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국의 구조충격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김소영 한국국제금융학회 2011 국제금융연구 Vol.1 No.1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U.S. structural shocks on Korean economy. U.S. structural VAR models with long run restrictions are used to identify U.S. structural shocks. Then, the effects of U.S. structural shocks on Korea are analyzed based on Korean VAR models that include U.S. structural shocks exogenously.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U.S. structural shocks tend to generate positive comovements of real GDP and price level between U.S. and Korea. Second, after Asian financial crisis, the effects of U.S. structural shocks on Korean price level tend to decrease but the effects on exchange rate tend to increase. These results seem to be related to the monetary and exchange rate policy changes and the decrease in the level of Korean trade dependence on the U.S. Third, supply side shocks, among various structural shocks, have a relatively large effects on Korean economy. Fourth, although the effects of U.S. structural shocks on Korean economy are significant, the effects on real variables are limited. 본 연구는 미국의 구조충격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장기 제약을 미국의 주요변수들을 포함한 구조 VAR 모형에 부가하여 미국 구조충격을 식별한 후, 추정된 미국 구조충격을 외생적으로 가정한 한국의 주요 경제변수들을 포함한 VAR모형을 추정하여 미국의 구조충격들이 한국 경제 주요변수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실질 GDP와 물가를 변화시키는 미국 구조충격은 한국의 실질 GDP와 물가에 (+)의 국제 전이효과를 주고 한국과 미국의 실질 GDP와 물가를 동조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둘째, 외환위기 이후 미국 구조충격들의 한국물가와 인플레이션에 대한 영향이 감소한 반면 환율에 대한 영향은 증가했는데 이러한 현상은 외환위기 이후 보다 자유로운 환율정책과 물가안정화를 강조하는 통화정책으로의 변화 그리고 대미 무역 의존도의 하락과 관련 있는 듯하다. 셋째, 미국 구조충격 중 공급부문 충격의 한국경제에 대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더 크다. 넷째, 미국 구조충격의 한국경제의 주요변수에 대한 영향은 명확하나, 실물부문에 대한 효과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다.

      • 위안화 국제화와 기축통화 논쟁의 전망과 한국의 대응전략

        오정근 한국국제금융학회 2011 국제금융연구 Vol.1 No.1

        During the last a couple of decade, the Chinese economy has remarkably grown and his foreign exchange reserves have been also enormously accumulated. In addition, the recent global financial crisis has shown some critical drawbacks including Triffin's dilemma inherent in the current international monetary system. Taking these opportunities, China raised the need of a new key currency on the one hand, and has actively pursued internationalization of yuan on the other hand. Chinese yuan, with the help of such policies, is expected to play a substantial role as a currency of payment and settlement in a few years. However, it is, at the moment, expected to be hardto play a role as a another key currency due to Chinese strict regulations on the interest and exchange rates, less developed financial market and restrictions on capital flows. Accordingly, the international monetary system is, in a transition period, expected to develop towards a multi-polar system with a few key currencies including dollar, euro and Asian currencies. These new development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system is expected to bring some burdens to the Korean economy, a small open economy, including more exposures to exchange risks and the possible falling into a currency trap resulting from a multi-polar system. Therefore, the Korean economy, in order to minimize the burdens, seems to need to introduce a Asian Currency Unit(ACU) composed of currencies of some intra-regional countries who meet the convergence criteria, and dollar and euro on the one hand, and to reconsider the current exchange rate and capital flow regulation policies and to open the won-yuan foreign exchange market on the other hand. 지난 20여 년간의 고도성장과 막대한 외환보유액 축적 등으로 중국경제의 위상이 높아진 가운데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 과정에서 트리핀의 딜레마가 발생하는 등 현행 국제금융체제의 문제점이 노정된 것을 계기로 중국은 한편으로는 초국적준비통화도입 등 새로운 기축통화 필요성을 주장하는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위안화 통화스왑체결, 무역결제통화추진, 채권시장육성 등 위안화의 국제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힘입어 위안화는 수년 내에 결제통화로서의 역할이 크게 신장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한 금리와 환율 규제, 금융시장 미발달, 자본거래 제약 등으로 태환성과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음으로써 위안화가 기축통화로서 기능하기에는 아직은 시기상조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앞으로 당분간 국제금융체제는 달러 유로 그리고 위안화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통화로 구성되는 과도기적인 다극체제가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와 같은 위안화 국제화와 다극 국제금융체제의 등장은 한국경제에게 환위험 증가, 대외가격경제력 약화 등 새로운 부담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통화환율정책 운영상의 제약이 증대되는 등 통화함정에 빠질 우려도 없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경제수렴조건을 충족하는 아시아역내 국가 통화와 달러 유로를 가중평균한 아시아통화단위 도입을 한중일 등 역내 주요국가와 공조하여 추진하는 동시에 환율 외환 자본거래 정책도 거시건전성 확보 차원에서 전향적으로 재검토하고 원-위안 외환시장을 개설하는 등 대책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중국 주식시장과 한국 주식시장과의 동조화 및 글로벌 주식시장과의 비교 평가

        안유화 한국국제금융학회 2012 국제금융연구 Vol.2 No.1

        This paper explores co-movements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stock markets, using a VAR model with daily stock returns data of four stock markets(Korea’s KOSPI market, China’s Shanghai and Shenzhen stock markets, and the Hong Kong market) for the period of February 21, 1992 to December 29, 2006.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VAR analysis, Korea’s KOSPI market has more influence on China’s A and B share markets in Shanghai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than before the crisis. On the other hand, it has no influence on the Shenzhen stock market even after the crisis. The Hong Kong stock market shows an increased influence on the Korean stock market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the estimated coefficient increases from 0.078 to 0.117). This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Granger causality test and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It is mainly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shares of state-owned companies listed in the Hong Kong stock market comprise the majority of investments in China from Korean institutional investors. The A and B share markets in Shanghai and Shenzhen are explained only by internal market shocks. Moreover, their impact on the Korean stock market is negligible. To test whether this phenomenon exists only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stock markets or also between them and global markets, stock price co-movements in Korea, Chin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re analyzed using daily stock returns data from January 4, 2000 to September 12, 2008. The findings present the strong feedback between Korea's stock market(KOSPI, KOSDAQ) and the U.S. stock market(S&P500 index). As for the Chinese stock market, it is explained by internal market shocks, but barely explained by external market shocks. These are observations from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and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In conclusion, co-movements in national stock markets have been increasing as capital markets around the world are more integrated since the Asian financial crisis. The Chinese market is an exception to this trend. It is less affected by international markets as it was during the pre-crisis period. And it is impacted only by internal market factors. This implies that the Chinese capital markets are still closed and insulated even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본 연구는 한국 KOSPI와 중국 상해시장, 심천시장과 홍콩시장의 주가지수를 대상으로 1992년 2월 21일부터 2006년 12월 29일까지의 4개 주식시장의 일별 주가지수 수익률 자료를 이용하여 이들 간의 동조화 존재여부에 대해 검증하였다. VAR 분석결과로 볼 때 외환위기 이후 한국 KOSPI 시장이 중국 상해 A, B시장에 대한 영향력이 위기 이전에 비해 증가되었지만 심천시장에는 외환위기 이후에도 거의 설명력이 없음이 발견되었다. 홍콩시장의 경우 한국 주식시장에 대한 영향이 외환위기 이후에 뚜렷하게 증가되었다(추정모형계수가 0.078에서 0.117로 증가). 이는 Granger인과검증과 분산분해분석에도 같은 결과를 보여주었는데 그 주요원인이 한국 기관투자자들의 중국 관련 투자가 주로 홍콩시장에 상장된 중국 국유기업관련 주식들로 구성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중국 상해(A, B)시장과 심천(A, B)시장은 주로 자국시장의 충격에 의해서만 설명되고 또한 한국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아주 미약하였다. 그럼 이 현상이 과연 중국과 한국 간에만 존재하는 현상인지 아니면 중국과 글로벌 시장과의 관계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인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2000년 1월 4일부터 2008년 9월 12일까지의 일별 주가수익률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중국, 미국 및 일본 주가 간의 동조화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주식시장(KOSPI, KOSDAQ)은 미국시장(S&P500지수)과 강한 feedback현상을 보여주었다. 중국 주식시장의 경우 충격반응분석과 분산분해분석에서 주로 자국시장의 충격에 의해 설명되고 타 시장의 충격에 의해 거의 설명되는 부분이 적음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외환위기 이후 세계 자본시장의 통합도가 높아져 국가 간 주가변동의 동조성이 증가하는 가운데 중국시장은 외환위기이전과 마찬가지로 국제시장의 영향을 덜받고 오로지 자국시장 내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외환위기 이후에도 여전히 중국 자본시장이 폐쇄적이고 격리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원화 국제화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현석 한국국제금융학회 2015 국제금융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원화 국제화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원화 국제화의 현황과 가능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중장기적으로 원화의 국제적 활용도 제고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도 제안하고자 한다. 정부는 1980년대 후반부터 원화 국제화의 토대를 마련하였고 1997년 외환위기 이후에는 자본시장을 완전 개방하였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외환시장 및 자본시장의 자유화 추진은 유보되었다. 그러나 최근 원화-위안화 직거래가 시작되면서 위안화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동전의 양면처럼 원화의 국제적 활용도도 높여야한다는 문제를 인식하고 전면적인 외환제도 개혁방안을 발표하였다. 향후 원화 국제화를 위해서는 원화-위안화 직거래와 원화 무역결제의 활성화와 자본시장 특히 원화표시 국제채권시장의 육성과 금융개방도를 높이기 위한 외환규제 완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앞으로 일련의 정책들이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점진적 규제 완화와 원화 국제화에 대한 중장기적 계획을 수립하고 일관성 있게 추진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need for Korean won internationalization and analyzes quantitatively its current situation and possibilities. Also it attempts to propose the mid- to long-term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utilization of Korean won as an international currency. The Korean government laid foundation for won internationalization in the late 1980s and has opened fully capital market since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However, global financial crisis reserved further deregulation of foreign exchange market and capital market. However, the recent movement such as won-yuan direct transaction and yuan financial hub policy raised again the awareness of the need of won internationalization. Therefore the long-term plan should be pursued consistently to achieve the performance of this set of policies for won internationalization.

      • KCI등재후보

        물가안정목표제의 경험과 한국은행의 과제

        전성인 한국국제금융학회 2014 국제금융연구 Vol.4 No.1

        The inflation targeting in Korea had not been carried out with a view to stabilize the price level as the institution dictates. According to the episode analysis on the background of the monetary policy, the Bank of Korea often pursued the growth promotion rather than the stabilization of commodity or asset prices. The current low inflation is more due to aging of the economy and the resulting decline of growth potential rather than due to the active monetary stabilization. Given the likely advent of deflation, it is more appropriate to discard the inflation targeting regime and to adopt more general policy objective such as overall financial stabilization. The discretion and the independence of the central bank become more important than monetary rule in this regime. 우리나라의 물가안정목표제는 당초 제도의 취지와는 달리 물가안정을 통화정책의 최우선 목표로 두고 집행되지 않았다. 통화정책의 결정 배경에 대한 에피소드 분석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물가안정 또는 부동산 가격 안정과 경기부양이 상충될 경우 상당히 여러 차례 경기부양을 더 우선적 정책목표로 추구했다. 현재의 저물가 현상은 한국은행의 적극적인 물가안정 정책의 결과라기보다는 노령화 및 저성장에 따른 기조적 변화라는 측면이 더 강하다. 이런 상황에서 물가안정목표제를 고집하기 보다는 향후 예상되는 디플레이션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대응을 위해 물가안정목표제를 폐기하고 금융안정 또는 거시경제의 안정을 통화정책의 목표로 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부득이 재량적 통화정책이 불가피하므로 한국은행의 독립성은 더욱 존중되어야 하고, 거시건전성 감독에 대한 역할이 강화되어야 한다.

      • KCI등재

        은행의 불안정성을 유발하는 과잉 민간신용의 규모에 대한 연구: 국제비교

        김종희 한국국제금융학회 2017 국제금융연구 Vol.7 No.1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credit growth and bank stability while focusing on macro data of the main 36 countries and micro data of Korea’s banks over the period 2000: 1Q - 2015:3Q, this paper analyzes the impact of increasing private credit loans on the banks’ stability. It is able to use the results of its empirical analysis to draw the following four conclusions. First, the negative impact of private credit growth on bank stability is apparent in the emerging economies. Second such a trend is much stronger in Emerging economies including Korea, after the financial crisis. Third, the possibility of credit risk caused by private credit is mainly coming from credit excess. Finally, non performing loan strengthen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credit growth and bank stability in Korea’s banks, and this trend is seen more in these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aken together, the stronger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credit growth and bank stability can be strengthen under the non performing loan in particular in Emerging economies rather than in Advance economies. In addition, in case of Korea’s banks, such a trend is strong in smaller banks than larger ones after the crisis. 본 연구는 2000년 1분기부터 2015년 3분기까지 총 63개 분기에 대해 OECD 및 주요 36개국의 거시자료와 한국의 금융위기 이후 은행별 미시자료를 이용, 은행의 민간신용대출의 증가가 은행의 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있다. 또한 은행의 민산신용대출의 증가가 은행의 안정성을 저해한다면, 그 경로는 무엇인지를 추가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으로 얻을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신용대출의 증가와 은행의 안정성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확인되고 있다. 즉 은행이 민간신용대출의 규모를 늘릴수록 해당 은행의 안정성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향은 선진국보다 신흥국에서 더 강하게 나타난다. 둘째, 금융위기 이후 민간신용대출의 증가로 인한 은행안정성의 악화정도는 선진국보다 신흥국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도 금융위기 이후 민간신용대출의 증가로 인한 은행의 안정성의 악화가 나타난다. 셋째, 과도한 민간신용대출의 증가는 부실여신의 증가로 이어지고,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은행의 안정성이 악화되는 경로가 발견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로는 상대적으로 자산규모가 작은 소형은행들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난다. 넷째, 민간신용대출의 증가율이 임계점(1.20%) 이하인 경우에는 전체 은행은 물론 자산규모별 분류에서도 민간신용대출은 은행의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는다. 그러나 민간신용대출의 증가율이 임계점 이상인 경우 은행의 안정성은 저해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정도는 상대적으로 자산규모가 작은 소형은행으로 갈수록 더 강하게 나타난다. 이상과 같은 추정결과를 종합해 보면, 선진국보다는 한국을 포함한 신흥국일수록, 그리고 은행의 경우 자산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소형은행일수록 민간신용대출의 증가가 적정수준을 넘어서면 부실여신이 유발되어 은행의 안정성이 저해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 은행주도 자본유입 구성변화, 금융위기와 금융감독 취약성

        이종욱 한국국제금융학회 2013 국제금융연구 Vol.3 No.1

        한국경제가 외화유동성 부족으로 외환위기와 금융위기를 겪는 시기를 보면, 자본수지의 기타 수지에서 예금은행의 순대외채무가 급증하고 있다.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에서도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을 통해, 무역수지에서는 “국내 예금은행 순외화부채 차분 ⇒ 무역수지 차분”, “예금은행 순단기외화부채 차분 ⇒ 무역수지 차분”, 그리고 환율변화에서는 “국내 예금은행 순외화부채 차분 ⇒ 환율 차분” 의 관계를 발견하였다. 이는 예금은행의 대외채무 포트폴리오가 거시경제변화에 중요한 선행정보를 주므로 경제안정화 정책 운용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경제가 겪었던 경제위기 기간을 보면, 한국의 정책당국자와 학자들은 비기축통화국인데도 불구하고, 자본수지 구성요인에서 경제위기를 잉태하고 있는 요인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이제 정책당국 및 감독당국은 예금은행의 외화 채무 만기도래를 외국인의 증권투자 자금 보다 더 많은 정책적 관심을 가지고 ‘좋은 감독’ 패러다임의 차원에서 대책을 세워 나가야 한다. 좋은 감독은 각 국가의 소득 수준에 비례하지만, 감독을 위한 규제의 훌륭한 실행의 성과는 금융규제 당국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행동하려는 의지’ 그리고 ‘행동할 수 있는 능력’에 의해 결정된다. When Korean economy suffered currency crisis and financial crisis due to lack of foreign currency liquidity, net foreign liabilities at domestic commercial banks surged. Thus, through Granger Causality analysis, we found the following: “changes in domestic commercial banks’ net foreign liabilities ⇒ changes in trade balance”, “changes in domestic commercial banks’ net short-term foreign liabilities => changes in trade balance”, and “changes in domestic commercial banks’ net foreign liabilities => changes in foreign exchange rates”. This indicates that the foreign liabilities portfolio at commercial banks is an important leading indicator of macro economy and thus should be examined closely by the government when deciding economic stabilization policy. However, even though Korea is non-vehicle currency nation, Korean politicians and scholars did not consider important risk factors within capital balance during the past financial crisis. Now Korean policy makers and regulators should place greater emphasis on the commercial banks foreign debt maturity than foreign securities investment and should take measures in terms of the paradigm of ‘good supervision’. ‘Good supervision’ tends to be proportional to the income level of each country, but the execution and the achievement depends on regulators’ “willingness” and “ability” to act.

      • KCI등재

        한국, 중국, 미국 주식시장의 시변하는 동조화와 동태적 전이효과

        최경욱,조대형 한국국제금융학회 2017 국제금융연구 Vol.7 No.2

        There has emerged a situation completely contrary to the pattern, in which when the U.S. stock price rose, the Korean stock price also rose, since a global financial crisis. Such a phenomenon means that coupling of the stock markets is not fixed, but there exists a time-varying relation between the stock market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 of the financial marke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ime-varying co-movements and dynamic spillover effects among Korean, U.S., and Chinese stock markets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We adopt the dynamic conditional analysis and the spillover index model proposed by Diebold and Yilmaz (2009, 2012) to better capture the dynamic interconnectedness. We fi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the co-movements during the analysis period. In addition, volatility spillover effects has been more rapidly changing than return spillover effects according to the financial market circumstance. 본 연구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과 미국, 중국 주식시장 간에 시변하는 동조화의 관계변화와 동태적 전이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2가지의 방법론을 이용하고 있다. 첫째, 한국과 미국, 중국 주식시장 간의 시변하는 동조화 현상을 Engle(2002)의 DCC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최근 동태적 연구방법으로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Diebold and Yilmaz(2009, 2012)가 제안한 Spillover Index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과 미국, 중국 주식시장의 수익률 및 변동성 전이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과 미국, 중국 주식시장 간에 동조화가 여전히 강하다는 증거를 발견하였으며, 특히 수익률 전이효과의 경우 전체 분석기간에 걸쳐 비교적 그 영향이 상당히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변동성 전이효과는 상대적으로 시간변화에 따라 관계가 급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국가 CDS 스프레드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현진 한국국제금융학회 2015 국제금융연구 Vol.5 No.1

        This paper analyses the determinants of sovereign CDS spread of 60 countries during 2004∼2014 years. The main focus is on ver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sovereign CDS spread and external solvency variables such as export and reserve. I analyse sovereign CDS spread using Panel GLS regression methods with heteroskedastic error structures and panel-specific autocorrelation coefficients modeled by AR(1) process. The regression results of 60 countries show that sovereign CDS spread and export over GDP a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hich indicates that external solvency is an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countries’ default risk.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lso exists between sovereign CDS spread and other external solvency variables such as reserve. The regression results of asian 7 countries which are commodity exporters also show that the same results. The meanings of this paper are focusing local factors as well as global factors, and also analyse 60 countries. 본 논문은 전세계 60개국의 2004년 1월∼2014년 12월 국가 CDS 스프레드의 결정요인을 패널GLS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국가 CDS 스프레드와 관련된 기존 연구들이 국가 CDS 스프레드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인 국제적 요인에 초점을 맞춘 반면, 본 논문은 국내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이 주로 신흥국을 중심으로 CDS 스프레드 결정요인을 파악하고 있는 것과 달리, 본 논문에서는 국가수를 60개국으로 확장하였다는 점과 수출의존도가 높은 아시아 7개국을 별도로 분석한 점도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되는 점이라고 하겠다. 실증분석 결과, 수출규모가 클수록 대외지불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국가 CDS 스프레드는 낮아지며 EMBI 스프레드로 분석한 Ferrucci(2003)의 결과와 일치함을 보이고 있다. 외환보유고는 유의한 음의 계수값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외환보유고 규모가 클수록 대외지불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국가신용스프레드는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국내금융시장변수인 환율변화율과 환율변동성 증가는 CDS 스프레드를 높이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수출의존도가 높은 아시아 7개국에 대해 동일한 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60개국의 분석결과와 거의 일치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국가 CDS 스프레드의 주요한 결정요인으로 국제적 요인을 들고 있고 국내 요인이 미치는 요인은 미미하다는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으나, 본 연구는 국제적 요인과 함께, 개별 국가의 거시경제 요건과 금융시장 요건들의 영향을 살펴본다는 점이 기존 연구와의 차이점이라고 하겠다.

      • 아시아통화표시 해외채권 발행과 환율 변동성에 관한 실증연구: 아시아 국제채권시장 발전에 관한 시사점

        현석 한국국제금융학회 2012 국제금융연구 Vol.2 No.2

        To achieve ABMI’s policy goal of utilizing regional savings for regional investments, more cross-border bond issuance and investment using Asian currencies are required. However, cross-border transactions of Asian currencies are tightly regulated and consequently are not so active because of the concerns that cross-border transactions increase the exchange rate volatility. According to empirical findings in this paper, the cross-border transactions and the issuance of international bonds in local currencies do not increase the exchange rate volatility. Therefore, for further development of Asian bond markets, domestic(local) bond market development should accompany international (cross-border) bond market development which can enhance the financial intermediation function in the region. To do so, closer policy coordination and stronger financial cooperation is necessary among Asian countries. 아시아 역내 저축을 역내 투자로 활용하고자 하는 ABMI의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경을 넘나들며 아시아통화로 채권발행과 투자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런 국경간 거래는 환율의 변동성을 높인다는 막연한 우려 때문에 까다롭게 규제되어 아시아통화표시의 국경간 채권발행과 거래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본 논문의 실증결과에 따르면 통화의 국경간 거래나 해외채권발행은 환율의 변동성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시아채권시장의 발전을 위해 각국의 국내 채권시장 발전과 함께 역내 국경간(국제)채권시장도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아시아 국가 간의 더욱 긴밀한 금융협력과 정책적 협력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