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u-GIS 국토정보 제공 시스템

        김재철,이규철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9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1 No.1

        The u-GIS national land information providing technology is the technology which maximizes the application of u- GIS data through the national land information platform technique of the next generation web and provides a user with the on-demand national land information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Recently, as the environment emphasizing the web as a platform 'Web 2.0' emerges, the where 2.0 which is paradigm is diffused in the spatial information area. And the Geo-spatial Web technology develops in a center. Moreover, it is changed to the open platform of the user participation trend. And the consumer of the geo-spatial information is changed to the end-user center from the public institution. The geo-spatial technique is technologically faced with the new challeng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technical tendency about a paradigm, And we present the u-GIS national land information platform technique, the u-GIS national land information visualization technology, the u-GIS national land information GeoDRM integrative technique, and the u-GIS national land information mobile application technology as the essential elemental technology for overcoming this. u-GIS 국토정보 제공 기술은 차세대 웹 기반의 국토정보 플랫폼 기술을 통해서 u-GIS 데이터의 활용을 극대화하고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맞춤형 국토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다. 최근 플랫폼으로서의 웹을 강조하는 ‘Web 2.0’ 환경이 대두됨에 따라서 공간정보 영역에서는 Where 2.0이라는 패러다임이 확산되고 있으며, 그 중심에서 Geo-spatial Web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 참여 기반의 개방형 플랫폼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지리공간정보의 수요자도 공공기관에서 일반 개인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변화 속에서 기존의 GIS 기술분야는 기술적으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술적 수요와 패러다임에 대한 기술적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핵심적 요소기술로 u-GIS 국토정보 플랫폼 기술, u-GIS 국토정보 시각화 기술, u-GIS 국토정보 GeoDRM (Geo-spatial Digital Right Management) 및 통합 기술, u-GIS 국토정보 모바일 응용 기술을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3D GIS의 지방자치단체 활용을 위한 기초 연구

        최봉문,임영택 한국콘텐츠학회 200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6 No.11

        By the rapid progress of U-IT(Ubiquitous Information Technology), a variety of national development policies have been devised on the basis of the utilization of the technology. Above all things, a number of local governments are driving to construct a 3D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that is as a infrastructure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which is including a u-City construction as a future city model, the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of local governments, a reasonable means of urban management, etc.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the fundamental direction of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3D GIS in local governments. As the result of study, we suggested the advanced vision of 3D GIS has a role of treating the public affairs of local governments and of supporting the various private business scope. 최근 유비쿼터스 정보기술(U-IT : Ubiquitous Information Technology)이 급격히 발전하고 있으며, 국가정책에 있어서도 이를 기반 한 국가 발전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도 이러한 국가정책 기조에 부응하며, 합리적인 도시 관리, 미래적 도시모델로써의 u-City 건설, 지자체 경쟁력 강화의 필요성 등 현실 여건변화에 따른 지역의 자립적 발전 기반으로써 3D GIS의 개발 및 활용을 구체화하고 있다.이에 본 연구는 일정 정도 기반이 갖춰진 3D GIS DB, SW, HW 등의 기술적 부분 보다는 전체 지자체 차원의 업무에서 지자체 3D GIS가 추구해야할 활용 방향 등 본질적 측면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현실 변화에 있어서의 지방자치단체 3D GIS의 역할을 정립하고, 선행연구의 3D GIS 활용성을 검토하여, 현실 여건변화를 수용하고 전체 지자체 차원의 업무에 활용이 가능한 종합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지방자치단체 3D GIS의 구축 및 활용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BIM/GIS 기반 u-City 해외진출 전략 연구

        나준엽,이우식,홍창희,황정래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0 No.6

        u-City is next generation city which can innovate functions of city. It can realize increase of convenience, improvement of life quality and safety guarantee by convergenc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ubiquitous service with urban space. Market of u-City is in range of rapid growth and u-City can make enormous synergy effects by accompanying construction technologies with spatial information, sensor technologies, communications network and related equipment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omestic/abroad status, researches and element technologies involved in u-City. And, we suggested overseas expansion strategy of u-City such as selection and analysis of target nations, packaging method of u-City service models and application of BIM/GIS connection technologies in terms of u-City construction and operation. u-City는 첨단 IT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를 도시 공간에 융합하여 생활의 편의 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계적 도시 관리에 의한 안전 보장 등 도시의 제반 기능을 혁신시키는 차세대 도시이다. 현재 u-City 시장규모는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이를 한국만의 새로운 브랜드화하여 추진할 경우 건설기술과 더불어 공간정보기술, 센서기술, 통신망 구축, 관련 장비산업 등을 복합하여 동반 진출함으로써 막대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City 구축․운영기술 및 관련 서비스, BIM/GIS 연계 활용 등의 측면에서 u-City 건설사업의 해외 진출 활성화를 위해 u-City와 관련된 국내외 시장 및 연구, 요소기술을 분석하고 진출 대상국의 선정 및 유형 분석, u-City 서비스의 패키지화 방안, BIM/GIS 연계 기술의 활용 등 u-City 해외진출 전략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모바일 시공간 질의을 위한 데이타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이기영,임명재,김정준,김규호,김정래,Lee, Ki-Young,Lim, Myung-Jae,Kim, Joung-Joon,Kim, Kyu-Ho,Kim, Jeong-Lae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1 No.1

        최근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이 발전함에 따라 교통(u-Transport), 복지(u-Care), 문화(u-Fun), 환경(u-Green), 산업(u-Business), 행정(u-Government), 도시(u-City)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위치와 다양한 공간 정보를 제공하는 u-GIS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의 핵심 요소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장치에서 시공간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처리 및 관리할 수 있는 모바일 시공간 질의 처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모바일 시공간 질의 처리 시스템은 OpenGIS "Simple Features Specification for SQL"에서 명시하는 공간 데이타 타입과 공간 연산자를 확장하여 시공간 데이타 타입과 시공간 연산자를 제공하고 시공간 데이타 특성을 고려한 산술 연산 코딩 압축 기법을 제공하고 모바일 시공간 질의 처리 시스템과 u-GIS 서버 사이에서 시공간 데이타 수입/수출의 성능 향상을 위한 데이타 캐슁 기능을 지원한다. Recentl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ubiquitous computing, the u-GIS which not only used in u-Transport, u-Care, u-Fun, u-Green, u-Business, u-Government, and u-City but also used to provides various spatial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of user is being the core technology of th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n mobile spatio-temporal Query Processing Systems for handling the Spatio-Temporal Data in mobile equipment.The mobile spatio-temporal Query Processing Systems provides the spatio-temporal data type and the spatio-temporal operator that is expanded by the spatial data type and the spatial operator from OepenGIS "Simple Feature Specification for SQL". It supports arithmetic coding compression techniques that is considered with a spatio-temporal data specific character. It also provides the function of data cashing for improving the importation and exportation of the spatio-temporal data between a embedded spatio-temporal DBMS and u-GIS server.

      • KCI등재

        모바일 환경을 위한 GML 기반 시공간 질의 처리 시스템

        김정준,신인수,원승호,이기영,한기준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0 No.3

        Recently, with increase and development of the wireless access network area, u-GIS Service is supported in various fields. Especially, spatio-temporal data is used in the mobile environment for the u-GIS service. However, there is no standard for the spatio-temporal data used in different spaces, spatio-temporal data processing technology is necessary to makes interoperability among mobile u-GIS services. Furthermore,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the system of gathering, storing, and managing the spatio-temporal data in consideration of small capacity and low performance of mobile devic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spatio-temporal query processing system based on GML to manage spatio-temporal data efficiently in the mobile environment. The spatio-temporal query processing system based on GML can offer a structured storage method which maps a GML schema to a storage table and a binary XML storage method which uses the Fast Infoset technique, so as to support interoperability that is an important feature of GML and increase storage efficiency. we can also provide spatio-temporal operators for rapid query processing of spatio-temporal data of GML documents. In addition, we proved that this system can be utilized for the u-GIS service to implement a virtual scenario. 최근 무선 액세스 망의 범위가 증가하고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u-GIS 서비스가 지원되고 있으며, 특히 모바일 환경에서의 u-GIS 서비스를 위해 시공간 데이터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환경에서 활용되는 시공간 데이터에 대한 표준이 없으므로 서로 다른 시공간 데이터를 사용하는 모바일 u-GIS 서비스 간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효율적인 시공간 데이터 처리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모바일 장치의 저용량과 낮은 성능을 고려한 시공간 데이터의 수집, 저장, 관리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시공간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GML 기반의 질의 처리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GML 기반 시공간 질의 처리 시스템은 GML 문서의 특성인 상호운용성을 유지하고 저장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GML 스키마와 저장 테이블을 매핑하는 구조형 저장 방식과 Fast Infoset 기법을 이용한 바이너리 XML 저장 방식을 제공한다. 그리고 저장된 GML 문서의 시공간 데이터에 대한 신속한 질의 처리를 위하여 시공간 연산자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개발한 시스템을 가상 시나리오에 적용하여 본 시스템이 u-GIS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Data Source Management using weight table in u-GIS DSMS

        Kim, Sang-Ki,Baek, Sung-Ha,Lee, Dong-Wook,Chung, Warn-Il,Kim, Gyoung-Bae,Bae, Hae-Young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2009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1 No.2

        The emergences of GeoSensor and researches about GIS have promoted many researches of u-GIS. The disaster application coupled in the u-GIS can apply to monitor accident area and to prevent spread of accident. The application needs the u-GIS DSMS technique to acquire, to process GeoSensor data and to integrate them with GIS data. The u-GIS DSMS must process big and large-volume data stream such as spatial data and multimedia data. Due to the feature of the data stream, in u-GIS DSMS, query processing can be delayed. Moreover, as increasing the input rate of data in the area generating events, the network traffic is increased.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paper we describe TRIGGER ACTION clause in CQ on the u-GIS DSMS environment and proposes data source management. Data source weight table controls GES information and incoming data rate. It controls incoming data rate as increasing weight at GES of disaster area. Consequently, it can contribute query processing rate and accuracy

      • KCI등재후보

        U-City 추진현황과 발전전략

        문태헌,이상호,임윤택 한국국토정보공사 2009 지적과 국토정보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verview the situation of U-City development and suggest the U-City strategies in the future. For this end, firstly, the concept of U-City was redefined reviewing the results of other researches and the changing situation of national U-City project. Then the U-City evelopment trend of foreign countries was investigated, which revealed that Korean U-City is only the case that is deploying throughout whole the city area as a nation-wide projet. Next, in the situation of U-City project which is being initiated by central government, law of the U-City development, the background and implications of turning from U-City to U-Eco City, U-City R&D projects were represented. Finally, for the setting the right direction of U-City development, seven issues concerning U-City development were raised and examined. Seven issues included the difference between U-City and informatization project, U-City control & management center, the concept of U-City convergence, U-City standardization, U-City service standard and road map, demand, U-GIS. As conclusion, the discussion her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 Korean U-City model to be referenced and exported to the foreign countries. 본 연구의 목적은 U-City사업의 추진현황을 분석하고, 바람직한 U-City 개발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타 연구결과와 U-City국가사업의 추진상황을 반영하여 U-City의 개념을 재정립하였다. 다음으로 우리나라와 세계의 U-City 개발과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처럼 국가적 차원에서 U-City 개발을 추진하고 U-City 적용범위가 도시 전체로 확대되는 경우도 우리나라가 유일하여 향후 한국형 U-City개발이 세계적인 표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우리나라의 구체적인 U-City 추진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정부의 U-City 추진 현황, 법률제정, U-City에서 U-Eco City로의 전환배경과 의미, U-City R&D사업의 현황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U-City와 관련된 주요한 이슈로서 U-City의 정보화사업과의 차별성, U-City 통합정보센터, 융합, U-City 표준화, U-City 서비스와 로드맵, U-City 그리고 U-GIS의 발전방향 등 7가지의 이슈에 대한 논의를 통해 바람직한 향후 U-City사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U-City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과 이슈의 분석을 통해 U-City의 미래 발전방향을 정립함으로써 우리나라가 국가적인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U-City의 세계적 모델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KCI등재

        Utilizing Spatial-data to Provide for U-Service Based on U-GIS

        이석호,이지영,김형복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7 No.4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city’s paradigm, the demand on u-City increases rapidly. u-City has been built at 54 areas in Korea (as of May 2009). One of the important determinants of success or failure in the increasing of u-City is how to provide u-Services. Most current u-Services are Sensor Network-based monitoring services to manage urban infrastructure. u-GIS is one of fundamental requirements to implement ‘any time and any where’ u-Service which covers the essential meaningful term “ubiquitous”. Hence, in this paper, we 1) describe the definition of the spatial awareness, 2) discuss how to converge (Spatial Embedding) among different spatial data : topographic spatial data, sensor spatial data, and more, 3) bring forth an advanced form of u-Service, 4) analyze the state-of-the-art u-GIS techniques.

      • 중장기 국가GIS 활용도 제고방안: GIS활용체계사업을 중심으로

        김정훈,Kim, Jung-Hoon 한국공간정보학회 2007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5 No.3

        제1, 2차 국가GIS사업이 완료되고 제3차 국가GIS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시점에 국가GIS사업의 활용도는 여전히 낮은 실정이다. 1, 2차 국가GIS사업으로 국토공간정보기반이 갖추어졌기 때문에 향후 GIS의 활용도는 지금보다는 훨씬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유비쿼터스 시대를 맞아 GIS에 대한 국가적인 수요의 대폭적인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기 구축된 국가GIS사업의 활용분야가 보다 넓어질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추진해 온 국가GIS사업 중에 우리나라에서만 독특한 형태로 수행되고 있는 GIS활용체계사업에 중점을 두고 그 추진과정 및 실적을 평가하였다. 특히 이를 위해 행정업무에 실제 활용하는 지자체의 GIS 활용실태를 심층 조사하고 지자체 및 국가차원에서 GIS활용을 제고하는데 장애요인을 분석해 그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는 향후 수행될 제3차 국가GIS기본계획 수정계획 및 제4차 국가GIS기본계획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Even on the point that the 3rd National GIS project is being executed following the completion of the 1st and 2nd, the National GIS utilization is still very low. It is well reasonable to anticipate that the utilization will grow much higher, as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had been almost equipped through the 1st and 2nd project periods. Facing the ubiquitous era, in particular, as the national-level GIS demand is to increase to a great extent, pre-established GIS application scope will become much wider, too. In preparation for these,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the National GIS utilization system by reviewing on the execution procedures to evaluate the outcomes. For the actual administration procedures, to note, the National GIS utilization statuses by local municipalities were investigated in depth. And the barriers for the National GIS utilization enhancement were analyzed to look for feasible solutions. The results suggested were aimed to contribute to the amendment of the 3rd Master Plan, and to be used as part of th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4th Master Plan for the National GIS.

      • u-GIS 환경에서 플랫폼 독립을 지원하는 플렉스 기반 모바일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조숙경,김성희,김종훈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9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1 No.1

        In u-GIS environments, a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mobile phone is consumer(user) oriented service system based on existing GIS and LBS considering characteristic of mobile phone. In the past, development of a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mobile phone dependent on various hardware specification of mobile phones and mobile operators. From now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mobile phone independents on hardware specification of mobile phones and mobile operators. Also, it changes from service oriented GIS provider(specialist) to service oriented consumer. For the satisfaction of this requirement, we propose a design of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mobile phone using FLEX for creates standard execution file. The standard execution file is able to apply various mobile phone. And we propose a management method of picture contents combin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that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mobile phone is provided it firstly. In this system, it provides facilities that display map, manage location, manage contents, manage mash-up, manage map data. And then it provide facility of swf generation for display result map on mobile phone. In this paper, we are implemented the proposed system and seen same results in various mobile phone. The created *.swf file provides same result at any time, anywhere, anyone in spite of different zoom level and different display screen. u-GIS 환경에서의 모바일 단말기를 위한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기존의 GIS, LBS 기반의 모바일 단말 특성을 고려한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시스템이다. 모바일 단말의 다양한 기종과 통신사에 따른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다양한 버전 개발과 GIS 전문가 중심의 서비스 시스템 개발에서 단말기와 통신사에 종속되지 않는 일반 사용자 중심의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 요구 사항이 변경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본 논문은 다양한 모바일 단말에 모두 적용 가능한 표준적인 실행 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플렉스 기반의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하며, 사용자 중심의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위치 정보와 연계한 사진 컨텐츠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지도 표출에 관련된 기능, 위치 관리 기능, 컨텐츠 관리 기능, 매시업 관리 기능, 데이터 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결과물을 모바일 단말기에서 표출하기 위해 swf 파일을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구현을 통해 각각 다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동일한 결과를 표출함을 증명하였다. 생성된 실행 파일은 다른 사양을 가진 모바일 단말기에서 확대 배율과 디스플레이 화면에 따른 동일한 이미지 지도를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도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는 장점을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