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국의 구조충격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김소영 한국국제금융학회 2011 국제금융연구 Vol.1 No.1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U.S. structural shocks on Korean economy. U.S. structural VAR models with long run restrictions are used to identify U.S. structural shocks. Then, the effects of U.S. structural shocks on Korea are analyzed based on Korean VAR models that include U.S. structural shocks exogenously.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U.S. structural shocks tend to generate positive comovements of real GDP and price level between U.S. and Korea. Second, after Asian financial crisis, the effects of U.S. structural shocks on Korean price level tend to decrease but the effects on exchange rate tend to increase. These results seem to be related to the monetary and exchange rate policy changes and the decrease in the level of Korean trade dependence on the U.S. Third, supply side shocks, among various structural shocks, have a relatively large effects on Korean economy. Fourth, although the effects of U.S. structural shocks on Korean economy are significant, the effects on real variables are limited. 본 연구는 미국의 구조충격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장기 제약을 미국의 주요변수들을 포함한 구조 VAR 모형에 부가하여 미국 구조충격을 식별한 후, 추정된 미국 구조충격을 외생적으로 가정한 한국의 주요 경제변수들을 포함한 VAR모형을 추정하여 미국의 구조충격들이 한국 경제 주요변수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실질 GDP와 물가를 변화시키는 미국 구조충격은 한국의 실질 GDP와 물가에 (+)의 국제 전이효과를 주고 한국과 미국의 실질 GDP와 물가를 동조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둘째, 외환위기 이후 미국 구조충격들의 한국물가와 인플레이션에 대한 영향이 감소한 반면 환율에 대한 영향은 증가했는데 이러한 현상은 외환위기 이후 보다 자유로운 환율정책과 물가안정화를 강조하는 통화정책으로의 변화 그리고 대미 무역 의존도의 하락과 관련 있는 듯하다. 셋째, 미국 구조충격 중 공급부문 충격의 한국경제에 대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더 크다. 넷째, 미국 구조충격의 한국경제의 주요변수에 대한 영향은 명확하나, 실물부문에 대한 효과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다.

      • KCI등재

        우리나라 경제의 잠재성장 및 경기변동에 관한 분석

        오형석 ( Hyoung Seok Oh ) 한국금융연구원 2007 금융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 경제가, 성장잠재력이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가운데 경기의 진폭은 매우 확대되고 있는 상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는 먼저 외환위기 이후 평균 잠재성장률 및 경기변동성에 통계적인 변화가 발생했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3-State Markov Switching 모형을 이용하여 잠재성장률의 평균 및 GDP갭의 조건부 분산을 분석한 결과, 최근으로 올수록 잠재성장률은 크게 하락한 가운데 GDP갭의 진폭은 매우 확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고에서는 "성장잠재력 약화" 및 "경기변동성 심화"라는 실증분석 결과에 대해 총공급-총수요 측면에서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Blanchard & Quah(1989)가 제시하고, Koichiro & Naohisa(2002)가 발전시킨 구조 VAR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거시경제에 발생하는 충격을 국내공급충격, 세계공급충격, 국내수요충격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국내공급충격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크게 축소된 반면, 세계공급충격의 영향력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수요충격의 파급효과는 단기에 크게 증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계공급충격은 세계적인 기술확산에 따라 실물경제 파급효과가 증대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를 우리나라만의 특징적인 현상으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국내공급 측면에서는 외환위기 이후 국내투자부진, 노동공급축소 및 IT산업의 낮은 생산파급 효과 등으로 산출량에 미치는 효과는 이전기간에 비해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잠재성장률 하락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수요충격은 외환위기 이후 산출량에 미치는 효과가 매우 커진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정부의 단기성 경기부양정책 및 IT산업의 비중 확대 등으로 인한 민간소비 및 수출의 변동성 확대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고에서는 단기적인 경기변동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약화된 성장잠재력을 회복시키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정부는 경기변동을 심화시키는 단기성 경기부양정책을 지양하고, 기업들의 국내설비투자를 유인하기 위한 유효성 있는 정책을 시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내 IT산업과 관련한 소재부품 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육성정책이 필요하며,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을 발굴·육성시키는 일도 서둘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중앙은행은 물가가 안정된 상황에서도 여타 부문의 불균형이 발생할 경우 선제적인 정책대응을 통해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유도해 나가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Since the currency crisis in 1997, South Korea has been losing its economic vitality with dramatically shrunken consumption and investment and continued slowdowns. South Korea`s economic volatility has expanded, experiencing repetitive recoveries and recessions after the strong recoveries in late 1999-early 2000. There are also growing concerns about weakening growth momentum. This paper analyzed the structural break in potential growth rate and volatility of GDP-gap using 3-State Markov Switching model and also empirically studied if there existed structural break in the response of the output to the supply-demand shock using the structural VAR model proposed by Blanchard and Quah. The analyses shows that the level of potential growth rate is declining and economic fluctuations are getting more volatile after the crisis in South Korea. In the mean time, the analysis on the supply-demand reveals that response of output to the world supply shocks increase while that to the domestic supply shocks decrease. The response of output to the domestic demand shocks go up in the short run but go down in the long run. These findings suggests that South Korea concentrates its effort on dissolving overall economic uncertainties and recovering growth momentum.

      • KCI등재

        VAR을 이용한 환율전가도 분석

        장봉규 한국국민경제학회 2003 경제연구 Vol.21 No.1

        우리나라 수출입물가지수를 이용하여 환율전가도를 분석하는 경우, 수출입물가지수, 환율 뿐아니라 비용과 소득을 대변하는 변수들도 대부분 단위근을 가진 불안정한 시계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출입물가지수와 환율간에는 안정적인 장기 공적분관계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래서 이 논문은 구조VAR모형을 이용하여 환율전가도를 분석하였다. 수출의 경우 공산품의 장기 환율전가도는 추정방법에 따라 69.5-74.6%로 나타났으며 약8분기에 걸쳐 수출가격이 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의 경우 공산품의 환율전가도는 약93.3-94.4%로 완전전가에 가까운 수치를 보여주었으며 그것도 4분기 안에 거의 모든 조정이 완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예측오차 분산분해에서 의하면 8분기 전 예측에서 우리나라 수출물가 교란의 약 1/3 정도가 환율충격 때문인 반면 4분기 전 예측에서 수입물가 교란의 약2/3가 환율충격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pass-through of exchange rate in Korean Manufactures. The export prices. import prices and exchange rates are nonstationary I(1) variables, the cointegrations between export prices and exchange rate, and between import prices and exchange rate do not exist. So we use the VAR model to analyse the pass-through. In the export of manufactures the long-run degree of pass-through of exchange rate is 69.5-74.6%, export price is adjusted during above 8 quarters. In the import of manufactures it is about 93.3-94.4%, nearly perfect pass-through. import price is adjusted in 4 quarters.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the exchange rate shocks to export price fluctuations, at a 8 quarters horizon, is about one third, but at a 4 quarters horizon. the relative contribution to import price fluctuations is about two thirds.

      • KCI등재

        장기제약 VAR모형에 의한 한국의 실질환율 변동요인과 균형실질환율

        정명철 한국은행 2003 經濟分析 Vol.9 No.3

        본고는 화폐적 충격은 장기적으로 실질환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기본적 가정 하에서 장기제약 구조적 VAR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실물부문에서의 대내외의 거시경제적 충격이 실질환율에 미치는 장기적 성격을 검토하고 이에 입각하여 균형실질환율을 구성한 후 실제의 실질환율이 균형실질환율로부터 이탈하는 불균형적 괴리와 경상수지의 움직임을 비교한다. 특히 본고에서는 실질환율이 대외적 경쟁력의 거시적 기본지표가 되고 있음을 고려하여 대외적 충격으로서 국가 경쟁력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yen/dollar 환율변화의 실질환율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실물부문에서의 거시경제적 충격으로서 yen/dollar 환율충격, 공급충격 그리고 수요충격을 다루고 있는데 이들 충격요인들은 모두 실질환율의 항구적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실질환율의 균형적 변화를 구성하고 또한 실질환율변동의 대부분은 균형적 변화에 의한 것으로 나타난다. yen/dollar 환율충격과 수요충격은 실질환율의 항구적 상승(depreciation)으로 그리고 공급충격은 실질환율의 항구적 하락(appreciation)으로 귀결된다. 실제의 실질환율과 균형실질환율의 차이를 나타내는 불균형적 괴리는 실제실질환율의 균형실질환율로의 조정시차와 화폐적 충격에 의하여 발생하는데 특히 1995Q3-1997Q3의 기간에 실질환율의 불균형적 괴리가 음(-)의 값을 취함으로써 실질환율의 과대평가(overvaluation)를 보이고 동 기간의 경상수지의 적자와 양(+)의 상관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실질환율의 과대평가는 균형실질환율의 급격한 상승(depreciation)을 초래하는 yen/dollar 환율충격에 대한 실질환율의 조정시차와 실질환율의 일시적 하락(real appreciation)을 일으키는 화폐적 충격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Assuming no long-run effects of the monetary shocks on the real exchange rate, this paper examines long-run effects of real domestic and foreign macroeconomic shocks on the real exchange rate based on the long-run restriction structural VAR methodology. In this paper, especially yen/dollar exchange rate shock is chosen as a foreign shock because of its assumed importance on external competitiveness of Korea during the covered period. The long-run effects of real shocks on the real exchange rate become a basis for calculating a kind of equilibrium real exchange rate and the deviations of the real exchange rate from the equilibrium real exchange rate are compared to the current account movements. In particular, the deviations of the real exchange rate in the period of 1995Q3-1997Q3 show overvaluation of the real exchange rate and are positively correlated to current account deficits. Such overvaluations of the real exchange rate appear due to sluggish adjustments of the real exchange rate to the sharply depreciated equilibrium real exchange rate by yen/dollar exchange rate shocks, and also to the monetary shocks that caused temporary appreciation of the real exchange rate.

      • KCI등재

        구조형 VAR 모형을 이용한 선물과 현물의 동시적 관계 연구

        정아람,옥기율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6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mporaneous effect between KOSPI200 index and KOSPI200 index Futures. To test the contemporaneous effect, we use the structural VAR model. Also we use the Choleski decomposition - supposition that the spot price shocks do not affect the futures price contemporaneously based on the common results of studies about the lead-lag relationship between the spot returns and the futures returns - to analyze how the futures price shocks affect the change of spot price contemporaneously. The results of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s show that the futures price shocks affect the changes of spot price contemporaneously and this effect disappears after 5 minutes. This result supports the existing studies about the lead-lag relationship between the futures returns and the spot returns and shows the market maturation effect. 본 연구는 KOSPI200 선물과 KOSPI200을 대상으로 선물과 현물의 선도-지연관계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에서 벗어나 동시적인 상호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동시적인 영향을 보기 위해 구조형(structural form) VAR모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으며 구조형 VAR모형의 과소추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물의 가격충격이 선물의 수익률에 동시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가정하는 촐레스키 분해를 사용하였다. 선물의 가격충격이 현물의 수익률에 미치는 동시적인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선물의 가격충격은 현물의 수익률에 동시적으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이는 5분이 경과하는 시점에 소멸됨으로써 기존의 선물과 현물의 선도-지연 연구와 일치하였고 시장성숙효과 또한 보여주었다.

      • KCI등재후보

        금융시장과 실물경제간의 파급효과: 주식, 채권, 유가, BDI를 대상으로

        한덕희 ( Deok Hee Hahn ),이상원 ( Sang Won Lee ),김진수 ( Jin Soo Kim ) 한국금융공학회 2009 금융공학연구 Vol.8 No.4

        본 연구는 금융시장과 실물경제간의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변화분석 및 VAR모형의 대표적 추론 방법인 그랜저 인과관계분석, 충격반응함수분석, 분산분해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조적 변화 시점은 2008년 8월 29일부터 시작되었음을 발견하였고, 구조변화 이전 및 이후의 표본기간에서, 주식시장과 실물경제간에는 서로 예측력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채권시장과 실물경제간에서는 구조변화 이후에만 실물경제가 채권시장에 대해서 예측력을 나타내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는 실물경제와 금융시장간에 서로 정보의 공유가 없었으나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실물경제와 금융시장간에 정보를 공유하는 것으로 추론된다. 그랜저 인과관계분석의 결과에서 유의하게 선도하는 변수에 대한 충격반응함수를 조사한 결과, 구조변화 이전의 경우 채권수익률의 영향이 유가수익률에 3일 정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조변화 이후에는 전체표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KOSPI의 영향이 채권수익률에 3일 정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의 크기를 조사한 분산분해분석의 결과, 채권에 대한 유가 및 BDI에 의한 설명력이 구조변화 이전보다 구조변화 이후에 각각 증가하였고 주식에 대한 유가 및 BDI에 의한 설명력은 유가의 경우 유가의 안정화로 인해 줄어들었으나 최근 글로벌 경기회복으로 인해 BDI에 의한 설명력은 증가하였다. We empirically examine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markets(KOSPI and bond index) and real economy(oil and BDI). The analysis employs the VAR, Granger causality, 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variance decomposition using daily data from 1/4/05 to 8/28/09.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ndings in this paper indicate that structural change begins from 8/29/2008. KOSPI returns don`t have predictive power for the oil returns and the BDI returns, and vice versa from Granger causality test. But real economy has predictive power for the bond after structural change. The impulse responses show that it takes three days to reflect information shocks from the bond index returns to the oil returns before structural change. And it takes three days to reflect information shocks from the KOSPI returns to the bond returns after structural change. After structural change, real economy has higher explanatory power than that before structural change.

      • KCI등재

        한국경제의 실물교란과 경기변동 -구조적 VAR모형 접근-

        허현승 한국응용경제학회 2006 응용경제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해외생산량 및 교역조건의 변화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 VAR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한다. 특히 이들 교란의 파급경로인 수출과 수입함수를 모형에 직접 포함하여 소규모개방경제의 특성을 반영하며 분석의 정확도 향상을 시도한다. 구조적 교란항은 공적분, 해외생산량의 외생성 그리고 장기제약조건을 이용하여 식별한다. 실증분석 결과 해외생산량 교란과 교역조건 교란은 수출 및 수입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국내생산량 변동에도 결정적인 요인으로 단기에서의 영향력이 특히 크게 나타났으며 장기에서는 국내생산량 교란의 기여도와 동등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경제의 대외여건 변화에 대한 민감도를 다시 한번 입증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changes in foreign output and the terms of trade on the Korean economy using a structural VAR approach. Unlike previous studies, the model includes exports and imports so that the direct linkage of foreign activity to the domestic economy is explicitly taken account. The underlying structural shocks are recovered by imposing exogeneity of foreign output and long-run identifying restrictions together with cointegration relations.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both foreign output and terms of trade shocks are the major determinants of movements in exports and imports. These shocks als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variations of domestic output. The evidence is particularly strong in the short run while their total contribution in the long run is the same level as the domestic output shock. These results attest to the importance of external shocks in the Korean economy.

      • KCI등재

        한국에서의 통화정책과 주가에 관한 연구

        정석영(Sukyoung Chung),박성태(Sung-Tae Park)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산업경제연구 Vol.28 No.6

        본 논문은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이 단기금리를 통하여 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정책변수를 기준으로 하여 실증 연구를 하였다. 주가는 미래 현금흐름을 할인율로 할인한 현재가치이므로 통화정책은 기업의 미래 기대현금흐름에 영향을 미쳐 기업의 주가에 영향을 준다. 주가 또한 통화정책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Rigobon and Sack(2003)에 의하여 밝혀졌다. 이러한 변수간의 내생성을 고려할 수 있는 모델에는 VAR모형을 고려할 수 있는데 기존의 축약형 또는 Blanchard and Quah(1989) 형태의 구조적 VAR모델은 모델식별을 위하여 인위적 제약조건을 부과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적분 관계를 이용하여 인위적 제약조건을 줄인 모델인 Crowder et al.(1999)의 구조적 VAR모형을 이용하여 금리와 주가의 2개 변수를 분석한 결과 금리와 주가는 서로 음(-)의 관계를 보여 주었다. 또한 통화정책에서 인플레이션과 대외 변수인 미국의 연방기금금리를 추가하더라도 금리와 주가의 관계는 일관성 있게 도출되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연구 기간 동안의 장기균형관계의 기간별 안정성 검정 결과 모든 모델들의 전 기간을 걸쳐 안정적인 장기균형관계가 존재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short term interest rate as a poxy of the monetary policy of the Central Bank and the Korean stock price. Because the stock price is the present discounted value of the future expected cash flows, monetary policy can alter the firm"s present discounted value of the future expected cash flows and thereby change the stock price. Furthermore, Rigobon and Sack(2003) identify that the stock pri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entral bank"s monetary policy. To deal with these complex endogenous relationships, VAR model is widely used. However, the reduced form VAR model and Blanchard and Quah(1989) type models are criticized as the imposition of arbitrary restrictions on the model to achieve an identified model.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paper is the structural VAR analysis developed by Crowder et al.(1999), which reduces the arbitrary restrictions when the cointegrating relationships exist. The key empirical finding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based on two variables reveals that there is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short term interest rate and the stock price. In addition, when we add inflation and the federal funds rate as control variables, the basic results are consistently same. Furthermore, the results of stability test of long run relationship show that the cointegration vectors of each model are stable over the whole period.

      • KCI등재

        VAR모형을 활용한 중국의 인구구조 변화가 중국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우리의 시사점

        손정현,한동균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2 경영컨설팅연구 Vol.22 No.4

        지난 20세기가 전 세계적 인구 급증의 100년이라면 21세기는 인구고령화의 한 세기로 인구 고령화는 전 세계가 함께 경험하고 있는 현상이다. 아시아 국가보다 산업화의 경제발전을 조기에 달성한 선진국은 이미 인구고령화에 대응하고 있고, 현재 인구구조의 변화 속도는 안정적으로 움직이고 있지만 한국과 중국, 일본의 경우에는 인구고령화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중국은 인구보너스의 유리한 측면을 이미 누리고 있으며, 특정 시기에 중국의 인구가 장기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 같은 장기적인 인구학적 현실은 중국의 미래 성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본 연구는 1978년 개혁개방 이후부터 최근 2021년까지, 44년 기간 중국의 거시경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국의 인구구조 변화가 중국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우리의 대응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향후 중국의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경제성장에 있어 전체 인구 중 청소년층 비율이 고령층 비율이나 부양 비율보다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층 비중을 증가시키려면 현실적으로 출산율을 제고시키는 것이 실현 가능한 방안이 될 것으로 현재 중국의 추진하고 있는 ‘세 자녀’ 정책에 더욱 힘을 실어야 하는 이유를 본 연구가 실증하였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출산, 고용, 성장 간 상호연관성 연구

        박추환(Chuhwan Park),한진미(Jinmi Han) 한국노동연구원 2008 노동정책연구 Vol.8 No.1

        출산, 고용, 그리고 성장 간 상호영향관계를 분석하고, 특히 출산이 다른 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선행적인지 아니면 후행적인 내생변수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구조적 VAR(Vector Auto-Regression)을 통해 상호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충격반응효과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출산이 여성고용 및 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지극히 미미한 정도에 불과하고, 출산 및 성장에 가장 큰 충격을 주고 있는 것은 여성고용이라는 것을 보이고 있고, 예측오차 분산분해 분석에서도 볼 수 있듯이, 고용 충격이 다른 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반면, 출산 충격은 다른 변수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고, 성장 충격 역시 자체 변수 외에는 다른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출산은 성장과 고용에 사전적 선행변수로서 역할 정도가 무시할 정도로 미미하고, 여성고용과 성장이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후행변수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는 면에서 성장을 위한 여성의 노동공급과 지속적인 출산율 유지를 위한 정책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co-relationship among birth, employment, and economic growth, and clarifies the role of birth in these variables whether it is preceding indicator or not by the VAR approaches. The results, based on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 show that the effect of birth for the women employment and economic growth is not significant, whereas the women employment has a significant role for birth and economic growth in Korea. In addition,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 impact of women employment affects to the other two variables, but the other two variables are not significant affect vise versa. That is, a birth variable has a tiny role of affecting to the other two variables as a preceding indicator, however, the women employment and the economic growth have a significant role of affecting to a birth as a following indicator. Therefore, it is believed by many that the economic policy for sustaining women employment and birth is need for economic grow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