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건설데이터와 GIS데이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IFC와 CityGML 간의 연관성 분석 연구
황정래,강태욱,홍창희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0 No.5
Recently,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attempted to link or integrate BIM and GIS. In particular, some of the researches were progressed to convert the data model between the BIM standard model IFC and the GIS standard model CityGML. However, it is hard to utilize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yet because characteristics and domains of between two data models are very different, In order to obtain the correlation between BIM and GIS,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between IFC and CityGML objects of each LOD, And, we analyzed the correlation of IFC and CityGML by performing mapping between IFC and CityGML objects from view point of building with these characteristics. In this research, based on thes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we proposed the efficient interrelation plan between IFC and CityGML.
황정래,김태훈,최현상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0 No.4
최근에 공간정보 활용분야 확대와 스마트폰 확산에 따라 모바일 공간정보 서비스의 시장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위치기반서비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의 공간정보 서비스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공간정보기술 개발의 잠재력은 보유하고 있으나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다양한 공간정보 서비스 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모바일 기반에서의 공간정보 활용 및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모바일 앱/웹 현황 조사와 모바일 공간정보 관련 전문가 수요조사 및 분석을 통해 모바일 공간정보 활성화를 위한 정부차원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시공간 유사성을 이용한 도로 네트워크 상의 유사한 궤적 검색
황정래,강혜영,이기준,Hwang Jung-Rae,Kang Hye-Young,Li Ki-Joune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3 No.3
이동 객체들의 행동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그 이동 객체 궤적들 간의 유사성 측정을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록 유클리디언 공간 상에서 이동 객체들의 유사한 궤적들을 검색하는 몇몇 연구가 있었지만, 도로 네트워크 공간 상에서 이동 객체들의 궤적에 대한 유사성 연구는 거의 관심을 끌지 못 했다. 실제 응용에서, 대부분의 이동 객체들은 유클리디언 공간보다 도로 네트워크 공간 상에 존재한다. 그러나 궤적들 간의 유사성 측정에서, 기존의 방법들은 유클리디언 거리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오직 공간적 유사성만을 고려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도로네트워크 상에서 POI와 TOI를 기반으로 유사성 측정을 정의한다.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우리는 궤적들 간의 시공간 유사성을 사용하여 유사한 궤적을 검색하는 방법들을 제시한다. 그리고 유사한 궤적들에 대하여 클러스터링을 수행한 결과를 보인다. 실험 결과는 각 방법에 의해 검색된 유사한 궤적들과 그 검색된 궤적 결과들이 각 방법 간에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보인다. In order to analyze the behavior of moving objects, a measure for determining the similarity of trajectories needs to be defined. Althoug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hat retrieved similar trajectories of moving objects in Euclidean space,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moving objects in the space defined by road networks. In terms of real applications, most moving objects are located in road network space rather than in Euclidean space. In similarity measure between trajectories, however, previous methods were based on Euclidean distance and only considered spatial similarity. In this paper, we define similarity measure based on POI and TOI in road network space. With this definition, we present methods to retrieve similar trajectories using spatio-temporal similarity between trajectories. We show clustering results for similar trajectori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similar trajectories searched by each method and consistency rate between each method for the searched trajectories.
BIM과 GIS의 효율적인 상호운용을 위한 플랫폼 설계에 관한 연구
황정래,강혜영,홍창희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0 No.6
Recently,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attempted to connect or integrate BIM handling construction data and GIS handling spatial data. However, it is hard to interoperate by integration between two data models because characteristics and domains of data models between BIM and GIS are very different. In this research, we propose the platform to secure efficient interoperability between BIM and GIS and define the component technologies and functions of the platform proposed in this research by analyzing the existing commercial softwares.
U-city/BIM System구축시 USN고도화를 위한 상수도배관용 자기유체발전 기술개발
황정래,이현동,오윤석,곽필재,김지은 대한상하수도학회 2012 상하수도학회지 Vol.26 No.4
Due to the importance of energy-saving and CO2 reduction is being emphasized in the world, efforts to find a solution for the problems is increasing rapidly. In particular, the renewable energy is on understanding as a breakthrough for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and the economic development, so it is intensively fostered as future industries. Developed countries are already pursuing policy and technology development related with renewable energy. In this paper, we will develop MHD(Magneto Hydro Dynamics) technology to supply the commercial power that can is targeted at water pipe related with hydro power among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Kinetic energy of fluid flowing in the water pipe is converted into electric power. It allows stable power supply to the various sensors and devices on water pipe. We have performed several experiments to verify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e developed technologies and present the result and a method of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technologies.
황정래,강혜영,이기준,Hwang, Jung-Rae,Kang, Hye-Young,Li, Ki-Joune 한국공간정보학회 2007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9 No.3
도로 네트워크 상의 이동 객체 궤적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그것의 표현이 명확하게 정의되어야 한다. 도로 네트워크 상의 이동 객체 궤적을 표현하는 기존의 대부분의 방법들은 이동 객체 궤적을 그 궤적이 통과한 위치와 시간의 집합으로 복잡하게 표현한다. 이것은 이동 객체 궤적의 검색 등과 같은 분석을 처리할 시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도로 네트워크 상의 관심 있는 지점(POI: Points of Interest)들에 초점을 두어 도로 네트워크 상의 이동 객체 궤적을 효율적으로 간략화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도로 네트워크 상의 이동 객체 궤적이 통과한 POI의 수를 줄임으로써 궤적을 간략화 하며, 궤적이 간략화 된 후에도 그 궤적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한다. In order to analyze moving object trajectories on road networks, its representation needs to be defined correctly. The most previous methods representing moving object trajectories on road networks defined moving object trajectories as a set of passed location and its time. It is required much time in processing analysis such as retrieval for moving object trajectories. In this paper, we focus on POI(Points of Interest) on road networks and propose methods simplifying moving object trajectories based on it. Our method simplifies moving object trajectories by reducing the number of POIs that moving object trajectories passed and maintains its form after moving object trajectories were simplified.
황정래,김태훈,최현상,Hwang, Jung-Rae,Kim, Tae-Hoon,Choi, Hyun-Sa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4
Recently, market of mobil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is increasing along with enlargement of geo-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area and spread of smartphone. In particular, smartphone users look forward to utilizing spatial information service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Korea has the potential for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 but does not have enough governmental support to develop various spatial information service in mobile network environment. Hence, it is need to make governmental support plans for utilizing mobile services and promoting the related industry base on mobile spatial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governmental action plans for utilizing mobile services and promoting the related industry by surveying mobile application/web services and analyzing demands of mobile spatial information expe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