements. Courts should try to judge more deeply the individual circumstances of the victim and the person itself. The demand for such efforts is understood by Supreme Court’s judgment on ‘gender sensitivity’.

      • KCI우수등재

        기술매개 성폭력의 ‘실질적’피해와 그 의미

        김애라 한국여성학회 2022 한국여성학 Vol.38 No.1

        This study argues that it is difficult to adequately capture the damage and pain of technology-facilitated sexual violence without complete reconsidering the standard of 'obscenity', which technology-mediated violence is now judged by. For example, the extortion and dissemination of images of women or personal information are not understood as sexual violence despite its sexual purpose. This study analyzes cases of technology-facilitated sexual violence in which the meaning and effect of gender-based sexual violence are overlooked because they are categorized as insults or defamation rather than ‘sexual violence’ according to obscenity standards under the current law. In regard of theoretical, legal, and institutional discussion of technology-mediated sexual violence through victim counseling case analysis, there is the need to move our standpoint to a direction that considers the nature of damage and suffering caused by technology rather than the traditional concept of sexual violence. This is because technology-facilitated sexual violence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raditional sexual violence, and at the same time, the damage has a real impact on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It is argued that the harm of technology-facilitated sexual violence is not in 'obscenity', but in the sexual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Due to the technology-mediated nature of violence, the daily life and social relationships established by the victim are violated and sexually controlled. 오늘날 기술매개 성폭력 논의에서는 피해 유형과 이를 포괄할 수 있는 법·제도 관련 논의에 비해 그 속성에 따른 피해 및 고통에 관한 논의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본 연구는 이 같은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 현행 기술매개 성폭력에서의 판단기준인 ‘음란성’ 에 대한 재고와 기술매개성에 대한 정치한 이해 없이는 기술매개 성폭력의 피해와 고통이 제대로 포착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대표적으로 여성의 이미지나 개인정보의 강탈 및 유포 등은 가해 행위의 그 성애적 목적에도 불구하고 성폭력으로 이해되고 있지 못하다. 현행법상 음란성 기준에 준해 판별함에 따라 ‘성폭력’이 아니라 모욕이나 명예 훼손 등으로 범주화되어 젠더기반 폭력으로서 성폭력의 의미와 그 효과가 간과되고 있는 기술매개 성폭력 상담 사례를 분석한다. 해당 사례 분석을 통해 기술매개 성폭력에 대한 이론적, 법ㆍ제도적 논의가 전통적 성폭력 개념에 준하기보다 기술매개성으로 인한 피해와 고통의 속성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옮겨가야 할 필요성에 대해 논한다. 기술 매개 성폭력은 전통적인 성폭력과는 다른 특성을 지니는 동시에 이 피해는 신체적, 정신적 모두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기술매개 성폭력의 해악은 ‘음란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개인정보를 성애화한 수단화가 그 핵심에 있음을 논한다. 기술 매개 성폭력은 기술매개적 속성에 따라 피해자가 구축한 일상과 사회적 관계를 침해당하고 성적으로 통제된다는 점, 또한 피해가 종료되지 않고 이어진다는 점, 피해 이후는 물론 피해의 가능성으로 인해 ‘불안’, ‘공포’와 같은 심리 상태가 지속되는 등의 ‘실질적’인 피해를 드러내고자 한다.

      • KCI등재

        합의와 공탁이 아동·청소년 대상 성폭력범죄의 양형에 미치는 영향

        이진화 사법발전재단 2015 사법 Vol.1 No.31

        The Impact of Settlement and Deposit on Sentencing inSexual Violence Crimes against Children and Adolescents Lee, Jin-hwa Any legal practitioner with experience in criminal proceedings would agree that “settlement(victim expresses that he/she does not want to prosecute the offender) and deposit” have the most definitive effect on sentencing of not only sexual violence crimes against children and adolescents, but also sexual violence crimes as a whole. In December 2013, the Korean Judge Society of Gender and Law, which was established with the aim of conducting research on protecting the legal rights and interests of women, children and sexual minorities, surveyed judges who presided over sexual violence crimes against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survey presented the judges with a sexual violence crime case perpetrated against children and adolescents, asked whether it would be legitimate to reduce the sentence if there was a settlement or a deposit in place, and if so, the grounds for its justific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urvey, this paper reviews how settlements and deposits impact the actual sentencing in sexual violence crimes, and whether the rationale behind lighter sentencing is sound. According to the survey, the top reason cited for lowering the sentence in case of a “settlement” or a significant deposit was, “As sexual violence crimes are put in place to protect the sexual self-determination of the victim, the intention of the victim, who is the agent, should be respected,” followed by, “There was at least some form of financial compensation for the victim.” However, it is wrong to apply to child and adolescent victims the same standard of benefits and protection of laws as applied to adult sexual violence cases, namely, an expression of “negative sexual self-determination.” This means that lighter sentencing for the so-called “settled cases” in sexual violence crimes – a “crime instituted to protect the sexual self-determination, a right at the victim's disposal” – cannot be justified merely because the victim expressed his/her will to drop charges, at least in case of sexual violence crimes against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court has a duty to protect the defendant‘s right to defense. At the same time, the court has a duty to protect the victim. The court must be vigilant to avoid any unnecessary harm to the victim by prolonging the review of the case on the ground that the defendant should have the opportunity to seek a settlement. The court may well actively utilize the right of the victim's counsel or the victim to make a statement. 종래 우리 형사소송절차에 관여하여 온 법률실무가라면, 아동, 청소년 대상 성폭력 범죄뿐만 아니라 성폭력 범죄 전체를 통틀어 소위 ‘합의(피해자의 처벌불원의 의사표시)와 공탁’만큼 양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없다는데 동의할 것이다. 법원 내 여성, 아동 및 소수자의 법적 권익 보호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설립된 젠더법연구회는 2013. 12.경 아동 청소년 대상 성폭력 범죄를 담당하는 법관들을 상대로 아동·청소년 대상 성폭력 범죄의 사례를 제시하고 그 사례에서 소위 합의나 공탁이 이루어지는 경우, 감형을 하는 것이 정당한지 그 근거는 무엇인지를 설문해보았다. 이 연구는 위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성폭력 범죄에서 합의나 공탁이 실제로 양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근거는 정당한 것인지를 검토하였다. 위 설문조사 결과, 상당수의 법관들이 ‘합의’나 상당한 금액 공탁의 경우 이를 감형해야 하는 근거로 ‘성폭력 범죄는 피해자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보호하기 위한 범죄인데, 그 주체인 피해자의 의사가 존중되어야 한다’ 혹은 ‘경제적으로나마 손해가 회복되었다’라는 답변을 하였다. 그러나 아동·청소년 대상 성폭력 범죄의 보호법익을 성인 대상 성폭력 범죄와 동일하게 ‘소극적 성적 자기결정권’이라고만 보는 것은 옳지 않다. ‘피해자가 처분할 수 있는 권리인 성적 자기결정권을 보호하는 범죄’인 성폭력 범죄에 있어 ‘합의’라는 이름으로 피해자가 처벌불원의 의사를 표시하였으니 당연히 감형되어야 한다는 논리의 정당성은 적어도 아동·청소년 대상 성폭력 범죄에서는 성립하기 어렵다. 피고인의 방어권행사를 보장해야 하는 동시에 피해자를 보호할 의무가 있는 법원은, 피고인에게 합의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는 이유로 심리가 지연되어 불필요하게 피해자에게 해를 끼치는 것은 아닌지 주의해야 하고, 피해자 변호사나 피해자 진술권제도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성폭력범죄 피해실태와 개정법상 피해자보호 및 지원방안

        이희경(Lee, Heekyung) 한국피해자학회 2013 被害者學硏究 Vol.21 No.2

        A series of special criminal law amendments were made this past December 18, 2012 in relation to sexually violent crimes, including the Criminal Act, Special Act on the Punishment, Etc. of Sexually Violent Crimes, and Act on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Young Adults. The most distinguishing features of the December 2012 amendments include the full abolishment of provisions that make the prosecution of these crimes contingent on the victim’s filing a criminal complaint, and the change of language in the object of sexual crimes from “woman” to “person,” thus recognizing male victims of sexual crimes. In addition, the Special Act on the Punishment, Etc. of Sexually Violent Crimes provided legal basis for the protection and support for the victims of sex crimes, including victim’s counsel to prevent harm to the victim arising from the criminal process and to provide legal aid, witness support officers to protect and support the victims and others who stand witness, and witness assistants to provide assistance to those witnesses who have difficulty communicating. Victims of sexually violent crimes face such a difficult battle to reclaim their normal lives that they are termed “survivors.” The state has too much responsibility in failing to prevent these crimes in the first place to leave victims on their own to survive and overcome. Therefore, in addition to extending all efforts to efficiently implement the new systems in the amendments of December 2012 including victim’s counsel, witness support officers, and witness assistants, both the state and society must strive to discover and mend any deficiency in the preexisting solutions for sexual violence so that victims of sexual violence can reclaim their lives. Most of all, the best means to protect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is to prevent sexually violent crimes so there are no victims in the first place. To this end, means are necessary to prevent convicted sex criminals from committing future crimes given the high recidivism rate of these crimes, and also to prevent the victimization of potentially vulnerable groups through prevention education and the preparation and promotion of manuals on dealing with sexual violence. Sexua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far from being a formality to comply with mandatory regulations, should be made into effective tools to prevent sexual violence.

      • KCI등재

        사이버 공간에서의 은밀한 범죄: 디지털 성폭력에 대한 목회신학적 성찰

        김희선 한국목회상담학회 2020 목회와 상담 Vol.34 No.-

        The study proposes a pastoral theological application for counseling victims of digital sexual violence through a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digital sexual violence. To do this, I first look at the definition of digital sexual violence and the types of digital sexual violence that are crimes under current laws and present brief cases of digital sexual crime. It may take a long time for victims of digital sex crimes to become aware of the damage they suffer, due to the nature of anonymity in cyberspace. Afterwards, amid uncertainties, the victim suffers from social difficulties due to great anxiety and shame. Next, I seek a pastoral theological reflection on digital sexual violence based on a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victims. The pastoral theological view is that no matter how secret or anonymous, the act of viewing and sharing illegal images can destroy other people's daily lives with a single click; thus, participants in this form of sexual violence are guilty of abusing others for their own sexual gratification. Also, is the shame felt by the victim reasonable? Who should feel shame? In response, first, violence committed without consen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offender; second, reinterpreting shame can be an effective way to support the victim as a counterargument to the double standards of society looking at women's bodies and sexuality; and third, guidelines for counseling victims of digital sexual violence are suggested. This interdisciplinary study provides guidelines for pastoral care and pastoral theological reflection based on sociological, legal, and feminist studies that have been made on digital sexual violence, a relatively recent issue. 이 연구는 디지털 성폭력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디지털 성폭력 피해자 상담에 대한 목회신학적 성찰과 돌봄 지침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디지털 성폭력이라는 용어의 정의와 현행법으로 범죄가 되는 디지털 성폭력의 유형을 살펴보고, 불법촬영, 촬영물 유포, 협박, 성적 사진합성과 청소년 그루밍 성범죄 등의 간략한 피해사례들을 제시한다. 디지털 성폭력 피해자는 사이버 공간의 익명성으로 인해 피해 사실을 인지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이후에도 피해 상황과 정도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불확실함 속에서 커다란 불안과 수치심을 느끼게 된다. 피해자의 주요 심리를 불안과 수치심으로 요약한 후에 디지털 성폭력에 대한 목회신학적 성찰을 모색했다. 연구자는 한 번의 클릭으로 다른 사람의 일상을 무너뜨릴 수 있는, 불법영상을 보고 공유하는 행위가 아무리 은밀하게 익명으로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자신의 왜곡된 성적 만족을 위해 타인을 사물화하고 유린하는 죄를 저지른 것이라고 강조한다. 또한, 피해여성이 느끼는 수치심이 과연 합당한가? 수치심은 누구의 몫인가? 라고 질문하며 이에 대해 첫째, 상대의 동의 없이 이루어진 침해 범죄행위는 “가해자의 범죄이며 그의 책임이다”라고 환기하는 것과 둘째, 수치심을 재해석하는 것이 여성의 몸과 섹슈얼리티를 바라보는 사회의 이중적 규범에 대한 반론으로 피해자를 지지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성폭력 피해자 상담지침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비교적 최근 이슈인 디지털 성폭력에 대해 그간 이루어진 사회학, 법학, 여성학 연구를 기반으로 목회신학적 성찰과 돌봄의 지침을 제공하는 새로운 학제 간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