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시아 지역 여성 역량강화를 위한 한국 공적개발원조(ODA) 방안 : 인도와 필리핀의 기술직업교육훈련(TVET) 사례를 중심으로

        김효정,마정윤,이슬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4 여성학논집 Vol.31 No.1

        본 연구는 아시아 지역 여성의 역량강화를 위한 한국 공적개발원조(ODA)를 모색하는데 있어 기술직업교육훈련(TVET)에 주목한다. 한국의 교육 분야 개발협력은 아시아를 중심으로 기술교육과 일자리에 대한 TVET를 중점적으로 지원해왔다. 그러나 여성의 역량강화라는 목표에 있어 TVET의 예산, 기획, 시행 및 평가 정도는 성중립적(gender neutral)이거나 때론 몰성적(gender blind)이었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2012년 교육예산은 전체예산의 약 23%를 차지하는 반면 여성을 직, 간접적 목적으로 하는 TVET의 예산은 전체 예산의 약 1%였고, 기존의 여성 대상 TVET 사업들은 대개 여성 노동의 특성을 고려한 접근성이 부재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의 ODA 사업 중 젠더통합적인 TVET 사례를 아시아 여성의 역량강화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해 시민사회(CSO)에 대한 다자간 프로그램 원조 사례인 인도의 맨발학교(Barefoot College)와 양자 간 프로그램 원조 사례인 필리핀의 여성경제역량강화교육을 분석하였다. 이 두 TVET 사례의 특징은 단순히 여성을 임금노동 시장으로 편입시키는 것이 아니라 여성이 처한 현실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경제적 역량강화를 이루고 있는데, 이를 위한 주요한 요소로는 개인과 지역 공동체의 통합적인 발전, 여성노동에 대한 전체적인 접근, 여성들 간의 차이 고려를 통한 접근성 증대, 성별고정관념을 넘어선 여성노동에 대한 충분한 고려 및 남녀 모두에 대한 성 평등 의식 고양 등이 요구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VET(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or Korean ODA(Official Development Aid) to enhance Asian women's empowerment. Educ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Korea aids in priority TVET to expand technical education and job creation for recipient countries. However budget and planning and evaluation of TVET were generally gender neutral or gender blind. This study found the aid budget of KOICA's TVET projects on women was less than 1% and existing TVET projects of ODA for women or gender equality in developing countries failed to analyze and adjust the women's status of local labor market and characteristic of women's labor. To understand the gender integrated TVET, it reviewed TVET cases of foreign ODA the 'Barefoot College' program in India funded by UNDP and UNESCO, and 'Gender-Responsive Economic Actions for the Transformation'(GREAT) in Philippine funded by CIDA. These two cases are not just added women into wage labor market, its approach was based on the comprehensive perspective of women's economic empowerment which includes several factors that the integrated development between individuals and local community level, holistic approach of women's labor, advancement of acces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women's differences, overcoming the gender stereotypes of women labor and raising the gender equality awareness.

      • 소녀들의 보다 나은 삶(BLG)

        이남철 한국국제협력단 2016 국제개발협력 Vol.2016 No.1

        인적자본의 한 요소로서 TVET는 국가 경제발전에 대한 기여가 큰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개발도상국은 선진국과 비교해서 TVET 참여율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은 2015년 9월 유엔 개발정상회의를 계기로 국제사회에 공표된 정부 개발협력 구상인 ʻ소녀들의 보다 나은 삶(BLG)ʼ에 대해 향후 전략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제 2장에서는 국제기구 등에서의 양성 평등을 위한 TVET 전략, 제 3장에서는 한국의 ODA 사업을 분석을 하였다. 한국의 ODA 사업 분석에서는 2016년 ODA 예산 규모 및 주요 추진 과제와 전략을 분석하였다. 제 4장에서는 TVET의 여성정책과 ODA 분석을 위해서 국제기구 등에서의 여성정책, TVET 분야에서의 ODA 및 여성 분야 TVET에서의 ODA 실태를 살펴보았다. 제 5장에서는 TVET와 BLG 구상 분석에서는 BLG 개요와 중요성을 분석하였다. 제 6장에서는 TVET 개발 협력의 비전 및 추진 전략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장은 본 논문의 결론이다.

      • KCI등재

        직업계고 전문교과 연계 세계시민교육 사례 연구: 미용교과를 중심으로

        박미재,정성경,박환보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23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 학생의 세계시민성을 증진하기 위한 직업계고 전문교과 연계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세계시민교육을 직업계고 교육 현장에 적용했을 때의 직업계고 학생이 경험한 세계시민교육의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와 그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미용교과의 실무과목 내용 중 ‘창의 활동’은 세계시민교육이 포괄하고 있는 다양한 주제를 활용하여 수업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직업계고 학생들은 환경, 인권, 문화다양성, 평화를 주제로 아트 메이크업 작품 제작 활동을 수행하며, 세계시민으로서 삶을 성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직업계고 교육 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의 특징과 기대효과, 그리고 한계점에 대해서 논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that integrates with the specialized curriculum of TVET schools to enhance the global citizenship of students in TVET. Additionally, the study intends to explore how students in TVET experience GCED when it is implemented in TVET. The main analytical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actical content of the beauty curriculum, which is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specifically ‘creative activities,’ can serve as material covering various themes of GCED.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GCED linked to beauty education is possible in TVET. Second, students in TVET high school who participate in the GCED program actively engage in creating an art mask focusing on themes such as environmental issues, human rights, cultural diversity, and peace. Through these activities, students reflect on their daily lives and consider their role as global citizens. This stud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expected effects, and limitations of a feasible GCED program in TVE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 KCI등재

        한국-CLMV(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교육분야 ODA 분석 및 글로벌화 전략: 직업기술교육훈련을 중심으로

        이현정,김애진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5

        This thesis aims to suggest globalization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TVET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in CLMV, Korean’s country partnership strategies, and ODA status to enhance the cooperation with the ASEAN for the Act of New Southern Policy and to seek the co-prosper cooperation plans with CLMV countries which have high economic potential. For this, the strategie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mid to long term educational cooperation direction of TVET issued by multilateral organization such as SEAMEO. As the integrative TVET development model applicable to CLMV establishes the cooperative system among the mutual stakeholders, it moves forward the main tasks with ①building the integrated TVET programs, ②building the integrated qualification system, ➂promoting interconnection, and ④sharing mutual information. Ultimately, it aims to realize the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TVET for the vitalization of exchanges, the promotion of research cooperation for sharing expertise, and the human resource exchange through network sharing.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신남방정책을 위한 아세안과의 협력관계 강화 및 경제성장 잠재력이 높은 CLMV 국가들과의 상생 협력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CLMV의 국별 교육 현황, 한국의 국가협력전략, ODA 현황을 바탕으로 직업기술교육훈련의 발전을 위한 글로벌화 전략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 따른 문헌조사, 세계은행을 비롯한 국제기구 및 ODA Korea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ODA 현황을 분석하였고 SEAMEO 등의 TVET 중장기 교육협력방향을 기반으로 전략을 수립하였다. 對 CLMV 통합형 TVET 발전모델은 상호이해관계자 간의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① 통합 TVET프로그램 구축, ② 통합 자격시스템 구축, ➂ 상호 연계성 증진, ④ 상호 정보공유를 주요 과제로 추진하여 궁극적으로 교류 활성화를 위한 직업교육의 표준화 및 체계화 구축, 전문지식 공유를 위한 연구 협력 증진, 그리고 네트워크 공유를 통한 인력교류를 실현하고자 한다.

      • KCI등재

        실업자 직업훈련생의 훈련서비스 품질과 훈련만족도 및 고용가능성의 관계

        정선정 한국직업교육학회 2014 職業 敎育 硏究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difference and relationship among the TVET(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ervice quality, training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of unemployed vocational trainees who participate in the National Infrastructure and Strategy Industries training,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training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VET service quality and employability, and then to provide useful suggestions establishing policies and making institutions better related to TVET. The result of review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VET service quality(3.96), training satisfaction(3.89) and employability(3.67) of the unemployed vocational trainees showed above average based on five-point scale. Second, the level of employability of trainees who were older married showed higher than younger trainees. Third, main factors influencing on both of training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of trainees among serveral TVET service factors showed contents of course, career guidance and administrative support, in which contents of course and career guidance influended the most on training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Forth, training satisfaction of trainees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VET service quality and employability. 이 연구는 직업훈련에 참여하고 있는 훈련생이 인식한 훈련서비스 품질과 훈련만족도 및 고용가능성의 수준과 차이 및 각 관계를 분석하고, 훈련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구명하는 것으로, 정부의 관련 정책 수립 및 제도를 개선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고용노동부가 지원하는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에 참여하고 있는 실업자 직업훈련생(989명)을 대상으로, 훈련서비스 품질과 훈련만족도 및 고용가능성에 관한 조사도구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회수된 자료(889명)는 Windows SPSS 20.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훈련생이 인식한 훈련서비스 품질(3.96)과 훈련만족도(3.89) 및 고용가능성(3.67)은 모두 보통 이상으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고용가능성이 다른 변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기혼인 훈련생이 미혼보다 고용가능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다양한 훈련서비스 품질 하위요인 중에서 훈련만족도와 고용가능성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업내용, 진로지도, 행정지원으로 나타났고, 이 중에서 수업내용과 진로지도는 다른 요인에 비해 훈련만족도와 고용가능성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고용가능성은 훈련서비스 품질의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훈련만족도를 매개로 훈련서비스 품질이 고용가능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도 나타나, 훈련서비스 품질과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훈련만족도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 KCI등재

        글로벌 TVET에서의 PBL 적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미화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4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10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PBL application at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BL was applied to the course of the A University's global TVET and these PBL classes were organized and operated for 8 weeks. After that, written interviews and survey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Learners responded positively to their satisfaction and engagement to the PBL experience and also presented that they felt that communication skills and problem-solving skills were cultivated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process and team activities.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precedence of content analysis and learner analysis, related support for the spread of PBL application in TVET, and support to strengthen teaching competency on PBL at TVET were proposed.

      • Future TVET in Asia Pacific : The Impact of Social, Economic an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n Sustainability

        Dr. Ramlee MUSTAPHA 한국직업자격학회 2017 한국직업자격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0

        The impact of globalization on TVET is unprecedented. Changing in the social and economic landscapes has transformed the theory-practice nexus in TVET teacher education. Another revolution is needed to transform TVET system and to prepare TVET graduates for the 21stcentury realities. Drawing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VET must focus on the whole learner – morally, intellectually, physically, socially and aesthetically. In the new economic era, digital intelligence, multi-literacies, innovative and inventive thinking and enterprising are keys to the 21st century TVET model. Authentic learning typically focuses on solving real-world and complex problems using role-play exercises, problem-based activities, gamification, case studies, and active participation. The emergence of digital learners has changed the teaching-learning paradigm. Gen-Zs take advantage of the enormous resources of the cyberspace by using digital technologies to create something innovative and impressive. The social learning environments are inherently multidisciplinary, thus, authentic learning could be a dynamic tool to enhance learning an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ngage in higher-order thinking and active learning. Economic, social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poses many challenges to TVET educators. Hence, TVET educational leaders need to focus on seeking new innovative models of TVET teacher education, pedagogy and learning, and support services. World-class TVET teacher education program could attract best students. In order to raise teachers and students’ competencies and standards, it is not enough to declare high performing schools; it is critical to develop thinking and well-rounded students who are the future high performing thinkers and innovators. For the innovation culture to flourish, granting flexibility and autonomy is a way of moving forward. To be competitive and sustainable and to gain international recognition, Asia Pacific countries need to develop transnational standards for TVET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with a multidisciplinary and innovative orientation. To be resilient, Asia Pacific region needs a dynamic and sustainable TVET teacher education framework or a roadmap for producing quality TVET teachers in the context of sustainable development. Finally, the future education will be more digitized, interactive, personalized, multidisciplinary, and innovative.

      • KCI등재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정선정 한국직업교육학회 2011 職業 敎育 硏究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level of job stress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TVET) teachers, and to look deep into the difference of job stres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and then to provide useful suggestions improv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TVET teachers in the future. The object of the study was 667 TEVT teachers providing Training of National Infrastructure and Strategy Industries supported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survey research consisting of 11 job stress factors was conducted, and then the respondent was 243 TEVT teachers. The result of review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VET teachers' overall job stress showed high by 3.58 on the average based on five-point scale. Second, Government Policy Operations among the job stress factors was very high by 4.36, in sequence, the order of job stress's level was Government Evaluation and Assessment (4.23), Training Performance Management (3.96),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3.96), Work Overload (3.62), Class and Trainee Management (3.61), Career and Employment Guidance (3.60), Bureaucratic Operation (3.48). Third,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VET teachers, the more TVET teachers were lower age and irregular teacher, had shorter experience, and worked for private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w Treatment and Employment Insecurity. On the other hand, the more TVET teachers had longer career, were class teachers and worked for public TVET schools, the higher the level of TVET teachers' job stress was in the factor of Loss of Authority. 이 연구는 직업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고,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구명함으로써 향후 직업훈련교사와 관련된 정책과 제도개선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고용노동부가 지원하는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직업훈련교사(667명)를 대상으로, 11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자료(243명)는 SPSS win 15.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직업훈련교사의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는 5점 척도기준 평균 3.58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요인별 직무스트레스로는 정부정책 운영이 4.3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정부평가 및 심사(4.23), 훈련성과 관리(3.96),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3.96), 업무과중(3.62), 학급 및 훈련생 관리(3.61), 진로 및 취업지도(3.60), 관료적 운영(3.48) 등의 순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훈련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연령이 낮고 경력이 짧고 비정규직이고 민간기관 일수록 낮은 대우 및 고용불안에서 스트레스 차이가 나타났고, 경력이 길고 겸임·전임교사이고 공공기관 일수록 권위상실에서 직무스트레스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Gateways Lifelong Learning in TVET for a Viable Future of Bangladesh

        Raihan, Abu,Han, Seung Lock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1 평생학습사회 Vol.7 No.2

        Procurement, production and proper utilization of ‘high-tech’ is a major concern for the developing country like Bangladesh. Till now there have no learning center which can provide the continuing technical awareness and precaution among the community in Bangladesh. Most of the consumers and the stakeholders of the country are working every moment with modern amenities without academic ‘know-how’. Thus, the article focuses on Lifelong Learning fasten with TVET perspective. It promotes the view that TVET canister to play a central role within any learning initiatives. The objective of the article is therefore to present the claim that Lifelong Learning Centers must have the relation with TVET framework to enable an effective interaction among the communities. The literature-based methodology used to prepare this article for analysis the main issues covered. The idea that the article generated is not the country specific. Moreover, it will helpful as it needs for some other countries where TVET involved uttering the newness of technical inventions in the scientific society. 하이테크의 개발과 활용은 방글라데시와 같은 개발도상국가들이 갖는 주요 관심사의 하나이다. 이들 개발도상국가들은 하이테크기술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인식하고 대비하도록 하는 학습센터와 같은 기구를 아직 갖추지 못하고 있다. 이들 국가들에서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이들 현대적 하이테크 성과물들을 어떤 과학적 지식이 없이 단지 편의에 따라 사용하고 있을 뿐이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하이테크 기술 에 대한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TVET)에 관계된 평생학습에 초점을 두었다. 이 논문은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에 관한 교육프로그램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중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떤 장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평생학습센터가 수강생들과 개발자들, 교수자 및 정보제공자들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직업기술교육과 연계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는 문헌분석을 통하여 관련 문제들을 검토하였다. 분석된 문제들은 방글라데시에서 디지털 정보의 확산으로 야기되는 문제들과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직업기술교육 및 훈련을 수행하기 위한 지역자원센터가 지속적으로 요구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평생학습의 효율성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지식과 정보에 대처할 수 있는 학습자의 능력에 달려있다고 주장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기한 아이디어는 어느 특정지역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과학적 진보를 위해서 직업기술교육을 필요로 하는 어느 지역에서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 논문은 국가적 기준에 합당한 평생학습이 다양한 분야의 과학적 정보원을 가진 학습자들의 적극적 참여를 필요로 하는 직업기술교육 분야에서의 교육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이 논문은 평생교육에 관한 정책과 규정의 개발 분야와도 관련 된다.

      • KCI등재

        네팔 직업기술교육훈련 교사들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요구조사

        임진호,김동욱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0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2 No.1

        Promoting job growth and quality has been central to developing countries to reduce poverty for decades. In this regard, Nepalis not unique in its need to develop effective TVET programme as it is considered showing positive association with workforcedevelopment and productivity. While the copious academic literature has highlighted upon staff training programme in generaleducation, it encounters lack of adequate attention in the field of TVET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ty and pri-oritis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needs for the teachers of TVET sector in Nepal. A sample(N=317) of Nepalese teachers fromseven provinces were asked to answer the scale. The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was employed to assess the perceived level ofimportance and present preferred training modules among 29 teaching subjects. Moreover, a quadrant analysis using 2×2 matrixwas used as a diagnostic tool to denote overriding training topics. The result shows that following competence skills constructs wereperceived to be in high need of enhancement as well as in existence of discrepancie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TVET trainer’,‘training needs analysis and curriculum development’,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national competence standard(NCS)’, and‘Institution management evaluation’. 개발도상국에서 직업기술교육훈련이 각광받고 있는 이유는 일반교육보다 직업기술교육훈련이 상대적으로 사회적 유용도가 높고 일자리와 생산성 그리고 경제성장과 높은 상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 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교육 분야에서는교사나 교원교육에 대한 주제와 관련된 연구들이 폭넓게 진행되고 있는데 반해, 직업기술교육훈련 분야에서는 일반이론이나모형개발에 필요한 사례연구 등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아직 제한적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네팔의 직업기술교육훈련 교사들이 교직을 수행해 나가는데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훈련 과목(training module)에 대해 훈련생 본인들이 스스로 인식하는 ‘현재 상태’와 ‘기대수준(중요도)’을 각각 측정하였다. 이어 해당 지표 간의 격차를 바탕으로 훈련 프로그램 우선순위를 구분함으로써 향후 직업기술교육훈련 교사의 훈련 또는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정책을 설계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를 통해, 총 29개의 훈련 과목에 대한 보리치(Borich)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7. NCS 기반의 교육과정 개발(4.82)’의 요구도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5. NCS 기반 TVET 교육 프로그램 평가(4.79)’, ‘6. 교육 요구분석 및 교육과정 개발(4.56)’, ‘11. TVET 정책 및 인사 관리(4.56)’, ‘12. TVET 훈련교사 리더십 역량 개발(4.38)’ 과목들이뒤를 이었다. 더불어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적용해 우선순위 항목들로 지목된 교육과목들을 재검정한 결과, ‘6. 교육 요구분석 및 교육과정 개발’, ‘7. NCS 기반의 교육과정 개발’, 그리고 ‘1. TVET 훈련교사의 직업 특성 (역할, 직업 윤리 등)’ 등이 이상적 수준의 우선순위 훈련 과목으로 최종 분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