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행사 !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

        김형철 ( Kim Hyeung-chul ) (사)한국마이스관광학회 2021 MICE관광연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ravel agencies and how they will survive. In-depth interviews of 10 travel experts were conducted by asking questions about the present and future situation of travel agencies. The 10 travel experts selected for the survey have more than 15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August 2020 to November 2020. In conclusion, first, it is necessary to change and innovate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such as platform linkage and system automation. Second, travel should be made safe, starting with domestic travel. Third, overseas travel should be activated as a priority for countries that have successful quarantine measures. Fourth, new products should be created based on value travel, rare travel, themed travel, and travel centered on hygiene and quarantine. Lastly, it is necessary to build domestic travel product contents that can impress regular customers.

      • KCI등재

        통행시간 신뢰성 가치에 관한 연구

        조한선 한국도로학회 2013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5 No.4

        PURPOSES : Benefits for improvement of travel time reliability obtained from construction of new highways should be considered as a major factor in the feasibility study for highway constru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 of estimation for t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METHODS : Highway type (urban/rural highway) and traffic flow type(interrupted/uninterrupted) was considered to estimate 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And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amo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was applied to survey the willingness-to-pay of drivers when travel time reliability is improved. Finally t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was estimated using the results of survey and logit model.T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was estimated considering travel objectives, time constraint travel and non-time constraint travel. RESULTS: T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of business trip is higher than that of non-business trip. T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of time constraint travel is higher than that of non-time constraint travel. T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in urban area is higher than that in rural area. CONCLUSIONS: It was concluded that the proposed method in this study is more realistic and proper to estimate t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because it reflects the situations of time constraint travel and non-time constraint travel.

      • KCI등재

        여행의 의미와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

        임경순 한국국어교육학회 2008 새국어교육 Vol.0 No.79

        This thesis is study to draw out the meaning of travel and the direction of travel literature education. Human is traveler who dream and dare travel since the dawn of history. Travel experience is very significant to everyday life, so almost every learned person has been writing account of travels after taking a trip. Travel literature has very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contains human experience, language and development of human. Thus travel literature and education of travel literature are very important. But we could not satisfied with it. Travel literature about Mt. Geumgang in 19C give these implications ; fertile imaginary ability, emotional ability, self reflection ability, dialogical ability, critical ability etc. This thesis examined the direction of travel literature education in motivation of travel, experience, figuration and refiguration of travel. First, about motivation or object of travel. we need to make learners have awareness why travel. Learners must consider various motivation to escape modern mechanism as well as leisure or information dimension. Second, it is problem that we make learner to experience what. Learners must seek existent genuineness(authenticity) of travel experience. Third, it is problem how to configure travel experience. Learners must pass over attitude to approach in skill dimension. Fourth, it is problem of reconfiguration. This is not limited in analyzing on constituent of travel literature. It means that reader realizes meaning of work and find meaning of life. 인간은 유사 이래 여행을 꿈꾸고 감행해 온 여행자이다. 여행은 새로운 경험과 관련되고, 경험을 형상화하고자 하는 욕망은 기행문학을 낳았다. 기행 문학에 대한 연구는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지긴 했지만 활발하지 못한 편이다. 더구나 문학교육적 차원에서의 연구는 매우 일천한 편이다. 모든 사람들이 여행을 갈망하고 있고, 그것을 형상화하는 일이 매우 보편적이며, 언어, 경험, 성장을 화두로 삼고 있는 문학교육의 본질에 비추어 보면 여행문학 교육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글은 본격적인 근대화 이전에 창작된 금강산 관련 기행문 몇 작품을 살펴보고, 오늘날 여행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반추해 보고, 문학교육적 차원에서 시사점과 방향을 찾고자 했다. 여행은 얄팍한 심미성에 빠지거나 특정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거나, 무비판적 답사 차원을 넘어서서 풍부한 감성적 능력, 자유로운 상상적 사유 능력, 반성과 대화적 사유 능력의 고양에 있음을 시사받을 수 있었다. 기행문학 교육의 현실을 보면 기행문학이 다루어진 비중, 학습 목표, 내용 등이 기행문학교육의 본질로부터 벗어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 설정을 분명히 하고 그것을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이 글에서는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을 여행의 동기, 경험, 그것의 형상화(생산)와 재형상화(수용)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즉 여행의 동기나 목적에 대하여 숙고하도록 하고, 실존적 진정성(authenticity)을 추구하고 능동적이고 생산적인 여행이 되도록 해야 하며, 글쓰기를 기술 차원에서 접근하는 태도를 넘어서 대상과의 상호 교감과 대화를 확보하고, 대상을 깊이 있게 통찰하는 시간과 그것을 형상화하도록 하며, 기행문학의 수용은 독자가 작품의 뜻을 풀어 삶의 뜻을 찾아 가는 작업이 되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여행을 많이 할수록 사람들은 더 행복감을 느낄까?

        윤혜진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022 관광레저연구 Vol.34 No.4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ravel experiences such as the frequency of travel, travel duration, travel values, and travel satisfaction on subjective happiness among Koreans. A cross-sectional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 total of 450 samples were utilized for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t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ome of the travel values (i.e., travel is part of my life, travel can strengthen my relationship with a companion) and travel satisfaction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subjective happiness. Second, the frequency of leisure travel was a significant factor in enhancing subjective happines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erceived value and general travel satisfaction, as well as travel frequency, play an essential role in increasing personal happines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in this paper from the findings.

      • KCI등재

        통행시간예산의 지역적 특성 분석 연구

        나승원,여옥경 국토지리학회 2011 국토지리학회지 Vol.45 No.4

        Consistent transportation investment for the reduction of travel time is in the situation to bring about the result of the increase of traffic distance rather than reduction of traffic time. In this connection,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y of travel time budget that claims the daily travel time use of travelers shows regularity at some extent in the aspect of time and space and analyzed what characteristics the regularity of travel time in the aggregate level shown in the studies on the travel time budget shows regionally. For this, using the data of ? “002, 2006 Seoul Metropolitan Area Travel Survey?”, it gained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f the daily travel time, distance, frequency changes of travelers by residing region that the travel distance relatively increased very much compared to the comparatively regular travel time and in particular, the increase of the Gyeonggi region became conspicuous. This is shown more clearly in the region of the influencing area of the metropolitan ring expressway that showed the reduction of travel time was used to longer travel distance due to the travel speed improvement for travelers. It was confirmed that travelers travel more and long distances rather than reduce the total travel time in order to maximize individual efficacy which was proved even in the metropolitan area. Due to the expansion of traffic facilities, accessibility improvement brought about the suburb expansion of the metropolitan population and it confirmed the increase of traffic distance. 통행시간 단축을 위한 지속적 교통기반시설투자는 통행자의 통행시간 단축보다는 통행거리를 늘리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행자의 일일 통행시간사용이 시공간적으로 어느 정도 일정성을 보인다는 통행시간예산이론을 검토하여, 통행시간예산의 연구들에서 드러나는 집계적 수준에서의 통행시간의 일정성이 지역별로는 어떠한 통행특성을 나타내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2·2006 수도권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수도권의 거주지역별 통행자의 일일 통행시간, 거리, 횟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 통행시간은 비교적 일정한데 비해 통행거리는 상대적으로 많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경기지역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이는 수도권 외곽고속도로 영향권의 지역에서 더 확연히 나타나는데, 이는 통행자들이 통행속도 향상으로 인한 통행시간 단축을 더 많은 통행에 사용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통행자들은 개인의 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총 통행시간을 줄이기보다는 더 많은 통행이나, 더 긴 통행을 하는데 수도권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교통시설의 확충으로 인한 접근성 향상은 수도권 인구의 외연확산을 가져오며, 이로 인한 통행거리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 KCI등재

        여행계약상 손해배상

        황원재(Won Jae Hwang) 한국비교사법학회 2017 比較私法 Vol.24 No.4

        우리 민법상 여행계약은 “운송 숙박 관광 또는 그 밖의 여행 관련 용역을 결합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구체적인 약정 급부내용은 여행업표준약관을 통해 정해진다. 여행업자가 약정한 의무를 지카지 않는다면, 채권자얀 여행자는 계약을 해제하거나 해지하고, 대금의 감액을 청구하거나 손해배상을 청구하게 된다. 이러한 구제수단 중 여행자가 택하게 되는 최종적이고 일반적인 구제수단은 손해배상이다. 손해배상을 판단함에 있어서 여행계약상 약정한 급부의 내용은 중요한 기준이 된다. 손해배상은 약정한 급부를 채무자가 약정한 바에 맞추어 완전히 이행하지 못한 경우에 이러한 의무위반을 유책하게 야기한 채무자에게 채권자의 재산상 손해를 배상할 책임을 지우는 제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손해배상의 판단을 위해서는 채무자가 약정한 바가 무엇이었는지를 확인하는 외에도 채무자에게 유책한 의무위반이있었는지의 여부 그리고 이러한 의무위반으로 인한 채권자의 재산상대의 차액이 어떠한지를 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여행계약은 이러한 모든 단계가 다른 게약유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어렵다. 여행주최자의 급부의무는 분명하게 특정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특히 안전배려의무와 관련해서는 여행주최자의 급부의무를 특정하는 것이 더욱 어렵다. 또한 일상위험과 관련하여 여행주최자의 책임을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여행의 하자로 여행자에게 발생한 재산상손해를 특정 하는 것 역시 쉽지 않다. 따라서 민법상의 손해배상 규정이 보다 객관적인 손해산정의 정표를 제시할 필요성이 크다. 이러한 객관적인 징표를 발견하지 못하면 그로 인한 불이익은 주장·증명책임을 지는 여행자가 부담할 수밖에 없다. 우리 여행계약법상 손해배상 규정이 객관적인 손해산정의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각 규정의 취지를 통해 그 기준을 찾아본다. Determining what is agreed to in a travel contract is the basis for calculating damages. However, it is not easy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the contract and determine the responsibility of the travel organizer.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know that the liability of the travel organizer for damages is different in each stage of contract execution. Prior to departure, the traveler may indemnify the travel organizer of the damage and cancel the contract. In this case, the damage is the cost of the tour organizer investing while preparing for the trip. In addition, travelers and travel organizers may cancel travel contracts if there are unavoidable reasons. In this case, the travel organizer shall return the payment paid by the traveler in accordance with Articles 537 and 538 of the Civil Act. If there is a fault with the trip, the travel organizer must also compensate the traveler. A traveler may terminate a contract for a faulty trip. In this case, the travel organizer can not charge the traveler. However, if the traveler has benefited, he / she must return the profit to the travel organizer. Such return of profits does not mean compensation for damages. In this case, therefore, there arises a problem of how to determine the range of profit to be returned. It is also necessary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eturn of profits and compensation for damages. However, the Civil Code does not explain this part clearly. In addition, if there is a fault in the trip and the traveler does not enjoy the trip as planned, it can be questioned whether the traveler s mental damages should be reimbursed. Although the Civil Code governs travel contracts, it does not specifically specify the scope of damages, so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 rules in each case. For this interpretation, in addition to knowing specifically what the damages mean, it is necessary to know what the traveler and travel organizer wanted through the travel contract. This is because the purpose of the contract is the starting point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obligation and the calculation of the damages.

      • KCI등재

        여행계약에 관한 연구

        장창민(Jang, Changmin) 한국비교사법학회 2017 比較私法 Vol.24 No.3

        여행게약에 있어서 여행주최자는 여행에 관한 전문가로서 여행에 관한 모든 정보를 알고 있거나 말 수 있는 지위에 있다고 할 것이다. 또한 여행의 구체적얀 게획은 여행주최자가 수립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여행자는 그 여행을 받。F들일 것인가 아닌가의 결정만을 할 수 있는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이 계약당사자간에 정보의 상당한 격차가 있는 여행계약의 실태에서 여행자 보호를 위해서는 여행주최자에 대한 책임을 보다 엄격하게 울음으로써 여행자 보호가가능할 것이다. 여행급부의 하자로 인한 여행업자의 담보책임과 관련하여, 실정법이 없었던 때에는 이 문제를 일반이론에 의하여 해결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최근 민법의 개정으로 민볍 저11674조의 6과 674조의 7에서 여행업자의 담보책임 규정을 신설하여 설행된 여행에 하자가 있는 경우, 여행자는 여행주최자에 대하여 대금감액청구권, 추완청구권, 게약해지권, 손해배상청구권 그리고 귀환운송의무를 규정함으로써, 여행겨l약에 대해서는 매매계약뿐만 아니라 도급계약의 담보책임규정의 적용이 배제됨을 분명히 하고 있다. 그러나 신설된 여행계약에 관한 규정을 살펴보면, 여행계약상의 여행급부이행과 관련된 것이 전부이고, 여행사고와 관련된 규정을 찾아볼 수 없다. 여행게약의 설대와 여행자 보호의 측면에서 본다면 여행채무의 이행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여행사고에 대한 규율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이는 입법적 불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여행사고에 관련된 규정이 없는 현행법 하에서는 여행사고에 대한 여행주최자의 책임문제는 여전히 학설과판례에 맡겨져 있다고할 것이다. 여행사고로 얀하여 여행자에게 발생한 손해와 관련하여 여행주최자에게 안전확보의무를 인정핸 것은, 여행주최자의 책임을 엄격화하기 위한 하나의 도구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안전확보의무의 위반을 전제로 하여 여행주최자의 책임을 얀정한다고 하더라도 그 책임은 여전히 과살책임에 해당하고, 여행주최자의 책임을 엄격화하기에는 한게가 존재한다. 앞으로 여행의 증가와 더불어 여행사고 또한 증가할 것이므로, 여행급부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예기치 못한 사고에서 여행자를 보호하기위해서 여행주최자의 책임문제를 해석론이나 판결을 통해서도어느 정도 해결이 가능하겠지만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입법적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보인다.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life quality and income, a travel business is a means of mass consumption in tms society, and a problem of travel contract has been occurred for the contraction. In Korea, however, there has been a problem in protecting travellers because they do not provide any direct systems wmch regulates the positive law for travel contract. In the travel itself, a lot of contract problems are caused between travellers and travel agency in the package trave1. 80, in order to solve the legal conflict, eight contract clauses are provided in the articles from 674-2 to 674-9 of the proposal of revised civil law. The content of the clauses is derived from the German civil law and it prescribes some regulations such as definition of travel contract, responsibility of travel agency, liability of the travel agency, cancellation α termination of the contract, and period of travel charge. This paper studies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examines the quality of legal system in the travel contract. The study also views some issues which was excluded from a new provision of a travel contract though they should be included. The issues that 1 studied are the content on traveller s right of self-dependence, proposa! of provision for traveller‘s right of replacement, and necessity of compulsory regulations for travel contract. From this study, the problems of travel contract should be revised or supplemented. The profound discussion and review should also be conducted from this study, wmch would contribute to a real life of travel area based on civil law. As mentioned above, travel is becoming more common due to the increase in national income and the activation of leisure culture, and when the so-called golden holiday, the international airport is so narrow that international travel has exploded explosively. In addition, major accidents in domestic travel are increasing. Protecting the traveler in such a journey can be seen as a safeguarding of travel benefits without flaws and a return trip without a trip accident during the travel process. The former case seems to be solved to some extent through amendment of the civil law recently, but the laUer case shows that it is not easy to protect the traveler due to the legislative insufficiency. Legislative measures are needed to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of travel organizers responsibility for travel accidents.

      • KCI등재

        기획여행계약에서 스포츠옵션활동으로 야기된 손해배상

        주지홍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0 스포츠와 법 Vol.13 No.3

        In Japan, travel agency's liability is considered as interim liability, which is an intermediation liability with special compensation liability and journey management liability. Therefore, any damage which is resulted by a defect of contract should be compensated by the general agreement of travel contract regardless of fault of travel agency. The balance between a traveler and travel agencies can be kept by interim compensation without proving the fault of travel agency as long as there is a defect of travel service. However, this method is not good enough to compensate all damages when the damage amount is very big. Furthermore, it is unjust for travel agency to compensate any damage even though he is not liable. It is recommended to draft the travel contract more sophisticated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a traveler. Risk taker prefers a cheap travel rather than an expensive one even though he can expect a certain degree of risk and vice versa. For the immunity, travel performance assistant and individual travel agency should be dealt with differently. Furthermore, the money compensation can be restricted within three times of contract fees. Korea Supreme Court adopted legal reasoning from Japanese Supreme Court case when dealt with package travel case. However, it didn’t adopt the interim liability. I think travel agency contract should be dealt with not only abstract “collateral duty of care” but also “specific standard” which can be suggested by each travel contract’s characteristics. 일본의 경우 여행업자의 책임을 매매계약책임이 아닌 원칙적으로 수배책임으로 하되 특별보상책임과 여정관리책임을 부가시키는 중간적 책임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여행서비스의 하자로 인한 여행자의 생명 신체 재산에 관한 손해에 대해서는 일정한 한도에서 기획여행자의 책임유무를 묻지 않고 보상하도록 규정(일본 여행업약관 제22조)하고 있다. 법정무과실책임으로 보아 일정한도는 배상하도록 함으로써 피해자보호를 기하고, 한편으로는 법정무과실인 점을 감안하여 일정한 한도로 손해배상액을 감축시킴으로써 여행업자를 보호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전액배상이 아닌 점에서, 실손해가 매우 클 경우 (예컨대 사망이나 큰 신체상의 손상을 입어서 노동능력을 상당부분 상실한 경우) 피해자보호에 별 도움이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여행업자의 귀책사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무조건 법정무과실책임을 지라는 것도 합리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약관체결시 각각의 귀책사유 있는 경우를 세분화하고, 이에 따라 고위험인수자(risk taker)는 저렴한 상품을 선택하도록 하고, 위험회피성향을 가진 자(risk avoider)는 고가의 고품질상품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각자의 취향에 따라 여행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법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면책규정에 대해서는 여행업자의 이행보조자와 개별급부자를 구별하여 규정하도록 하고, 현지여행사의 고의, 중과실에 대해서는 어느 한도까지 위험을 현지여행사가 인수하는 지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면책범위 외에 있다 하더라도, 저가상품의 경우 특약에 의해 피해발생시 전액배상이 아닌, 여행요금의 3배 한도 내에서 배상액을 감축시킬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좀더 여행상품을 세분화할 수 있게 하고, 위험인수여부에 대한 개인의 취향에 따라 고품질 서비스와 저품질 서비스를 각각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분쟁발생시에도 이 기준에 맞추어서 배상하도록 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와 같은 법제도 하에서는 저가경쟁만 유도하게 되므로, 정책적 차원에서 면책기준 및 면책허용범위를 명확히 하여 여행자와 여행업자간의 이익균형을 조화롭게 달성시킬 필요가 있다. 우리 대법원이 일본 대심원의 의견을 차용함에 있어서 법적 근거는 차용하였지만, 그 근저에 있는 중간적 책임까지 인정하였다고는 보여지지 않는다. 다만, 획일적인 부수적 주의의무를 기준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상품가격에 따라 기대되는 상품내용을 기준으로 이러한 부수적 주의의무도 결정됨을 명확히 했더라면 더 좋았을 것이다.

      • KCI등재

        해외 개별자유여행객의 여행동기 - 여행횟수에 따른 여행동기의 차이 분석 -

        이상훈,고동완 한국관광학회 2012 관광학연구 Vol.36 No.2

        The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 of travel motivations with accordance to Free Independent Traveler’s (FIT) carrier as well as how are Pearce’s TCL (Travel Carrier Ladder, 1998) and Ryan’s TCP (Travel Carrier Pattern, 1998) applied to travel motivation investig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 that FIT’s would travel with mixed motives. Second, in Travel Carrier Pattern, it shows a low correlation to FIT. Third, on the contrary to Self-development motivation of Ryan (1998), the fewer of traveling carrier goes for Host-site involvement and the more of traveling carrier goes for Personal development. Fourth, Autonomy motivation is not verified from the theory of Ryan (1998) and Lee (1998) but, shows it is very high irrespective of traveling carrier. It has a fundamental limit to draw a conclusion with how much travel is done as there are numerous factors influencing travel decisions. None the less, Pearce’s TCL and Ryan’s TCP continue to be persuasive in explaining general travel motivation, and consumer travel decisions made by FIT travelers. 본 연구는 Pearce(1998)의 여행경력단계 이론과 Ryan(1998) 여행경력패턴 이론이 개별자유여행객의 여행 동기 규명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진단하고, 개별자유여행객의 여행경력에 따라 여행동기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별자유여행객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개별자유여행객은 하나의 동기가 아니라 여러 가지 복합적인 동기에 의해 개별자유여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행경력패턴에서의 지인관계강화 동기는 개별자유여행객의 중요한 동기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개발동기 Ryan(1998)의 여행경력패턴과 반대로 여행경력이 낮을수록 현지문화체험을 위해서, 여행경력이 높을수록 개인적 발전을 위하여 개별자유여행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자율성 동기는 Ryan(1998)과 Lee(1998)의 이론에서 확인되지 않았지만 여행경력에 상관없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행경력을 결정하는 변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여행횟수만으로 조작화한 것은 본 연구의 근원적인 한계가 있다. 그러나 여행객의 전반적인 여행동기를 설명하는데 설득력 있는 이론으로 제시되어온 Ryan(1998)과 Pearce(1998)의 이론이 개별자유여행객의 여행동기를 설명하는데 유용한지를 시론적으로 논의한 탐색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 KCI등재

        해외여행자들의 여행상비약 구비 경험 및 약국서비스 이용 의향

        김성연(Seong Yeon Kim),한혜성(Hye Seong Han),정경인(Kyung-In Joung),손현순(Hyun Soon Sohn) 대한약학회 2020 약학회지 Vol.64 No.6

        With the increase in number of people traveling internationall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travel healthservices. Pharmacists assist travelers in preparing medications for prophylaxis or self-treatment for conditions that occurduring trave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xperiences of overseas travelers in preparing travel medications andtheir willingness to get pre-travel services at the pharmacy. The survey was performed using self-reported type, 20-itemsquestionnaire. Adults with at least one overseas travel experiences during the past three years were enrolled from January17, 2019 to January 20, 2019. Data were analyzed to summarize the frequency of responses using Microsoft Excel 2019. Statistical differences in future pre-travel behavioral intentions based on respondents’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usingIBM SPSS Statistics 21. Of 169 respondents, 71.0% had a habit of packing travel medications. Major medications thatthey packed were digestants (80.8%), analgesics (70.8%), wound healers (62.5%), antipyretics (58.3%), cold remedies(55.8%), and anti-diarrheas (45.8%). In total, 88.2% and 79.7% of respondents responded positively to future intentions topack travel medications and to get pre-travel consultation on travel medications at the pharmacy, respectively. People whohad experiences of on-site action during past travel to get medications to treat sickness showed significantly higherwillingness to get pre-travel consultation at the pharmacy than those who did have no action or no health problem ([oddsratio 3.80, (95% confidence interval 1.64-8.79). To provide effective pre-travel health consultation, pharmacist society needto promote people’s interest and discuss on travel medication-related tasks. This study suggests the addition of educationalprograms for pharmacists both in pharmacy school an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urricula to advance theirknowledge on travel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