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장성보호공정(長城保護工程)’과 장성연구의 새로운 경향

        홍승현 동북아역사재단 2014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5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contents and the purpose of the Great Wall Protection Project, which has been promoted by the govern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ince 2005, and identify the impact of the project on the study of the Great Wall in the academic world. The Great Wall Protection Project was initiated to prevent serious damage to the Wall and to provide scientific protection. However, the project’s biggest problem is that the concept and the scope of the Great Wall were determined by the state. Because of that, it became impossible for academic debate regarding the Great Wall to take place. As a result, a majority of studies published since 2005 have uniformly enlarged and reproduced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Great Wall specified by the government. In particular, the position of regarding the Great Wall as a “complete comprehensive military defense system” has been reinforced. However, as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the Great Wall differ according to period and region, it would be necessary to build a concrete image of the Great Wall accordingl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Liaodong region, where the ruins of the Great Wall are imperfect, the line of the Great Wall is seriously distorted by regional selfishness and political purposes.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e direction of the Great Wall which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researchers in the region. There is also a growing, and strengthening, trend of understanding the Great Wall in all times as the border. If the Great Wall is recognized as the border, the determined line of the Great Wall will have a sense of meaning as boundaries beyond the meaning of restoring the reality of the Great Wall. That is the reason for raising the need to explore the colorful aspects of the history of the Great Wall of China. 이 글은 중국정부가 2005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장성보호공정’이 어떤 내용과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그 사업이 중국학계의 장성연구에 미친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장성의 심각한 훼손을 막고 과학적인 보호를 위해 시작한 ‘장성보호공정’의 가장 큰 문제는 국가에 의해 장성의 개념과 범주가 확정된 것이다. 지금까지 선의 연속으로 이해되었던 장성은 이제 점과 선의 불규칙한 혼합으로 이해되게 되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정부에 의해 장성의 개념과 범주가 확정됨으로 인해 장성에 대한 학문적 논쟁이 불가능해 진 것을 지적해야 할 것이다. 그 결과 2005년 이후 발표된 대다수의 연구는 정부가 규정한 장성 개념과 범주를 획일적으로 확대 재생산하고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장성을 “완전한 종합성 군사 방어 체제[完整的綜合性軍事防禦體系]”로 보는 입장이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시기의 장성을 이러한 ‘종합성 군사 방어 체제’로 이해하는 것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변경에 설치된 고장성의 경우 전진기지나 거점으로서의 성격을 가진 것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들을 일괄적으로 ‘종합성 군사 방어 체제’로 이해한다면 중국 국가들의 변경 지배에 대한 왜곡된 상을 만들어 낼 것이다. 시대별·지역별로 상이한 장성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고려하여 시대별·지역별 장성의 구체적인 상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한편 장성의 유적이 불완전한 요동지역의 경우 지역 이기주의와 정치적 목적에 의해 장성선의 왜곡이 심각하다. 또한 지역 연구자들의 필요에 따라 장성의 방향이 결정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더하여 이 지역의 특성상 모든 시기의 장성을 국경선으로 파악하는 경향도 점차 강화되고 있다. 장성이 국경선으로 인식된다면 장성선의 확정은 장성의 실체를 복원하다는 의미를 너머 경계 확정의 의미를 갖게 될 것이다. 장성이 보여주는 다채로운 역사의 측면을 탐구할 필요가 제기되는 이유다.

      • KCI등재

        만리장성의 동쪽 끝과 낙랑군의 위치

        이덕일(eokil Lee) 바른역사학술원 2024 역사와융합 Vol.- No.19

        중국의 전국시대(戰國時代:403~221) 이후 중원의 역대 왕조는 여러 목적으로 장성(長城)을 쌓았다. 그중 연·진(燕秦) 장성은 북방 기마민족의 남진을막기 위해 쌓은 것이고, 이런 성격은 한(漢) 장성에서도 그대로 이어진다. 이런 점에서 만리장성은 중원 역대 왕조가 자신들의 강역을 표시한 구조물이기도 하다. 만리장성 안쪽은 중원 왕조의 영역이고 그 바깥쪽은 북방 기마민족의 영역임을 뜻하는 국경선이기도 했다. 역사상 중국 만리장성의 가장 동쪽 끝은 명(明:1368~1644) 때 쌓은 산해관(山 海關)이었다. 그런데 지금 중국 국가박물관은 진·한(秦漢) 때 만리장성이 평양 근처까지 온 것으로 그려놓고 있다. 이는 1910년 일본인 식민사학자 이나바 이와기치(稻葉岩吉)가 한국사의 강역을 한반도 내로 가두려는 반도사관(半島史觀)으로 처음 고안한 제국주의 역사학의 논리였다. 이나바 이와기치는 「진 장성 동쪽 끝 및 왕험성에 관한 논고(秦長城東端及王險城考)」에서 진(秦) 장성이 지금의 북한 황해도 수안(遂安)까지 연결되었다고 주장했다. 이제국주의 침략이론을 1931년 중국의 왕국량(王國良)이 『중국장성연혁고(中 國長城沿革攷)』에서 받아들이면서 진장성이 평양까지 왔다고 조금 변형시켰다. 해방 후에도 한국의 강단사학계는 일본 제국주의 침략사관을 추종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런 한국 강단사학계의 태두(?)라는 이병도는「낙랑군고(樂浪郡考)」에서 이나바 이와기치의 논리를 표절해서 진 장성이황해도 수안까지 내려왔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현재 일본 제국주의 침략논리인 진 장성 동쪽 끝이 한반도 북부까지 내려왔다는 주장이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것이다. 명(明)에서 역사상 가장 동쪽의 산해관을 쌓은 것은 만주족의 침입을 막기위한 것이었다. 만주족이 설립한 청은 더 이상 장성을 쌓지 않았다. 진(秦) 장성은 물론 중국의 어느 장성도 한반도 안까지 들어온 적이 없다. 진(秦)이 장성을 쌓은 것은 흉노(匈奴)와 고조선을 막기 위한 것이었는데, 진과 고조선의국경은 지금의 하북성(河北省) 갈석산 부근이었고, 그 북쪽에 진·한(秦漢) 장성의 유적이 있다는 사료가 있다. 고대 진·한(秦漢) 장성은 이 갈석산을 넘지 못했다. 갈석산 동쪽은 고조선의 강역이었다. Since China's Warring States Period (403-221), successive dynasties have built great walls for various purposes. Among them, the Yan and Qin great walls were built to block the southward advance of the northern equestrian people, and this characteristic continues in the Han great walls. In this respect, the Great Wall of China is also a structure through which various Chinese dynasties marked their territory. It was also a border line, meaning that the inside of the Great Wall was the territory of the Chinese dynasty, and the outside was the territory of the northern equestrian people. Historically, the easternmost end of the Great Wall of China was Shanhaiguan, built during the Ming Dynasty (1368-1644). However, the Chinese National Museum now depicts the Great Wall as having reached near Pyongyang during the Qin and Han Dynasties. This was the logic of imperialist history first devised by Japanese colonial historian Inaba Iwagichi in 1910 as a peninsular view of history that sought to confine the power of Korean history to the Korean Peninsula. Inaba Iwagichi claimed in 『Treatise on the Eastern End of the Qin Great Wall and The Capital of Wangheom of Gojoson』 that the Qin Great Wall was connected to Suan of Hwanghae Province, present-day North Korea. In 1931, China's Wang Guo Liang accepted this theory of imperialist invasion in 『A History of the Chinese Great Wall』, slightly modifying it to say that the Qin Great Wall reached Pyongyang. Even after liberation, Korea's Kangdan History academia has been criticized for following the Japanese imperialist view of the history of invasion. Lee Byeong-do, who is considered to be the leader of the Korean Kangdan History academia, plagiarized the logic of Inaba Iwagichi in “Nakranggungo (樂浪郡考)” and claimed that the Qin’s Great Wall came down to Suan, Hwanghae Province of North Korea. Therefore, the claim that the eastern end of the Qin’s Great Wall, which is the logic of Japanese imperialism's invasion, reached all the way to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s currently being accepted around the world. During the Ming Dynasty, the construction of Shanhaiguan, the easternmost mountain in history, was to prevent invasion by the Manchurians. The Qing Dynasty, founded by the Manchurian people, no longer built great walls. Not only the Qin general, but no Chinese general has ever entered the Korean Peninsula. The reason why the Qin Dynasty built the wall was to block the Huns and Gojoseon. The border between Jin and Gojoseon was near Galshi Mountain in present-day Hebei Province, and to the north of it are the remains of the Qin and Han Great Walls. There is evidence that says. The ancient Qin and Han generals could not climb this brown stone mountain. The eastern side of Galshi Mountain was the area of Gojoseon.

      • KCI등재

        연진한 장성에 대한 중국학계의 최근 연구 동향-『요령성 연진한 장성 자원 조사 보고』 분석을 중심으로-

        배현준 한국고대학회 2023 先史와 古代 Vol.- No.72

        A report on the study of the resources of the Great Wall of Yan, Qin and Han in Liaoning(2017) confirmed the overall distribution of the Great Wall of Yan, Qin and Han. Great Wall of Yan, Qin and Han reaches the west bank of the Yalu River in the east and is connected to the Daeryunggang jangseong Fortress in the nor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fact, most of the relics mentioned as the resources of the Great Wall in the Liaodong area are not the long walls of the generals we think of, but beacons, cellars, and relics scattering sites. This is because the concept of the Great Wall has recently expanded to include related auxiliary facilities by regarding the Great Wall as a defense system. However, it was difficult to find an answer in the report to whether the beacon towers, which account for most of the resources of the Great Wall in the Liaodong area, served as defense facilities. In addition, currency cellar sites and relic scattering sites are also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Great Wall, like beacon towers, but currency, a product of trade, can be owned by local people, and relic scattering sites cannot directly reveal the existence of the Great Wall. If the currency cellar sites or relic scattering sites are connected to the Great Wall, several Great Wall lines can be assumed in the Liaodong area. Iis also difficult to assume a relationship with the Great Wall in terms of time and location.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find concrete evidence of the continuous use of the resources of the Great Wall emphasized in the report. The issue of using the relics related to the Great Wall is all the more important because it serves as an logical basis for advancing the date of numerous Han Dynasty ruins to the Yan, Qin period. However, it is still difficult to trust as most cases rely on somewhat non-archaic reasoning.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logical reinforcement through more archaeological data is still necessary to reveal the reality of the Great Wall in the Liaodong area. 중국에서 최근 발간된 『요령성 연진한 장성 자원 조사 보고』는 요령성 연진한 장성의 전체적인 분포를 확정하였다. 장성은 동으로 압록강 서안까지 이르러 한반도 서북부의 ‘대령강장성(大寧江長城)’과 연결된다고 한다. 사실 요동지역의 연진한 장성으로 거론되는 유적은 우리가 생각하는 장성의 성벽이 아니라, 봉수 또는 매납유구, 유물산포지 등이 대부분이다. 이는 최근 장성의 개념이 장성을 하나의 방어체계로 설정하고 이와 관련된 부속 시설 및 유적까지 포괄하는 것으로 확장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요동지역 연진한 장성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봉수 유적이 과연 방어시설로서의 기능을 했는가에 대한 답은 보고서 내에서 찾기 어려웠다. 또한 화폐 매납유구와 유물산포지 역시도 봉수와 마찬가지로 장성과 관련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지만, 교역의 산물인 화폐는 재지민도 소유할 수 있으며, 유물산포지는 장성의 존재를 직접적으로 밝혀줄 수 없다. 만약 화폐 매납유구나 유물 산포지를 장성과 연결시킨다면 요동지역에는 여러 개의 장성선(長城線)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대령강장성과의 관계 역시도 시간적으로나 입지적으로나 서로 관련성을 상정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그리고 보고서에서 강조하는 연진한 장성의 연용 문제 역시 구체적인 증거를 찾기 어렵다. 장성의 연용 문제는 요령성에 분포하는 수많은 한대(漢代) 유적의 시기를 연진시기로 올리는 데 논리적 근거가 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례가 다소 고고학적이지 않은 추론에 의존하고 있어 아직은 신뢰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요동지역 연진한 장성의 존재를 주장하기 위해서는 아직 더 많은 고고학 자료를 통한 논리적 보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中國의 “長城保護工程”과 高句麗·渤海長城 現況 및 對應方案 檢討

        이종수(LEE Jong-su) 고구려발해학회 2012 고구려발해연구 Vol.44 No.-

        이 글은 중국에서 현재 진행하고 있는 “장성보호공정”의 내용과 공정에 포함되어 있는 고구려·발해장성의 현황을 살펴보고, 우리의 대응방안이 무엇인지를 모색해 보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중국은 2003년부터 장성보호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여, 2005년에 “장성보호공정방안”을 마련하였고, 2006년에는 “장성보호조례”를 공포하면서 본격적인 공정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장성보호 공정은 두 단계로 나누어 실시되고 있는데, 1단계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이고, 2단계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이다. 중국이 장성보호공정을 추진하게 된 계기는 세계문화유산인 장성의 보호라는 대외적인 명분과 함께 새롭게 “역대장성”이란 용어를 만들어 내고 그 안에 현재 중국 영토범위 안에 있는 역대 왕조의 장성을 모두 포함시켜 장성의 길이를 확장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그동안 “만리장성”이 한족만의 문화유산이라는 전통적인 인식에서 탈피하여, 통일적다민족국가 이론에 입각한 중화민족 전체의 문화유산으로 새롭게 해석하려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다. 즉 새롭게 “歷代長城”이란 용어를 만들어내고 그 안에 현재 중국 영토범위 안에 있는 역대 왕조의 장성을 모두 포함시켜 장성의 길이를 확장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중국의 역대장성에 포함된 고구려·발해시기 장성유적으로는 노변강토장성, 목단강변장, 연변고장성 등이 있다. 장성보호공정에는 장성이 한족뿐만 아니라 현재 중국을 구성하는 모든 민족의 역사유물임을 부각시켜 자긍심을 고취시킴으로써 중국내의 국정불안을 극복하고 ‘국민통합’과 ‘영토통합’을 굳건히 하기 위한 숨은 의도가 있다. 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먼저 정부차원에서의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대응 전략이 마련되어야 하며, 중국이 역대장성이란 명칭으로 새롭게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할 경우 이를 저지하기 위한 국제적인 협력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학술적으로는 중국측 자료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중국의 주장을 반박할 수 있는 논리를 개발하여야 하며, 북한과의 협력연구를 통해 향후 있을지도 모르는 중국의 역사도발을 저지할 수 있는 확실한 자료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considered the contents of the project for protection of Great Wall in China and the current extent of long wall in Goguryeo and Balhae and tried to search the our counterplan. China concentrated on the protection of Great Wall from 2003. The project for protection of Great Wall in China begun with the plan for protection of Great Wall and the ordinance for protection of Great Wall. The project for protection of Great Wall in China was divided into the 1st step(2006-2010) and the 2nd step(2011-2015). The project for protection of Great Wall in China gone into effect in order to reinterpret the significance of Great Wall which has been regarded as the exclusive property of Han Chinese and the protection of Great Wall which was world heritage through the theory of multiracial nation. The project for protection of Great Wall in China tried to create a term of Great Wall of the Chronicles and to expand the length of Great Wall including Great Wall of dynasties of many generations within the Chinese territory. The long walls of Goguryo and Balhae which was included in Great Wall of the Chronicles were the long wall of Laobiangang, the long wall of Mudanjiang and the long wall of old Yanbian. The project for protection of Great Wall in China try to overcome the confusion of state affairs in China and to strengthen a national integration and a territorial consolidation by inspiring Chinese pride that Great Wall is regarded as the historical relics of all the peoples in China. Therefore, our government has to establish the long-term and systematic counterstrategy in order to counteract the project for protection of Great Wall in China. Also, if China make the Great Wall of Chronicles to the UNESCO list, our government will has to fi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cientific parlance, it is necessary to set out a logical theory that can refute an argument of China through the exhaustive analysis of Chinese data and secure the certain data that can impede the historical distortion of China through the cooperative study with North Korea.

      • KCI등재

        遼東地域 燕秦漢 長城 調査現況 및 問題點 檢討

        이종수(LEE JONG SU) 고려사학회 2011 한국사학보 Vol.- No.43

        It is after the independence in 1945 that begin the investigation of the Great Wall of Yan, Chin and Han Period in Liaodong Peninsula of China and a methodical approach is recently undertook through a national work in the northern part, the Inner Mongolia and the Liaoning of China that pass through the Great Wall. In 21st Century, it has been intensively studied about the Great Wall in Liaodong Peninsula of China. We can understand the basic direction of Great Wall through this latest research. However, looking into this study, their argue based on inferences and has not been verified some remains of the Great Wall in Yan, Chin and Han Period similar to Liaoxi. Therefore, it is confirmable not to build the Great Wall of Yan, Chin and Han Period in Liaodong Peninsula. The material that announced in the Chinese academy was only a China’s distortion of history that fitted this survey into the putative route for Great Wall of Liaodong. In order to counter against China’s distortion of history, it is necessary to verify and analyse the material that announced in the Chinese academy, At the same time, our scholars have to investigate directly remains, Moreover, the cooperative study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s inevitable to counter against China’s distortion of history that transformed the great wall of Daeryeung river into the Great Wall of China. Finally, the solution to this problem is to attract the response and the attention of people by raising constantly a question about China’s distortion of history and serving it to people in the academic world and the media.

      • KCI등재후보

        ‘다문화주의’에서 ‘초국가주의’로의 담론 확장 고찰- 주디 바카의 <거대한 벽>과 <세계의 벽>을 중심으로

        김진아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1 다문화교육연구 Vol.4 No.1

        For the past 40 years, community murals in the United States have become part of the communities and representative of the local and cultural identities, filling up the streets and alleys to look at and to speak of. This type of mural work originated from the Chicano and black mural movements of the late 1960s, and assumed the role of artistic and cultural leads in the civil rights movement. These mural movements exemplify how art could transform people’s consciousness and trigger the creation of new perspectives on not only local or ethnic identities but also national ones. Among the muralists who have grown out of this movement, Judy Baca is one of the most famous and influential artists and educators who proposed and practiced a significant new vision regarding the role of art. Through an analysis of Baca’s projects, this paper examines how she has expanded her perspective from a Chicano-based to a multicultural one and from a multicultural to a transnational one. Moreover, by focusing on The Great Wall of Los Angeles(1984) (hereafter, The Great Wall), this paper examines the educational methods proposed by Baca and effects of her work. The Great Wall, the longest mural in the world, depicts California’s history from the ancient times to the 1950s, and illustrates the sacrifices and contributions of diverse ethnic groups that were completely invisible in conventional textbooks. During the 1970s, cultural work such as community murals primarily followed separatist categories and notions such as Chicano’s work for the Mexican-American neighborhood and Black for Black. However, The Great Wall reflects a multicultural notion of history and identity, arguably for the first time, on a large scale. However,the painted wall itself does not convey the entire story of the painting of The Great Wall. The process and relations between the people who created the mural were regarded as important as the mural itself. In total, over 400 youth from multiracial groups were employed. For them and the neighborhood people, The Great Wall provided an educational program of training in interracial relations to help overcome prejudices and to better understand other cultural groups. Her later work, The World Wall: A Vision of the Future without Fear(1987~) (hereafter, The World Wall), represents another important step toward a more inclusive vision. It comprises eight dual-sided, 10 x 30 foot portable mural panels on canvas, literally crossing national borders, and has been created by a panel of artists from various countries such as Finland, Russia, Mexico, and Israel. While The Great Wall is a monument to the first multicultural works and reflects a national perspective, The World Wall is an attempt to end misunderstandings and conflicts from a transnational or global perspective. 지난 40여 년간 미국의 공동체 벽화는 마을의 골목길을 이야기 거리, 볼 거리로 채우면서 주민과 함께 했고 그 지역의 정체성을 대변해왔다. 특히 ‘치카노 벽화운동’은 1960년대 후반 민권운동의 예술적 기수 역할을 하였으며, 미술이 어떻게 공동체 구성원들의 의식을 변화시키고 한 국가의 문화적 정체성을 재규정해내는 데 적극 기여할 수 있는 지 보여준 사례였다. 본 연구는 생존하는 가장 대표적인 벽화가로 알려진 주디 바카(Judy Baca)의 프로젝트들을 살펴보면서, 그녀가 어떻게 민족중심적이었던 공동체 벽화를 다문화적 함의를 구현하는 작업으로 전환시켜 갔는지, 그리고 더 나아가 어떻게 초국가적인 시선으로 미술의 지평을 확장시켜 왔는지 고찰한다. 한편 학교밖 교육으로서 지역 청소년의 미술과 역사 교육에 획기적인 전례를 만들었던 <거대한 벽>의 작업 진행 방식의 특징과 의의도 짚어본다. 세계 최장(最長) 벽화인 <로스앤젤레스의 거대한 벽>(1976-1984)은 바카의 진두지휘아래 40명의 민속 사학자, 400여 명의 치카노계, 흑인계, 동양계, 백인 청소년 등이 협업하여 캘리포니아의 역사를 다양한 소수민 관점에서 그려낸 작업이다. 이는 치카노, 흑인 중심 등의 분리주의적인 민권예술운동을 종식하고 인종 간, 민족 간의 이해와 협력을 모색함으로써 다문화주의를 최초로 구현했던 기념비적인 벽화였다. 한편 바카는 그룹간 문화적 편견을 없애고 협력하여 작업하는 과정을 중요시 여겼기에, 여러 학교밖 교육적 방식을 고안하여 적용했다. 참여 학생들은 단결하여 열정적으로 그림을 그려갔고 그 후 그들이 미국의 역사적 사실에 대해 기억하는 것은 학교 수업이 아니라 <거대한 벽>을 통해서였다고 말할 정도로 이는 획기적이고 성공적이었던 프로젝트였다. 바카가 1987년 경 착수한 <세계의 벽: 공포 없는 미래를 향하여>는 초국가적 시각을 반영하는 벽화이다. 벽화의 내용은 각 국가의 특수한 역사를 재고하면서도 궁극적으로 비폭력적 저항과 인류의 화합과 균형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보다 코즈모폴리터니즘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한편 이 작품은 바카가 그린 패널들이 러시아, 멕시코 등 여러 국가로 이동하면서 그 지역의 작가들이 새로 그린 패널이 부가되는 방식으로 전시되어 오고 있다. 각 지역마다 다른 내용과 작업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에, <거대한 벽>만큼 참여 학생들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적 방식이 적용되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거대한 벽>이 다양성을 인정하면서도 여전히 ‘미국적’ 정체성을 재규정하는 다문화주의적 담론을 대변한다면, <세계의 벽>은 미술을 통해 전지구적 차원에서 대화하고 교류함으로써 인종, 민족, 국가 간의 경계에 대해 질문하고 반목을 종식시키고자 하는 보다 확장적인 시도이며, 초국가주의 시대의 다문화주의가 발전해 가야할 방향을 시사해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주요어 : 다문화주의, 주디 바카, 거대한 벽, 세계의 벽, 공공미술, 공동체 벽화, 치카노

      • KCI등재

        “延边长城”修筑年代考

        윤현철,尚 冬 雪,오태곤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Research on “Yanbian Great Wall” and Its Construction TimeYin Xuan-zhe, Shang Dong-xue, & Taekon Oh Abstract: The total length of the Great Wall in China is 2,119,618 kilometers, which is a valuable cultural heritage of all ethnic groups in different periods. The Great Wall in Yanbian is distributed in Helong, Longjing, Yanji, Tumen, and Hunchun which are 5 county-level cities of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Jilin Province. It is 114,384 meters long, and the shape is like the Chinese character “厂”. It consists of Hetu Section, Kulongshan Section and Hunchun Section. Since there is no record of the Great Wall in Yanbian in the history books at home and abroad so far, it has become a mysterious building. At present, the academic research on the Great Wall in Yanbian mainly includes the distribution trend, the construction age and so on. The research of the Great Wall in Yanbian has been on the right track and attracted the attention of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rs. Key Words: The Great Wall in Yanbian, Archaeological Survey,Distribution, Feature, the Construction Age “延边长城”修筑年代考尹 铉 哲*ㆍ尚 冬 雪**ㆍ吳 泰 坤*** 研究目的: 在系统整理学界相关研究成果基础上,探讨延边地区长城的特征及其始筑年代。研究方法: 文献史料、考古资料的结合研究方法和比较分析法。研究内容: 主要有“延边长城”的研究历程、主要特征、始筑年代考等。结论与建议:延边长城的3个区段修筑方式和走向呈现出不同特点,并非为同一历史时期的建筑遗产。窟窿山和珲春区段极有可能是汉魏时期的沃沮人为了防御挹娄的南侵而修筑的,后渤海国、东夏国沿用;和图段长城极有可能是渤海国为了防御来自唐朝的威胁而修筑、东夏国时期增筑沿用的军事防御设施。 关键词: “延边长城”, 考古调查,分布, 特征, 修筑年代 □ 接受日: 2022年 11月 6日, 修正日: 2022年 12月 18日, 揭載確定日: 2022年 12月 20日* 第一作者, 延边大学 人文社会科学学院 教授(First Author, Professor, Yanbian Univ., Email: yinxuanzhe163@163.com)** 共同作者, 延边大学 人文社会科学学院,博士研究生(Co-author, Master’s Course, Yanbian Univ., Email: Sdx67060@163.com)*** 通讯作者, 光州女子大学校 兼任教授(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Kwangju Women’s Univ., Email: t6713@naver.com)

      • KCI등재

        16~17세기 여진의 성장과 요동 변경지대 성격 연구 - 변경지대의 변화를 통해 본 만리장성 동단기점설 비판 -

        남의현 동북아역사재단 201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34

        This study aims at illuminating the fabrication of the Amnok (鴨綠)River being the eastern point of the Great Wall in the light of the dynamic development of Jurchens in the sixteenth century. The background, meaning, and intention of the extension of the eastern part to the Amnok River shall be examined. A critical change was in progress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century. While Japan tried to take dominance in East Asia through the Imjin War, Ming still took a pride as the superpower in East Asia,reinforcing close relations with Chosun. However,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ixteenth century was also witnessed in Jurchen areas as Jurchens attempted to become involved in new international affairs by absorbing large Manchurian tribes. However, the sixteenth century situation has not been the focal point because it has been blocked by a Chinesecentered historical view which includes the Amnok River hypothesis of the Great Wall. Why is it important to examine the Chinese position academically through the sixteenth century Jurchens? Is it justifiable or necessary?The reason for China to extend the eastern point down to the Amnok River was to preoccupy Manchurian history beyond a view of ‘expanding river area’, to keep stability in the midst of Northeast Asia’s political environment surrounding Manchuria which has already been revealed in the “Northeast Project,” and to counter North Korea. Accordingly, it might be said that the current historical situation in China to solve contemporary and future problems that they face might be an actual pivot in the background. When Zhu Yuanzhang (朱元璋) founded the Ming dynasty in 1368,had to withdraw to the Mongol area. When the Yuan government lost dominancy, Ming progressed into Liaodong and established the Liaodong Regional Military Commission (遼東都司) and succeeded in occupying a part of Liaodong. They intended to spread out to Mongolia and Heilongjiang (黑龍江). However, after Emperor Yongle’s in 1424, death (1403~1424) as no more active foreign policy was available, they changed their strategy to defend Liaodong through the Liaodong Regional Military Commission the which was leading to founding a solid Liaodong defense line in the middle and late Ming dynasty. Soon, became a military organization in the far eastern area to defend Liaodong in the beginning of the fifteenth century. Although there was some time to seek expansion during Yongle’s reign, they had a defensive role in general in the relation with northern territory tribes. Along with this background, the Liaodong defense line was moved back and they began to establish an outpost at the Amnok River. China today has nearly completed a theory that the eastern point of the Great Wall was the Amnok River, allegedly arguing that the Liaodong defense line was part of the Great Wall. This results from falsely assuming that some outposts created by Ming were part of the Great Wall. This in turn logically generates a frame that Ming had a solid reign over Liaodong. This reflects the current intention of China to remove any possible future conflicts with nearby countries over the riverside domain and Manchuria. Whether the eastern point of the Great Wall can be the Amnok River is especially important for determining the Ming dynasty’s sovereignty and territorial coverage. When China started the Northeastern Project,river territory in Ming became an important topic of study, and the book A Study on Northeastern Area in Ming dynasty (Jilin People Press,2008) was a typical work published in 2008 as a result of research to date. This book also argues that the Manchuria area during the Ming dynasty belonged to Ming. However, as this study shows, the Amnok River cannot be the starting point in the east. The Amnok River met the border with Joseon,Ming, and the Jurchens, who were struggling for power. Furthermore,what Ming constructed in the river area of the River huge wall, but a small outpost. Tha... 본 연구는 16~17세기 여진사회의 역동적인 변화과정을 통해 만리장성의 동단기점이 압록강이라는 중국의 주장을 비판해 보고자 한 논문이다. 16세기의 동아시아 국제관계는 매우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었다. 일본은 임진왜란을 통해 동아시아를 제패하려고 하였으며, 명나라는 여전히 동아시아의 강국임을 자부하며 몽골과 여진을 경계하면서 조선과 밀접한 관계를 강화시켜 나가고자 하였다. 그러나 16세기 후반기로 접어들면서 일본 이외에 여진지역에서 중요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다. 여진족이 부족을 점차 통합해 나가며 명의 遼東邊墻을 위협하면서 새로운 강자로 부상하고 있었다. 이러한 16세기 여진의 성장은 여진사의 복원을 뛰어넘어 16~17세기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새롭게 조명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현재 중국은 만리장성 동단기점을 압록강이라고 주장하고 명대 만주 지역에 산재하던 대부분의 여진족이 명의 기미위소로 살아갔다고 주장한다. 이는 곧 여진지역이 명의 강역이었다는 주장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16세기 여진사회의 역동적인 성장 모습과 이들에 대한 명나라 변경정책의 실상을 살펴본 결과 명나라는 수세적 변경정책을 취하였으며 압록강 변에 만리장성과 같은 연결된 벽돌성을 축조한 적이 없었다. 장성의 기본 개념은 ‘일선으로 연결된 성벽’을 의미한다. 중국은 명대 요동을 방어하기위해 설치한 요동변장을 확대해석하여 만리장성으로 주장하며, 그 마지막 지점인 호산산성에 산해관과 같은 벽돌장성을 산등성이를 따라 일선으로 축조하였고 만리장성의 동단기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결과 동단기점으로 알려진 호산산성은 명대 강연대보가 있던 자리였으며 이것은 명나라가 여진방어를 위해 압록강 유역의 고구려 성을 활용한 고립된 석성이자 여진을 방어하기 위한 전초기지에 불과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전초기지를 중국이 만리장성으로 둔갑시킨 결과가 현재의 호산산성이며 이를 통해 전체적으로 명대 요동지배가 매우 견고하고 명의 강역이 매우 넓었다는 이론적 틀을 만들어 나가고 있다. 90년대 이후 중국이 만리장성의 동단기점을 압록강유역으로 확장시킨 배경에는 '강역의 확장'이라는 단순한 관점을 넘어 근세 만주 역사에 대한 선점, 변경의 안정 , 북한에 대한 대응, 경제 개발 등과 같이 현실과 미래에 닥칠 다양한 문제를 복합적으로 풀어나가고자 하는 현실적 목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中國歷史地圖集』의 戰國時期 燕 長城 고찰

        공석구(Kong, Seok-koo) 백산학회 2014 白山學報 Vol.- No.99

        『中國歷史地圖集』에 제시된 燕 長城을 검토하였다. 특히 한반도 중북부 지역까지 연결시킨 연 장성의 실체를 분석하였다. 燕 長城은 요하이동지역에서 고고학적으로 그 구체적인 실체를 밝혀내기에는 그 근거가 충분치 않다. 『地圖集』에 제시된 요동지역, 한반도지역의 燕 長城 노선은 당시의 사료에 나타난 상황과는 부합하지 않는다. 당시 사료에 障塞, 障으로 기록된 것을 『地圖集』에서는 長城이라고 해석하고 이를 표기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해석은 무리가 있다. 장성과 장새, 장은 당시에 다른 개념으로 인식 사용되고 있었다. 『地圖集』에 구체적으로 제시된 燕 長城 노선도에 문제가 있다. 고고학적인 근거가 전혀 뒷받침되지 않았다. 압록강을 건너 한반도 중북부지역까지 연결시킨 燕 長城은 이를 뒷받침할 만한 학술적인 근거를 찾기가 어렵다. 『地圖集』에 제시된 노선도는 그 근거에 대한 역사적, 고고학적인 뒷받침이 없어, 학술 자료로 이용하기엔 문제가 있다. 더욱이 『地圖集』출간이후 1987년 북한에서 조사 보고된 이른바 대령강장성은 그 노선도에서 『地圖集』과는 달라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후의 중국학자들은 대령강장성을 燕 長城유지가 구체적으로 확인된 것으로 인식하였다. 하지만 대령강장성에 대한 고고학적인 조사결과 燕 長城이라고 파악할 학술적 근거가 충분하게 제시되지 않았다. 특히 燕 長城의 東端이라고 『地圖集』에 특별히 표기된 '滿潘汗'에 대한 구체적인 위치비정에 문제가 있다. '滿潘汗'과 관련하여 제시된 박천지역의 '古博陵城'에서 고고학적인 흔적을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地圖集』에 제시된 청천강까지 연결된 燕 長城의 실체와 이와 같은 『地圖集』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이후 중국학자들의 연구내용은 문헌적인 측면, 고고학적인 사실관계 등을 고려해 볼 때 학문적으로 신뢰하기 어렵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The Historical Atlas of China(TANQIXING, 1982, CHINA CATROGRAPHIC PUBLISHING HOUSE) is the most representative compilation of historical maps of China, which was published in 1982 after a generation of research. Inside this work, Yen-era Great wall of China is stretched all the way to middle and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article therefore is aimed at critically examining such subject. I have discovered that the great wall drawn in this atlas implicates many problems as follows. First, an indication that the great wall of the Yen kingdom which crosses the Yalu river deep into the peninsula does not have much supportive academic grounds, let alone the backings of documentary records, since the wall's archaeological evidences lack concreteness. Thus, it seems logical that the wall did not pass the Liao river. The Great Wall of China appearing in the historical atlas also is portrayed contrary to the actual developments of contemporary Yen kingdom, and does not correspond to the investigation results of other Chinese scholars as well. Nevertheless, this atlas currently exerts considerable influence in and out of China. Hence, this article concludes that Yen-era great wall of The Historical Atlas of China does not provide any tangible proof, so that such material is unfit for serious research purposes.

      • 中國東北境內的燕秦漢長城與早期鐵器時代文化

        주영강 ( Young Gang Zhu ) 단국사학회 2013 史學志 Vol.46 No.-

        이 논문은 중국 동북지역 내 연(燕)·진(秦)·한(漢) 장성(長城)과 초기 철기시대 문화에 대해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1장에서는 연·진·한시기 장성의 대체적인 위치를 비정한 후, 2장에서는 장성 이북의 유적과 무덤에서 나온 철제 유물들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이 철제유물들의 시기를 고정(考定)하고, 또 철기의 원류가 중원이기 때문에 중원의 한(漢)문화가 이 지역에 많이 전파되고 영향을 주었음을 논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장성 이북 지역에 중원계통에 속하지 않는 무덤들이 존재하므로 독자의 문화가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의 철기문화는 중원의 철제 기술이 전파되어 이를 흡수하여 이루어진 것이 라고 본다. 다음으로 4장에서 이러한 동북지역의 초기 철기문화 범주안의 여러 각 문화를 구분하고 이 문화의 주인공을 각기 동이집단(동부), 오환·선비집단(서부)의 범주에 넣고 그들 집단의 기원을 추적하여 ①송화강 서쪽은 부여족(포자연(泡子沿)문화, 대가산성층문화, 서단산문화에서 기원), ②압록강 중상류지역은 선(先)고구려, 고구려문화로 보고, ③도문강, 수분하유역의 단결문화는 옥저, ④삼강평원의 파이채(波爾采)문화, 곤토령(滾토嶺)문화는 읍루족계, ⑤호륜패이초원은 탁발선비족, ⑥송눈평원의 한서2기문화는 부여 초기문화 및 초기 탁발선비의 전 세대문화를 구성한다고 보았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Great Wall of Yan·Qin·Han and early iron-age cultures in northeast China. The chapter 1 estimates the approximate location of the Great Wall of Yan·Qin·Han, and then the chapter 2 presents the iron relics discovered from the sites and the tombs in the north of the Great Wall. The chapter 3 estimates the age of those iron relics, and argues that since the origin of ironwares was the central China area, the Han culture of the central China area was widely spread in and influenced the north of the Great Wall area. Through it, it is asserted that despite that the existence of independent cultures can be seen as in the north of the Great Wall are tombs which do not belong to the central China area style, the iron-age culture in the area was formed by absorbing the central China`s technology manufacturing ironware. Then, the chapter 4 categorizes various iron-age cultures in the northeast China area and traces back their origins within the eastern Dong-yi tribes and the western Ohuan·Xianbei tribes: ①the Buyeo tribes` culture in the west of the Songhua river, ②the Pre-Goguryeo and Goguryeo culture in the mid and upper stream of the Yanlu river, ③The Tumen and Subunha river valley`s Dangyeol culture originating Okjeo, ④ Samgang plain`s Boercai culture and Guntuling culture originating Eupru tribes, ⑤Holunpei plain culture originating Tuobaxianbei tribe, and ⑥Hanshu 2nd period culture in Songnun plain originating the early Buyeo culture and the early Tuobaxianbei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