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도로서의 기구 ; 특집논문 : 1950년대 후반 시단의 재편과 현대시 개념의 논리 -<한국시인협회>(1957~1962)를 중심으로-

        박연희 ( Youn Hee Park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1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3

        이 논문은 조지훈을 중심으로 <한국시인협회>(이하 시협)가 구성되는 과정을 통해 1950년대 후반 독자적인 시단(詩壇)의 재편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지훈은 ``예술원 파동`` 이후 문단이 분열되거나 전문 분과 기구의 창설이 증가하는 등 문화계의 전환기적 흐름과 맞물려 시협을 구상하고 결성하였다. 특히 시협은 해방후 이른바 ``문협 정통파``가 주도하던 전통서정시의 계보에 포함될 수 없었던 모더니스트들을 그 운영조직과 기관지의 지면을 통해 적극적으로 제도 안에 편입시켰다. 전통시와 모더니즘시가 대립되는 시단의 구도를 염두에 볼 때 이는 전통시와 모더니즘시를 포괄하는 새로운 한국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조지훈은 무엇보다 ``한국적인 것``의 특수성을 강조하며 ``서정시``로 대변되는 현대시 개념을 설정하였다. 이는 모더니즘시를 타자화하여 전통서정시의 외연을 확장하려는 문학권력의 또 다른 제도화, 이념화의 산물이다. 이처럼 서정시의 미학성과 정치성을 논리로 삼았던 조지훈의 현대시 개념은 김수영의 제1회 ``시협작품상`` 수상이라는 제도화 과정을 통해 본격화되었다. 시협은 문단이력, 문학성향, 세대 등 작품 외적 요소를 배제한 범문단적인 문학상을 표방하면서 세련된 방식의 시 전문단체를 지향하였다. 따라서 제1회 시협상은 현대시의 전범이 될 만한 작품을 선정함으로써 전통시와 현대시의 논쟁을 불식시키고자 했던 그 입장이 충분히 반영될 수밖에 없었다. 김수영의 시는 195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자주 언급되지 않았으며 최일수가 독특한 모더니즘시로 평가했을 뿐이었다. 김수영의 수상은 「눈」이 인간, 자연, 동양이라는 전통서정시의 표상에 근접하여 이에 대한 각론이 활발하게 진행되던 시기와 겹친다. 다시 말해 김수영의 수상 작품은 전통과 현대의 통합 가능성을 시사한 텍스트로 독해되었고 조지훈의 현대시 개념의 논리를 이행하는 데 활용되었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independently reorganizational aspects of the Korean poetical circles in the late 1950s through the process of the organization of the Korean Poets Association (Si-Hyup hereinafter) with Cho Jihoon as a central figure. After the ``shock of the art academy (the Yesul-won)``, Cho Jihoon planned and organized the Si-Hyup following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Korean cultural circles such as the division of the literary circles and the increasing establishment of the special sub-committees. Particularly, the Si-Hyup, after the Korean Liberation, actively incorporated the modernism writers who could not be included in the traditional epic poem`s genealogy that has been dominated by ``the orthodox writers of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into its new organization through their appearance on the literary magazine and the operational activities within the organization. Considering the structure of the poetical circles had been in confrontation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ism poetry, this shift suggests the new possibility of Korean poetry embracing the traditional and modernism poetry. Above all, by emphasiz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ness, Cho Jihoon set up the notion of the modern poetry represented as the ``lyric poetry``. This is the product of another institutionalization and idealization to extend the denotation of the traditional lyric poetry with making the modernism poetry into the Other. The Cho Jihoon`s conception of the modern poetry which was based on the logic of the aesthetics and politics of the lyric poetry began to appear in earnest when Kim Suyoung was rewarded the first Si-Hyup Best Writing as the course of the institutionalization. The Si-Hyup claimed to stand for the pan-literary awards which excluded the external aspect of the works, such as the literary careers, literary tendencies and kinds of generation, and moved toward the specialized organization of poetry with the sophisticated style. Therefore, the first award of the Si-hyup could not but to fully reflect the Cho Jihoon`s position that tried to calm controversy between the traditional and modern poetry by selecting the exemplary works of the modern poetry. The poems of Kim Sooyoung were not mentioned frequently in the poetical circles until the mid-1950s and only a literary critic, Choi Ilsoo put a high valuation on his uniqueness of modernism poetry. The Best Writing Award of Kim Sooyoung matched up the period that his poem Non has come to close to the symbols of traditional lyric poetry, that is, human, nature, and the East, and an active itemized discussion on each subject was taking place within the literary world. In other words, his works for best writing award were appreciated as the text that implied the integrating possibility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sm, and used for fulfilling the logical conceptions of the modern poetry in Cho Jihoon.

      • KCI등재

        해방 후 재일조선 문학운동 -『조선 문예』와 『진달래』의 갈등을 중심으로-

        마경옥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2

        After the war, the circle literature movement took place in Japan around the 1950s. The subjects of the national movement, the Korean-Japanese, have produced and expanded their political rights and claims through circles and organs in conjunction with the literary movement. However,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xchanges and conflicts between the political subjects of the Korean national movement and the literary circle movement as a concrete case to date are still insignificant. After liberation, the endless worries and confrontations to the post-colonialization of literary Koreans in Japan were analyzed as 'community with Republic of Korea and Japan', 'topic and creative language', and as 'conflict with Korean association in japan'. The process leading to dissolution was analyzed. The spirit of the era of Koreans in Japan in the 1950s identified in this paper is expected to suggest a new direction for the starting point of study of the humanities in Japan. 패전 이후 1950년대를 전후하여 일본에서는 서클문학운동이 전국에서 일어났고, 재일조선인 민족운동의 주체도 자신들의 정치적 권리와 주장을 문학운동과 연동하여 서클과 기관지를 통하여 생산·확장시켜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재일조선인 민족운동의 정치적 주체와 문학서클 운동과의 교류, 갈등을 구체적인 사례로 분석 연구한 사례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조련과 민전의 정치적 역학관계로 탄생한 ‘오사카 시인집단’ 기관지『진달래』와 노선전환에 따른 조총련의 ‘재일조선 문학회’ 기관지『조선 문예』의 성립과정과 두 잡지의 교류, 갈등, 해산 과정 등을 비교분석하여 그 실체를 규명했다. 즉, 해방 후 재일조선인 문학자들이 갖고 있었던 탈식민지화로의 끝없는 고민과 대립, 모순과 갈등의 실체를 ‘공화국공민과 재일’, ‘주제와 창작언어’등으로 분석하여 ‘조총련과의 갈등’으로 결국 해산에 이르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본고에서 파악된 1950년대 재일조선인들의 시대정신은 향후 재일조선인문학의 출발점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KCI등재

        오사카조선시인집단 기관지 「진달래」 연구-50년대 서클시지(詩誌)와 시의 기록-

        마경옥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4 일본언어문화 Vol.28 No.-

        Following Japan’s defeat in 1950 there was a ‘circle movement’ began in Japan and the key to understanding the mindset of the generation could be found within the publications of the time. The Osaka Joseon Poets Association’s publication “Jin Dal Rae” was responsible for uniting the young literature buffs in 1953, during a time when Korean Japanese movement was most difficult for those who had witnessed the war in their motherland from Japan. However, the conflict between the awakening of people wanting to study literature and their main opinion and The Jochonryeon in Japan, saw the end the publication’s political influence. For the youths who had never written poetry before, their participation in ‘Jin Dae Rae’ allowed them to obtain poetry as a form of expression. Although culturally and artistically immature, the impact of proclaiming one’s life was extremely significant and the crude publication, printed on a copying press, began a remarkable chain reaction. From very Korean scenes of horror and anti-American propaganda to personal life experiences, events, family and neighbours, the scope and range of content in their poetry allowed them to find exposure as ‘Korean Japanese’. The most marginalized Korean Japanese women were able to give voice to their lives in a public forum through ‘Jin Dal Rae’.

      • KCI등재

        미주 시조의 장르 의식과 디아스포라

        이형권 현대문학이론학회 2020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82

        미주 시조의 상상력은 두 가지 차원이 공존하고 있다. 하나는 밖으로 넓어지는 원심적상상력과 관련되는 세계화 지향이다. 미주의 특정한 지역을 시적 상상의 매개로 삼을 경우, 그 지리적 상상에 대한 동일시는 고향에 대한 애착을 넘어서서 현지의 삶을 적극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것이다. 미주 시조가 보여주는 다른 하나의 특성은 안으로 깊어지는 구심적 상상력과 관련되는 민족성 지향이다. 디아스포라 혹은 향수와 관련되는 이러한 특성은 국내 시조와는 다른, 한인 시조만이 지니는 특수성이다. 미주의 한인 시인들은 낯선 이국땅에서 이민자로 살아가면서 마음 깊은 곳에는 디아스포라를 간직하고 살아간다. 모국을 향한 노스탤지어를 포함하는 디아스포라는 미주 시조가 보여주는 핵심적 특수성에 속한다. 미주 시조는 이처럼 깊이와 넓이가 상호 교직하면서 미주 한인 시문학사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해 왔다. 그 문학사적 의미는 첫째, 시조에 대한 자의식을 간직하고 세계화를 지향했다는 점이다. 미주 시인들은 시조의 장르적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시조를 세계 각 나라에 보급하고자 노력했다. 둘째, 한국 시조의 한 부분이자 지역 시조로서의 위상을 갖추었다는 점이다. 미주는 국내의 특정한 지역과 마찬가지로 특수한 시조 문학 단위로 자리를 잡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지리적 상상과 관련하여 국내 시조와는 다른 특수성을지닌다는 점이다. 즉 미주 시조는 미주 지역의 특정한 지역을 바탕으로 하는 지리적 상상을 빈도 높게 보여주었다. 따라서 미주 시조는 한국 시문학사 내지는 미주 시문학사에서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문제는 미주 시조의 미래가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하는 것인데, 이는 비단 미주 시조뿐만 아니라 미주 문학 전반과 관련된 사안이다. 안타까운 것은 현재 미주 지역에서 활동하는 시조 시인은 대략 20여 명으로 파악되는데, 이들은 대부분 연로하여 창작 활동을 지속할 만한 시간이 많지 않다는 사실이다. 미주에서는 일반 시단도 그렇거니와 시조 시단은 더더욱 고령화가 심각한 상태이다. 신진 시조 시인들이 거의 등장하지 않고 있는 점은더 심각한 문제이다. 영문 시조를 창작하면서 그 타개책을 모색하고 있지만, 그것이 과연고유의 장르 의식을 온전히 지키면서 문학성을 고양해 나갈 수 있을지 의문이다. 그 의문에 대한 현답(賢答)을 찾기 위해서는 또 다른 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심연수의 <일본문학보국회> 참관기 고찰

        이성천 어문연구학회 2020 어문연구 Vol.10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the book "Literature Mission-Report on the Opening Ceremony of the Japanese Literary Society that protects the country Society" by Shim Yeon-soo, a poet of Jae-man, who was published three times in July 1942. The reason why this researcher chose "The Mission of Literature" as his research subject is that he believes that the problems exposed by previous literary researchers for Shim Yeon-soo will be overcome through new text analysis. "The Mission of Literature," written by Shim Yeon-soo while studying at a Japanese university, is very suggestive in that it clearly shows Japan's right-wing ideology, the nature of the Japanese Literary and Security Council, and, moreover, the distorted ideology of the Empire. In particular, this article is expected to provide the basis for a new discussion on Shim Yeon-soo's literary research in terms of three-dimensional views of the 1940s poets' historical and real perceptions. Accordingly, Chapter 2 was intended to discuss the value of text in "The Mission of Literature." The current level of Shim Yeon-soo's literary research is too biased toward certain regions and organizations to create a fair consensus. This is why this research focused first on Shim Yeon-soo's "The Mission of Literature." In this article, reasonable grounds for making a clear judgment on Shim's national consciousness and view of Japan are found everywhere, especially objective contents that clash head-on with the claims of prior researchers. Nevertheless, in the last 20 years, the "Mission of Literature" has never been dealt with among domestic researchers. Professor Masuo Omura, a Japanese scholar, is the only researcher who directly mentioned "The Mission of Literature" and tried to discuss it. But his paper misses important facts in several respects. This paper pointed out that Professor Omura's views did not reach an in-depth understanding, and that they showed a large degree of textual illusion, and raised a counterargument against it. Meanwhile, in Chapter 3, this paper looked at the identity of the Japanese Literary and Security Council. In the process, the researcher reaffirmed that the Literature and Security Council is a sub-organization of the Great Political Consultative Conference, which lies on the basis of Japanese right-wing ideas, and that it is a literary organization that systematically practices the Japanese imperialistic privatization policy and national ideology. It was also found to be closely linked to the Joseon Literary Society, a leading pro-Japanese literary organization. Thus, in the final stage, the paper tried to argue that Shim Yeon-su's "The Mission of Literature," published in the Maeil Shinbo in 1942, did not properly recognize the historical facts contained in the distorted governing ideology of the Japanese Empire, or that it did not secure the intensity of its perception of reality. 이 논문은 1942년 7월 <매일신보>에 세 차례에 걸쳐 게재된 재만 시인 심연수의 「文學의 使命-文學保國會 發會式을 보고서」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가 「문학의 사명」을 연구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이전 심연수 문학연구자들이 노출한 문제점들을 새로운 텍스트 분석을 통해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심연수가 일본대학 유학시절 작성한 「문학의 사명」은 일제강점기 일본의 우익사상과 일본문학보국회의 성격, 나아가 ‘제국’의 왜곡된 이데올로기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시사적이다. 특히 이 글은 1940년대 시인의 역사의식과 현실인식을 입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심연수 문학연구에 관한 새로운 논의의 단초를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2장에서는 「문학의 사명」의 텍스트 가치를 우선적으로 논의하고자 했다. 현 단계 심연수 문학연구는 특정 지역과 단체에 지나치게 치우쳐 있는 탓에 좀처럼 공정한 합의의 장을 만들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가 심연수의 「文學의 使命」에 우선적으로 주목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이 글에는 심연수의 민족의식과 일본관에 대해 뚜렷하게 판단할 수 있는 합리적 근거들, 특히 그간 선행연구자들의 주장과 정면충돌하는 객관적 내용들이 곳곳에서 발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20년간 「문학의 사명」은 국내 연구자들 사이에서 단 한 번도 다루어진 적이 없다. 「문학의 사명」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며 논의를 시도한 연구자는 일본인 학자 오무라 마스오 교수가 유일하다. 하지만 그의 논문은 몇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사실을 놓치고 있다. 이 논문은 오무라 교수의 견해가 심층적 이해에 도달하지 못했으며, 다분히 텍스트간의 착시현상을 보이고 있음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반론을 제기하였다. 한편, 3장에서 본고는 일본문학보국회의 정체성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문학보국회가 일본 우익사상의 기저로 놓여 있는 대정익찬회의 하부조직이며, 일제의 황국식민화 정책과 국책이념을 조직적으로 실천하는 문학단체라는 점을 재차 확인했다. 또한 대표적인 친일문학단체인 조선문인협회와도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음을 파악했다. 그리하여 최종 단계에서 논문은, 적어도 1942년 <매일신보>에 게재된 심연수의 「문학의 사명」은 일제의 왜곡된 통치이념에 담긴 역사적 사실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했거나, 현실인식의 치열성을 확보하지 못했음을 주장하고자 했다.

      • KCI등재
      • 『북의 시인』과 냉전 정치성1960년대 초 한국 수용과 현해탄 논전을 중심으로

        이봉범 (재)한국연구원 2020 한국연구 Vol.0 No.6

        이 논문은 마쓰모토 세이초의 추리소설 『북의 시인』이 1962년 한국에 처음 소개된 맥락과 그 수용의 냉전 정치성을 구명하고 있다. 냉전기 『북의 시인』은 1962년과 1987년 두 차례 한국에 소개되었으나, 1962년의 수용은 지금까지 묻혀 있었다. 1962년의 첫 소개는 완역된 상태가 아닌 일본의 종합지『중앙공론』에 연재 중이던 『북의 시인』10회 분 내용 가운데 ‘조선정판사위폐사건’에 대한 부분을 신생종합지 『동아춘추』가 왜곡 집필로 문제제기함으로써 이루어졌다. 5.16쿠데타 직후 남북한 및 일본을 아우른 동북아 냉전질서의 규정력에 의해 『북의 시인』은 민족과 이념 문제가 분열증적으로 착종된 정치텍스트로 수용된다. 그것이 군사정부의 독자적인 국가심리전 추진과 결부되어 현해탄 논전으로 비화되는 과정을 거쳐 일본 및 조총련에 대한 적대를 증식하는 냉전텍스트로 활용되는가 하면 월북작가재판을 통해 월북금제를 추인하는 동시에 체제우월성을 선전하는 대공심리전의 자료로 이용되면서 편향된 북한인식을 부식하는데 기여한다. 『북의 시인』의 특장인 기록성은 텍스트에 대한 논란의 주된 쟁점이었으나 오히려 그로 인해 한국에서 두 번이나 소개될 수 있었다. 한국의 공적 기록(억)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북의 시인』의 서사와 임화의 행적에 대한 마쓰모토의 관점은 1962년에는 공고한 냉전금기를 뒤흔든 정치텍스트로, 1987년에는 냉전금제 해제의 당위성과 임화에 대한 객관적 연구의 필요성을 촉진시키는 계기로 수용되는 차이를 나타낸다. 요약하건데 『북의 시인』은 냉전 의제와 결합되면서 한국냉전문화사를 횡단한 보기 드문 텍스트였고, 이 과정에서 한국근대문학사의 거장 임화는 냉전의 봉인을 뚫고 끊임없이 생환되어 한국문학사에 저류하고 있었다.

      • KCI등재

        1950년대 전북지역 여류시인 연구

        황태묵 국어문학회 2022 국어문학 Vol.80 No.-

        This study examined the literary activities of Jeong Yun-bong, a female poet who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Gunsan and Jeonbuk Literary History in the 1950s based on the data that the researcher investigated and secured,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his poems through this. In this process, he tried to demonstrate his life that remained unclear and to supplement the insufficient part of his paragraph activities in relation to his history. In addition, Jeong Yun-bong's works of 1950s and 1960s were discover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base and foundation of Jeonbuk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This attempt is to promote a moderate evaluation by restoring the reality of local female literary people who have been alienated from Gunsan, Jeonbuk Literature History and Korean Literature History. The literary records in these areas should be used appropriately to fill the gaps in literary history and to supplement the deficiencies. 본고에서는 연구자가 조사·확보한 자료를 바탕으로 1950년대 군산문단과 전북문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여류시인 정윤봉의 문학 활동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그의 시에 나타난 특징을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불분명한 상태로 남아있던 그의 생애를 실증하고 그의 이력과 관련지어 그의 문단 활동의 불충분한 부분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정윤봉의 1950년대와 1960년대 작품을 발굴하여 전북문학사와 한국문학사의 저변과 토대를 확대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지금까지 군산과 전북문학사, 나아가 한국문학사에서 소외되어왔던 지역 여류문인의 실체를 복원함으로써 온당한 평가를 도모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지역의 문인 기록들은 앞으로 문학사의 빈틈을 메우고 미비점을 보완하는 데 적절히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