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행형 소아 척추 기형에 사용한 이중 성장형 금속봉의 결과

        김형복,정현수,문은수,이환모,문성환,박진오,양재호,김학선 대한척추외과학회 2013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0 No.1

        Study Design: A p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report the results of new designed dual growing rods system for progressive pediatric spinal deformit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current expandable spinal implant system appears effective in controlling progressive pediatric spinal deformity, allowing for spinal growth. However, there was no report concerning the growing rod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2010 and 2011, seven pediatric patients, who had a minimum of 1year follow-up, had undergone surgery for spinal deformity correction with a dual growing rods technique. We analyzed the demographic and radiologic data, including height, weight, age at surgery, diagnosis, number of lengthening, Cobb’s angle of the major curve, thoracic kyphosis angle, lumbar lordosis angle, T1-S1 length, instrumented segment length, and complications, from the preoperative period to the last follow up period. Results: Four male and three female patients with 5 neuromuscular scoliosis, 1 idiopathic juvenile osteoporosis and 1 spondyloepiphyseal dysplasia had underwent corrective surgery with dual growing rods. The mean age at the initial surgery was 11.6 years (7-13.8).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19.3 months (12-24), and the mean lengthening procedure time was 2.8 (2-4) for every patient. Cobb’s angle of scoliosis curve was corrected from preoperative 80.2°(55-136) to 37.6° (15-81) on the last follow-up. Thoracic kyphosis angle and lumbar lordosis angle were changed from preoperative 48.7°(12-101) and 38.3°(9-72) to 44.5°(12-75) and 18.8°(1-46) on the last follow-up, respectively. Growth length during the follow-up period was measured as instrumented segment is 46 mm (33-59) and T1-S1 segment is 82 mm (66-98). Complications, such as breakage of rod in 3 cases and soft tissue infection in 1 case, occurr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Conclusions: New designed dual growing rods system for pediatric patients with progressive spinal deformity is an effective and relatively safe method because of adequate correction and acceptable rate of complications. 연구 계획: 전향적 연구목적: 새로이 개발된 이중 성장형 금속봉을 이용한 진행형 소아 척추 기형 환자의 교정에 대해 수술적 치료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통하여 그 유용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성장형 금속봉은 비교적 어린 나이에 발생하여 급격히 진행하는 소아 척추 기형에 대한 치료법으로 최근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유용성과 합병증이 세계적으로 널리 보고 되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는 보고가 없다. 연구 대상 및 방법: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소아 척추 기형에 대하여 성장형 금속봉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중에서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신장, 체중, 최초 수술 시의 나이, 진단, 금속봉의 연장 횟수, 흉추 1번 - 천추 1번의 길이 변화, 고정한 부위의 성장형 금속봉 연장 길이, 측만증 환자의 경우 주만곡의 Cobb 각 변화, 전만각과 후만각의 변화, 합병증 등에 대해 평가 하였다. 결과: 남자가 4명, 여자가 3명이었으며, 최초 수술 시 평균 연령은 11.6세(7-13.9)였고, 신경근육병성 측만증이 5례, 특발성 연소기 골다공증 1례, 척추 골단 이형성 1례가 있었다. 평균 금속봉 연장 횟수는 2.8회(2-4)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평균 19.3개월(12-24)이였고, 최초 수술 전 주만곡의 Cobb 각의 평균은 80.2°(55-136)였으며 최종 추시 주만곡의 Cobb 각은 37.6°(15-81)였다. 최초 수술 전의 전만각과 후만각의 평균은 각각 48.7°(12-101),38.3°(9-72) 였으며 최종 추시시 평균은 각각 44.5°(12-75), 18.8°(1-46)였다. 연장 기간 동안의 성장형 금속봉은 평균 46mm(33-59) 연장되었으며, 흉추 1번-천추1번의 길이는 평균 82mm(66-98) 연장 되었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금속봉의 파손 3례와 연부 조직 감염 1례가 있었다. 결론: 새로이 개발된 이중 성장형 금속봉을 사용한 모든 환자에서 기형의 호전, 척추의 성장이 확인되었으며, 다른 연구 보고와 비슷한 합병증을 보였다. 따라서 이중 성장형 금속봉은 진행성 소아 척추 기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치료법이라 생각된다. 색인 단어: 척추 기형, 측만증, 성장형 금속봉약칭 제목: 이중 성장형 금속봉 치료의 결과

      • 위안화 변동이 대 중국 무역에 미치는 영향

        김형복,이경구 대한경영학회 2012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2 No.2

        환율은 개방 경제 조건하에서 거시경제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경제운행의 중요한 도구이다. 환율과 직접적 관계가 있는 것은 경상수지와 자본수지이다. 환율 변동은 수출, 수입, 외국인 자본의 이동, 물가수준, 실업률 등 국가경제의 전반적인 면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의 실질실효환율이 한?중 무역에서 수출가격과 수입가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중국의 위안화 환율의 급변 가능성에 대응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의 실효환율이 한ㆍ중 무역에서 수출가격과 수입가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중국의 위안화 환율의 급변 가능성에 대응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수출가격과 수입가격은 각 품목별 수출ㆍ수입금액에 각 품목별 수출?수입 중량을 나누어 계산하였다. 종속변수로는 중국의 대 한국 수출가격 및 수입가격을 사용하였다. 산업별로 분석하기 위하여 전체 산업, 1차 산업, 경공업 및 중화학공업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중국 위안화의 실질실효환율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기간은 1994년 1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사용하였으며 각 변수들은 자연로그값을 취하여 사용하였다. 벡터오차수정모형 분석결과를 보면 단기관계균형식의 추정결과로부터 두 가지 중요한 의미를 알 수 있다. 첫째, 장기균형으로부터 이탈이 발생하는 경우 어떤 변수를 통해서 조정되는가이다. 실질실효환율에서 수출입 가격을 통해서 조정이 일어나는 경우는 중화학공의 수출이 유일하다. 즉, 중화학공업의 경우 장기균형으로부터의 이탈은 수출가격을 모두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발생한다. 둘째, 중화학공업의 수출을 제외한 모든 산업의 수출입의 경우에 장기균형으로부터의 이탈은 모두 실질실효환율을 통해서 조정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조정의 방향이 중요한데 모두 정(+)의 방향으로 조정이 이루어진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위안화가 고정환율인 상황에서 장기균형으로부터 이탈이 발생하면 모두 소비자물가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 교육 능력 검정 시험 문항 분석 연구 -‘읽기’ 영역 기출 문제를 중심으로-

        김형복,김문기 우리말학회 2016 우리말연구 Vol.45 No.-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 교원 자격 취득을 위해 실시한 ‘한국어 교 육 능력 검정 시험’의 ‘읽기’ 영역 출제 지침을 살펴보고, 기출 문제를 분 석하여 바람직한 출제의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분석의 결과, 첫째, ‘읽기’ 영역의 기출 문제들 중 단편적인 이론적 지식을 확인하는 문항의 비율이 높았다. 둘째, ‘읽기’ 영역의 기출 문제가 특정 평가 항목에 편중되어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읽기’ 영역의 기출 문제들이 ‘한국어 읽기 교육’ 의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국어 읽기 교육’의 것들을 그대로 답습하 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읽기’ 영역 시험 출 제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해 보았다. 첫째, ‘읽기’ 영역의 문제는 교 육 현장에서 요구되는 실제적 문항, 그리고 읽기 교수?학습 상황을 구체적 으로 전개할 수 있는가를 확인하는 문항에 출제 비중을 높여야 한다. 둘 째, 한국어 교사가 ‘읽기’ 관련 교수?학습 내용을 두루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읽기’ 평가 항목에 제시된 다양한 분야들을 출제해야 한다. 셋째, 국어 읽기 교육과 차별화된 한국어 읽기 교육에 대한 평가 내용(교수?학 습 내용)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한국어 교사의 읽기 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문항도 출제되어야 한다.

      • KCI등재

        한국어 문법 ‘-게 하다’와 ‘-도록 하다’의 교수ㆍ학습 방안 연구

        김형복,김문기 우리말학회 2011 우리말연구 Vol.29 No.-

        이 글에서는 ‘-게 하다‘와 ‘-도록 하다‘가 그 의미 기능이 겹치는 문법 항목이라는 점에서, 이들의 문법적 특성과 교수·학습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게 하다‘와 ‘-도록 하다‘의 공통 의미를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동문의 성립 조건, 종결 어미의 차이, 조사의 교체, ‘-게‘와 ‘-도록‘ 의 의미적 차이 등을 중심으로 이들의 교체 여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문법적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게 하다‘와 ‘-도록 하다‘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살펴보았다. 먼저 기존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게 하다‘와 ‘-도록 하다‘의 의미 기능을 분석하고, 서로 유사한 의미 기능을 연관 지어 교수·학 습하고 있는지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그 교수· 학습 내용을 위계화해야 하며, 유사한 의미의 형태로서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강조하여 해당 문법 항목의 특성과 규칙을 명시적으로 제시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러한 사항들을 학습자들이 발견 학습을 통해 스스로 도출할 것 등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