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등록상표와 주지ㆍ저명상표의 충돌

        황다운(Hwang da woon) 세창출판사 2016 창작과 권리 Vol.- No.82

        The conflict between the Trademark Act and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is caused by a dual protection of well-known and famous trademarks by the two laws. Article 15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in Korea confirms the principle of prior application of the Trademark Act and the supplementary status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while the Supreme Court's precedents incapacitate this article, citing the abuse of trademark rights in terms of legal principles, and put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equal or superior to the Trademark Act. Focusing on it, this study examines respective functions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and the Trademark Act and relations to each other, and analyzes leading cases related to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laws. Concerning conflicts of rights between the Trademark Act and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in particular, in exercising rights under the Trademark Act, the study shows that the Supreme Court excludes Article 15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in many decision cases, including target decisions, citing ‘misuse or abuse of the Trademark Act’. Since such cases may harm legal stability by easily admitting abuse of rights under the Trademark Act without consistent criteria, efforts to maintain the intent of statutory provisions concern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Trademark Law and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are necessary. Alternative measures, such as introduction of prior user rights, or deletion of Article 15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can be considered, and options, such as allowing the registration to be nullified under the Trademark Act, as in the U.S. and Europe, if a trademark has been registered with any malicious intention, and making trademark rights invalid in case of any malicious trademark right exercises, can be reviewed for consideration.

      • KCI등재

        불공정한 상표권 사용료에 관한 상표법상 해결 방안의 검토

        정태호 ( Jung¸ Tae Ho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홍익법학 Vol.21 No.3

        상표권 사용료의 불공정성에 관한 문제 제기가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주로 이슈가 되는 것은 다른 회사 간의 브랜드 라이선스료가 아니라 동일한 기업집단 내에서 지주회사와 계열사 간의 상표권 사용료에 관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주회사와 계열사 간의 상표권 사용료를 협의의 상표권 사용료로서 브랜드 실무 및 타법에서는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해서는 지주회사가 계열사에게 상표권 사용료를 면제하거나 과다 또는 과소 부과하는 것이 문제로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공정거래법, 세법, 형법 등에 의해서 해결하는 것으로 주로 인식되고 있으며, 상표법상의 해결 방안은 거의 고려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지주회사와 계열사 간의 불공정한 상표권 사용료의 산정에 관하여 상표법상 해결 방안으로 어떠한 방법을 강구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검토한다. 원칙적으로 상표법의 성격상 한계때문에 불공정한 상표권 사용료의 산정에 관한 상표법상 해결 방안의 강구는 어려운 일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공정거래법 등에서의 해결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기존의 문헌 등에 근거할 때에 더욱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사용권 설정의 법적 근거는 상표법 규정에 근거하고 있고 상표권 사용료의 불공정성에 관한 사회적인 비판이 부각되고 있는 만큼 상표법상 해결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할 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상표법상 해결 방안으로는 출원상표의 규제적인 측면에서는 공서양속 위반과 관련된 상표법 제34조 제1항 제4호의 적용을 상표심사기준에서 규정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등록상표의 규제적인 측면에서는 구 특허법에서의 규정을 참고하여 상표권의 남용을 상표법 내에 규정하고, 상표권의 남용 시에 상표권의 행사나 사용 등을 제한함과 아울러, 상표법 제119조 제1항에서 이를 상표등록의 취소사유로 규정하여 상표등록을 취소시킬 수 있는 방법까지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상표권 사용료의 불공정성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의 정립이 필요할 것인데, 기존의 법원에서의 통상사용료 상당액의 산정에 관한 판결들을 정리하고 시장의 상황을 고려하여 상표권 사용료에 관한 객관적인 가이드라인을 공정거래위원회나 특허청 등에서 만들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The question of the unfairness of trademark right royalty has been raised recently. It can be seen that the main issue here is not the brand license royalties between different companies, but trademark right royalties between the holding company and affiliates within the same corporate group. In this way, trademark right royalty between holding company and affiliate is emphasized in brand practice and other laws as trademark right royalty of a narrow sense. In this regard, it is a problem that the holding company claims for overcharge, undercharge or no charge of trademark right royalty to affiliates. This problem is mainly recognized as being solved by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the Tax Act or the Criminal Act, and solutions under the Trademark Act are rarely considered. Therefore, this paper studies what methods can be devised as a solution under the Trademark Act regarding the calculation of unfair trademark right royalty between the holding company and its affiliate. In principle, due to the limitations in the nature of the Trademark Act, it is difficult to find solutions under the Trademark Act regarding the calculation of unfair trademark right royalty. For this, it can be considered that it is more desirable to devise solutions in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etc.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However, as the legal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license rights is based on the provisions of the Trademark Act and social criticism about the unfairness of the trademark right royalty is rising, I think it is time to discuss solutions under the Trademark Act. As solutions under the Trademark Act, in the regulatory aspect of applied trademarks, the method of stipulating the application of Article 34 (1) 4 of the Trademark Act related to violation of public order and morals in the Trademark Examination Standards can be considered. In the regulatory aspect of registered trademarks, it will be necessary to examine that the abuse of trademark rights is stipulated in the Trademark Act by referring to the regulations in the old Patent Act and the exercise or use of trademark rights in the event of abuse of trademark rights is restricted and this is stipulated as the reason for the cancellation of trademark registration in Article 119 (1) of the Trademark Act. Above all, it will be necessary that the Fair Trade Commission or KIPO establish a guideline that can objectively determine the unfairness of trademark right royalty in consideration of market conditions and the calculation of the usual trademark right royalty in the existing court decisions.

      • KCI등재

        전체 표장에 대한 디자인권 및 이를 구성하는 개별 도형들에 대한 상표권과 전체 표장의 사용으로 인한 상표권침해 및 부정경쟁행위 사이의 충돌에 관한 연구 - 대상판결: 대법원 2013. 3. 14. 선고 2010도15512 판결 -

        박태일 경북대학교 IT와 법연구소 2014 IT와 법 연구 Vol.0 No.8

        Solving the conflict between two rights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s very difficult and important problem. Recently, the Supreme Court of Korea treated a significant interesting case about the problem. In that case, defendant was indicted for violating Victim A(LOUIS VUTTON)'s trademark rights by selling or displaying for sale the products attached with a pattern similar to the figurative trademark that A had applied for trademark registration. By the way, there was the fact that defendant's wife acquired design registration for the pattern which is the mark used by defendant (hereinafter "Defendant mark"). Additionally, there was the fact that defendant and his wife acquired trademark registrations for the individual shapes composing Defendant mark too. First of all,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since especially in the case of figurative trademarks, appearance leaves a dominant impression, if two trademarks appear to be identical/similar, and will likely cause confusion or misunderstanding to average consumers if they are used for a single like product, then the trademarks are deemed as similar. In the second place, the Court held that Defendant mark - which was intentionally used to exploit the customer appeal of A's trademark - was used as an identifier marking product source during actual trade, and even if there is ground to perceive that Defendant used the Defendant mark after acquiring the mark's licensing permission through Defendant's wife's design registration acquisition for the pattern (which is also the Defendant mark), it does not obstruct the fact that in relation to A's trademark - whose registration was applied before Defendant's wife's design registration application - the use of Defendant mark is essentially a use as trademark and thus the act constitutes trademark infringement, unless trademark owner A allowed the use of Defendant mark, or in the existence of a trial for granting non-exclusive license as provided by Article 70 of the Design Protection Act. Moreover, the Court ruled on the case as below. Article 15 (1)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hereinafter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provides that "if any provision of the Design Protection Act, the Trademark Act and etc. is inconsistent with the provisions of Articles 2 and etc.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such provisions of the relevant Acts shall preferentially apply." Yet according to the Design Protection Act, design is the shape, pattern, or color, or a combination of these which produces an aesthetic impression to the eye (see Article 2 subparagraph 1 of the Design Protection Act), and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Design Protection Act is to encourage the creation of designs by ensuring their protection and utilization, so a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y (see Article 1 of the Design Protection Act). However, when the purpose of design registration is not in protecting one's design producing aesthetic impression on the applied object, but in profiting by using a design that is identical or similar to another person's trademark which is widely recognized and used domestically, thereby making average consumers confuse the design with another person's product, and thus design rights acquisition was a false pretense, the application itself is intended for unfair competition, so it cannot be acknowledged as legitimate exercise of rights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 Protection Act, but rather as an abuse or misuse of the same Act; therefore, it is not a case where Act 2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should not be applied in accordance with Article 15 (1) of the same Act. Last, the court held that although Defendant and his wife own the trademark of a portion of the individual shapes composing Defendant mark by registering the shapes as trademarks, and the remaining portions were used in Defendant mark after acquiring trademark use permis...

      • KCI우수등재

        전자상거래 업체의 자사 홈페이지 내 상품검색결과 제공행위의 적법성 여부 - 상표법 및 부정경쟁방지법을 중심으로 -

        윤선희 법조협회 2020 法曹 Vol.69 No.2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구매보다 온라인 쇼핑이 증가하는 추세에 최근 발생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외출 자제에 따라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자상거래 업체들은 상품판매를 위하여 자사의 홈페이지에서 소비자가 검색한 특정상품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관련 다른 상품들도 함께 보여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소비자의 선택의 폭을 넓혀 주기 위해서이다.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검색 결과 제공 행위와 관련하여 전자상거래 업체들이 타인의 등록상표 또는 주지‧저명한 상품표지를 노출하는 것이 상표법상 상표권 침해행위 또는 ‘부정경쟁방지법’상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살펴본다. 상표법 및 부정경쟁방지법의 입법취지 등에 비추어 볼 때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상품검색 결과 제공행위 자체에 대하여 상표권 침해나 부정경쟁행위의 성립을 인정하기는 쉽지 않다. (i) 우선 전자상거래 업체들이 제공하는 검색 결과 화면에 타인의 등록상표 또는 주지‧저명한 상품표지 자체가 직접 표시되어 소비자들에게 출처의 오인, 혼동을 야기하는 것이 아닌 한 상표법 및 부정경쟁방지법상 상표 내지 표지의 ‘사용’ 및 ‘혼동가능성’ 요건을 충족한다고 보기 어렵다. (ii) 또한, 타인의 상표나 표지가 주지의 정도를 넘어서 저명한 경우에는, 혼동가능성이 없더라도 검색 결과 제공 행위가 해당 상표의 명성을 손상시키거나 식별력을 약화시키는 경우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할 수 있긴 하나, 수요자의 검색 행위로 인해 화면상에 나타나는 검색 결과가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것이 아니라면 명성의 손상이나 식별력의 약화를 인정하기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iii) 한편, 타인의 등록상표 또는 주지‧저명한 상품표지를 무단으로 활용하여 자신의 상품이 검색되도록 하는 등, 타인이 상당한 비용을 투입하여 구축한 상표 또는 표지의 신용 내지 고객흡인력에 무임승차하여 부당하게 이익을 도모하는 경우, 부정경쟁방지법상 성과도용행위에 해당할 여지가 있으나, 통상적인 검색 결과 제공 행위는 무임승차행위라고 보기 어렵다.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검색 결과 제공 행위가 상표권 침해나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궁극적으로는 상품표지의 신용과 고객흡인력을 구축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과 노력을 투입한 상표권자 등 권리자의 이익을 우선할 것인지, 아니면 타인의 등록상표 내지 상품표지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영업활동을 보장하고 자유경쟁을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이익을 우선할 것인지에 대한 이익형량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검색 결과 제공 행위가 소비자의 편익 증진에 기여하는 정도 및 이로 인하여 상표권자 등 권리자의 이익이 제한되는 정도 등을 비교형량하여 보면,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검색 결과 제공 행위 자체는 상표권 침해행위 또는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게 생각된다. Avoiding going out due to the COVID-19 outbreak accelerates an increase in online shopping, which is preferred to purchases in offline retail stores. In certain cases, e-commerce companies display on their websites not only particular products searched by consumers but also other related products for the purpose of selling products, which can be deemed an act of giving consumers more options. Hereinafter, it will be analyzed whether the exposure of third parties’ registered trademarks or known or famous identification marks by e-commerce companies constitutes a trademark infringement under the Trademark Act or an act of unfair competition under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in connection with the e-commerce companies’ act of providing search results for products (the “Provision of Search Results”). Given the legislative intent of the Trademark Act and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it would be difficult to deem that the Provision of Search Results constitutes a trademark infringement or an act of unfair competition. (i) First, unless the screen of the search results provided by e-commerce companies directly displays third parties’ registered trademarks or known or famous identification marks and causes misleading and confusion of consumers with respect to sources,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at the Provision of Search Results qualifies for ‘use’ and ‘likelihood of confusion’ of trademarks and marks under the Trademark Act and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ii) In addition, if a third party’s trademark or mark is famous rather than being just known, the Provision of Search Results may constitute an act of unfair competition in case the Provision of Search Results damages reputation of relevant trademarks or makes such trademarks less distinctive although it is not likely to cause confusion. However, as long as the search results displayed on the screen as a result of a consumer’s search do not relate to socially adverse products or services, it seems also difficult to deem that the Provision of Search Results damages reputation or weakens distinctiveness. (iii) Meanwhile, if an e-commerce company utilizes a third party’s registered trademark or known and famous identification mark without permission to cause its products to be searched, or exploits of trust or attractiveness to customers of trademarks or marks which has been built by the third party with considerable costs and pursues improper profits, the foregoing may constitute an act of illegally using the outcome achieved by others, but it is difficult for a typical provision of search results to constitute the aforementioned exploitation. Whether the Provision of Search Results constitutes a trademark infringement or an act of unfair competition may ultimately be a matter of interest balancing test regarding whether interests of trademark owners and other rights holders who paid a lot of expenses and made efforts to build trust and attractiveness to customers for identification marks should be preferred or customers’ interests should be preferred by guaranteeing various types of business activities utilizing others’ registered trademarks and identification marks and providing customers with more information through free competition. However, weighing the importance of the degree of contribution that the Provision of Search Results makes to enhance customers’ convenience and the degree of limitation that trademark owners and other rights holders are imposed due to the Provision of Search Results, the Provision of Search Results itself should not be deemed as a trademark infringement or an act of unfair competition.

      • KCI등재

        상표법상 권리와 부정경쟁방지법상 권리의 충돌문제

        정민호(Jeong, Min-Ho)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성균관법학 Vol.24 No.3

        In Korea, Well-known and famous trademarks have two kinds of protecting methods(laws). The one is Trademark Act, another is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Trademark rights under the Trademark Act are granted only to those who have their own trademarks registered, but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grants remedies to all the owners of well-known marks whether they are registered or not. Two kinds of methods essentially have conflicting elements. To solve the problem, article 15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provides that in cases of any conflict or inconsistence the Trademark Law applies instead. But Supreme Court of Korea has interpreted Section 15 differently from its literal meaning. The interpretation by the Supreme Court of Korea appears to provide well-known and famous trademark owners with strong protection at the expense of registered trademark owners. when registration of well-known marks by somebody other than their owners constitute unfair competition, the registration is regarded as an abuse of trademark right and, consequently, the registrant are not allowed to rely on the Trademark Act. Our civil law regulates “Principle of Trust and Good Faith”(Article 2). this principle rules the trademark act, too. But this principle should be applied carefully in the trademark act. This paper examines how the rights of registered trademark are restricted in the perspective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law when famous or well-known mark and registered one exist concurrently. To find out the appropriate way of solve such problems, this paper study so-called ‘VIGEVANO’ cas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emark act and unfair competion prevention act.

      • KCI등재

        공유상표권의 소멸 후 주지성의 귀속과 부정경쟁방지법상 상품주체 혼동행위의 적용에 관한 고찰

        정태호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법과기업연구 Vol.13 No.3

        하나의 상표권에 대해서 다수의 공유상표권자가 존재하였을 경우에 해당 공유상표권의 소멸 후에도 해당 상표에 관한 사업이 공유상표권자이었던 자 또는 사용권자 등에 의해서 계속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 해당 상표의 주지성이 그 중 특정인들에게 승계되었는지 여부와 금지청구권자로서의 원고가 1인이 아니라, 하나의 그룹을 형성한다고 보이는 복수의 구성기업들인 때에는 이러한 복수의 구성기업들이 주지성을 승계하거나 주지성을 유지한 타인으로서 상품주체 혼동행위가 성립되는 부정경쟁행위에 근거한 금지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가 문제로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관하여 이 논문에서는 주지된 공유상표권의 소멸과 함께 이와 같은 공유관계의 분열이 일어났을 경우에 특정한 일부 공유자 등을 공유상표권하에서 유지되었던 주지성의 귀속주체로 보고 이와 분리되어 별도의 사업을 하고 있는 다른 공유자에 대하여 수요자 사이의 상품주체에 대한 혼동을 이유로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함이 인정될 수 있을 것인지를 검토한다. 결국 변론종결시점에 공유상표권이 소멸된 상표이었을지라도 사실상 상표의 사용의 관리 등을 하는 것 등에 의해 주지성의 귀속주체로 인정될 수 있는 일부 공유자들이라면, 부정경쟁방지법상 상품주체 혼동행위에서의 ‘타인’에 해당한다고 보아 부정경쟁행위자에게 금지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즉 공유상표권의 소멸 이후 이탈자의 상품표지(상표)의 사용행위는 비록 상표권이 소멸된 상황이더라도 부정경쟁방지법상 상품주체 혼동행위로 보아 그 사용을 금지시켜야 함이 타당할 것이다. 이렇게 할 경우에 추후 다른 무단 사용자들과 관계된 2차적 분쟁을 예방하는 등 분쟁의 일회적 해결을 도모할 수 있고, 그 동안 수요자들에게 인식된 해당 상품표지에 대한 신용과 상품의 품질을 보증할 수 있게 하여 궁극적으로는 수요자를 보호하고 이 법의 목적인 건전한 거래질서를 유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If there are several owners for a jointly owned trademark right, in case the business on the trademark continues to be carried out by persons who was owners of a jointly owned trademark right or licensees after the extinction of the Jointly owned trademark right, it may be a question whether the wellknownness of the trademark has been inherited to certain people and whether these multiple constituent companies can exercise the right to claim prohibition based on acts of unfair competition where acts causing confusion about the source of a product are established as another person who succeeds or maintains the wellknownness when the Plaintiff is not one person but multiple constituent companies that appear to form a group, This paper examines that in the event of such a division of the jointly owned relationship with the Extinction of a jointly owned well-known trademark right, some joint owners, etc. are considered to be attributable to the wellknownness maintained under the jointly owned trademark right and whether unfair competition acts causing confusion about the the source of a product among consumers can be recognized for the other joint owner who operates separate businesses due to confusion about the subject of the product among consumers. In conclusion, even if a jointly owned trademark right was extinguished at time concluding one´s argument, some joint owners who can be recognized as subjects of wellknownness by managing the use of the trademark actually should be considered to be “another person” in acts causing confusion about the source of a product under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and have the right to claim prohibition can be exercised against the unfair competitor. In other words, it would be reasonable to prohibit the use of the product mark(trademark) of a defector from the group of the joint owners after the extinction of the jointly owned trademark right, considering it as acts causing confusion about the source of a product under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even if the trademark right is extinguished. In this case, it will be possible to seek a one-time resolution of the dispute, such as preventing secondary disputes related to other illegal users in the future, and to guarantee credit and product quality for the product mark recognized among consumers, ultimately protecting consumers and maintaining a sound trade order as the purpose of this Act.

      • 연구논문 : 사용에 의한 식별력 취득에 있어서 상표의 동일 -대법원 2011후1982 사건을 중심으로-

        이재성 ( Jae Sung Lee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14 한남법학연구 Vol.2 No.1

        상표법상 현저한 지리적 명칭은 자타 상품 식별력이 없기 때문에 등록을 받을 수 없다(상표법 제6조 제1항 제4호). 그러나 식별력이 없는 표장을 장기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사용에 의한 식별력을 인정하여 등록을 허용하고 있다(상표법 제6조 제2항). 식별력을 인정받아 등록될 수 있는 상표는 어떤 상표인가? 장기간 사용으로 식별력을 취득한 상표와 출원된 상표간에 어느 정도 동일하여야 등록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논란이 있다. 그러나 사용상표와 출원상표간의 상표의 동일에 관한 것으로서 상표법 제6조 제2항상의 "그 상표"란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에 대하여 확립된 판례가 희소하였다. 대법원 2011후1982(등록무효) 사건의 판결은 사용에 의한 식별력 취득에 있어서 상표법 제6조 제2항상의 "그 상표" 또는 "상표의 동일"에 관하여 상표법 제73조 제1항제3호의 "등록상표"에서 정립된 "상표의 동일"의 법리와 동일하게 보았고 구체적인 기준으로서 "식별력의 감쇄"여부를 최초로 들고 있다. 이 대법원 판결은 상표법 제6조 제2항의 "그 상표"를 판단함에 있어 "식별력의 감쇄"여부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한다는 원칙을 처음으로 제시한 점에서 매우 큰 의의가 있다. Since the Trademark Act aims to protect the goodwill arising from the use of a trademark capable of distinguishing one` own product and those of others(Art. 1 of the Act), it does not permit the registration of a nondistinctive trademark(Art. 6(1) of the Act). To be more specific, the Trademark Act stipulates that any trademark consisting solely of a famous geographical name(Art. 6(1) 4 of the Act). The institutional intent for prohibiting a trademark from consisting solely of a famous geographical name is to allow anyone to freely use such marks and deny any particular person the exclusive right to use it as it may not be deemed to possess distinctiveness due to it being well-known and famous. An inherently non-distinctive trademark, however, may deserve protection as a trademark and exceptionally permitted to be registered in view of the elements of the "prior use" principle. The "prior use" principle states that if the mark has been used by a particular person as a mark for his goods for a long enough period of time and thereby acquired distinctiveness as a trademark indicating the source among traders and/or consumers(Art. 6(2) of the Act). It is not sure criteria for identify of used trademark and application trademark. In other words, It is debatable what exactly Under Art. 6(2) of the Act "a trademark itself" means, In the case Supreme Court 2011Hu1982, the Court present clear evaluation criterion for identify of used trademark and application trademark. It`s important that the final decision of Supreme Court 2011Hu1982 inceptively has founded concrete criteria of "attenuation of inherent distinctiveness" for identify of used trademark and application trademark, namely under Art. 6(2) of the Act "a trademark itself".

      • KCI등재

        부정사용에 의한 상표등록취소심판에서의 동일성 판단에 관한 고찰

        정태호 사법발전재단 2014 사법 Vol.1 No.29

        Article 73 (1) 2 of the Trademark Act states that the registration of a trademark can be cancelled where the owner of a trademark right makes consumers mistake the quality of goods or confused with goods related to any business of another person by using intentionally a trademark similar to the registered trademark on the designated goods, or using the registered trademark or similar trademark on goods similar to the designated goods. Article 73 (1) 2 of the Trademark Act purports to secure safety in the transaction of products by regulating against the registered trademark right owner's unlawful use of the registered trademark beyond the lawful scope and to protect trader and consumers' interests as well as other trademark users' reputation, rights and interests in their businesses by preventing acts taking advantage of other trademark users' trust or reputation. On the other hand, Article 73 (1) 3 of the Trademark Act purports to promote the use of a registered mark and impose sanctions on the non-use of the registered mark simultaneously by cancellation of the trademark registration where an owner of a trademark right, exclusive or non-exclusive, licensee fails to use the registered trademark on the designated goods in the Republic of Korea without justifiable grounds, for three or more years consecutively before a cancellation trial is requested. Therefore, regardless of guidelines determining “identity of trademark” on a trial for cancellation of trademark registration based on non-use of the registered mark under Article 73 (1) 3 of the Trademark Act, we should determine independently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Article 73 (1) 2 of the Trademark Act whether the owner of a trademark right used the registered trademark or similar trademark based on use for unlawful purposes under Article 73 (1) 2 of the Trademark Act. Namely, the actually used mark can be considered as the use of the mark to be similar to the registered mark and thus can not be considered as the use of the registered mark under Article 73 (1) 2 of the Trademark Act, where the registered mark is used by transformation and the actually used mark seems to be identical or similar to another person's mark(hereinafter called “the subject mark”) and the actually used mark makes consumers mistake the quality of goods further or more confused with goods related to the subject mark of another person than the case of the use of the registered mark, although the actually used mark can be perceived as identical to registered trademark in terms of trade norms and thus considered as the use of the registered mark in Article 73 (1) 3 of the Trademark Act. In conclusion, we should determine whether the actually used mark is identical or similar to the registered mark in comparison with the subject mark as well as the registered mark in a trial for cancellation of trademark registration based on use for unlawful purposes under Article 73 (1) 2 of the Trademark Act. Judging from this point of view, I think that the legal principle stated in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2Hu1521 decided recently is proper and it will be significant that the legal principle for the determination of this decision is applied to determination of identity between trademarks on the use of the registered mark in a trial for cancellation of trademark registration based on use for unlawful purposes from now on since this decision standardized various existing theories of several researchers ultimately. 상표법 제73조 제1항 제2호에서는 상표권자가 고의로 지정상품에 등록상표와 유사한 상표를 사용하거나, 지정상품과 유사한 상품에 등록상표를 사용하거나, 지정상품과 유사한 상품에 등록상표와 유사한 상표를 사용하여, 수요자로 하여금 상품 품질의 오인 또는 타인의 업무에 관련된 상품과의 혼동을 생기게 한 경우를 상표등록취소사유의 하나로 규정하고 있다. 상표법 제73조 제1항 제2호는 상표권자가 상표제도의 본래 목적에 반하여 자신의 등록상표를 그 사용권의 범위를 넘어 부정하게 사용하지 못하도록 규제함으로써 상품 거래의 안전을 도모하고, 타인의 상표의 신용이나 명성에 편승하려는 행위를 방지하여 거래자와 수요자의 이익보호는 물론 다른 상표를 사용하는 사람의 영업상의 신용과 권익도 아울러 보호하려는 데 그 취지가 있다. 반면에 상표법 제73조 제1항 제3호에서 상표권자 또는 전용사용권자 등이 정당한 이유 없이 국내에서 등록된 상표를 지정상품에 사용하지 아니한 경우에 그 상표등록을 취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등록상표의 사용을 촉진함과 동시에 그 불사용에 대한 제재를 가하려는 데 그 취지가 있다. 따라서 상표법 제73조 제1항 제2호 소정의 부정사용을 이유로 하는 상표등록취소심판에서 상표권자가 등록상표를 사용한 것인지 아니면 그와 유사한 상표를 사용한 것인지는 상표법 제73조 제1항 제3호 소정의 불사용을 이유로 하는 상표등록취소심판에서의 상표 동일성 판단 기준과 관계없이 상표법 제73조 제1항 제2호의 입법 취지에 따라 독자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즉, 실사용상표가 거래 통념상 등록상표와 동일하게 볼 수 있는 형태의 상표이어서 상표법 제73조 제1항 제3호 소정의 불사용에 의한 상표등록취소심판에서는 실사용상표의 사용을 등록상표의 사용으로 볼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 실사용상표가 등록상표를 타인의 상표(이하 ‘대상상표’)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보이도록 변형한 것이어서 그 사용으로 인하여 대상상표와의 관계에서 등록상표를 그대로 사용한 경우보다 수요자가 상품 출처를 오인·혼동할 우려가 더 커지게 되었다면, 상표법 제73조 제1항 제2호 소정의 부정사용에 의한 상표등록취소심판에서는 그 실사용상표의 사용은 등록상표와 유사한 상표의 사용으로 보아야 하고, 이를 등록상표의 사용으로 볼 수는 없다. 결국 상표법 제73조 제1항 제2호 소정의 부정사용에 의한 상표등록취소심판에서 실사용상표가 등록상표와 동일성이 인정되는 상표인지, 유사상표인지를 판단할 때에는 등록상표뿐만 아니라 대상상표와도 대비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최근의 대법원 2013. 12. 26. 선고 2012후1521 판결에서의 판단 법리는 타당한 것으로 보이며, 해당 판결은 이와 같은 기존의 학설상에서 논의되고 있었던 것을 일거에 정리한 것으로써, 향후 부정사용에 의한 취소심판에서의 등록상표의 사용에 대한 동일성 판단에는 해당 판결에서의 판단 법리가 적용되는 것이 중요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개정 상표법 제34조 제1항 제21호의 적용요건에 관한 고찰

        정태호 사법발전재단 2016 사법 Vol.1 No.38

        Article 34(1)21 of the Trademark Act(wholly amended in 2016;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ubject provision”) states that registration shall not be granted to any trademark for the registration of which any person who has or had a contractual relationship, such as partnership or employment, a business transactional relationship, or any other relationship with a person who holds the right to the trademark registered, which is identical or similar to the trademark registered in a State party to the treaty, applies on goods by designating goods identical or similar to the goods on which the trademark is designated as the designated goods, without the consent of the person who holds the right to the trademark. The intent of the subject provision is to deter the registration of any trademark filed in violation of a continuous contractual relationship or special confidence with the rights-holder to a trademark registered in a State party to the treaty, on par with the provision under Article 34(1)20 of the Trademark Act pertaining to the principle of good faith, thereby contributing to a fair international transactional order. The subject provision expands the scope of applicable human relationship and temporal period compared to the provision under Article 23(1)3 of the former Trademark Act. Rather than adopting the content of Article 6septies of the Paris Convention as it is, on which it is based, the subject provision incorporates as is the scope of human relationship under Article 34(1)20 of the Trademark Act pertaining to the rejection of registration of any trademark contrary to the principle of good faith, reflecting the legislative intent of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KIPO) to crack down on any unfair trademark registration in Korea. Regarding the requirements for the subject provision’s applicability, legislative resolution of the following issues is essential for preventing any more interpretive confusion over the application of the subject provision: (a) amend such expression as “trademark registered in a State party to the treaty,” by taking account of those States that recognize the right based on the use of a trademark; (b) clarify the scope of a “State party to the treaty” and the “agent or representative” under the former Trademark Act in interpreting contractual relationship, etc.; and (c) articulate a “justifiable reason” as an exception to the “consent” requirement and the point in time for determining the “consent.” In conclusion, given its aspiration to protect trademarks registered in a State party to the treaty, the subject provision calls for a legislative resolution geared toward keeping pace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 by taking account of the Paris Convention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trademark law and the legislative state of the Japanese Trademark Act and the Community Trademark Regulation of the European Union, which is structurally similar to the Korean Trademark Act. In addition, it would help facilitate a further sophistication of the Korean trademark examination guidelines to reflect the interpretive theory underpinning the concrete standard of determination under the trademark examination guidelines of the Community Trademark Regulation in European Union. 2016년 전부 개정 상표법 제34조 제1항 제21호(이하 ‘본호’라 함)에 따르면, 조약당사국에 등록된 상표와 동일·유사한 상표로서 그 등록된 상표에 관한 권리를 가진 자와의 동업·고용 등 계약관계나 업무상 거래관계 또는 그 밖의 관계에 있거나 있었던 자가 그 상표에 관한 권리를 가진 자의 동의를 받지 아니하고 그 상표의 지정상품과 동일·유사한 상품을 지정상품으로 하여 등록출원한 상표는 본호에 의하여 등록을 받을 수 없다. 본호는 신의성실의 원칙에 관한 규정인 상표법 제34조 제1항 제20호와 균형을 맞추어 조약당사국에 등록된 상표에 관한 권리를 가진 자와의 사이에 형성된 계속적 계약관계나 특별한 신뢰를 저버린 채 상표출원한 경우 그 등록을 저지함으로써 공정한 국제거래 질서의 확립에 기여하고자 하였고, 구 상표법 제23조 제1항 제3호에 비해 그 적용상의 인적 관계의 범위 및 대상기간을 확대하였다. 본호는 파리협약 제6조의7에 근거한 규정이지만, 해당 조약의 내용을 그대로 본호에 반영하였다기 보다는 국내에서의 부당한 상표등록을 더욱 강하게 근절하겠다는 특허청의 입법의지가 고려되어 신의성실의 원칙에 위반되는 상표의 등록거절과 관련된 상표법 제34조 제1항 제20호의 인적 관계의 대상 범위를 그대로 본호에도 도입한 것이다. 그런데 본호의 적용요건과 관련하여 ‘조약당사국에 등록된 상표’에 대한 문구에서 사용주의 국가의 현실을 반영한 수정과 조약당사국의 적용 범위에 대한 명확화, 계약관계 등의 해석에 있어서 구 상표법상 대리인이나 대표자와의 관계에 관한 적용 범위의 명확화 및 동의와 관련하여 그 예외로서의 정당한 이유에 대한 별도의 명문화와 동의의 판단시점에 대한 상표법상의 명확화 등은 반드시 입법적으로 해결해야 본호의 적용에 관한 해석론상의 혼란을 더 이상 초래하지 않게 될 것이다. 결국 상표법에 관한 국제적인 표준이라고 볼 수 있는 파리협약 및 우리나라의 상표법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일본 상표법이나 유럽공동체상표법의 입법상황 등을 고려하여 조약당사국 간의 상표의 보호를 추구하는 본호의 특성상 국제적인 기준에 그 수준을 맞추어 가는 입법적인 해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유럽공동체상표심사기준에서의 구체적인 판단 기준들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의 상표심사기준에서도 이러한 해석론을 반영하는 것이 상표심사의 발전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상표법과 부정경쟁방지법의 상호관계 재정립

        김원오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법학논총 Vol.31 No.3

        There are two kinds of methods protecting a trademark in Korea. The one is getting a trademark registration under the Trademark Act, another is seeking protection under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hereinafter, UCPA) which is focused on goodwill acquired by using a trademark. Two kinds of methods essentially have conflicting elements by birth so that conflicts between Well-Known Marks and Registered Marks has caused a lot of difficult problems to solve. Even though, each of Act set some adjustment devices and provisions such as,prior-user right in trademark law, Article 15(former Article 9) in UCPA, these devices to adjust conflicts has not worked at all enough to solve the problems and contradictions in the course of application specific cases. Therefore, so called German alternative that UCPA has to be integrated into a unified trademark law has been suggested. However, this alternative has not been reflected too long, and the needs to establish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ct is still required. This paper tries to establish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cts. Firstly, try to see in detail the general relationship of the two Acts by traditional perspective. Secondly, look into the judicial case that brought changing a new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 of the two Acts. Furthermore, look for the cause of conflict and conflict control devices to adjust them, and check whether these conflict control devices work properly. This Article also identifies and examines some contending issues and contradictions in the course of application specific cases by reviewing the existing court’s precedents and practices and points out the cause and effect of the contradictions in detail. This Article also examines the suggestion that UCPA has to be integrated into a unified trademark law in detail and examines the feasibility of this alternative. The alternative solution under German trademark law has some desirable and can be reviewed as an ultimate unified system. However,considering the adverse effects caused by a sudden changes such as weakening the position of the UCPA, it is desirable to take steps by step approach. In this regard Japanese solutions seems to be a preferable alternative. As is in Japan, it is desirable to delete Art. 15 of UCPA and solve the bad-faith registration problem by taking a general theory of right abuses. Furthermore, likewise the exercise of trademark right can be limited under the provisions of Article 51. of trademark Act,UCPA also consider adopting the corresponding clause in order to keep balance with the result of applying trademark Act. (1) 상표를 보호하는 2가지 대표적 법령은 상표법과 부정경쟁방지법이다. 그런데사용주의와 등록주의의 대립적 갈등 못지않게 등록상표의 보호를 우선시하는 상표법과 등록과 무관하게 사용에 의해 화체된 신용과 혼동가능성 여부에 중점을 두고 운영되는 부정경쟁방지법은 본질적 갈등요소를 안고 있으며 실재 등록상표권자와 주지상표사용자간 권리충돌도 많이 발생하여 왔으며 여러 가지 풀기 어려운 의문과 과제도 꾸준히 등장하여 왔다. 상표법에는 주지상표와 저촉되는 상표의 등록을 사전 배제하고, 선사용권을 인정하는 등 사용주의적 요소를 도입하여 주지상표사용자를 고려하고 있으며, 부정경쟁방지법 제15조에서는 상표법 등과 다른 규정이 있어 상호 저촉되는 경우에 상표법을 우선하는 관계규정을 두어 충돌을 조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제반 충돌 조정 장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상표권자가 지위를 남용하는 등 상표권이나 상표법을 남용적으로 이용하거나 악용하는 사안들이 자주 등장하자 법원은제15조 규정에도 불구하고 “상표권 남용의 법리”에 근거하여 구체적 타당성 있는 판결을 시도하여 왔다. 한편, 이러한 충돌조정 장치와 법원의 판결에도 불구하고 ‘다른 법률과의 관계’에관한 충돌조정 규정인 부정경쟁방지법 제15조(구법 제9조)의 위헌여부가 문제된 바있으며, 상표를 양 법에 의해 이원적으로 보호하는 기존 병존체제의 문제점과 모순점을 지적하며 상표법으로 통합하여 일원화하자는 이른 바 독일식 대안이 제시된바 있다. 하지만 이 대안 역시 오랫동안 정책에 반영되고 있지 못하고 있으므로 양 법의 새로운 관계정립과 해법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에 있다. (2) 이에 본고는 양 법의 새로운 관계정립을 모색해 보기 위하여 전통적으로 논의되어온 상표법과 부정경쟁방지법의 전통적 상호관계를 고찰해 보았다. 나아가 양 법관계의 새로운 해석과 관계변화를 가져온 계기와 원인에 대해서 살펴보고 양법의 충돌과 저촉을 예방하거나 조정하는 조정 장치들이 제 기능을 다하고 있는지 여부와 어떠한 한계가 노정되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한편 다행스런 것은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그 해법을 모색하기 위한 대안이 제시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 대안은 우리와같이 등록주의 법제를 근간으로 유지하면서도 비교적 효율적으로 문제 상황에 대응해 온 독일과 일본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상표 보호 및 규제에 관하여 상표법과 부정경쟁방지법이 이원적 체제로 운영되고 있는 현행 우리나라의 법체제가 반드시 바람직하다고 볼 수는 없으므로 궁극적으로 상표에 대한 보호체제를 독일식으로 일원화 시키는 것도 적극 검토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급작스런 변화가 초래할 여러가지 부작용을 고려하고 부정경쟁방지법의 위상 약화와 변화에 따른 사전 대비책을고려한 단계적 접근이 필요해 보인다. 이러한 해법은 우선은 일본의 입법례에서 찾는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3) 구체적인 대안으로 부정경쟁방지법에서도 상표법에 대응한 선사용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자세한 적용제한 규정을 두는 문제를 우선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양법의 관계규정인 부정경쟁방지법 제15조를 삭제하고 대신 권리남용의 일반이론에의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취함이 타당해 보인다. 이를 원활하게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상표법에 명백한 무효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표권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