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편 애니메이션 <소울>의 서사공간에 관한 연구

        장소,장동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3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70

        Based on the three levels of narrative space proposed by Gabriel Zoran, namely, the “topographical level, the chronotropic body level and the textual level”, this research analyses the feature-length animated film “Soul”. In the feature-length animated film “Soul”, which uses multiple spaces, this research discusses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film based on Gabriel Zoran’s theory of narrative space. As a result, we can understand that the reason why Pixar feature-length animated films can resonate and touch us is that people can find scenes similar to real-life in the narrative space of cartoons. This production, “Soul”, incorporates several narrative spatial features, and by showing Joey experiencing death and rebirth, and 22 experiencing a soul exchange to reach the realm of self-realization, we can know the intention of the American animation narrative is trying to enhance the audience’s understanding of the narrative from the space.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space, space and time, and the embodiment of text in space are analyzed to confirm that animation narratives are extensively influenced by space.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role and influence of narrative space in other featurelength animated film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space on characterization, plot development and theme expression on the one hand. On the other h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heory of narrative space proposed by Gabriel Zoran offers a variety of possibilities for approaching the creation of narrative space in future feature-length animated films. 본 연구는 가브리엘 조란이 제기한 서사공간의 세 가지 차원인 ‘지형, 시공간, 문맥’을 기반으로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 <소울>을 분석하였다. 장편 애니메이션 <소울>은 공간이 활용된 작품으로 가브리엘 조란의 서사공간 이론을 중심으로 작품의 공간구성을 탐구한 결과, 픽사 장편 애니메이션 작품이 관객의 공감대와 감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이유가 애니메이션의 서사공간에서 현실 생활과 비슷한 상황들을 찾아볼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작품 <소울>은 여러 서사공간의 특징을 통합하여 주인공조의 죽음과 부활 그리고 영혼의 상호 교환을 통해 자아실현의 경지에 도달한 22의 경험을 보여주었다. 이는 공간을 활용하여 관객의 서사적 이해를 강화하고자 하는 미국 애니메이션의 서사적 특징이 반영된 것이다. 한편 공간과공간의 관계, 공간과 시간의 관계 및 공간에서의 텍스트 표현 등을 분석하여애니메이션의 서사방식이 공간의 영향을 폭넓게 받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있었다. 이밖에 기타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작품에서 서사공간의 역할과 영향을 분석하여 공간이 인물 부각, 이야기 전개 및 주제 표현 등에 영향을 준다는점과 가브리엘 조란이 정립한 서사공간 이론이 향후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의서사공간 창작에 다양한 접근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특화 도서관의 공간구성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장서이 ( Seoee Chang ),김용선 ( Yongsun Kim ),김억 ( Uk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4

        (연구배경 및 목적)생활방식의 다양화에 따른 여가 증대 등 사람들의 생활양식 변화로 인해 도서관의 다양한 역할과 노력을 더 필요로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도서관은 이용자들에게 수준 높은 서비스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1998년부터 2000년까지 문화관광부(현 문화체육관광부)에 의해 특화 도서관 사업이 나타났다. 그러나 지속적인 지원이 부족하고 후속적 사업으로 연결이 되지 않아 2002년 특화 도서관 사업이 중단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도서관들은 특화 주제를 지정하여 특화 도서관으로써 활발히 운영하고 있으나 관련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특화 도서관을 사례중심으로 공간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의 기초적 자료를 구축하는데 있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특화 도서관의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와 문헌자료들을 살펴본 다음 사례 중심으로 분석 연구가 이루어진다. 첫 번째, 분석 대상 특화 공간의 성격을 알아보기 위해 특화 도서관의 공간 구성 요소를 구축하여 분석 대상 특화 공간의 구성 요소를 분석한다. 두 번째, 분석 대상 특화 공간의 면적에 따른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해 특화 도서관 내 일반 자료실의 면적 비와 특화 공간의 면적 비를 비교하여 분석한다. 세 번째, 분석 대상 특화 공간의 건물 형태와 특화 공간의 형태를 도식화하여 그 특성을 분석한다. (결과)특화 공간의 성격을 알아보기 위한 분석을 통해 2002년 이전의 특화 공간은 도서/열람 공간을 운영하였으며, 2002년 이후 특화 공간은 도서/열람을 바탕으로 전시/공연과 체험의 성격을 갖는 공간을 운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화 공간의 면적에 따른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을 통해 2002년 이전과 이후 특화 공간은 일반자료실의 약 1/6 면적으로 과거와 비교하였을 때 제자리 상태로 중요도 또한 예전 그대로임을 알 수 있었다. 특화 공간의 건물 형태와 특화 공간의 형태 분석을 통해 2002년 이전 특화 공간의 건물 형태는 일체형이 4개관, 분리형이 1개관이며, 특화 공간 형태는 분리형이 4개관, 일체 속 분리형이 1개관이다. 2002년 이후 특화 공간의 건물 형태는 5개관 모두가 일체형이었으며, 특화 공간 형태는 일체형이 4개관, 분리형이 4개관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본 연구를 통해 특화 도서관이 다양한 특화 주제를 지정하여 개관하며 활발히 운영 중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특화 도서관은 아직 많이 미흡한 상황이며, 그에 따라 특화 도서관에 관한 연구의 지속화가 진행되어 더욱 발전에 도모해야 한다. 따라서 특화 도서관의 정책 및 서비스 연구뿐만 아니라 특화 공간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and Purpose)Due to the changes of people``s lifestyles such as leisure increase followed by the variety of lifestyles, different roles and efforts of libraries are more required. Accordingl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now,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ad progressed a specialized library project from 1998 to 2000 in order t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as well as high-quality services for library users. However, since there were no sufficient consistent support and succeeding projects, the specialized library project was suspended in 2002. Nevertheless, libraries have been operating so far as specialized libraries by designating specialized topics but related studies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space with a focus on specialized libraries and building basic data for the future research. (Method)This study examines preceding studies and literature and proceeds with analysis focusing on following cases. First, in order to review the character of the specialized space of the analysis target, the space components of the specialized libraries are constructed and the components of the specialized space of the analysis target are analyzed. Secondly, to examine the importance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specialized space to be analyzed, the proportion of area of general reference room in specialized libraries, and the proportion of specialized space are compared and analyzed. Third, the building types of the specialized space of the analysis target and specialized space types are schematize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Results)Through the analysis to examine the character of the specialized space, it was found that specialized space before 2002 was operated for book/reading space, and specialized space has been operated for the space with the characters of exhibition/performance and experience based on book/reading since 2002.When the comparison of specialized space before and after 2000 was performed with around one-sixth area of the general reference room through the analysis to review the importance according to the area of space, it has been in a standstill and the importance also did not change. The analysis of the form of the buildings and the forms of specialized space reveals that the building forms of specialized space before 2002 were 4 unified buildings, and 1 separate building, and especially, there are 4 separate spaces and 1 separate space within unified building for the form of specialized space. After 2002, the building for of specialized space had been unified form for the 5 buildings, and the form of specialized space is 4 unified spaces, and 4 separate space. (Conclusions)It was concluded by this study that specialized libraries open by designating specialized subjects and are in active operation. However, South Korea``s specialized libraries are still largely insufficient, and the research of specialized libraries must be continued, contributing to more development. Therefore, follow-up research on specialized space is needed in addition to the research on policy and services of specialized libraries.

      • KCI등재후보

        창덕궁의 공간구성기법을 이용한 공간디자인 연구

        한설희 ( Han Seol-hui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09 전시디자인연구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our traditional space to the modern space design. Therefore ChangdeokGung was selected to design the space of self-identity based on Korean traditional feature. The principal spaces of Changdeok "Jungjeon, Pyeongjeon and Chimjeon" were chosen for study. This study is organized and composed as follows. Chapter 1 is introduction outlining background, objective and contents of the study. Chapter 2 covers overview of ChangdeokGung such as features of space arrangement through document review. In Chapter 3 document review was performed to select specific object to study and then space features of ChangdeokGung were extracted by field study. Chapter 4 titled the technology of space arrangement of ChangdeokGung showed by which spatial composition method, space features defined in the previous chapter were expressed through the comparison of field study using pictures of field, document review and simulation. Chapter 5 was conclusion describing the integrated results of study from Chapter 1 to 4 and suggested to use this results of study as a fundamental data for new space design. This study showed that 4 spatial composition methods were applied to major places and various visual and perceptive features are impli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our international competence is developed based on the right understanding and steady research and study on design of space creative and at the same time distinguished expands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 Rough set model based feature selection for mixed-type data with feature space decomposition

        Kim, Kyung-Jun,Jun, Chi-Hyuck Elsevier 2018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Vol.103 No.-

        <P><B>Abstract</B></P> <P>Feature sele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lassification problems associated with expert and intelligent systems. The central idea behind feature selection is to identify important input features in order to reduce the dimensionality of the input space while maintaining or improving classification performance. Traditional feature selection approaches were designed to handle either categorical or numerical features, but not the mix of both that often arises in real datase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feature selection algorithm for classifying mixed-type data, based on a rough set model, called feature selection for mixed-type data with feature space decomposition (FSMSD). This can handle both categorical and numerical features by utilizing rough set theory with a heterogeneous Euclidean-overlap metric, and can be applied to mixed-type data. It also uses feature space decomposition to preserve the properties of multi-valued categorical features, thereby reducing information loss and preserving the features’ physical meaning. The proposed algorithm was compared with four benchmark methods using real mixed-type datasets and biomedical datasets, and its performance was promising, indicating that it will be helpful to users of expert and intelligent systems.</P> <P><B>Highlights</B></P> <P> <UL> <LI> Interpretability of the feature selection for mixed-type data is increased. </LI> <LI> Any transforming procedure is not needed on categorical and numerical features. </LI> <LI> FSMSD selects features that are not biased by any data-type. </LI> <LI> FSMSD and benchmark methods are compared with 15 mixed-type data. </LI> </UL> </P>

      • Features Fusion with Adaptive Weights for Pedestrian Classification

        Junbo Zhao,Shuoshuo Chen,Weizi Liu,Xiaoxiao Chen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3 제어로봇시스템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10

        In this paper, we study the problem of pedestrian classification, which could lead to an improvement of performance of the Pedestrian Detection Systems. Since the traditional approaches merely focus on the recognition of pedestrian, the device would keep alerting the drivers even if the pedestrians are walking on a safe track. We attempt to classify pedestrians in order to make those devices, equipped in the cars, more intelligent and pragmatic. We propose a method to extract features including HOGs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LTPs (Local Ternary Pattern), Color Names and to fuse them efficiently. The three features are weighted fused depending on the size of patches as well as each patch’s gradient value which is computed via a 3<SUP>*</SUP>3 Sobel operator. Afterwards we will train a random forest with 50 discriminative decision trees, using the fused features. Our method is tested on the images of humans from INRIA datase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method of features fusion, with adaptive weights assigned to the different features, yields a significant gain of 12.9% in mean AP (Average Precision) over the simple features concatenation framework. Accordingly, our method is practicable for classifying pedestrians.

      • KCI등재

        모순공간과 착시도형의 특성 연구 : 후쿠다 시게오 포스터 중심으로

        한문박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9 No.-

        The paradoxical space trompe l'oeil first appeared in paintings in the 18th century, and gradually expanded to the field of graphic design. During this period, Shigeo Fukuda's contradictory space posters were widely recognized by the design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designers with a method to understand and design the contradictory space by analyzing the principle of contradictory space.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is paper screened the posters of Shigeo Fukuda's exhibition from 1971 to 1999, and finally selected 8 posters as the analysis objects. In the research method, the six characteristics of the contradictory space are sorted out through the first research, and then the poster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rough the graphic analysis of the posters, and the analysis model is established based on thi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ll of Fukuda's poster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multidimensionality", "commonness of faces", "multiplicity" and "contradiction". Secondly, all three-dimensional graphic posters have "connection possibilities", while flat graphic posters are less used. Finally, continuity is rarely used in posters. The final conclusion is that "multidimensionality", "commonness of faces", "multiplicity" and "contradiction" are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contradictory space graphics. The way of expressing contradictory space effects in posters of flat graphics has certain limitations. Compared with flat graphics, three-dimensional graphic posters have richer features and stronger expressiveness. 모순공간은 18세기 회화에서 처음 등장하여, 점차 디자인으로까지 확대됐다. 특히, 후쿠다 시게오의 포스터는 심플한 스타일과 위트로 디자인계에서 폭넓게 인정받고 있다. 모순공간 포스터의 착시원리와 디자인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종합 자료가 드물며 모순공간 포스터의 위트나 재미가 보편적이지 않기 때문에 본문은 모순공간의 원리를 해석하여 디자이너에게 모순공간을 이해하고 디자인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착시와 모순공간의 이론적 개념을 바탕으로 후쿠다 시게오의 1971~1999년 개인 전시회 포스터와 수상작을 선별해 최종적으로 모순공간 포스터 8장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다. 연구 방법으로는 모순공간의 6가지 특성을 선행연구로 분석해 정리하고 포스터의 도형 분석을 통해 포스터를 '입체 도형과 사물 조합', '평면 도형과 인물 실루엣 조합'으로 분류했다. 이를 기반으로 분석 모델을 만들어 포스터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먼저 후쿠다 시게오의 포스터는 모두 다차원성, 면의 공유, 다중성, 모순성을 갖고 있었다. 또한, 입체 도형과사물을 조합한 포스터는 모두 ‘연결 가능성’이 있는 반면, 평면 도형과 인물의 실루엣을 조합한 포스터는 활용도가 낮았다. 마지막으로 후쿠다 시게오의 모순공간 포스터는 연속성을 잘 활용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다차원성, 면의 공유, 다중성, 모순성은 모순공간 도형의 기초적 특성이며, 평면 도형의 포스터가 모순공간의 효과를 표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결론을내릴 수 있었다. 평면 포스터 도형보다 입체 도형이 갖는 특징이 더 풍부하고 표현력도 뛰어났다. 디자이너는 모순공간에대한 기본적 특성을 중시하고 이의 재미성을 표현하기 위해 입체도형으로 표현하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법학전문도서관 디자인 특성 및 공간구성방법에 관한 연구

        최성우(Choi, Sung-W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법학전문도서관의 기존사례 분석을 통하여 공간구성 특성을 조사, 규정하고 교육이념에 부응하는 법학전문도서관 특성을 반영한 계획안의 제시함으로서 법학전문도서관의 계획요소 및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법학도서관의 공간구성특성을 요약하면 ➀ 접근성을 고려한 진입층의 공간구성 ➁ 열람공간 이용자 중심의 열람실 공간구성 ➂ 교육 및 연구 공간과 열람실의 연계성을 고려한 공간 구성으로 법학도서관의 특성을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 법학도서관 설계 시 다음과 같은 디자인 쟁점사항을 도출하였다. 진입층 공간구성은 교육의 장소로서의 이용행태, 접근성과 연계성의 측면을 고려하여 공용공간과 함께 열람공간을 계획하여야 한다. 이 용자 중심의 열람실과 서고의 공간구성이 계획되기 위한 방법으로는 일반열람실 또는 지정 도서실이 진입공간과 직 접 연계되는 계획이 이루어 져야 된다. 교육 및 연구 공간과 열람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함에 따라서 코어를 중 심으로 교육 및 연구 공간과 열람실을 수직적으로 연계하여 열람실과 교육 연구 공간의 연계성을 높이는 동시에 외 부에서의 접근성도 고려한 계획이 되어야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acial composition feature of Law School Library and define the feature in spacial planning of law school library. Through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in spacial composition, the basic spacial type of law school library will be proposed as a new law school library design. The spati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Law school Library are as followings. ➀ Entry spatial feature for the user accessibility ➁ Reference room spatial planning for carrel user ➂ Connectivity of educational & research space and reference room space. As the result of design proposal and analyzing the spacial feature, firstly entry common space of library should be planned with reference room space. Secondly, reading room should be linked to the entry level for the user. Lastly, core space should be planned as the vertical connectivity space for the intimately linkage of educational & research space and reference room. And separated accessibility should be considered for direct connection from outdoor space.

      • KCI등재

        서사의 디지털 자질과 서사 공간

        장일구(Jang Ilgu) 한국언어문학회 2008 한국언어문학 Vol.67 No.-

        Digital could be undertood a constitutional notion not as a substantial one. So it is necessary to treat its features for reasonable arguments. One can note the core digital features: interactivity, hypertextuality and multi-media. Not all digital devices realize the digital features, or non-digital media might show digital-like features close to interactivity and hypertextuality. Some notions realtive to the narrative space would be the digital features of narrative. Spatial form in written narrative is a crucial phase of digital narrativities, and virtual reality simulated in recent fantastic novels is a eminent corresponding digital experence. I will argue on the digital features of narrative relative to the above two phases of narrative space, and expand the arguemental horizon of digital narratives.

      • KCI등재

        새로운 얼굴 특징공간을 이용한 모델 기반 얼굴 표정 인식

        김진옥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7 No.4

        This paper introduces a new model based method for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that uses facial grid angles as feature space. In order to be able to recognize the six main facial expression, proposed method uses a grid approach and therefore it establishes a new feature space based on the angles that each gird's edge and vertex form. The way taken in the paper is robust against several affine transformations such as translation, rotation, and scaling which in other approaches are considered very harmful in the overall accuracy of a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algorithm. Also, this paper demonstrates the process that the feature space is created using angles and how a selection process of feature subset within this space is applied with Wrapper approach. Selected features are classified by SVM, 3-NN classifier and classification results are validated with two-tier cross validation. Proposed method shows 94% classification result and feature selection algorithm improves results by up to 10% over the full set of feature. 본 연구에서는 얼굴 그리드 각도를 특징공간으로 하는 새로운 모델 기반 얼굴 표정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식은 6가지 얼굴 대표 표정을 인식하기 위해 표정 그리드를 이용하여 그리드의 각 간선과 정점이 형성하는 각도를 기반으로 얼굴 특징 공간을 구성한다. 이 방법은 다른 표정 인식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낮추는 원인인 변환, 회전, 크기변화와 같은 어파인 변환에 강건한 특징을 보인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각도로 특징공간을 구성하고 이 공간 내에서 Wrapper 방식으로 특징 부분집합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선택한 특징들은 SVM, 3-NN 분류기를 이용해 분류하고 분류 결과는 2중 교차검증을 통해 검증하도록 한다. 본 연구가 제안한 방법에서는 94%의 표정 인식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특징 부분집합 선택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 전체 특징을 이용한 경우보다 약 10%의 인식율 개선 효과를 보인다.

      • 홍대 놀이터의 확장을 위한 지하공원화 계획 -어두움을 그리다-

        오한결(주저자) ( Han Gyeol Oh ),임슬비(주저자) ( Seul Bi Lim ),정지은(주저자) ( Ji Eun Jung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공간 환경 스튜디오 Ⅶ 수업에서 진행한 기존 공간 리뉴얼 프로젝트에 대한 공간 디자인프로세스 연구이다. 본 연구의 과정은 총 세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초반과정으로는 대지의 분석과정에서 도출된 여러 가지 문제점 해결을 목표로 아이디어 도출 과정을 거쳤다. 구체적으로 홍대 놀이터의 역사·지리적 특성·지역성·문화 등에 대한 기본정보조사와 실제적인 설문조사, 진행하고자 하는 공간의 사례분석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두 번째 단계로는 프로젝트의 목적을 정하고 앞서 진행한 분석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파악하여 해결책을 생각하였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문제점 해결을 위해 공간을 외부와 내부로 나누어 적용할 개념과 컨셉 언어를 정하였다. 그 후 공간의 컨셉과 주요 특징 요소를 정하였다. 이단계에서 변화된 홍대 놀이터의 이미지와 공간의 목적이 구체화 되었다. 마지막 단계로는 공간의 컨셉과 주요 특징 요소를 활용해 구체적으로 공간 디자인을 생각하였다. 기초 디자인과정을 거쳐 공간 계획과정을 진행하였으며 도면·다이어그램·동선·소재 등에 이러한 계획 과정을 구체화하여 표현하였다. 이를 위해 전체 15주 수업기간 동안 실제 작품의 진행 기간은 약 15주가 소요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ace renewal design process from Space Environmental Design Studio Ⅶ. The process is divided into three steps. First, students analyzed the geographic features of the site and found many problems. So the students brainstormed ideas that could help resolve the problems. Specifically, students proceeded with a pre-investigation about the history, geographic features and region, culture of the Hongdae playground, surveys, and case studies. Second,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found on the previous step, students sought a solution. For a detailed and practical solution we divided the space into two parts, the outside and interior, and formulated a main concept and its elements. Last, based on the space``s main concept and elements, students proceeded to design a renewal space. First, students begun on the primal design process and then began working on the space design. To explain the idea effectively, students made drawings, diagrams, moving lines, and materials. The work the students completed was collected during the 15 weeks of the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