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양 일원 천주교 관련 기록물과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제언

        손숙경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0

        This study is a suggestion to build up digital archive of Catholic records, centrically Unyang church, for one way to preserve and use records about Unyang’ Catholic records. Up to now, this research launched to make using records related to Unyang’s Catholic easy. So, we started to discuss works for conversing source book of Unyang, Milyang and Dongnae’s Catholic researches into digital archive. To do such a work, in this study we observed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preserving Unyang Catholic records, and then we examined means and value of various records, such as old documents. So, we suggested the needs of building archive by revealing that this kinds of records are valuable for revealing shape of this local’s Catholic embrace by comparing records and oral tradition of shape of Unyang’s Catholic embrace. Furthermore we suggest budget support and man power supply for building digital archive, which is base of providing these records through online service. These Catholic records of Unyang is not just important as history of Catholic believers, but also important for public records which show tradition and modern of Korea. And we have to make Unyang Church the place of memory by identifying needs to build archive related to original records of tradition and modern-comtemporary era. And we hope spreading other discussions about local Catholic by using this. Taking this opportunity, We want people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Unyang’s Catholic records as a ‘public records’ and we look for start of discussion for building archive based on Unyang Church and Unyang local society. 이 연구는 언양 지역 천주교 관련 기록물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한 방안으로써, 언양 성당을 중심으로 천주교 기록물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할 것을 제언한 것이다. 현재까지 언양 지역 천주교와 관련하여 수합한 각종 기록물들을 쉽게 접근하여 활용하려는 구도에서 이 연구는 출발하였다. 그리하여 언양과 그 일원인 밀양, 동래 지역의 천주교 관련기록물의 1차 정리 작업인 자료집 간행을 기반으로 이것을 디지털 아카이브로 전환하려는 작업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언양 지역 천주교 기록물이 조사 수집 보존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어 고문서와 고문헌 등 각종 기록물의 가치와 의미를 검토하였다. 그리하여 이들 기록물들이 언양 지역 천주교 수용 시기와 수용형태 등과 관련한 구전 내용의 비정과 이 지역의 천주교 수용과 수용자들의 모습과 형태를 밝힐 수 있는 소중한 기록물임을 드러내었다. 나아가 오프 라인에서 확인될 수 있는 이러한 기록물을 온라인 서비스 제공이 기본이 되는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예산 지원 및 인력보충에 대한 문제도 제언하였다. 이러한 언양 지역 천주교 관련 기록물은 단지 천주교 신앙인의 역사만이 아니라 한국의 전통과 근대를 보여주는 ‘공공기록물(public records)’로서 무엇보다 소중하다. 따라서 이미 간행된 종이 인쇄본 형태의 자료집을 바탕으로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언양 성당을 중심으로 흩어져 있는 전통시대와 근현대의 기존 자료들에 대한 아카이브 구축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천주교 관련 기억의 장소로 만들어질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 연구를 계기로 언양 지역 천주교 관련 기록물을 ‘공공기록물’로서 그 소중함을 인식하고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위해 한국 천주교회사 연구자를 비롯한 ‘언양성당’, 그리고 언양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천주교 관련 기록물의 아카이브 구축에 대한 실질적인 논의가 시작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언양 일원 천주교 관련 기록물과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제언

        손숙경 ( Son Suk-kyung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0

        이 연구는 언양 지역 천주교 관련 기록물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한 방안으로써, 언양 성당을 중심으로 천주교 기록물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할 것을 제언한 것이다. 현재까지 언양 지역 천주교와 관련하여 수합한 각종 기록물들을 쉽게 접근하여 활용하려는 구도에서 이 연구는 출발하였다. 그리하여 언양과 그 일원인 밀양, 동래 지역의 천주교 관련기록물의 1차 정리 작업인 자료집 간행을 기반으로 이것을 디지털 아카이브로 전환하려는 작업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언양 지역 천주교 기록물이 조사 수집 보존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어 고문서와 고문헌 등 각종 기록물의 가치와 의미를 검토하였다. 그리하여 이들 기록물들이 언양 지역 천주교 수용 시기와 수용형태 등과 관련한 구전 내용의 비정과 이 지역의 천주교 수용과 수용자들의 모습과 형태를 밝힐 수 있는 소중한 기록물임을 드러내었다. 나아가 오프 라인에서 확인될 수 있는 이러한 기록물을 온라인 서비스 제공이 기본이 되는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예산 지원 및 인력보충에 대한 문제도 제언하였다. 이러한 언양 지역 천주교 관련 기록물은 단지 천주교 신앙인의 역사만이 아니라 한국의 전통과 근대를 보여주는 ‘공공기록물(public records)’로서 무엇보다 소중하다. 따라서 이미 간행된 종이 인쇄본 형태의 자료집을 바탕으로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언양 성당을 중심으로 흩어져 있는 전통시대와 근현대의 기존 자료들에 대한 아카이브 구축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천주교 관련 기억의 장소로 만들어질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 연구를 계기로 언양 지역 천주교 관련 기록물을 ‘공공기록물’로서 그 소중함을 인식하고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위해 한국 천주교회사 연구자를 비롯한 ‘언양성당’, 그리고 언양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천주교 관련 기록물의 아카이브 구축에 대한 실질적인 논의가 시작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a suggestion to build up digital archive of Catholic records, centrically Unyang church, for one way to preserve and use records about Unyang’ Catholic records. Up to now, this research launched to make using records related to Unyang’s Catholic easy. So, we started to discuss works for conversing source book of Unyang, Milyang and Dongnae’s Catholic researches into digital archive. To do such a work, in this study we observed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preserving Unyang Catholic records, and then we examined means and value of various records, such as old documents. So, we suggested the needs of building archive by revealing that this kinds of records are valuable for revealing shape of this local’s Catholic embrace by comparing records and oral tradition of shape of Unyang’s Catholic embrace. Furthermore we suggest budget support and man power supply for building digital archive, which is base of providing these records through online service. These Catholic records of Unyang is not just important as history of Catholic believers, but also important for public records which show tradition and modern of Korea. And we have to make Unyang Church the place of memory by identifying needs to build archive related to original records of tradition and modern-comtemporary era. And we hope spreading other discussions about local Catholic by using this. Taking this opportunity, We want people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Unyang’s Catholic records as a ‘public records’ and we look for start of discussion for building archive based on Unyang Church and Unyang local society.

      • KCI등재

        1920년대 언양지역 가톨릭부인회 결성과 그 의미

        손숙경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9 민족문화논총 Vol.72 No.-

        As a result, this research has an historical meaning by revealing action of catholic dealing with youth movement and its’ lower part, women movement of protestantism and Chundogyo in early 1920s. Also,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identifying meanings of youth movement and women’s movement in history of Catholic movement.This research aims to study meaning of Unyang ‘Catholic women association’ of colonial era by defining organize and activities of Unyang ‘Catholic women association’ through records descended in Unyang Catholic church. We could identify a purpose and activities of community Catholic women association organization and member who run the organization specifically by this research. Unyang ‘Catholic women association’ was found in 1923 for growth of Catholic, and shared activities with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A women’s movement developed by groups that characterized by ‘new women’, ‘madam’ in 1920 was co-worked with youth movement, and Unyang Catholic women association was also identical with this stream. Organize of Catholic women association has an historical meaning by showing intersection of women’s movement and young men movement in 1920s. In late 1920’s to early 1930’s, Korean Catholic women association was separated into middle aged woman organization and young woman organization, and young woman organization took charge of guide boys and girls. This shows that Catholic organization corresponded with division of protestantism and Chundogyo’s youth movement to boy movement. The reason why Unyang, which is not a metropolitan, could have organizations like Catholic women association and youth association organization was that there were a lot of faith community since early accommodation of Catholic. And another reason was that there were powerful influences of Chundogyo, which preoccupied women movement and youth movement in Unyang. In this social mood, Catholic also dealt with this mood by organizing youth association organization and women association. 이 연구는 식민지기 ‘언양천주공교부인회’의 결성과 활동을 언양성당에서 전승되는 기록물을 통하여 밝힘으로써 이 시기 언양지역의 가톨릭부인회가 가지는 의미를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가톨릭부인회 조직의 목적과 활동 및 이것을 운영한 구성원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언양천주공교부인회’는 1923년 천주교의 발전을 목적으로 결성되었으며 ‘언양지방천주공교청년회’와 연동되어 전개되었다. 1920년대 초반 ‘신여성’ ‘신여자’ ‘부인’으로 표상되는 집단을 중심으로 전개된 여성운동과 ‘부인’단체의 결성은 당시 청년운동과 연동되어 전개되는데, 언양지역 가톨릭부인회도 이러한 흐름과 같이 한 사실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언양천주공교부인회의 결성은 1920년대 여성운동과 청년운동의 교착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역사적 의미가 있을 것이다. 특히 1920년대 말 1930년대 초 즈음 한국 가톨릭부인회는 중년부인회와 여자청년회로 분화되고, 여자청년회 단체는 그 하부에 있던 ‘소년소녀’를 지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것은 여자청년회의 하부에 소년소녀 단체가 조직되었음을 말해주는 것으로, 개신교와 천도교 계열의 청년운동에서 소년운동이 분화해 나가는데 대해 적극적으로 조응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도회지가 아닌 주변부 지역인 언양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청년회와 부인회 등 평신도 조직들이 빨리 결성된 배경에는 언양지역이 천주교 수용초기부터 이후 이어져 온 많은 신앙공동체의 형성과 함께 부인운동과 청년운동을 선점한 천도교의 영향력이 강했던 지역사회 분위기도 작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 천주교에서도 청년회, 부인회를 조직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렇듯 언양의 천주공교부인회의 결성과 의미를 살펴보는 이 연구는 1920년대 초반 개신교와 천도교의 청년운동과 이것의 하부운동으로 전개된 부인운동을 의식한 가톨릭의 조응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미가 있을 것이다. 또한 1920∼30년대 청년운동과 여성운동 나아가 가톨릭 운동사에서 가지는 의미를 밝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1802년 언양 향교의 儒案 작성과 새로운 구성원들

        손숙경(Son, Suk-Kyung) 부산경남사학회 2018 역사와 경계 Vol.108 No.-

        이 연구는 19세기 언양 지역의 새로운 향교 유안에 주목하여 향반사회의 변화와 그 의미를 밝히고 있다. 이 연구는 다음 두 가지 점에 주목하여 이루어졌다. 먼저 종래의 향반에 속하지 못했던 부류들이 언양의 향반사회에 진입하는 방식에 대한 것이다. 두 번째는 언양 지역사회의 상층부에 진입하려한 이들의 존재형태와 동향을 밝히고 이것이 언양 향반사회에 초래한 변화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19세기 이후 언양 향교의 유안에 새로 들어온 구성원들을 분석하여 향교 유안의 성격을 검토하였다. 1802년 언양 향교에서는 유안을 작성하면서 그 배경을 서문에 밝히고 이어 42명의 유생들의 명단을 수록하였다. 이 유안이 작성된 배경은 경순왕의 후손으로 유업을 잃지 않았는데도 향교나 서원의 유안에 입록되지 못한 사람에 대해 국가에서 입록하도록 조처하여 입록을 허용한다는 것이다. 향교의 유안에 입록된 구성원들은 현재 확인한 바로는 크게 두 부류로 나뉘어진다. 하나는 유안 등재에 앞장 선 경주 김씨 가문과 같이 향리 직책을 역임한 동종 계파가 존재하는 부류이다. 다른 하나는 언양의 유명 사족들과 연관되지만 그 관계가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 부류들이었다. 대대로 향리 직책을 역임한 동종 계파가 있는 부류인 경주 김씨 가문 중 한 계열은 향리 직책을 맡지 않았고 유안에 성명을 세 사람이나 등재하여 향리 가문의 배경에서 벗어나려 하였다. 이들은 언양 향교 유안 입록 자격과 관련하여 경순왕의 후손임을 내세워 경순왕의 후손에 대한 국가의 우대조처를 적극적으로 끌어낼 수 있었다. 한편 지역사회의 경제적 균질화도 새로운 부류들이 유안에 입록하여 양반사회에 편입해 나가는 환경을 조성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양반 가문들과 새로운 부류들의 구분은 여전히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유안에 등재된 구성원들은 언양의 중요 가문들과 거주지와 성관이 일치한다는 점에서 이들 가문 출신이거나 이들 가문들과 관련이 있다. 그렇지만 이들 가문들의 족보에서 찾아지지 않는 것은 중요가문들의 주변에 위치해 있는 부류들로 여겨진다. 이들은 유안 등재를 통해 향반사회로 진입을 시도하려는 모습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원래 향반 집단에 속하지 않았던 부류들이 국가의 정책 및 이념에 상응하여 향반 사회에 편입해 나가는 동향에 주목한 이 연구는 지역사회의 새로운 변화의 또 다른 층위를 밝히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reveals changes of local elite society and it’s meaning by focusing on the new Written Rosters of Yusaeng(Yuan) of Unyang in 19century. This research was performed with two following points. First point is how non-involved class kind actually involved in the local elite society of Unyang. The second is revealing trend and being of people who tried to be a upper class of Unyang and about what changes these things caused in Unyang local elite society. This research studied the characteristic of Written Rosters of Yusaeng Of County School by analysing new components of Written Rosters who joined after 19 century for successful research. In 1802 Writing Written Rosers of Yusaeng, Unyang County School reveals the reason why they rewrote it adding new Yusaeng in preface followed by 42 name of new Yusaeng. The reason why this Written Roster of Yusaeng was written is to let descendents of Kyungsoon King who were not able to be listed in Wrtten Roster of Yusaeng of County School or private school even though they did not lose confucianism work listed on the list. As far as identified, components listed in the lis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group. One is group that have local clerk family similar to Kyungju Kim Clan, the leader of families tried to be listed in the list. The other one was a group unclearly related with famous elites of Unyang. Families of Unyang tried to be listed on the Written Roster of Yusaeng could be part of local elite society in Unyang under the understanding composition of state and local society. Above all, this research which focused on new group and its trend can contribute to finding the other layer of new changes of local society.

      • KCI등재

        조선후기 언양 향반(鄕班)가문의 사회 지위 유지와 그 양상 -삼동면 보은리 단양우씨(丹陽禹氏)가문의 사례연구-

        손숙경 ( Suk Kyung Son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5 石堂論叢 Vol.0 No.62

        이 연구는 조선후기 지방의 어느 가문이 양반이라는 상징권력을 확보하고 유지하는 일련의 노력을 고문서 자료 등을 통하여 밝힘으로써 향반사회의 다양한 층위와 변화의 의미를 포착하는 데 있다. 삼동면 보은리에 거주한 단양 우씨 가문은 통칭 언양의 8대 성씨로 일컫는 언양을 대표하는 가문들보다 위세는 낮았으나 이들과 마찬가지로 언양의 향반 사회를 구성하고 있었다. 이렇듯 이 연구는 향반사회를 끌어가는 유력한 가문들 외에도 향반사회를 구성하는 또 다른 다양한 향반 가문들을 주목함으로써 조선후기 향반 가문의 다양한 층위와 그 의미를 밝히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단양 우씨 가문은 언양을 대표하는 8대 성씨들보다 늦은 18세기 중반에 언양 보은리에 정착하였다. 관직 진출을 사실상 기대할 수 없는 사회 환경 속에서 정착 이후 이 가문은 점차 언양의 공적 의례에 참여하고 언양의 관청 및 향반사회와의 관계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사회적 위상을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19세기에 들어서는 서원과 향교의 임원을 맡으면서 面任을 거쳐 座首까지 맡기에 이르렀다. 이 과정에서 면의 분할 및 재정 운영 등 공적 영역에서 공론을 적극적으로 이끌어 나가는 역할도 맡았다. 이렇듯 향반으로서 사회적 위상을 확보하는 과정은 문화적으로 자신들의 미덕을 드러내는 행위로 이어졌다. 효자 정려를 받기 위한 50년에 걸친 노력이 이것이다. 이 유교의 실천 행위는 19세기 중반부터 후반까지 이어졌는데 이 사업에는 언양의 유력 향반들도 모두 동원되었다. 효자정려의 추증은 단양 우씨 가문이 사회적 위상을 확보하여 가는 중요한 문화적 전략인데, 대체로 뒤늦게 입향한 향반들의 노력은 매우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이 같은 논의를 통하여 이 연구는 향반사회가 다양한 층위를 가진 부류들과 동질적인 상징권력을 계속 공유하는 방식으로 자신들의 사회적 위상을 확보하고 계속 유지하였음을 밝힐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discern the various stratums and change`s meaning of the local elite in later Choson dynasty. This work is carried out through the old document materials, and focused on the efforts on the family of local elite to attain and maintain the symbolic power as elite. Danyang Woo Family dwells in Bounri Samdongmyeon, and their power is not far over than the another eight group`s representing Unyang elite family. But they are also the member of the local elite society in Unyang. This work interested in the various local elite family in addition to the powerful family composing the local society, and reveals that there are many stratums and meaning of local family in later Choson Dynasty. Danyang Woo Family are located in Unyang Bounri, its appearance is rather later than the eight group``s representing Unyang elite family. It is impossible for this family to attain the official position. In this social condition, Woo family takes a strategy to strength the relationship the local elite and the Office of Unyang to participate into the public rituals. So they can gradually achieve the social position. They takes many position, including public county school of private academy, Myeonim(面任) and Jwasu(overseer, 座首). In this process they takes part to lead the public opinion including the divide of the Myeon(面) and the financial management. As above mentioned, this family does the action culturally to expose the virtue of their family in the process attaining the social position as local elite. This action resulted in the efforts of 50 years to receive the devoted son and Monument House from the government. Its efforts go on to 19c middle and later, and mobilizing all of the powerful elite family in Unyang. To receive the devoted son and Monument House is a kind of Cultural strategy and it is important in attaining the social position, and especially later appeared local elites do their best. In the end, we can find the facts that the local elite of local society shares the symbolic power with many another elites and Woo family is to achieve and maintain their social position in this process.

      • KCI등재

        조선후기 언양 鄕班 가문의 사회 지위 유지와 그 양상 - 삼동면 보은리 丹陽 禹氏 가문의 사례연구 -

        손숙경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5 石堂論叢 Vol.0 No.62

        This study is to discern the various stratums and change's meaning of the local elite in later Choson dynasty. This work is carried out through the old document materials, and focused on the efforts on the family of local elite to attain and maintain the symbolic power as elite. Danyang Woo Family dwells in Bounri Samdongmyeon, and their power is not far over than the another eight group's representing Unyang elite family. But they are also the member of the local elite society in Unyang. This work interested in the various local elite family in addition to the powerful family composing the local society, and reveals that there are many stratums and meaning of local family in later Choson Dynasty. Danyang Woo Family are located in Unyang Bounri, its appearance is rather later than the eight group's representing Unyang elite family. It is impossible for this family to attain the official position. In this social condition, Woo family takes a strategy to strength the relationship the local elite and the Office of Unyang to participate into the public rituals. So they can gradually achieve the social position. They takes many position, including public county school of private academy, Myeonim(面任) and Jwasu (overseer, 座首). In this process they takes part to lead the public opinion including the divide of the Myeon(面) and the financial management. As above mentioned, this family does the action culturally to expose the virtue of their family in the process attaining the social position as local elite. This action resulted in the efforts of 50 years to receive the devoted son and Monument House from the government. Its efforts go on to 19c middle and later, and mobilizing all of the powerful elite family in Unyang. To receive the devoted son and Monument House is a kind of Cultural strategy and it is important in attaining the social position, and especially later appeared local elites do their best. In the end, we can find the facts that the local elite of local society shares the symbolic power with many another elites and Woo family is to achieve and maintain their social position in this process. 이 연구는 조선후기 지방의 어느 가문이 양반이라는 상징권력을 확보하고 유지하는 일련의 노력을 고문서 자료 등을 통하여 밝힘으로써 향반사회의 다양한 층위와 변화의 의미를 포착하는 데 있다. 삼동면 보은리에 거주한 단양 우씨 가문은 통칭 언양의 8대 성씨로 일컫는 언양을 대표하는 가문들보다 위세는 낮았으나 이들과 마찬가지로 언양의 향반 사회를 구성하고 있었다. 이렇듯 이 연구는 향반사회를 끌어가는 유력한 가문들 외에도 향반사회를 구성하는 또 다른 다양한 향반 가문들을 주목함으로써 조선후기 향반 가문의 다양한 층위와 그 의미를 밝히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단양 우씨 가문은 언양을 대표하는 8대 성씨들보다 늦은 18세기 중반에 언양 보은리에 정착하였다. 관직 진출을 사실상 기대할 수 없는 사회 환경 속에서 정착 이후 이 가문은 점차 언양의 공적 의례에 참여하고 언양의 관청 및 향반사회와의 관계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사회적 위상을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19세기에 들어서는 서원과 향교의 임원을 맡으면서 面任을 거쳐 座首까지 맡기에 이르렀다. 이 과정에서 면의 분할 및 재정 운영 등 공적 영역에서 공론을 적극적으로 이끌어 나가는 역할도 맡았다. 이렇듯 향반으로서 사회적 위상을 확보하는 과정은 문화적으로 자신들의 미덕을 드러내는 행위로 이어졌다. 효자 정려를 받기 위한 50년에 걸친 노력이 이것이다. 이 유교의 실천 행위는 19세기 중반부터 후반까지 이어졌는데 이 사업에는 언양의 유력 향반들도 모두 동원되었다. 효자정려의 추증은 단양 우씨 가문이 사회적 위상을 확보하여 가는 중요한 문화적 전략인데, 대체로 뒤늦게 입향한 향반들의 노력은 매우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이 같은 논의를 통하여 이 연구는 향반사회가 다양한 층위를 가진 부류들과 동질적인 상징권력을 계속 공유하는 방식으로 자신들의 사회적 위상을 확보하고 계속 유지하였음을 밝힐 수 있었다.

      • KCI등재

        1920년대 청년운동과 언양지역 가톨릭청년회 결성

        손숙경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9 石堂論叢 Vol.0 No.74

        This research reveals organize of youth association and it’s meaning by focusing on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during colonial era. This research was proceeded by following two subjects. First, The purpose and activities of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Second, Revealing meaning and role of Catholic youth association of that era through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So, This research studied characteristics of Catholic youth association during colonial era by analyzing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in 1920s.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established in 1922, was aimed to help Korean Production and funeral ceremony. The background of fast organizing of Catholic youth association. in Unyang 4 years before establishing of Unyang Catholic was related to many faith community from the start of catholic receving.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reveals a lot of contest that related to manage of Catholic youth association very specifically, such as qualifications of member, excutives and fees. Because Catholic youth association included funeral ceremony as organize purposes, funeral ceremony of Catholic and mission work seems directly related. This corresponds with one of purpose of that time’s Catholic youth association, mission work. Catholic youth association in Unyang specified contents related to funeral specifically in there activites. Korean Production, which is another purpose of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was similar to Korean Production Movement, which was started by the right intellectuals to deal with socialism movement in 1920s. In this view, organizing of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shows not only just the specific truth of Korean Production Movement conducted in Kyung Nam provence, but also shows the specific example of participant of Catholic youth movement in cultural movements of intellectual after 3.1.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not only played central roles in construction of church and activites in church, but also briskly proceeded external activities such as funeral ceremony and Korean Production , which are purposes of youth association. After 3.1, many youth associations were organized and catholic church actively responded to the stream.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was also established as correspondence to that time’s social atmosphere. Therefore Unyang Catholic youth association, organized in 1922, can contribute to revealing 1920s’ youth movements. 이 연구는 식민지기 ‘언양지방 천주공교 청년회’에 주목하여 청년회 조직의 결성과 그 의미를 밝히고 있다. 이 연구는 다음 두 가지 점에 주목하여 이루어졌다. 먼저 ‘언양지방 천주공교 청년회’ 조직의 목적과 활동사항에 대한 것이다. 두 번째는 ‘언양지방 천주공교 청년회’ 조직을 통해 이 시기 가톨릭 청년회의 역할과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920년대 ‘언양지방 천주공교 청년회’를 분석하여 식민지기 가톨릭청년회의 성격을 검토하였다. 1922년에 결성된 ‘언양지방 천주공교 청년회’는 장례와 물산장려가 목적이었다. 언양 본당 설립 4년 전에 주변부 지역인 언양에서 가톨릭 청년회가 비교적 빨리 결성되는 배경에는 천주교 수용초기부터 이어져 온 많은 신앙공동체의 형성과 연관이 있을 것이다. ‘언양지방 천주공교 청년회’는 회원의 자격, 임원, 구성, 회비 등 가톨릭 청년회 운영과 관련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알려준다. 언양의 천주공교 청년회 결성 목적 중 하나로 장례가 포함된 것은 천주교의 장례절차가 전교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이 시기 가톨릭청년회 조직의 목적 중 하나인 선교와도 일치하였다. 언양의 천주공교청년회는 장의와 관련된 내용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활동하였다. ‘언양지방 천주공교 청년회’ 결성의 또 다른 목적인 물산장려는 1920년대 사회주의 운동에 대응하여 전개된 당시 우파 지식인의 대표적 문화운동인 물산장려운동의 흐름과 같이 한다고 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언양지방 천주공교 청년회’의 결성은 경남지역에서 전개된 물산장려운동의 구체적 실상을 말해주는 것을 넘어서 가톨릭 청년운동이 3.1운동 이후 지식인의 문화운동에 조응한 실례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렇듯 ‘언양지방 천주공교 청년회’는 본당 건립 및 교회 내 활동에도 중추적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장례와 물산장려의 청년회 설립 목적에 따라 대외 활동도 활발히 전개해 나갔던 것이다. 3.1운동 이후 많은 청년단체가 결성되는데 이러한 흐름에 천주교회도 적극적으로 대응하였고 언양의 천주공교 청년회도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에 조응하여 결성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1922년 결성된 ‘언양지방천주공교청년회’는 1920년대 청년운동사를 밝히는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雲養金允植의 ‘傳’ 硏究

        연민희(Yeon Min-hee)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3 No.-

        雲養金允植(1835~1922)은 구한말 온건 개화파의 중심인물로 격변하는 정세의 중심에 있었던 인물이다. 운양이 활약하던 시대의 조선은 이전의 어느 시대에도 비교할 수 없는 변혁과 전환의 시기였다. 이때, 운양은 정치 개혁의 시무에 핵심적 역할을 했으며, 문학 활동의 이론과 실제 양면에서 높이 평가되고 후세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의문집으로는雲養集이 있으며, 그가 남긴 대표적인저술로는 일기인 陰晴史와續陰晴史가 있다. 본고는 운양이 저술한 <權兼山傳>, <李元永傳>, <權處士傳>, <金宜煥傳>, <塾師小山先生傳> 등 다섯 편의 전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이 작품의 실상을 분석하여 특징과 의의를 도출하였다. 운양의 전에 등장하는 입전자들은 유협, 악사, 한미한 가문의선비들이다. 운양은 유협인 권겸산을통하여사회의부조리를척결하려는의지를드러냈으며, 악사인 이원영을 통해서는 예술가로서의 고뇌와 재주의 비범함을 찬양하는 기존의 예인전과는 달리 방탕한 삶을 산 자의 표본으로 예인을 선택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또 한 권처사, 김의환, 소산선생을 통해 도덕적 가치를 추구하고, 배운 것을 몸소 실천하는 군자의모습을표현하기도 하였다. 이는당시의사회상을입전자들의삶에 빗대어 묘사하거나, 운양 자신이 지향해야할 삶의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형식면에 있어서는 도입부-행적부-논평부라는 기존의 전통적 전의 양식을 고수함과 동시에 약간의 변화를 주었는데, 이는 입전자의 특성에 따라 다양성을 추구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적절한 대화체 사용은 작품의 생동감과 현장감을 살리거나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동시에 작자의 내면세계를 적절히 드러내는 효과를 내기도 하였다. 때로는 하나의 사건을 가지고 처한 입장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는 인물간의 대비를 통해 인물의 성격과 태도를 매우 선명하게 표현하기도 하였다. Unyang Gim Yunsik(1835~1922) was a central figure of the moderate enlightenment group during the last period of Korean empire who witnessed the drastic social change at that time. In the era when Unyang was playing an active role, Joseon was undergoing a period of transformation incomparable to any previous era. At this time, Unyang played a key role in the political reforms, and he was highly esteemed both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literary activities. For this, he is highly regarded and said to have influenced the posterities. He left several works including Unyangjip, a collection of his works, Eumcheongsa and Sok Eumcheongsa, both of which are his diaries. In this paper, five tales written by Unyang - Gwongyeomsan jeon [A Tale of Gwon Gyeomsan], Yi Wonyeong jeon [A Tale of Yi Wonyeong], Gwoncheosa jeon [A Tale of a Reclusive Scholar Gwon], Gim Uihwan jeon [A Tale of Gim Uihwan], Suksasosan seonsaeng jeon [A Tale of Mr. Suksasosan] - are analyzed to discover their features and significances. The protagonists from Ungyang s tales are from insignificant social class such as wanderers, musicians and reclusive scholars. With such characters like Gwon Gyeomsan, Unyang revealed his intention to root out the absurdity prevailing in the society. With Yi Wonyong, a musician, he described this artist as a libertine unlike the previous tales praising the agony and the extraordinary talent of artists. In addition, he pursued moral values through characters such as the scholar Gwon, Gim Uihwan, and Mr. Sosan and expressed the life of a gentleman who practiced what he learned. This is to portray the social image of the time, or to represent the ideal life that Unyang himself should have aimed for. As for the formation these tales, he adhered to the traditional style with introduction - execution - comment - part and changed it a little, which seems to pursue divers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tagonists. In addition, his colloquial writing style seems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iveliness and sense of presence of those works, to heighten dramatic tension, and to expose the inner thoughts of the author. The personality and attitude of a person are very clearly expressed through the contrast between other characters who are view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in the same event.

      • KCI등재

        雲養 金允植의 記文 硏究

        권진옥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015 한국인물사연구 Vol.24 No.-

        The study investigates literature feature of Unyang(雲養) Kim, Yunshik(金允植)’s kimun(記文). His literature seek the statecraft writing(經世之文) that reject ostentatious and aim at factual events, moreover writes the majestic work(奇偉之文) that involves bizarre flavor. And the canon of classical chinese prose is ancient writings of Dang and Song period(唐宋古文) Kim, Yunshik(金允植)’s kimun(記文) has a total of 49 works. 43 works is about building’s kimun(記文), 6 works is about landscape’s kimun(記文). Throughout his lifetime, he writes kimun(記文) A feature of Kim, Yunshik(金允植)’s kimun(記文) is three value. The first thing is spatial reconstitution through imagination. His kimun(記文) enlarges esthetics experience and awareness of space through the pursuing about superiority world’s excitement and beauty. The second thing is distribution of volume-chapter, letter-phrase(篇章字句) in classical chinese prose rhetoric aspect. In volume-chapter’s aspect, Kim, Yunshik(金允植)’s kimun(記文) gives prominence to a topic by organic connecting the paragraphs. In letter-phrase’s aspect, his kimun(記文) takes account of rhetoric aspect by emphasis change. The third thing is an eccentricity about landscape. Throughout his lifetime, he enjoys landscape sightseeing, has particular interest about Ryu, jongwon(柳宗元)’s landscape essays. On closer scrutiny, most his kimun(記文) is stirred and wrote by especial interest and taste at landscape. Unyangjip(雲養集) achieves lately complete translation, therefore we expect a extensive study about Kim, Yunshik(金允植) in the future.

      • KCI등재

        운양(雲養) 김윤식(金允植)의 면천유배기 한시 일고(一考)

        李東宰 ( Lee Dong-ja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21 漢文古典硏究 Vol.42 No.1

        雲養 金允植은 내우외환에 처한 조선 말기의 사상가이자 정치가, 외교관으로 다양한 활동을 하며 많은 저술과 업적을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에 순응하는 처신 등으로 인해 ‘長樂老’라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그가 남긴 정치·외교사적 위상 못지않게 문학에의 성취에 대한 평가도 우리 문학사를 올바르게 정립하는데 필요하다. 김윤식은 1887년 정권을 잡은 민비와의 갈등으로 면천에 유배되어 9년여를 살았다. 그는 정치적 패배로 인해 면천의 영탑사로 유배형을 당했지만, 유배지 면천에서의 생활은 면천군수를 비롯한 지인들의 경제적 도움과 위문으로 비교적 여유롭게 생활하며 다양한 저술활동을 하였다. 김윤식은 1887년 6월 유배지인 면천에 와서 1894년 2월 강화유수로 부임하기 위해 면천을 떠날 때까지 생활하며 『沔陽行吟集』이라는 시집과 『續陰晴史』라는 일기를 남겼다. 그의 시집인 『沔陽行吟集』에는 243제 419수의 시가 실려 있고, 『續陰晴史』에는 자신의 일상사와 당대의 사회상이 기록되어 있다. 『沔陽行吟集』의 시는 그가 처음으로 겪은 정치적 패배로 인한 상실감이 극대화된 시기로 그의 진솔한 내면의 세계가 드러나 있다. 시의 내용은 유배지인 면천 영탑사 주변의 풍경을 시화하기도 하였지만 주로 지인들과 시주를 일삼으면서도 楚囚者로서의 遣悶과 소회를 시화하였고, 자신의 가정적 처지와 경세관을 실천하고자하는 의지로 인한 갈등을 드러냈으며, 유배가 길어지면서 귀향의 갈망을 드러냈다. Unyang Yun-shik Kim, has left behind many writings and achievements in various activities as a man of thought, politician, and diplomat in the late Joseon Dynasty faced with internal and external troubles, but he was negatively evaluated as ‘Jangrak-ro’ because of his behavior in conforming to reality. However, the evaluation of his achievements in literature as well as his status in the political-diplomatic history he left behind is necessary to correctly establish our history of literature. Kim Yun-shik lived for nine years after exile to Myeongcheon in a conflict with Queen Min, who took power in 1887. Due to his political defeat, he was exile sentenced to Yeongtapsa-temple in Myeongcheon, but the life in the place of exile in Myeongcheon was relatively leisurely with various writing activities for the help and consolation of Myeongcheon county governor and other acquaintances. Kim Yun-shik came to Myeongcheon, the place of exile in June 1887, and lived until he left Myeongcheon in February 1894 to be appointed as Ganghwa Yusu (government post), and he left a collection of poetry called 『Myeonyanghaengeumjip』 and a diary called 『Sokeumcheongsa』. His collection of poetry, 『Myeonyanghaengeumjip』, contains 419 poems in 243 subjects, and in his 『Sokeumcheongsa』, his own daily life history and his contemporary society are recorded. The poems of 『Myeonyanghaengeumjip』 belonged to a period in which his sense of loss due to political defeat for the first time was maximized, revealing his sincere inner world. The contents of the poems also portrayed the landscape around the place of exile, Yeongtapsa-temple at Myeongcheon, but while working mainly with acquaintances with the poems and drinks, he visualized in his poems what he felt when he as an exile saw and heard the people. He revealed the conflict caused by his own family situation and his willingness to practice the view of statesmanship, and as the exile lengthened, his will to return home was reveal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