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발명·특허 분야 인력 양성에 대한 교사 인식- 발명·특허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

        이병욱,이창훈 대한공업교육학회 2008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3 No.1

        이 연구에서는 발명․특허 분야 인력 양성을 위한 특성화에 대하여 해당 학교 소속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대상은 ’07년 특허청의 특성화고 지원 대상학교로 선정된 4개 학교 교사 241명이었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분석 대상은 126부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산업사회 변화에 따라 학생에게 필요한 교육에 대하여 전문 분야의 특성화 교육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그 밖에 직업기초능력교육, 인성교육, 취업준비교육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교사들은 소속 학교가 발명․특허 분야 인력양성을 위해 특성화하는 것에 대해 대체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셋째, 특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편 과정에서 과원 교사가 발생할 경우에 대부분의 교사들은 부전공 연수를 실시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넷째, 교사들은 특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편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발명․특허 특성화고 교육과정 개발, 행․재정적 지원 강화, 구성원들의 특성화 성공을 위한 공감대 형성, 교과서 및 교재 개발, 발명․특허 분야 산업 전망 및 여건 등이 중요한 사항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다섯째, 교사들은 특성화 고교 운영의 성공을 위해 고려할 사항으로 수요자 인식 요인(특성화 분야의 수요자(산업체, 학생)의 요구 고려), 적합성 요인(특성화 분야와 학교 내부의 인적․물적 자원과의 적합성), 선택과 집중 요인(학교의 강점을 선택하여 역량을 집중), 독특성 요인(타 학교와 다른 독특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운영)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understanding by teachers at KIPO-funded high schools of the specialized training of invention․patent personnel. The subjects were 4 high schools and 126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understand that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provide a specialized training for students so that they can more effectively adapt to the changes in their lives. They also consider basic job skills training, moral education and job readiness training as equally important. Second, they recognize the necessity for a specialized training of invention․patent personnel. Third, they think that redundant teachers arising from the reform of the curriculum for specialized training should be provided with minor training. Fourth, they think that the reform of the curriculum for specialized training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aspects: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invention․patent-specialized high schools, the strengthening of administrative․financial supports, the creation of a consensus among those involved for the success of the specialized training,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and materials, and the consideration of the future prospects and current conditions of the invention․patent industry. Fifth, they think that the successful oper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s requires the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 factors: users' understanding, conformance, selection & concentration and uniqueness.

      • KCI등재

        특성화고 수준의 지식재산 실무인력 양성을 위한 발명·특허 교육 내용의 교육요구도 분석

        조한진,김태훈 한국기술교육학회 2012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ducational needs of invention & patent education contents for cultivating intellectual knowledge practical workers that can be cultivated at the Specialized high school level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invention & patent education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systematic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of invention & patent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a survey about 15 categories of invention & patent education for cultivating intellectual property practical workers was conducted on 120 teachers participating in training. Total 101 surveys were collected and 93 copies were used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level of one’s ability and to deduct educational requirements.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invention & patent education contents perceived by teachers participating in invention educa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highest level of education, target subject, and participation in invention related activities. Second, the level of one’s ability for each invention & patent education content for cultivating intellectual property practical workers perceived by teachers participating in invention educa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participating project, gender, personal background, career in invention education, experience with invention related training, and participation in invention related activities. Third, teachers participating in invention education have high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invention & patent education contents (M=3.98) for cultivating intellectual property practical workers but they understand the level of their ability (M=2.56) as lower than the importance and thus education needs were high. The study proposes to provide a systematic training program in future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hen developing a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that is related to invention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발명·특허 교육 담당 교원의 체계적인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발명 교육 참여 교사의 특성화고 수준에서 양성 가능한 지식재산 실무인력 양성을 위한 발명·특허 교육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식재산 실무인력 양성을 위한 발명·특허 교육 내용 15개에 대하여, 연수 참여 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한 설문지는 101부이며, 93부를 활용하여 교육 내용의 중요도와 자신의 능력 수준에 대해서 분석을 하고 교육 요구도를 산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 교육 참여 교사가 인식하는 지식재산 실무인력 양성을 위한 발명·특허 교육 내용별 중요도는 성별, 최종학력, 담당교과, 발명 관련 활동 참여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발명 교육 참여 교사가 인식하는 지식재산 실무인력 양성을 위한 발명·특허 교육 내용별 자신의 능력 수준은 참여 사업 구분, 성별, 출신 계열, 발명 교육 경력, 발명 관련 연수 경험, 발명 관련 활동 참여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발명 교육 참여 교사는 지식재산 실무인력 양성을 위한 발명·특허 교육 내용의 중요도(M=3.98)는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자신의 능력 수준(M=2.56)은 중요도에 비해 낮게 인식함에 따라서 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향후 발명 교육과 관련된 교원 연수 프로그램 설계시 이 연구의 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체계적인 연수 프로그램의 제공을 제언하고자 한다.

      • KCI등재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학에 근거한 발명·특허 특성화고의 발명교과서 학습목표 분석

        김경환,송교원,이창훈 한국기술교육학회 2017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improvement plan and problem by analyzing invention, patent,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textbooks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s purpose, studying purposes mentioned in five kinds of invention textbooks have been analyzed through expert conference, and the resul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studying purpose mentioned in invention textbooks has given too much importance and emphasis on some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dimensions; so that it has been thought that the cause has been made from failure to perform its role for students’ various knowledge acquisition. Second, most studying purposes specified on five kinds of invention textbooks being used in invention, patent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are just corresponded to “understanding”. Third, by comparing knowledge dimension’s studying purpose per invention textbook, basic invention & patent and invention & design textbooks’ each area have been relatively distributed. In contract, invention & problem solving textbook does not have “true knowledge” area, and been showed unbalanced dispersion which take a lot of proportion of metacognitive ability knowledge. General patent specification textbook has taken half possession about “true knowledge”. Patent information survey analysis textbook can be confirmed by unbalanced distribution that possesses half area for “conceptive knowledge”. Fourth, by comparing cognitive procedure dimension per invention textbook, textbooks have generally exhibited extremely imbalance. All textbooks do not possess studying purpose which has belonged to “Remember” area. Generally, due to the reason that “Understanding” area has been exhibited too much, it has been very necessary to support studying purpose strategies that require high school student thinking abilities, such as “analyze” and “evaluate” in order to enhance the students’ creative thinking. Also, the ratio of studying purposes which are belonged to “Apply”, “Analyze”, and “Evaluate” are being too low or little. Nevertheless, the ratio of studying purpose which is belonged to “create” is often high. This has proven that studying purpose that requires high school student standardized thinking ability has not been stated by stages. As a result, the students’ thought cannot be easily expand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a crucial matter to annihilate. Therefore, through restatement of studying purposes, consideration that students can do various studying experiences is necessary. Moreover, research for study plan which is coherent to connectivity of studying purpose and class activity by applying this research has been necessary. Furthermore, this research shall be used as a fundamental document for achievement standard development.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 관련 교과서의 학습목표를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학’을 근거로 분석하여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명·특허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5종의 발명교과서에 진술된 학습목표들을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분석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교과서에 진술되어 있는 학습목표는 일부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에 지나치게 편중됨으로써 학생들의 다양한 지식 획득에 충분한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발명·특허 특성화고에서 사용되는 5종의 발명교과서에 진술되어 있는 학습목표의 대부분이 ‘이해하다’범주에 해당하였다. 셋째, 발명교과서별로 지식차원의 학습목표를 비교해 본 결과, 「발명·특허 기초」와 「발명과 디자인」교과서는 각 영역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반면에 「발명과 문제해결」교과서는 ‘사실적 지식’영역이 전혀 없었고 메타인지 지식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불균형한 분포를 보였다. 「특허명세서 일반」교과서는 ‘사실적 지식’영역이 거의 절반을 차지했고 「특허정보 조사분석」교과서는 ‘개념적 지식’영역이 거의 절반을 차지하는 불균형한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발명교과서별로 인지과정 차원의 학습목표를 비교해 본 결과, 교과서 전반에 걸쳐 심한 불균형을 보였다. 전 교과서가 ‘기억하다’영역에 속하는 학습목표가 전혀 없었다. 전체적으로 ‘이해하다’영역이 너무 많은 분포를 보이기 때문에 이를 줄이고 학생들의 창의적인 사고력 신장을 위해 ‘분석하다’, ‘평가하다’와 같은 고등사고 능력을 요하는 학습목표 진술을 보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적용하다’, ‘분석하다’, ‘평가하다’에 속하는 학습목표 진술 비율이 너무 낮거나 없음에도 불구하고 ‘창안하다’에 속하는 학습목표 진술 비율이 높은 경우가 많았다. 이는 고등사고 능력을 요하는 학습목표가 단계적으로 진술되지 못해서 학생들의 사고가 자연스럽게 확장되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보인다.

      • KCI등재

        ‘발명과 디자인’ 과목의 교재 집필 체제 및 내용 개발에 대한 타당도 분석

        이병욱,김태훈,강경균 한국기술교육학회 200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9 No.1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ext contents and its writing formation and analyzing their validity to develop text books of "invention and design", which will be used for advanced courses of specialized high school of invention and patents. To develop text book contents and writing formation, literature research and professional association meetings were performed and to verify validity on developed text book contents and writing formation, survey research was performed. The subjects of survey research to verify validity consist of seventy fiv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course for invention leaders hosted by Inter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Training Institute (IIPTI) of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KIPO). To examine validity on text writing formation, each area of the text, themes, and modules, questionnaires that consist of multiple choice questions, and open questions that participants can describe their opinions were developed. Text book writing plans are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s to help the understanding on text book contents. The conclusions drawn from results of validity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ext book writing formation of "invention and design," which is an advanced course of specialized high school of invention and patents were properly developed. Second, each theme and modules of ‘invention and Design’ were properly developed for common text books for the advance course of specialized high school of invention and patents.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특허 특성화 고등학교의 심화단계에서 사용될 ‘발명과 디자인’과목의 교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교재의 집필 체제 및 구성 영역과 주제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집필 체제와 교재 내용 개발을 위하여 문헌 연구와 전문가협의회를 거쳤으며 개발된 집필체제와 교재 내용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한 조사연구는 특허청 국제지식재산연수원의 발명 지도자 연수 과정에 참여한 교사 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집필체제와 각 교재의 영역, 주제, 모듈에 대한 타당도 분석을 위하여 선택형 문항과 기타 의견을 진술할 수 있는 개방형 문항으로 구성한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교재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집필계획서를 설문지에 포함하였다. 타당도 조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특허 특성화고등학교 심화단계 과목인 ‘발명과 디자인’의 교재 집필 체제는 타당하게 개발되었다. 둘째, ‘발명과 디자인’교재의 각 주제와 모듈은 발명·특허 특성화고등학교 심화단계 과목 교재의 주제와 모듈로 타당하게 개발되었다.

      • KCI등재후보

        ‘발명과 문제해결’의 집필 방향과 교재 내용에 대한 타당도 분석

        이병욱,최유현,김태훈,강경균 대한공업교육학회 200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4 No.1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ext contents and its writing directions and analyzing their validity to develop text books of "invention and problem solving", which will be used for advanced courses of specialized high school of invention and patents. To develop text book contents and writing direction, literature research and professional association meetings were performed and to verify validity on developed text book contents and writing direction, survey research was performed. The subjects of survey research to verify validity consist of seventy fiv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course for invention leaders hosted by Inter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Training Institute (IIPTI) of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KIPO). To examine validity on text writing directions, each area of the text, themes, and modules, questionnaires that consist of multiple choice questions, and open questions that participants can describe their opinions were developed. Text book writing plans are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s to help the understanding on text book contents. The conclusions drawn from results of validity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ach theme and modules of ‘invention and problem solving’ were properly developed for common text books for the advance course of specialized high school of invention and patents. Second, as for the text book writing direction of ‘invention and problem solving,’ text books emphasize research ability and creative thinking. They were developed to help increase critical thinking, log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특허 특성화 고등학교의 심화단계에서 사용될 ‘발명과 문제해결’ 교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교재의 내용과 집필 방향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교재 내용과 집필 방향 개발을 위하여 문헌 연구와 전문가협의회를 거쳤으며 개발된 교재 내용과 집필 방향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한 조사연구는 특허청 국제지식재산연수원의 발명 지도자 연수 과정에 참여한 교사 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집필 방향과 교재의 각 영역, 주제, 모듈에 대한 타당도 조사를 위하여 선택형 문항과 기타 의견을 진술할 수 있는 개방형 문항으로 구성한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교재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집필계획서를 설문지에 포함하였다. 타당도 조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과 문제해결’의 각 주제와 모듈은 발명·특허 특성화고등학교 심화단계 공통교재로서 타당하게 개발되었다. 둘째, ‘발명과 문제해결’의 집필방향은 탐구능력과 창의적 사고력 증진을 강조하고 있으며 비판적 사고력 증진과 논리적 사고력, 그리고 문제해결능력 신장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타당하게 개발되었다.

      • KCI등재후보

        발명·특허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발명 관련 용어 이해도 분석

        심영기,조한진,김태훈 대한공업교육학회 2014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9 No.1

        This study investigates invention and patent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s'understanding of terminology and their meaning differences in the realm of invention,career-specific, and freestyle Invention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The population of this research consists of 333 teachers currently employed ininvention and patent specialized high school and complete enumeration survey has beenused. To analyze the terminology understanding and their meaning differences, total of216 questionnaires have been collected and 211 of them (63.4%) were used, excludingthe ones with insincere answ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gard to invention, carrer-specific, freestyle Invention terminologyunderstanding, established teachers showed higher results over new teachers. In addition,experienced teachers showed higher results over inexperienced teachers, and teacherswith in-service training experiences showed higher results over the ones without. Second, when it came to understanding the terminology differences in the threerealms, the new teachers showed higher results than the established teachers,inexperienced teachers over those with teaching experiences, and ones who have nevertaken any in-service training showed higher results than the ones with trainingexperiences. The ones who answered 'don't know' regarding the meaning differencesamong terminology were established teachers over new teachers, experienced teachersover inexperienced teachers, and in-service training recipients over the ones without. 이 연구는 발명·특허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발명, 직무발명, 자유발명 용어와용어 간 차이에 대한 이해도를 조사하고, 배경변인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발명·특허 특성화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333명이며,조사는 전수 조사로 이루어졌다. 회수한 설문지는 216부이며,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211부(63.4%)를 활용하여 용어별 이해도와 용어 간 차이에 대한 이해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 직무발명, 자유발명 용어의 이해도는 신규 학교 교사보다 기존학교 교사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 경력이 있는 교사가 교육 경력이 없는교사보다 이해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가 없는 교사보다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명, 직무발명, 자유발명 용어 간 차이에 대한 이해도는 신규 학교 교사가 기존 학교 교사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 경력이 없는 교사가 교육경력이 있는 교사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연수 경험이 없는 교사가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용어 간 차이에 대해서 모른다고응답한 비율은 기존 학교 교사가 신규 학교 교사보다 용어 간 차이에 대해서모른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 경력이 있는 교사가 없는 교사보다 용어 간 차이에 대해서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가 없는 교사보다 용어 간 차이에 대해서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특성화고 교사를 위한 발명‧특허 교원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와 개선 방안 탐색

        임윤진,최유현 대한공업교육학회 2015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0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eacher trainingprogram for specialized school teacher in invention‧patent field and to explore theprogram improvement ideas.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on survey method and using program evaluatingmodel developed for this study. The study subjects are 39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participated in training program about invention‧patent field at CNU-IECT(Inventioneducation center for teacher).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on August 2, 2014. The 37 questionnaies were analyzed.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training program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Borich(1980)'sneeds assessment formula. The evaluating model was developed by the team.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training needs of specialized high-school teachers was high. Second, the satisfaction of the training program was high. Third,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training programs was high. Fourth, the improvement ideas were divided into four area - 1)The status quo area, 2)the alternatives exploration area, 3) the strategy modifications area, 4) the expectedexpansion area.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교사를 위한 발명‧특허분야 교원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5년도 충남대학교 발명교사교육센터가 주관한 특성화고 교사 대상 발명‧특허분야 교원직무연수 참여자 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연수가 종료된 시점에 직접 설문지를 배부하고 전량(100%)을 회수하였고, 39명중 불성실한 응답자 2명을 제외한 37명을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한 교원연수프로그램 개발은 문헌연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이루어졌고, 적용에 따른 만족도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교육요구도와 교육만족도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교원 직무연수 개선 방안 연구진에 의해 구안된 교원 연수 평가 모형에 의해 모색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교원을 위한 발명‧특허 교원직무연수의 교육요구도는 높았다. 둘째, 개발된 교원직무연수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수 프로그램은 전반적으로 교육효과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연수 프로그램의 엄격한 개선을 위하여 현상유지, 대안탐색, 전략수정, 기대확장의 4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 KCI등재

        발명·특허 특성화 고교생의 대학진학 방안

        홍봉규 한국지식재산학회 2010 産業財産權 Vol.- No.32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dominating the 21st century economy is intellectual property, an intangible property.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we have been promoting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imitating strategy. However, imitation is no longer tolerated in the present nor can we survive the rapidly shifting global economy by merely emulating others. The fundamental of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is human resources and we can develop into an 'intellectual property rich nation' only if sufficient and high-quality human resources are being provided. In this respect, 10government departments and agencies such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ublished a report on 'Progress of government department consigned and investe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promotion' and decided to carry forward the project. Moreover, they agreed to support and establish specialized high schools after selecting number of them based on industrial demand. As part of the government's related project and under the goal of increasing the number of patent holders and inventors,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is providing budgetary support to 4 selected vocational high schools among 702 of them nationwide. However there are difficult challenges for patent-holding high school seniors and those who are specialized in invention to enter college based on their speciality. In other words, there are not many colleges granting special admissions to these students. This thesis provides solutions for patent-holding students and those who are specialized in invention to enter college in the perspective of universities. In addition, this thesis examines the social awareness of the present system of promoting technical human resources, education system of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patent related universities, and measures for these students to enter college.

      • KCI등재

        발명·특허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 유형과 이에 대한 담당 교사의 인식

        문대영,이병욱,최유현,이한규,류병구,이창훈,강경균 한국기술교육학회 200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spect the career types and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teachers on career types for invention & patent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by literature analysis method and survey method to accomplish the purpose. Through this study seven career types were identified as follows: 1) Entering a profession as a drawer of patent attorney´s office 2) Entering a profession as a specification-drafter of patent attorney´s office 3) Entering a profession as a clerk of patent attorney´s office 4) Going on to university of invention & patent related department 5) Going on to university of intellectual property related department 6) Starting business based on invention idea 7) Starting business based on drawing freelancer In this study some strategies and plans of career guidance for invention & patent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ere proposed. Teachers of invention & patent specialized high school were recognized that these seven career types were reasonable in the order of going on to university(4.25), starting business(3.98), entering a profession(3.77). 이 연구는「발명 · 특허 특성화고」학생의 예상 가능한 진로 유형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담당 교사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발명 · 특허 특성화고」운영 계획서의 진로 지도 계획을 분석하고 학생의 진로 유형과 대응 전략을 도출한 후 각각의 진로 유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취업 희망 학생을 위한 진로 유형으로서 1) 특허변리사무실 도면원 취업, 2) 특허변리사무실 명세서원 취업, 3) 특허변리사무실 사무원 취업의 세 가지 진로 유형을 도출하고, 진학 희망 학생을 위한 진로 유형으로서 4) 발명특허 관련 전공 학과 진학, 5) 지식재산권 관련 전공 학과 진학의 두 가지 진로 유형을 도출하였다. 또한, 창업 희망 학생을 위한 진로 유형으로서 6) 발명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한 창업, 7) 도면작성 대행 프리랜서를 기반으로 한 창업의 두 가지 진로 유형을 도출하였다. 「발명 · 특허 특성화고」교사들은 이 연구에서 제시한 일곱 가지 진로 유형에 대해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발명 · 특허 특성화고」졸업생의 진로 유형으로서 진학(4.25), 창업(3.98), 취업(3.77)의 순으로 그 적합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